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156B1 - 다수의 통화 회선을 갖는 전화기의 우회 통화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통화 회선을 갖는 전화기의 우회 통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156B1
KR960002156B1 KR1019930006207A KR930006207A KR960002156B1 KR 960002156 B1 KR960002156 B1 KR 960002156B1 KR 1019930006207 A KR1019930006207 A KR 1019930006207A KR 930006207 A KR930006207 A KR 930006207A KR 960002156 B1 KR960002156 B1 KR 960002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ignal
line
key input
spee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5235A (ko
Inventor
김용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6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156B1/ko
Publication of KR940025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5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수의 통화 회선을 갖는 전화기의 우회 통화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다기능 전화기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기능 전화기에서 중앙처리부의 모드 선택과정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기능 전화기에서 중앙처리부의 우회 통화모드 수행 흐름도.
본 발명은 전화기의 통화 방법에 있어서, 특히 다수의 통화 회선을 갖는 다기능 전화기의 각 통화 회선간의 접속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일반적이 다기능 전화기는 국선통화 선로, 관리실과의 인터폰 통화 선로, 도어폰 통화 선로 등의 다수의 통화 선로와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다기능 전화기는 상기 통화 선로들을 통해 각기 독립된 통신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종래 다기능 전화기의 통화 방법은 각 통화 선로들의 상호 접속 통화 기능이 없는 통화 선로 독립 통화 방식이었다. 이러한 종래 다기능 전화기의 통화 방법은 소정 통화 선로를 통한 통화요구에 사용자의 부재시에는 응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부재시에 수신되는 통화요구에 응답하여 지정된 외부의 다른 전화기를 통해 통화할 수 있는 우회 통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다수의 통화 회선을 갖는 다기능 전화기의 통화 방법에 있어서, 제1통화 선로를 통한 통화 요구 신호 수신기 제2통화 선로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전화기와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통화 선로와 제2통화 선로를 접속시켜 우회 통화로를 형성하는 우회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일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다기능 전화기 구성도로서 키입력부(12)는 키입력에 의해 해당 키의 키입력 신호를 출력한다. 중앙처리부(14)는 키입력부(12)와 접속되며 상기 키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응답하는 처리과정을 수행하며 다기능 전화기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출력한다. 메모리(16)는 상기 중앙처리부(14)와 접속되어 데이타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데이타송수신부(18)는 중앙처리부(14) 및 데이타통신 선로와 접속되며 데이타신호를 송수신한다. 링검출부(20)는 중앙처리부(14) 및 국선 통화 선로와 접속되며 국선통화 선로로부터 시그널톤신호를 검출하여 중앙처리부(14)로 송출한다. DTMF부(22)는 중앙처리부(14)와 접속되어 톤발생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출력한다. 음성처리부(24)는 중앙처리부(14)와 접속되어 음성 출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송수화유니트(26)는 음성 신호를 송수신한다. 국선인터페이스부(30)는 국선 통화 선로와 접속되어 음성 통화 신호를 송수신하다. 스위칭 네트워크 회로(28)는 제1내선 통화 선로(CH1), 제2내선 통화 선로(CH2), 국선 인터페이스부(30), DTMF부(22), 음성처리부(24), 송수화유니트(26)등과 접속되며 또한 중앙 처리부(14)와 접속되어 스위칭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각 접속 선로 및 구성 요소간의 스위칭 접속을 이룬다.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 회로(28)는 미합중국 HARRIS사의 CD22100을 사용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기능 전화기의 모드 선택 과정 흐름도로서 사용자의 키입력에 대응하여 중앙처리부의 기록모드 및 우회 통화모드의 선택과정과 기록모드 지정시 우회 통화할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기록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다기능 전화기의 우회 통화모드 수행흐름도로서 제2도의 과정에서 우회 통화모드 지정에 따른 제1통화 선로로부터 통화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제2통화 선로를 통해 우회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술한 제1도의 구성에 따른 제2도 및 제3도의 수행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제1도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다기능 전화기에서 중앙처리부(14)는 (102)단계에서 키입력부(12)를 통해 키입력이 있는가를 검색한다. (102)단계에서 키입력이 발생하면 (104)단계에서 중앙처리부(14)는 수신된 키입력 신호가 기록모드 지정 키입력 신호인가를 검색한다. 