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016A - 듀얼 모드 댐퍼 풀리 - Google Patents

듀얼 모드 댐퍼 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016A
KR19990032016A KR1019970052933A KR19970052933A KR19990032016A KR 19990032016 A KR19990032016 A KR 19990032016A KR 1019970052933 A KR1019970052933 A KR 1019970052933A KR 19970052933 A KR19970052933 A KR 19970052933A KR 19990032016 A KR19990032016 A KR 19990032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crank
bending
leaf spring
damper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윤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52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2016A/ko
Publication of KR19990032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016A/ko

Links

Landscapes

  • Pulle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랭크 축의 회전력을 워터 펌프나 에어컨 컴프레서에 전해주는 댐퍼 풀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크랭크 허브의 내측에 예각으로 절곡된 판 스프링과 일정 정도의 무게를 갖는 벤딩 매스를 설치함으로써 크랭크 축에서 발생되는 굽힘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한 듀얼 모드(DUAL MODE) 댐퍼 풀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크랭크 축의 선단에 고정된 크랭크 허브와, 상기 크랭크 허브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크랭크 축의 비틀림 진동을 감쇠시키는 동시에 벨트가 장착되는 토션 댐퍼고무 및 토션 매스풀리가 포함된 댐퍼 풀리에 있어서, 예각으로 절곡되어 외측판(72a)은 상기 크랭크 허브(63)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내측판(72b)은 경사지게 위치되어 내외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환형의 판 스프링(72)과, 상기 판 스프링(72)의 내측판(72b)에 고정되고 일정 정도의 무게를 갖는 벤딩 링(74)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듀얼 모드 댐퍼 풀리
본 발명은 크랭크 축의 회전력을 워터 펌프나 에어컨 컴프레서에 전해주는 댐퍼 풀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크랭크 허브의 내측에 예각으로 절곡된 판 스프링과 일정 정도의 무게를 갖는 벤딩 링을 설치함으로써 크랭크 축에서 발생되는 굽힘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한 듀얼 모드(DUAL MODE) 댐퍼 풀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에 구비되는 크랭크 축(1)에는 주기적으로 회전력이 작용하므로 비틀림 진동 및 굽힘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 비틀림 진동 및 굽힘 진동은 각 실린더의 크랭크 회전력이 클수록, 크랭크 축(1)이 길수록, 또는 강성이 작을수록 커진다.
상기와 같은 비틀림 진동 및 굽힘 진동은 크랭크 축(1)이 일정 이상의 회전수가 되면 축 자체의 고유 진동과 공진을 일으키고, 특히 크랭크 축(1)에 격심한 진동이 발생되면 엔진 및 자체를 전달되어 승차감을 나쁘게 할뿐만 아니라 타이밍 기어나 크랭크 축(1)을 파손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가능한 한 방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토셔널 바이브레이션 댐퍼와 벤딩 바이브레이션 댐퍼라는 비틀림 진동 및 굽힘 진동 감쇠 장치를 크랭크 축(1) 전단의 크랭크 풀리(2)와 조합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이를 듀얼 모드 댐퍼 풀리라고 한다.
여기서, 종래의 듀얼 모드 댐퍼 풀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 축(1)에 외삽되어 설치되는 크랭크 허브(3)와, 상기 크랭크 허브(3)의 외주면에 위치되어 타이밍 벨트가 결합되는 토셔널 바이브레이션 매스 풀리(4)(이하 '토션 매스풀리'라 함)와, 상기 토션 매스풀리(4)와 크랭크 허브(3) 사이에 압입되어 비틀림 진동을 감쇠시키는 토션 댐퍼고무(5)와, 상기 크랭크 허브(3)의 내주홈에 장착되는 벤딩 바이브레이션 매스(6)(이하 '벤딩 매스'라 함)와, 상기 크랭크 허브(3)와 벤딩 매스(6) 사이에 설치되어 크랭크 축(1)의 굽힘 진동을 감쇠시키는 벤딩 댐퍼고무(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듀얼 모드 댐퍼 풀리는 상기 크랭크 축(1)에 발생되는 비틀림 진동은 주로 상기 크랭크 허브(3)와 토션 매스풀리(4) 사이에 설치된 상기 토션 댐퍼고무(5)가 상쇄시키게 되고, 크랭크 축(1)의 굽힘 진동은 상기 크랭크 허브(3) 측면과 벤딩 매스(6) 사이에 설치된 상기 벤딩 댐퍼고무(7)가 감쇠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크랭크 축(1)이 일정한 회전 속도를 유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 토션 매스풀리(4)가 상기 크랭크 축(1)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 축(1)이 회전 방향에 대해서 정 또는 부의 큰 가속도로 회전하여 크랭크 축(1)에 비틀림 진동이 발생하였을 때에도 상기 토션 매스풀리(4)는 그대로 일정 속도로 회전을 계속하려 하기 때문에 상기 토션 댐퍼고무(5)가 회전방향으로 변형됨으로써 비틀림 진동에 대하여 감쇠 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벤딩 매스(6)도 상기 크랭크 축(1)과 일체로 회전하는데, 에어컨 컴프레서 등을 작동시키는 순간에 큰 굽힘 하중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벤딩 매스(6)는 일정 속도로 계속 회전하려하므로 상기 벤딩 댐퍼고무(7)가 회전방향 및 축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이를 감쇠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듀얼 모드 댐퍼 풀리는 벤딩 메스(6)와 크랭크 허브(3) 사이에 삽입되는 벤딩 댐퍼고무(7)가 고무재로 이루어져 굽힘 하중을 감쇠시키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벤딩 댐퍼고무(7)의 열화 및 노화로 초기 장착시의 주파수 특성을 갖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크랭크 축(1)의 굽힘 진동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크랭크 풀리의 내측에 판 스프링 및 벤딩 링을 설치하여 크랭크 축의 굽힘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초기 