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186A - 간이교환 시스템에서의 팩스 데이터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간이교환 시스템에서의 팩스 데이터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186A
KR19990032186A KR1019970053161A KR19970053161A KR19990032186A KR 19990032186 A KR19990032186 A KR 19990032186A KR 1019970053161 A KR1019970053161 A KR 1019970053161A KR 19970053161 A KR19970053161 A KR 19970053161A KR 19990032186 A KR19990032186 A KR 19990032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x
call
data
switching system
cal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184B1 (ko
Inventor
이진권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53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184B1/ko
Publication of KR19990032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1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 H04M3/007Access interface units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speech and data, e.g. digital subscriber line [DSL] access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2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fax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이교환 시스템에 팩스(FAX) 호출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해당 팩스의 통화가능 여부에 관계없이 팩스 데이터를 간이교환 시스템에 저장한 후, 해당 팩스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언제든지 팩스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간이교환 시스템에서의 팩스 데이터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이교환 시스템에 접속된 팩스(FAX)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송수신이 언제든지 가능해야 하는데, 종래의 간이교환 시스템에서는 가입자가 팩스(FAX)를 통해 문서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 곳으로부터 팩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상대방은 해당 팩스(FAX)의 통화가 종료되기까지 기다렸다가 다시 송신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간이교환 시스템에서 팩스(FAX) 호출이 있는 경우 해당 팩스(FAX)의 통화로 접속상태에 관계없이 간이교환 시스템에 팩스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해당 팩스(FAX)가 대기상태일 때 해당 팩스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팩스(FAX)를 송신하는 측에서는 통화중 신호가 없어 빠른 전송을 할 수 있으며, 한 대의 팩스(FAX)로서 여러 대의 팩스(FAX) 기능을 할 수 있어 언제든지 팩스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간이교환 시스템에서의 팩스 데이터 수신 방법
본 발명은 간이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이교환 시스템에 팩스(FAX) 호출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해당 팩스의 통화가능 여부에 관계없이 팩스 데이터를 간이교환 시스템에 저장한 후, 해당 팩스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언제든지 팩스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간이교환 시스템에서의 팩스 데이터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간이교환 시스템은 내선 가입자의 지시에 따라 상대 가입자와 접속하여 양자간의 음성 또는 팩스통신을 가능하게 하거나, 국선을 통해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호출신호를 검출하여 내선의 전화기나 팩스(FAX)와 통화로를 구성하여 통화가 가능하게 하며, 통화가 종료되면 통화로를 절단하여 내선의 전화기나 팩스(FAX)가 다음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간이교환 시스템에서는 국선을 통해 팩스(FAX)에 대한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팩스(FAX)가 연결된 내선을 확인하여 해당 팩스(FAX)가 통화중이 아니면 해당 팩스(FAX)에 대한 팩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팩스(FAX)가 통화중이면 화중음을 상대방에게 송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간이교환 시스템에서는 팩스(FAX) 이용이 많은 경우, 해당 팩스(FAX)가 통화중이면 상대방으로부터의 팩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어 신속한 팩스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간이교환 시스템(SPBX1)의 기능을 첨부한 도면 도 1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간이교환 시스템(SPBX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팩스 톤 검출부(11), 국선 인터페이스부(12), 통화로 스위칭부(13), 내선 인터페이스부(14), 중앙처리장치(1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팩스 톤 검출부(11)는 국선을 통해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중앙처리장치(15)의 제어에 따라 해당 호출신호를 분석하여 팩스에 대한 호출신호를 검출하여 중앙처리장치(15)에 인가하며, 국선 인터페이스부(12)는 국선을 접속하여 국선에 대해 입출력되는 신호를 정합하여 주고, 내선 인터페이스부(14)는 내선을 접속하여 내선에 대해 입출력되는 신호를 정합하여 준다. 