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912A -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912A
KR19990031912A KR1019970052812A KR19970052812A KR19990031912A KR 19990031912 A KR19990031912 A KR 19990031912A KR 1019970052812 A KR1019970052812 A KR 1019970052812A KR 19970052812 A KR19970052812 A KR 19970052812A KR 19990031912 A KR19990031912 A KR 19990031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command
data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0237B1 (ko
Inventor
윌리암 손
Original Assignee
윌리암 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암 손 filed Critical 윌리암 손
Priority to KR1019970052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0237B1/ko
Priority to US09/108,570 priority patent/US20010011302A1/en
Publication of KR19990031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2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 장치에 음성 인식 기능이 첨부된 음성 명령어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위한 명령어(command)를 입력하고, 인터넷으로부터 전송되는 인터넷 데이터 정보를 표시창뿐만 아니라 음성 합성을 통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성으로도 인터넷과의 대화식 정보 전송을 가능케 하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키 패드(key pad)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은 외부 명령어 입력 장치와 음성 인식을 위한 음성 인터페이스를 휴대 단말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어를 데이터뿐만 아니라 음성으로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으로부터 전송되는 인터넷 데이터 정보를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고, 추후 사용할 목적으로 정보를 저장하며, 데이터 형태의 정보를 음성 합성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휴대 단말 장치와 인터넷간에 데이터 및 음성 대화식 정보 전송을 가능케 하며, 휴대 단말 장치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 장치에 음성 인식 기능이 첨부된 외부 명령어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명령어(command)를 입력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게이트웨이(gateway)로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 웨이에서는 각 명령어의 해당 결과(response)를 무선을 통해 휴대폰에게 전송함으로써 음성으로도 인터넷과의 대화식 정보 전송을 가능케 하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1960년대 이후 군통신과 같은 특수한 목적으로 시작된 인터넷(internet)은 요즘에 와서는 금융, 학교, 산업체 등의 모든 분야에서 반드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호간을 연결하는 통신 수단이 되었다. 그리고, 요금이 비싼 국제 전화를 대신하여 국가간의 전화도 인터넷을 이용하는 인터넷 폰까지 상용화되고 있으며, 현재 더욱 빠르고 다양한 서비스를 위해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정보에 접근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후, 현재 북미 지역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장치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 구성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장치를 위한 네트워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패드나 터치 스크린과 같은 외부 명령어 입력 장치를 장착하여 명령어를 입력받고, 데이터 서비스에 적합한 형태의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100)와, 상기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입력받아 명령어로 복조하는 기지국 장치(200)와, 명령어를 전송한 상기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100)의 ID(IDentity) 번호와 함께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무선 네트워크(210)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210)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에 의한 신호를 입력받아 인터넷 접속에 접합한 TCP/IP나 HDTP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게이트웨이부(220)와, 상기 게이트웨이부(220)로부터 명령어에 해당되는 동작을 위해 타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주선하는 인터넷(230)과, 상기 인터넷(230)으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아 웹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버(240)와, 상기 인터넷(230)으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아 타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이동 ISP(250)와, 상기 이동 ISP(250)을 통해 상기 인터넷(230)과 연결된 인트라넷(260)과, 상기 인트라넷(260)에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부(270)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연결 및 원하는 정보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하고, 이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210)와 상기 게이트웨이부(220)간의 프로토콜에 적합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명령어 처리부(110)와, 상기 명령어 처리부(110)로부터 명령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레임(frame)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기지국 장치(200)에서 전송된 프레임을 해석하여 상기 인터넷(4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형태로 변화시키는 데이터 신호 처리부(120)와,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전송할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기지국 장치(200)에서 지원하는 형태의 RF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RF 신호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프레임 형태의 데이터로 복조하는 무선 신호 처리부(130)와,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인터넷(4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 처리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명령어 처리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연결 및 원하는 정보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받는 명령어 입력부(111)와, 상기 명령어 입력부(111)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아 상기 무선 네트워크(210)와 상기 게이트웨이부(220)간의 프로토콜에 적합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120)로 출력하는 명령어 변환부(112)로 구성된다.