설정된 주파수가 오랫동안 유지되어 크랭크 축의 굽힘 진동의 저감 효과가 장시간 유지되도록 한 듀얼 모드 댐퍼 풀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듀얼 모드 댐퍼 풀리는, 크랭크 축의 선단에 고정된 크랭크 허브와, 상기 크랭크 허브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크랭크 축의 비틀림 진동을 감쇠시키는 동시에 벨트가 장착되는 토션 댐퍼고무 및 토션 매스풀리가 포함된 댐퍼 풀리에 있어서, 예각으로 절곡되어 외측판은 상기 크랭크 허브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내측판은 경사지게 위치되어 내외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환형의 판 스프링과, 상기 판 스프링의 내측판에 고정되고 일정 정도의 무게를 갖는 벤딩 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댐퍼 풀리가 구비된 크랭크 축의 주요부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듀얼 모드 댐퍼 풀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댐퍼 풀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는 측단면도,
도 3b는 상기 도 3a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크랭크 축 60 : 댐퍼 풀리
63 : 크랭크 허브 64 : 토션 매스풀리
65 : 토션 댐퍼고무 72 : 판 스프링
72a : 외측판 72b : 내측판
74 : 벤딩 링 74a : 경사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모드 댐퍼 풀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 축(50)의 선단에 고정되고 내주홈이 형성된 크랭크 허브(63)와, 상기 크랭크 허브(63)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벨트가 걸어지는 토션 매스풀리(64)와, 상기 크랭크 허브(63)와 토션 매스풀리(64) 사이에 압입되어 크랭크 축(50)의 비틀림 진동을 감쇠시키는 토션 댐퍼고무(65)와, 중간부분이 예각으로 절곡되어 외측판(72a)은 상기 크랭크 허브(63)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내측판(72b)은 경사지게 위치되어 내외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환형의 판 스프링(72)과, 상기 판 스프링(72)의 내측판(72b)에 고정되고 일정 정도의 무게를 갖는 벤딩 링(74)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댐퍼 풀리(60)의 벤딩 링(74)은 그 외주면이 상기 판 스프링(72)의 내측판(72b)이 갖는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면(74a)으로 형성되어 상기 판 스프링(72)에 용접 방식으로 고정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댐퍼 풀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 풀리(60)가 장착된 크랭크 축(50)에 발생되는 비틀림 진동은 주로 상기 크랭크 허브(63)와 토션 매스풀리(64) 사이에 설치된 토션 댐퍼고무(65)가 상쇄시키게 되고, 크랭크 축(50)의 굽힘 진동은 상기 크랭크 허브(63)의 내측에 설치된 판 스프링(72) 및 벤딩 링(74)이 감쇠시키게 된다.
즉, 상기 크랭크 축(50)이 일정한 회전 속도를 유지하고 있을 때는 상기 토션 매스풀리(64)가 상기 크랭크 축(50)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게 되고, 크랭크 축(50)에 비틀림 진동이 발생하였을 때에도 상기 토션 매스풀리(64)는 그대로 일정 속도로 회전을 계속하려 하기 때문에 상기 토션 댐퍼고무(65)가 회전방향으로 변형됨으로써 비틀림 진동에 대하여 감쇠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에어컨 컴프레서 등을 작동시켜 순간적으로 크랭크 축(50)에 큰 굽힘 하중이 발생되면 상기 판 스프링(72)과 벤딩 링(74)도 크랭크 허브(63)의 내측에서 일정 속도로 계속 회전되면서 크랭크 축(50)의 상하 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상쇄하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 축(50)의 굽힘 하중에 대한 진동은 최소하게 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판 스프링(72)은 예각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외측판(72a)이 크랭크 허브(63)에 고정되는 반면 내측판(72b)은 벤딩 링(74)과 함께 내외 방향으로 일정한 주파수 특성을 갖기 때문에 초기 장착시의 주파수 특성이 오랜 시간동안 유지되어 크랭크 축(50)의 굽힘 하중에 대한 진동 감쇠 효과가 장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듀얼 모드 댐퍼 풀리는 예각으로 절곡된 판 스프링(72)과 벤딩 링(74)이 크랭크 허브(63) 내측에 설치되어 크랭크 축(50)의 굽힘 하중을 저감시키기 때문에 고무재를 사용하지 않아 열화되거나 노화되지 않고, 초기 셋팅시의 주파수 특성이 장시간 유지되어 크랭크 축(50)의 굽힘 하중에 대한 감쇠효과가 상승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크랭크 축의 선단에 고정된 크랭크 허브와, 상기 크랭크 허브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크랭크 축의 비틀림 진동을 감쇠시키는 동시에 벨트가 장착되는 토션 댐퍼고무 및 토션 매스풀리가 포함된 댐퍼 풀리에 있어서,
    예각으로 절곡되어 외측판은 상기 크랭크 허브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내측판은 경사지게 위치되어 내외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환형의 판 스프링과, 상기 판 스프링의 내측판에 고정되고 일정 정도의 무게를 갖는 벤딩 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댐퍼 풀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링은 상기 판 스프링에 용접 방식으로 고정되어 일체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댐퍼 풀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링은 그 외주면이 상기 판 스프링의 내측판이 갖는 경사각과 동일 각의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댐퍼 풀리.
KR1019970052933A 1997-10-15 1997-10-15 듀얼 모드 댐퍼 풀리 KR19990032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933A KR19990032016A (ko) 1997-10-15 1997-10-15 듀얼 모드 댐퍼 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933A KR19990032016A (ko) 1997-10-15 1997-10-15 듀얼 모드 댐퍼 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016A true KR19990032016A (ko) 1999-05-06

