KR19990032864U - 급제동시 엔진시동정지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급제동시 엔진시동정지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864U
KR19990032864U KR2019970045631U KR19970045631U KR19990032864U KR 19990032864 U KR19990032864 U KR 19990032864U KR 2019970045631 U KR2019970045631 U KR 2019970045631U KR 19970045631 U KR19970045631 U KR 19970045631U KR 19990032864 U KR19990032864 U KR 199900328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lutch
braking
stop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희
Original Assignee
이관기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기,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관기
Priority to KR2019970045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2864U/ko
Publication of KR199900328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864U/ko

Links

Landscapes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급제동시 엔진시동정지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는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급제동시 클러치를 동시에 작동시키지 않으면 엔진시동이 정지하여 조향불량 및 제동력상실등에 의하여 후속조치가 불가능하여 대형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에서는 엔진(10)과 변속기(12)상간에 설치되어 동력전달 유,무를 선택하는 클러치(13)와 클러치패달(18)상간에 클러치(13)작동을 위한 전동모우터(14)를 더 설치하고; 전동모우터(14)는 엔진(10)에 장착된 노크센서(11)와 브레이크라인(16)으로부터 입력되는 엔진부조화(저아이들링)상태와 제동상태를 인가받는 E.C.U(15)에 의하여 급제동시 클러치(13)를 단락시켜 엔진시동정지상태가 방지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긴급상황발생시 급제동하면서 클러치를 제어하지 않아도 엔진시동이 정지되지 않음으로서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취하여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급제동시 엔진시동정지방지장치
본 고안은 급제동시 엔진시동정지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변속기차량에서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급제동을 하면서 클러치를 작동시키지 않아도 엔진시동이 정지되지 않도록 개선한 것이다.
자동차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주행상태에 맞게 적절한 상태로 구동력을 변화시켜주는 변속기를 거쳐 전륜 혹은 후륜을 구동시킴으로서 자동차가 주행할 수 있게되며, 이러한 주행과정에서 주, 정차를 위하여 주행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 브레이크 장치이다.
수동변속기 차량의 경우에는 변속기를 거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바퀴를 제어하는 브레이크와 엔진에서 변속기로의 동력전달유,무를 선택하는 클러치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계로 주행상태에 맞는 변속시에나 브레이크 제동시에는 클러치를 작동시켜 엔진에서 변속기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행하여야 하고, 상기와 같이 주행상태에 맞게 적절한 기어변속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제동시 클러치를 제어하지 않을 경우, 특히 제동시 클러치를 미작동시켰을 경우에는 엔진에서 변속기로 전달되는 동력의 과부하로 인한 엔진정지상태가 된다.
특히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급제동시킬 때 클러치작동을 신속하게 하지않으면 바로 엔진시동이 정지되어 후속조치가 불가능하여 중대한 사고로 까지 이어지는 등의 문제점들을 발생시킨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급제동시 운전자가 클러치를 작동하지 않더라도 엔진이 정지상태에 다달으면 클러치를 자동으로 단락시켜 엔진시동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여 후속조치불량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클러치와 클러치페달상간에 전동모우터를 더 설치하여 긴급상황시 클러치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엔진동력이 변속기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제 1 도는 종래기술이 적용된 동력전달 계통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엔진시동정지방지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11 : 노크센서
12 : 변속기13 : 클러치
14 : 전동모우터15 : E.C.U
16 : 브레이크라인20 : 클러치라인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종래기술이 적용된 동력전달 계통도로서 엔진(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주행상태에 맞게 적절한 상태로 구동력을 변환시키는 변속기(2)에 의하여 바퀴(3)를 구동시키고 이 바퀴(3)에는 운전석에 구비되는 브레이크페달(4)과 연결된 브레이크(5)가 설치되어 주행중의 자동차를 감속시키고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엔진(1)과 변속기(2)상간에는 동력전달의 유,무를 선택하기 위한 클러치(6)가 구비되어 클러치페달(7)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급제동할 때에는 항시 클러치를 동시에 작동하여야만 하며, 브레이크만 작동하고 클러치를 미작동시키거나 작동시기를 지연시킬 경우에는 엔진(1)에서 변속기(2)로 전달되는 동력이 단절되지 못함으로서 과부하로 인한 엔진시동이 정지되는 상태에 이른다.
엔진시동이 정지될 경우에는 제동력이 상실(유압브레이크)됨으로서 자동차를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시키지 못하여 충,추돌의 위험이 높고, 핸들조작이 곤란함으로서 방향전환등이 이루어지지 않아 또다른 위험을 가지는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의 기술이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는 엔진(10)의 저아이들링(부조화)상태를 감지하는 노크(Knock)센서(11)와 엔진(10)의 동력을 변속기(12)로의 전달유,무를 선택하는 클러치(13)를 제어하기 위한 전동모우터(14)를 구비하여 급제동시 엔진상태에 따라 클러치(13)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변속기(12)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엔진시동정지상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엔진(10)에는 엔진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노크센서(11)를 설치하여 그 감지값을 E.C.U(15)로 인가하도록 하고 E.C.U(15)는 노크센서(11)의 감지값과 브레이크라인(16)으로부터 인가받는 브레이크 작동유무상태를 조합하여 클러치(13)와 클러치패달(18)상간에 더 설치되는 전동모우터(14)를 제어하여 클러치(13)를 자동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E.C.U(15)로는 클러치라인(20)을 더 연결하여 변속을 위한 클러치패달(18) 작동시에는 전동모우터(14)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정상적인 주행과정에서 주행속도에 맞게 기어변속을 행하기 위하여 클러치패달(18)을 밟아 클러치(13)를 작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클러치패달(18)을 밟을 경우에는 전동모우터(14)의 작동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이는 클러치라인(20)을 통하여 클러치작동 정보만 E.C.U(15)로 전달되고 브레이크라인(16)으로 부터의 브레이킹정보와 엔진(10)에 장착된 노크센서(11)로부터 엔진(10)이 저아이들링상태(엔진부조화)가 인가되지 않음으로서 급제동상태가 아님을 인식하여 전동모우터(14)의 작동을 제한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기어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급제동을 하게 되면 브레이크라인(16)을 통하여 급격한 유압의 증대와 같은 정보가 E.C.U(15)로 인가되어 급제동상태임을 인식하게 된다.
동시에 엔진(10)에 장착된 노크센서(11)는 급제동함으로서 엔진의 아이들링상태가 기준치 이상으로 부조화 상태임을 감지하여 전달함으로서 E.C.U(15)는 클러치(13)와 클러치패달(18)사이에 설치된 전동모우터(14)를 작동시켜 엔진(10)의 동력이 변속기(12)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서 급제동 상태가 지속되더라도 엔진시동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긴급상황이 해제되어 운전자가 재출발, 가속을 위하여 클러치패달(18)을 밟을 경우에는 클러치라인(20)을 통하여 E.C.U(15)로 인가됨으로서 E.C.U(15)는 전동모우터(14)의 작동을 정지시켜 정상적인 기어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급제동하면서 클러치를 제어하지 않아도 엔진시동이 정지되지 않음으로서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취하여 대형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Claims (2)