통화로 스위칭부(13)는 중앙처리장치(15)의 제어에 따라 통화로 절환 동작을 수행하여 통화로를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중앙처리장치(15)는 간이교환 시스템(SPBX1)에서 이루어지는 통화로 구성, 통화의 감시, 호출신호의 분석제어 등 교환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여 처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간이교환 시스템에서는 팩스(FAX)나 전화기 등의 내선 단말기의 통화로를 구성하여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이므로 내선 단말기에 대하여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간이교환 시스템에 접속된 팩스(FAX)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송수신이 언제든지 가능해야 하는데, 종래의 간이교환 시스템에서는 가입자가 팩스(FAX)를 통해 문서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 곳으로부터 팩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상대방은 해당 팩스(FAX)의 통화가 종료되기까지 기다렸다가 다시 송신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간이교환 시스템에 팩스(FAX) 호출이 있는 경우 해당 팩스(FAX)의 통화로 접속상태에 관계없이 팩스 데이터를 간이교환 시스템에 저장한 후, 해당 팩스(FAX)의 통화로 접속상태를 파악하여 해당 팩스(FAX)가 대기상태가 되면 해당 팩스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언제든지 팩스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국선을 통해 수신되는 호출신호를 분석하여 판단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에서 해당 호출신호가 팩스에 대한 호출신호이면 해당 국선을 접속하여 팩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에서 해당 팩스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면 해당 국선의 접속을 종료한 후, 내선에 접속되어 있는 해당 팩스가 통화중인가를 감지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제 3과정에서 해당 팩스가 통화중이 아니면 해당 팩스에 대응되는 팩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1과정에서 해당 호출신호가 전화기에 대한 호출신호이면 해당 호출신호에 대응되는 내선과 해당 국선을 접속하여 통화로를 구성하는 제 5과정과; 상기 제 5과정이후 내선 가입자가 응답하면 통화하게 한 후, 통화가 끝나면 통화로를 절단하는 제 6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간이교환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교환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교환 시스템에서의 호출 처리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21 : 팩스 톤 검출부 12, 22 : 국선 인터페이스부
13, 23 : 통화로 스위칭부 14, 24 : 내선 인터페이스부
15, 25 : 중앙처리장치 26 : 팩스 데이터 저장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교환 시스템(SPBX2)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팩스 톤 검출부(21), 국선 인터페이스부(22), 통화로 스위칭부(23), 내선 인터페이스부(24), 중앙처리장치(25), 팩스 데이터 저장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팩스 톤 검출부(21)는 국선을 통해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중앙처리장치(25)의 제어에 따라 해당 호출신호를 분석하여 팩스에 대한 호출신호를 검출하여 중앙처리장치(25)에 인가하며, 국선 인터페이스부(22)는 국선을 접속하여 국선에 대해 입출력되는 신호를 정합하여 주고, 내선 인터페이스부(24)는 내선을 접속하여 내선에 대해 입출력되는 신호를 정합하여 준다. 통화로 스위칭부(23)는 중앙처리장치(25)의 제어에 따라 통화로 절환 동작을 수행하여 통화로를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중앙처리장치(25)는 간이교환 시스템(SPBX2)에서 이루어지는 통화로 구성, 통화의 감시, 호출신호의 분석제어 등 교환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여 처리하는데, 팩스 톤 검출부(21)로부터 인가되는 팩스(FAX) 호출신호에 따라 팩스 데이터 저장부(26)를 제어하여 해당 팩스 데이터를 저장하게 하고 난 후, 해당 팩스(FAX)가 접속된 내선을 감시하여 해당 팩스(FAX)가 통화중이 아니면 팩스 데이터 저장부(26)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팩스 데이터를 해당 팩스(FAX)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팩스 데이터 저장부(26)는 팩스 톤 검출부(21)에 의해 분석된 호출신호가 팩스에 대한 호출신호인 경우 중앙처리장치(25)의 제어에 따라 해당 팩스(FAX)의 국선을 접속하여 해당 팩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간이교환 시스템(SPBX2)에서의 호출 처리 동작은 도면 도 3에 도시된 순서로 수행한다.
상대측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국선을 통해 팩스 톤 검출부(21)에 호출신호가 수신되면(스텝 S1), 팩스 톤 검출부(21)는 해당 호출신호를 분석하여 전화기에 대한 호출신호인지 팩스(FAX)에 대한 호출신호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2). 스텝 S2에서 해당 호출신호가 팩스(FAX)에 대한 호출신호이면 팩스 데이터 저장부(26)는 중앙처리장치(25)의 제어에 따라 해당 국선을 통해 전달되는 팩스 데이터를 저장한다(스텝 S3). 스텝 S3에서 중앙처리장치(25)는 해당 국선을 통해 전달되는 팩스 데이터의 저장이 끝나면 해당 국선의 접속을 종료하고 난 후(스텝 S4), 내선 인터페이스부(24)에 접속된 해당 팩스(FAX)의 접속상태를 감지하여 해당 팩스(FAX)가 통화중인가를 판단한다(스텝 S5). 