Family

ID=66042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933A KR19990032016A (ko) 1997-10-15 1997-10-15 듀얼 모드 댐퍼 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20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593A (ko) * 2001-09-29 2003-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토셔널댐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593A (ko) * 2001-09-29 2003-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토셔널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479B1 (ko) 자동차 트랜스미션용 진자 댐핑 장치
JPH09504353A (ja) 捩り振動減衰装置
US20040226393A1 (en) Crankshaft having a damper
JP4136940B2 (ja) シャフトダンパー
US5409423A (en) Belt pulley
AU2003212807A1 (en) Shaft damper
KR20070057058A (ko) 이중 감쇠 플라이휠
US6612279B2 (en) Vibration reduc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9990032016A (ko) 듀얼 모드 댐퍼 풀리
JP6513512B2 (ja) 回転変動吸収ダンパ
KR19990032011A (ko) 크랭크 축의 댐퍼 풀리
JP2006090528A (ja) 回転軸用制振装置
JPH0231626Y2 (ko)
JPH11351247A (ja) プロペラシャフトの防振構造
KR19990032014A (ko) 듀얼 모드 댐퍼 풀리
KR19990032015A (ko) 트리플 모드 댐퍼 풀리
KR20070029348A (ko) 댐퍼풀리
KR19980026457A (ko) 듀얼 모드(dual mode) 댐퍼 풀리
JP7390966B2 (ja) 曲げダンパ付きトーショナルダンパ
JPH0531303Y2 (ko)
KR200267231Y1 (ko) 자동차용 댐퍼풀리
KR100235644B1 (ko) 크랭크 샤프트의 진동댐퍼 풀리
JPH0231622Y2 (ko)
KR20030030701A (ko) 댐퍼풀리
KR19990035136A (ko) 내연기관용 댐퍼 플라이 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