  1. 엔진(10)과 변속기(12)상간에 설치되어 동력전달 유,무를 선택하는 클러치(13)와 클러치패달(18)상간에 클러치(13)작동을 위한 전동모우터(14)를 더 설치하고;
    상기 전동모우터(14)는 엔진(10)에 장착된 노크센서(11)와 브레이크라인(16)으로부터 입력되는 엔진부조화(저아이들링)상태와 제동상태를 인가받는 E.C.U(15)에 의하여 급제동시 클러치(13)를 단락시켜 엔진시동의 정지상태가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제동시 엔진시동정지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C.U(15)로는 클러치라인(20)을 더 연결하여 정상적인 기어변속시에는 전동모우터(14)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제동시 엔진시동정지방지장치.
KR2019970045631U 1997-12-24 1997-12-24 급제동시 엔진시동정지방지장치 KR199900328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631U KR19990032864U (ko) 1997-12-24 1997-12-24 급제동시 엔진시동정지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631U KR19990032864U (ko) 1997-12-24 1997-12-24 급제동시 엔진시동정지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864U true KR19990032864U (ko) 1999-07-26

Family

ID=69696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631U KR19990032864U (ko) 1997-12-24 1997-12-24 급제동시 엔진시동정지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286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66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electromotive parking brake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JP2015509455A (ja) 自動車の自動運転、特に自動駐車の方法、ならびにドライバーアシスト装置
RU2243429C2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нной стабилизации автомобиля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крутящим моментом (варианты)
KR20000068529A (ko) 점화신호의 실패시 자동차 제어장치의 비제한 작동모드 인증장치
JPH0545534Y2 (ko)
US7341319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tor-vehicle parking brake
US20150142230A1 (en) Method for a vehicle having an electric machine
JPH061229A (ja) 自動ブレーキ装置の制御方法
KR19990032864U (ko) 급제동시 엔진시동정지방지장치
KR100356854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CN217730415U (zh) 一种车辆门开制动系统和车辆
JP3697840B2 (ja) リターダ制御装置
KR20190072228A (ko) 자동 제동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
KR100328140B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및 급가속 방지장치
KR100217575B1 (ko) 자동차의 자동 제동장치
KR100189460B1 (ko) 차량의 스타트보조장치
KR0149612B1 (ko) 차량의 비상등 점등식 속도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0131686Y1 (ko) 자동 변속 차량의 크리프 제한 장치
KR20020055087A (ko) 자동차의 제동방법
KR19990059443A (ko) 자동차용 안전 장치
KR0116175Y1 (ko)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
KR19990032519A (ko) 자동차의 코너링 고속 주행시 자동 감속 장치
KR100405527B1 (ko) 주차브레이크 자동작동장치
KR19990012217A (ko) 엔진브레이크의 경고장치
KR19980060477A (ko) 수동 변속용 차량의 급제동시 시동 꺼짐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