상기 정보 처리부(140)는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상기 인터넷(23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표시부(141)와, 상기 데이터를 입력받아 추후 표시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42)와, 상기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정보 표시부(141)와 상기 정보 저장부(142)를 제어하는 정보 처리 제어부(143)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장치의 동작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키 패드나 터치 스크린과 같은 외부 명령어 입력 장치를 통해 명령어를 입력하고, 이 명령어는 상기 명령어 처리부(110)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입력된 명령어는 상기 명령어 입력부(111)에서 인터넷에 사용되는 명령어로 변환되고, 이 명령어를 입력받은 상기 명령어 변환부(112)에서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210)와 상기 게이트웨이부(220)간의 프로토콜에 적합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120)에서는 이상과 같이 변환된 명령어를 무선 채널에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채널 부호화 과정과 인터리빙(interleaving) 과정과 같은 데이터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전송할 단위별로 프레임을 구상하여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130)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130)에서는 대역 확산이나 변조 등을 통해 무선 채널에 전송할 수 있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 장치(200)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 장치(200)에서는 상기와 같이 상기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120)에서 전송된 형태의 신호를 재생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210)로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210)에서는 무선망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HDML)로 변환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부(220)로 출력하고, 이를 입력받은 상기 게이트웨이부(220)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TCP/IP 형태로 변환하고, 또한 상기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100)의 ID 번호를 이용하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발생시켜 인터넷에 접속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웹 정보를 원하는 명령어를 입력한 경우에는 상기 인터넷(230)에서 상기 웹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토콜인 HTML을 이용하여 상기 웹 서버(240)에 접속하고, 사용자가 타 네트워크에 있는 정보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한 경우에는 상기 인터넷(230)에서 TCP/IP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ISP(250)를 통해 상기 인트라넷(260)에 접속하고, 이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270)에 저장된 정보를 획득한다.
반면, 상기 인터넷(230)에서 상기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100)로의 정보 전송도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인터넷(230)에서는 상기 웹 서버(240)나 상기 인트라넷(260)에서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게이트웨이부(220)로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인터넷(230)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은 상기 게이트웨이부(230)는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해당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100)의 ID 번호로 상기의 정보를 상기 HDM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210)에 출력한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21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기지국 장치(200)를 통해 상기 무선 인터넷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에 따른 인터넷 정보를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130)에서는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프레임 형태의 데이터를 복구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120)로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120)에서는 채널 복호화 과정과 디인터리빙 과정을 통해 인터넷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부(140)로 출력한다. 상기 인터넷 정보는 상기 정보 처리 제어부(143)의 제어 과정을 통해 상기 정보 표시부(141)에 표시되고, 상기 정보 저장부(142)에 저장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외부 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키 패드나 터치 스크린과 같이 별도의 외부 명령어 입력 장치를 내장하여야 하며, 또한 사용자가 이동 중이거나 혼잡한 지역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명령어를 입력하거나 혹은 인터넷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 단말 장치에 음성 인식 기능이 첨부된 음성 명령어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위한 명령어(command)를 입력하고, 인터넷으로부터 전송되는 인터넷 데이터 정보를 표시창뿐만 아니라 음성 합성을 통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성으로도 인터넷과의 대화식 정보 전송을 가능케 하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인터넷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인터넷 접속을 위한 휴대 단말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을 위한 휴대 단말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단말 장치 150: 명령어 제어부
151: 음성 인터페이스부 152: 명령어 입력부
153: 음성 인식부 154: 명령어 변환부
155: 프로토콜 변환부 160: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
161: 데이터 신호 처리부 162: 음성 처리부
163: 무선 신호 처리부 164: 음성 출력부
170: 정보 처리부 171: 정보 처리 제어부
172: 정보 표시부 173: 음성 합성부
174: 정보 저장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키 패드(key pad)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은 외부 명령어 입력 장치와 음성 인식을 위한 음성 인터페이스를 휴대 단말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어를 데이터뿐만 아니라 음성으로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으로부터 전송되는 인터넷 데이터 정보를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고, 추후 사용할 목적으로 정보를 저장하며, 데이터 형태의 정보를 음성 합성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휴대 단말 장치와 인터넷간에 데이터 및 음성 대화식 정보 전송을 가능케 하며, 휴대 단말 장치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장치를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성이나 외부 명령어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연결 및 원하는 정보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하고, 이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210)와 상기 게이트웨이부(220)간의 프로토콜에 적합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명령어 제어부(150)와, 상기 명령어 제어부(150)로부터 명령어에 해당되는 데이터나 음성 서비스 지원을 위해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기지국 장치(200)에서 지원하는 형태의 RF 신호로 변화시키고, 상기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RF 신호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60)와,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60)로부터 인터넷 정보를 입력받아 표시 및 저장하며, 데이터 형태로 입력된 인터넷 정보를 음성 합성을 통해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60)로 출력하는 정보 처리부(170)로 구성된다.