중앙처리부(14)는 수신된 키입력 신호가 기록모드 지정 키입력 신호이면 (106)단계에서 음성처리부(24)로 키입력 요구에 대응하는 음성 출력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음성처리부(24)는 상기 음성 출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 요구 신호를 스위칭 네트워크 회로(28) 및 송수화유이트(26)를 통해 사용자에게 송출한다. 중앙처리부는 (108)단계에서 키입력부(12)를 통해 우회 통화될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키입력 신호가 수신완료 되었는가를 검색한다. 이때 소정시간 경과후 중앙처리부(14)는 키입력 신호가 잘못되거나 수신완료되지 않으면 (106)단계로 루프된다. 키입력 신호 수신이 완료되면 중앙처리부(14)는 (110)단계에서 수신된 키입력 신호를 데이타로 변환하여 메모리로 저장하고 종료한다. 또한, 상기 (104)단계에서 중앙처리부(14)는 수신된 키입력 신호가 기록모드 지정 키입력 신호가 아니면 (112)단계에서 우회 통화모드 지정 키입력 신호인가를 검색한다. 이때 중앙처리부(14)는 상기 키입력 신호가 우회 통화모드 지정 키입력 신호이면 (114)단계에서 통화모드를 우회 통화모드로 지정하고 종료한다. 또한, (112)단계에서 중앙처리부(14)는 키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키입력 신호가 우회 통화모드 지정 키입력 신호가 아니면 상기 신호에 대응되는 기타 처리루틴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중앙처리부(14)는 수신되는 키입력신호가 단축키 키입력 신호이면 단축키 통화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중앙처리부(14)는 상기 (102)단계에서 키입력이 없음을 감지하면 (103)단계에서 통화 요구 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검색한다. 중앙처리부(14)는 통화 요구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102)단계로 루프한다. (103)단계에서 제1내선 통화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중앙처리부(14)는 (204)단계에서 제1내선 통화 선로(CH1)를 통해 인터폰 통화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중앙처리부(14)는 (206)단계에서 우회 통화모드가 지정되었는가를 검색한다. 우회 통화모드가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중앙처리부(14)는 (208)단계에서 제1내선 통화 선로(CH1)와의 인터폰 통화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206)단계에서 우회 통화모드가 지정되어 있으면 중앙처리부는 (210)단계에서 국선 통화 선로가 사용중인가를 검색한다. 이때 국선 통화 선로가 사용중이면 중앙처리부(14)는 (238)단계에서 음성처리부(24)로 통화불가 메세지에 대응하는 음성 출력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음성처리부는 상기 음성 출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응답하는 음성 메세지를 스위칭 네트워크 회로(28)를 통해 제1내선 통화 선로로 송출한다. 또한 중앙처리부(14)는 상기 (210)단계에서 국선통화 선로가 사용중이 아니면 (212)단계에서 메모리(16)로부터 우회 통화할 전화번호 데이타를 읽는다. 중앙처리부(14)는 (214)단계에서 상기 데이타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DTMF 제어신호를 DTMF부(22)로 출력한다. 상기 DTMF부(22)는 수신된 DTMF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DTMF 신호를 스위칭 네트워크 회로(28) 및 국선 인터페이스부(30)를 통하여 국선통화 선로로 송출한다. 중앙처리부(14)는 (216)단계에서 국선 인터페이스부(30) 및 스위칭 네트워크 회로를 통하여 DTMF 신호가 착신되었는가를 검색한다.
상기 (216)단계에서 상기 DTMF 신호가 착신되지 않으면 중앙처리부(14)는 (230) 단계에서 비지(Busy) 톤이 검출되었는가를 검색한다. 이때 비지(Busy) 톤이 검출되지 않으면 중앙처리부(14)는 (234)단계에서 일정시간( : 20초)이 경과했는가를 검색한다. 상기(234)단계에서 일정시간( : 20초)이 경과하면 중앙처리부(14)는 (238)단계에서 음성처리부(24)로 통화불가 메세지에 대응하는 음성 출력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음성처리부는 상기 음성 출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응답하는 음성메세지를 스위칭 네트워크 회로(28)를 통해 제1내선 통화 선로로 송출한다. 중앙처리부(14)는 상기 (234)단계에서 일정시간( : 20초)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216)단계로 루프되어 다시 (216)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230)단계에서 비지(Busy) 톤이 검출되면 중앙처리부(14)는 (232)단계에서 음성처리부(24)로 통화중 메세지에 대응하는 음성 출력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음성처리부(24)는 상기 음성출력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응답하는 음성메세지를 스위칭 네트워크 회로(28)를 통해 제1내선 통화 선로로 송출한다.
