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014U -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 - Google Patents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014U
KR19990032014U KR2019970044763U KR19970044763U KR19990032014U KR 19990032014 U KR19990032014 U KR 19990032014U KR 2019970044763 U KR2019970044763 U KR 2019970044763U KR 19970044763 U KR19970044763 U KR 19970044763U KR 19990032014 U KR19990032014 U KR 199900320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input shaft
inclined groove
ball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치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4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2014U/ko
Publication of KR199900320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014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플라이 휠과 압력판 사이에서 접촉 및 이격되는 클러치 판과, 변속기 입력축에 스플라인 결합된 스플라인 허브가 구비된 클러치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 허브(64)는 상기 변속기 입력축(52)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어 그 내주면에 볼(72) 및 스프링(74)으로 이루어진 디스크 이격수단(70)이 설치되고, 상기 변속기 입력축(52)에는 상기 디스크 이격수단(70)의 볼(72)이 밀착되는 경사홈(52a)이 형성되어, 동력 차단시 클러치 디스크(60)가 플라이 휠(50)로부터 완전히 이격되도록 상기 스플라인 허브(64) 및 디스크 이격수단(70)이 경사홈(52a)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클러치 디스크의 조기 마모가 방지되고 동기 장치의 손상이 방지됨은 물론 변속 조작이 용이해지도록 한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
본 고안은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력 차단이 클러치 디스크가 플라이 휠과 압력판 사이에서 완전히 이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클러치 디스크의 조기 마모가 방지되고 변속 조작이 용이해지도록 한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이 휠(1)과 변속기의 입력축(2)사이에 설치되어 변속기로 전달되는 기관의 동력을 필요에 따라 단속하는 일을 하며 기관을 시동할 때 또는 변속기의 기어를 변속할 때에는 기관과의 연결을 끊고, 발진할 때에는 기관의 동력을 서서히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클러치 구조를 살펴보면, 클러치 페달의 조작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11)와, 상기 푸시 로드(11)의 이동량에 따라 풀크럼(16)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릴리이즈 포오크(12)와, 상기 릴리이즈 포크(12)의 회동에 따라 변속기 입력축(2)의 외주측에서 상기 푸시 로드(11)와는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릴리이즈 베어링(13)과, 상기 릴리이즈 베어링(13)에서 압력판(15)의 후미에 연결되어 상기 릴리이즈 베어링(13)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압력판(15)을 이동시키는 릴리이즈 레버(14)와, 상기 릴리이즈 레버(14)의 작동에 따라 클러치 디스크(20)를 플라이 휠(1)에 접속 또는 이격시키는 압력판(15) 등이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클러치 디스크(20)는 플라이 휠(1)과 압력판(15)이 접촉될 클러치 페이싱(21)이 클러치 판(22)에 리벳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 판(22)은 댐퍼 스프링(23)을 통해 스플라인 허브(24)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플라인 허브(24)는 변속기 입력축(2)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는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으면 푸시 로드(11)가 릴리이즈 포크(12)를 일측 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 릴리이즈 포크(12)는 풀크럼(16)을 지지점으로 하여 타측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릴리이즈 베어링(13)을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릴리이즈 베어링(13)이 릴리이즈 레버(14)를 통해 압력판(15)을 푸시 로드(1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클러치 디스크(20)가 플라이 휠(1)로부터 이격되면서 엔진의 동력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 디스크(20)는 엔진의 동력을 차단하기 위해 클러치 페달을 밟으면 플라이 휠(1)과 압력판(15) 사이에서 완전히 이격되어야 정상적인 작동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는 엔진의 동력을 차단하기 위해 압력판(15)이 이격되어도 클러치 디스크(20)는 플라이 휠(1)로부터 완전히 이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기 때문에 동력 차단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클러치 디스크(20)의 클러치 페이싱(21)이 플라이 휠(1)에 접촉되어 조기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클러치 디스크의 스플라인 허브와 입력축 사이에 디스크 이격수단과 경사홈을 구비하여 클러치 디스크의 이격이 확실하게 이루지게 함으로써 디스크의 조기 마모를 방지함은 물론 변속 조작이 용이해지도록 한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는, 플라이 휠과 압력판 사이에서 접촉 및 이격되는 클러치 판과, 변속기 입력축에 스플라인 결합된 스플라인 허브가 구비된 클러치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 허브는 상기 변속기 입력축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어 그 내주면에 볼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디스크 이격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변속기 입력축에는 상기 디스크 이격수단의 볼이 밀착되는 경사홈이 형성되어, 동력 차단시 클러치 디스크가 플라이 휠로부터 완전히 이격되도록 상기 스플라인 허브 및 디스크 이격수단이 경사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및 클러치 디스크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가 도시된 구성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플라이 휠 52 : 변속기 입력축
52a : 경사홈 55 : 압력판
60 : 클러치 디스크 61 : 클러치 페이싱
62 : 클러치 판 63 : 댐퍼 스프링
64 : 클러치 허브 64a : 장착홀
70 : 디스크 이격수단 72 : 볼
74 : 스프링 76 : 볼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에 클러치 페이싱(61)이 부착되고 플라이 휠(50)과 압력판(55) 사이에서 접촉 및 이격되는 클러치 판(62)과, 상기 클러치 판(62)과 댐퍼 스프링(63)을 통해 연결되는 동시에 변속기 입력축(52)에 축방향 이동 가능토록 스플라인 결합된 스플라인 허브(64)와, 상기 스플라인 허브(64)의 내주면에 장치되고 볼(72) 및 스프링(74)으로 이루어진 디스크 이격수단(7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변속기 입력축(52)에는 상기 디스크 이격수단(70)의 볼(72)이 밀착되는 경사홈(52a)이 형성되어 동력 차단시 클러치 디스크(60)가 플라이 휠(50)로부터 완전히 이격되도록 상기 스플라인 허브(64) 및 디스크 이격수단(70)이 상기 경사홈(52a)을 따라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 이격수단(70)은 상기 스플라인 허브(64)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장착홀(64a)과, 상기 장착홀(64a)의 내재되어 상기 변속기 입력축(52)의 경사홈(52a)에 접촉되는 볼(72)과, 상기 볼(72)을 경사홈(52a) 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74)과, 상기 스프링(74)을 지지하는 볼트(7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사홈(52a)은 변속기 쪽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게 형성되어 동력 차단시 클러치 디스크(60)가 이격 위치에 오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는 동력 전달 상태에서는 클러치 디스크(60)가 플라이 휠(50)과 압력판(55)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 디스크(60)의 스플라인 허브(64)도 변속기 입력축(52)을 따라 플라이 휠(5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디스크 이격수단(70)의 볼(72)도 경사홈(52a)의 전방측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클러치 페달을 밟아 동력을 차단시키고자 하면, 압력판(55)이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클러치 디스크(60)도 플라이 휠(50)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때, 스플라인 허브(64)에 장치된 디스크 이격수단(70)의 볼(72)이 스프링(74)의 장력에 의해 경사홈(52a)을 따라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동시에 스플라인 허브(64)를 포함한 클러치 디스크(60)도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디스크 이격수단(70)의 볼(72)이 경사홈(52a)의 가장 깊은 곳까지 이동하면 이 위치가 바로 플라이 휠(50)로부터 클러치 디스크(60)가 완전히 이격된 정위치가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는 동력 차단시 볼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디스크 이격수단 및 경사홈에 의해 플라이 휠로부터 완전히 이격되기 때문에 동력 차단 효율이 향상되어 변속 조작이 확실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변속기에 구비된 동기 장치의 손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클러치 디스크가 플라이 휠에 미끌리듯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클러치 페이싱의 마모도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도 있다.