상기 명령어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연결 및 원하는 정보에 대해 음성으로 발생된 명령어와 통화를 위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인터넷 정보를 위한 음성 신호를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60)로 출력하는 음성 인터페이스부(151)와, 사용자로부터 인터넷 정보에 대한 명령어를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명령어 입력부(152)와, 상기 음성 인터페이스부(151)로부터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부(153)와, 상기 음성 인식부(153)로부터 텍스트 형태의 신호를 입력받아 인터넷에 사용되는 명령어로 변환하는 명령어 변환부(154)와, 상기 명령어 변환부(154)로부터 출력되는 명령어나 상기 명령어 입력부(152)로부터 출력되는 명령어를 입력받아 상기 무선 네트워크(210)와 상기 게이트웨이부(220)간의 프로토콜에 적합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60)로 출력하는 프로토콜 변환부(155)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60)는 상기 명령어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되는 인터넷 명령어를 입력받아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레임 형태로 변환시키고, 상기 기지국 장치(200)에서 전송된 프레임을 해석하여 상기 인터넷(23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형태로 변화시키는 데이터 신호 처리부(161)와, 상기 명령어 제어부(150)로부터 음성 통화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 전송을 위한 프레임 형태로 변환시키고, 상기 기지국 장치(200)에서 수신된 프레임 형태의 음성 통화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처리부(162)와,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161) 및 상기 음성 처리부(162)에서 출력되는 전송할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기지국 장치(200)에서 지원하는 형태의 RF 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RF 신호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프레임 형태의 데이터로 복조하는 무선 신호 처리부(163)와, 상기 음성 처리부(162)로부터 음성 통화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 처리부(170)로부터 음성 합성된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164)로 구성된다.
상기 정보 처리부(170)는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161)로부터 인터넷에서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정보 처리부(170)를 제어하는 정보 처리 제어부(171)와,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161)로부터 인터넷에서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 처리 제어부(171)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표시부(172)와,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161)로부터 인터넷에서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 처리 제어부(171)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를 음성 합성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164)로 출력하는 음성 합성부(173)와, 상기 정보 처리 제어부(171)로부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161)로부터 인터넷에서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아 추후 사용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74)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장치의 동작을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상기 명령어 입력부(152)에 키 패드나 펜 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외부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음성으로 명령어를 입력할 수도 있는데, 마이크로폰에 명령어를 발성하여 상기 음성 인터페이스부(151)에 입력하고, 이를 입력받은 상기 음성 인터페이스부(151)에서는 인터넷 명령어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와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A/D 변환한 후, 인터넷 명령어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는 상기 음성 인식부(153)에 출력하고,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신호는 상기 음성 처리부(162)로 출력된다.
상기 음성 인식부(153)에서는 상기 음성 인터페이스부(151)로부터 인터넷 명령어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명령어 변환부(154)에서는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인터넷에 사용되는 명령어로 변환시킨다. 이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155)에서는 상기와 같이 음성을 인터넷 명령어로 변환한 신호를 입력받고, 외부로부터 상기 명령어 입력부(152)로부터 인터넷 명령어를 입력받아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인터넷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60)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60)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외부 입력 명령어를 입력받고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신호를 음성 인터페이스부(151)에서 디지털화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기지국 장치(10)와 통신할 수 있는 형태의 RF 신호로 변화시켜 전송한다. 우선,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161)에서는 상기 명령어 제어부(150)로부터 전송할 인터넷 명령어를 입력받아 전송을 위한 프레임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163)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163)에서 복조한 인터넷 정보를 프레임 형태로 입력받아 원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정보 처리부(170)로 출력한다. 반면, 상기 음성 처리부(162)에서는 상기 음성 인터페이스부(151)로부터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전송할 프레임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163)로 출력하고,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163)로부터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신호를 프레임 형태로 입력받아 원래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164)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 출력부(164)에서는 상기 음성 처리부(162)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 처리부(170)에서 음성 합성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로 변화하여 이를 스피커로 출력한다.