스텝 S5에서 해당 팩스(FAX)가 통화중이 아니면 중앙처리장치(25)는 팩스 데이터 저장부(26)로부터 해당 팩스(FAX)에 대응되는 팩스 데이터를 인출하여 해당 팩스(FAX)에 전송한 후(스텝 S6), 접속을 종료하여 해당 내선의 팩스(FAX)가 다음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스텝 S2에서 해당 호출신호가 전화기에 대한 호출신호이면 중앙처리장치(25)는 통화로 스위칭부(23)를 제어하여 해당 호출신호에 대응되는 내선을 접속하여 통화로를 구성하고 난 후(스텝 S7), 내선 가입자가 응답하면 중앙처리장치(25)는 구성된 통화로를 통해 통화하게 한 후(스텝 S8), 통화가 끝나면 중앙처리장치(25)는 통화로 스위칭부(23)를 제어하여 통화로를 절단하여 내선 가입자가 다음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간이교환 시스템에서 팩스(FAX) 호출이 있는 경우 해당 팩스(FAX)의 통화로 접속상태에 관계없이 간이교환 시스템에 팩스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해당 팩스(FAX)가 대기상태일 때 해당 팩스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팩스(FAX)를 송신하는 측에서는 통화중 신호가 없어 빠른 전송을 할 수 있으며, 한 대의 팩스(FAX)로서 여러 대의 팩스(FAX) 기능을 할 수 있어 언제든지 팩스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국선을 통해 수신되는 호출신호를 분석하여 판단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에서 해당 호출신호가 팩스에 대한 호출신호이면 해당 국선을 접속하여 팩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에서 해당 팩스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면 해당 국선의 접속을 종료한 후, 내선에 접속되어 있는 해당 팩스가 통화중인가를 감지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제 3과정에서 해당 팩스가 통화중이 아니면 해당 팩스에 대응되는 팩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1과정에서 해당 호출신호가 전화기에 대한 호출신호이면 해당 호출신호에 대응되는 내선과 해당 국선을 접속하여 통화로를 구성하는 제 5과정과; 상기 제 5과정이후 내선 가입자가 응답하면 통화하게 한 후, 통화가 끝나면 통화로를 절단하는 제 6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교환 시스템에서의 팩스 데이터 수신 방법.
KR1019970053161A 1997-10-16 1997-10-16 간이교환시스템에서의팩스데이터수신방법 KR100312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161A KR100312184B1 (ko) 1997-10-16 1997-10-16 간이교환시스템에서의팩스데이터수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161A KR100312184B1 (ko) 1997-10-16 1997-10-16 간이교환시스템에서의팩스데이터수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186A true KR19990032186A (ko) 1999-05-06
KR100312184B1 KR100312184B1 (ko) 2001-12-28

Family

ID=3753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161A KR100312184B1 (ko) 1997-10-16 1997-10-16 간이교환시스템에서의팩스데이터수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1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524B1 (ko) * 2005-01-28 2006-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팩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메시징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8931A (ko) * 1992-02-29 1993-09-22 이헌조 팩시밀리의 수신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524B1 (ko) * 2005-01-28 2006-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팩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메시징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2184B1 (ko) 200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1132548A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злоумышленного вызова и коммута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AU757742B2 (en) Communication system
KR100312184B1 (ko) 간이교환시스템에서의팩스데이터수신방법
KR19990069674A (ko) 간이교환 시스템에서의 선택 수신 방법
KR100329459B1 (ko) 사설교환기에서 상대방 정보 표시방법
JPH0661935A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装置
KR100194456B1 (ko) 하나의 가입자선로를 이용한 단말장치의 선택 호출방법
KR940000182B1 (ko) 회선교환망용 단말기를 위한 네트워크 시뮬레이팅 회로 및 방법
KR100297288B1 (ko) 교환시스템의국선군기능제어방법
KR19990012342A (ko)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단말장치에서 발신자 식별정보를 이용한 아웃고잉 메시지 선택송출방법
KR100255317B1 (ko) 키폰시스템의착신호전환방법
KR100584353B1 (ko) 발신자 식별코드를 이용한 착신 알림방법
KR100206304B1 (ko) 내부 호 처리가 가능한 원격가입자 수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84478B1 (ko) 키폰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제어방법
KR100241730B1 (ko) 키폰 시스템의 보류 메시지 송출 방법
KR100329461B1 (ko) 사설 교환기와 연계된 팩시밀리 상태 확인 방법
KR960001086B1 (ko)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통화 확인 방법
JP2524624B2 (ja) ファクシミリ制御装置
KR0128240B1 (ko) 가정자동화 시스템에 연결된 자동응답 전화기 작동방법
JPH0461460A (ja) ファクシミリ/モデム自動切替装置
KR960002156B1 (ko) 다수의 통화 회선을 갖는 전화기의 우회 통화 방법
JPH02164166A (ja) オーダーワイヤ装置を備えた通信方式
KR19990056122A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발신측 전화번호를 인식하여 착신호전환 방법
KR19980044340A (ko) R2mfc신호를 이용한 사설교환망 및 그 운용방법
KR19990001027A (ko) 전화기의 착신호 전환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0714

Effective date: 200108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