Claims (3)

  1. 플라이 휠과 압력판 사이에서 접촉 및 이격되는 클러치 판과, 변속기 입력축에 스플라인 결합된 스플라인 허브가 구비된 클러치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 허브는 상기 변속기 입력축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어 그 내주면에 볼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디스크 이격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변속기 입력축에는 상기 디스크 이격수단의 볼이 밀착되는 경사홈이 형성되어, 동력 차단시 클러치 디스크가 플라이 휠로부터 완전히 이격되도록 상기 스플라인 허브 및 디스크 이격수단이 경사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이격수단은 상기 스플라인 허브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장착홀과, 상기 장착홀의 내재되어 상기 변속기 입력축의 경사홈에 접촉되는 볼과, 상기 볼을 경사홈 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홈은 변속기 쪽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
KR2019970044763U 1997-12-31 1997-12-31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 KR199900320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763U KR19990032014U (ko) 1997-12-31 1997-12-31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763U KR19990032014U (ko) 1997-12-31 1997-12-31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014U true KR19990032014U (ko) 1999-07-26

Family

ID=6968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763U KR19990032014U (ko) 1997-12-31 1997-12-31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201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602A (ko) * 2001-12-11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용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CN107816494A (zh) * 2017-11-28 2018-03-20 浙江日发纺织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凸轮式离合器机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602A (ko) * 2001-12-11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용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CN107816494A (zh) * 2017-11-28 2018-03-20 浙江日发纺织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凸轮式离合器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1162B2 (ja) 多板クラッチ構造
US4778039A (en) Friction clutch having premounted release bearing and premounted release mechanism
KR19990032014U (ko) 수동 변속기의 클러치 디스크
KR200236366Y1 (ko) 자동차용클러치의충격방지장치
KR100580845B1 (ko) 수동변속기용 클러치
KR870004009Y1 (ko) 주행작업차의 사이드 브레이크장치
KR100520735B1 (ko) 수동 변속기의 동기 장치
KR20020052286A (ko) 클러치 리테이너구조
KR200297310Y1 (ko) 수동변속기용클러치구조
KR200191955Y1 (ko) 수동변속기용 클러치 구조
KR100387516B1 (ko) 듀얼 클러치
JPH09177818A (ja) 車両用クラッチ
KR200285111Y1 (ko) 클러치의 소음 저감 구조
KR100428106B1 (ko) 자동차용 클러치의 슬립방지장치
KR200152238Y1 (ko) 차량의 클러치 페달 진동감소 구조
KR200191954Y1 (ko) 수동변속기용 클러치 구조
JP2691343B2 (ja) ハブ・クラッチ
KR101684774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클러치
JPS6212116Y2 (ko)
KR100241176B1 (ko) 차량용 클러치 릴리즈시스템
KR200159145Y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 동기장치
KR960015687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동기치합장치
JP2008025747A (ja) クラッチ装置
KR960004983B1 (ko) 자동차용 자동 클러치
KR19980042017U (ko) 동기장치의 변속감 향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