또한 상기 (216)단계에서 DTMF 신호가 착신되어 국선 통화로가 형성되면 중앙처리부(14)는 (218)단계에서 국선 통화 선로와 제1내선 통화 선로(CH1)를 접속시키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스위칭 네트워크 회로(28)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 회로(28)는 중앙처리부(14)로부터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국선 통화 선로와 제1내선 통화 선로를 스위칭 접속한다. 상기 국선 통화 선로와 제1내선 통화 선로(CH1)의 접속에 따라 두 통화 선로는 통화로를 형성하며, 두 통화 선로의 가입자가 통화를 하게 된다. 중앙처리부(14)는 (220)단계에서 상기 통화 선로의 통화가 끝났는가를 검색한다. 중앙처리부(14)는 상기 (220)단계에서 통화완료가 검색되면 (222) 단계에서 국선 통화 선로와 제1내선 통화 선로(CH1)의 접속을 절단시키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스위칭 네트워크 회로(28)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 회로(28)는 중앙처리부(14)로부터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국선통화 선로와 제1내선 통화 선로(CH1)의 접속을 절단하고 처리루틴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선 통화 선로를 통해 통화요구신호가 수신되면 국선 통화 선로를 통해 미리 지정한 전화번호를 갖는 전화기와 통화로를 형성하고 내선통화 선로와 국선 통화 선로를 접속시켜, 사용자의 부재시에도 이동장소의 전화기를 통해 내선 호출자와 우회 통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적어도 둘 이상의 통화 선로를 구비하며 상기 통화 선로들을 선택적 접속하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화기의 통화 방법에 있어서, 중앙처리부가 키입력부로부터 키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기록모드 및 우회 통화모드를 선택 지정하는 모드 선택 과정과, 상기 중앙처리부가 기록모드 지정시 키입력부로부터 우회 통화 접속할 전화번호의 키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를 전화번호 데이타로 변환하여 메모리에 기록하는 기록과정과, 상기 중앙처리부가 우회 통화모드 지정시 링검출부를 통하여 제1통화 선로로부터 통화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전화번호 데이타를 읽어 이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제2통화 선로로 송출하며, 상기 송출된 DTMF 신호의 착신상태를 검색하고, 착신시 내부 접속 회로를 통해 제1통화 선로와 제2통화 선로를 접속하며 통화 종료시 내부 접속 회로를 통해 제1통화 선로와 제2통화 선로의 접속을 절단하며, 착신이 되지 않을시 제1통화 선로로 통화 불가능 신호를 송출하는 우회 통화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회 통화 방법.
KR1019930006207A 1993-04-14 1993-04-14 다수의 통화 회선을 갖는 전화기의 우회 통화 방법 KR960002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207A KR960002156B1 (ko) 1993-04-14 1993-04-14 다수의 통화 회선을 갖는 전화기의 우회 통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207A KR960002156B1 (ko) 1993-04-14 1993-04-14 다수의 통화 회선을 갖는 전화기의 우회 통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235A KR940025235A (ko) 1994-11-19
KR960002156B1 true KR960002156B1 (ko) 1996-02-13

Family

ID=19353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207A KR960002156B1 (ko) 1993-04-14 1993-04-14 다수의 통화 회선을 갖는 전화기의 우회 통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1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235A (ko) 199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35513B2 (ja) セル式モ−ビル電話通信システム
KR960002156B1 (ko) 다수의 통화 회선을 갖는 전화기의 우회 통화 방법
JP2806702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装置
US4996708A (en) Key telephone system adapted to respond to information stored in a portable outpulser
KR100194465B1 (ko) 중계대를 이용한 국선전환 방법
KR100223376B1 (ko) 사설교환기에서 착신측 상태 음성안내방법
JP3529283B2 (ja) 回線選択装置
JPS6128268A (ja) 端末自動選択装置
JP2748466B2 (ja) オーダーワイヤ装置を備えた通信方式
KR19980082968A (ko) 자동 연속 호출 방법
KR900007281B1 (ko)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의 전용회선 자동 우회방법
KR100206304B1 (ko) 내부 호 처리가 가능한 원격가입자 수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00005159B1 (ko) 시간예약 자동 다이얼링 방법
JP3308067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312184B1 (ko) 간이교환시스템에서의팩스데이터수신방법
KR950004413B1 (ko)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간의 상호 가입자 호출방법
KR100297288B1 (ko) 교환시스템의국선군기능제어방법
KR0128240B1 (ko) 가정자동화 시스템에 연결된 자동응답 전화기 작동방법
KR960028003A (ko) 전화기의 전화번호 음성 서어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0273023B1 (ko) 무선전화기의 선택 착신 제어방법
KR20000037646A (ko) 폰북을 이용한 인터넷폰 스플리터
JPS5927655A (ja) 電話機
KR100293560B1 (ko) 교환시스템에서가입자단말기를이용한가입자전화번호검색방법
KR100255323B1 (ko) 사설교환기에 접속된 음성우편장치의 팩스 자동전환방법
KR100617694B1 (ko) 국선자동 착신기능을 이용한 국선 발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