상기 정보 처리부(170)에서는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인터넷 정보를 표시 및 저장하고, 음성으로 인터넷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음성 합성을 수행한다. 우선, 상기 정보 표시부(172)에서는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160)로부터 인터넷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 처리 제어부(171)의 제어를 받아 표시창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장치에 인터넷 정보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에서 그래픽과 같은 모든 데이터를 입력받지 않고 텍스트 데이터만을 입력받기 때문에 상기 정보 표시부(172)에서는 주메뉴나 부메뉴와 같이 표시를 위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저장부(174)에서는 상기 정보 표시부(172)에 나타난 정보를 추후 사용하기 위해 저장하는데, 이는 상기 정보 처리 제어부(171)의 제어를 받아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정보 저장부(174)는 사용자가 이미 인터넷에서 전송한 정보를 다시 전송받고자 할 경우에 명령어의 재전송이 필요없이 간단히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 합성부(173)에서는 텍스트 형태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음성 형태로 출력하기 위해 음성 합성을 수행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164)로 출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와 인터넷간의 음성 대화식 정보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방법은 사용자가 음성이나 외부 명령어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연결 및 원하는 정보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하고, 이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 인터넷간의 프로토콜에 적합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명령어 제어 단계와, 상기 명령어 처리 단계로부터 명령어에 해당되는 데이터나 음성 서비스 지원을 위해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기지국에서 지원하는 형태의 RF 신호로 변화시키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F 신호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단계와,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단계로부터 인터넷 정보를 입력받아 표시 및 저장하며, 데이터 형태로 입력된 인터넷 정보를 음성 합성을 통해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단계로 출력하는 정보 처리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명령어 제어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연결 및 원하는 정보에 대해 음성으로 발생된 명령어와 통화를 위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인터넷 정보를 위한 음성 신호를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단계로 출력하는 음성 인터페이스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인터넷 정보에 대한 명령어를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명령어 입력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 단계로부터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 단계와, 상기 음성 인식 단계로부터 텍스트 형태의 신호를 입력받아 인터넷에 사용되는 명령어로 변환하는 명령어 변환 단계와, 상기 명령어 변환 단계로부터 출력되는 명령어나 상기 명령어 입력 단계로부터 출력되는 명령어를 입력받아 무선 네트워크와 인터넷간의 프로토콜에 적합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단계로 출력하는 명령어 처리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단계는 상기 명령어 제어 단계로부터 출력되는 인터넷 명령어를 입력받아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레임 형태로 변환시키고, 기지국에서 전송된 프레임을 해석하여 인터넷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형태로 변화시키는 데이터 신호 처리 단계와, 상기 명령어 제어 단계로부터 음성 통화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 전송을 위한 프레임 형태로 변환시키고, 기지국에서 수신된 프레임 형태의 음성 통화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처리 단계와,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 단계 및 상기 음성 처리 단계에서 출력되는 전송할 신호를 입력받아 기지국에서 지원하는 형태의 RF 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RF 신호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프레임 형태의 데이터로 복조하는 무선 신호 처리 단계와, 상기 음성 처리 단계로부터 음성 통화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 처리 단계로부터 음성 합성된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 단계로부터 인터넷에서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정보 처리 단계를 제어하는 정보 처리 제어 단계와,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 단계로부터 인터넷에서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 처리 제어 단계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표시 단계와,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 단계로부터 인터넷에서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 처리 제어 단계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를 음성 합성하여 상기 음성 출력 단계로 출력하는 음성 합성 단계와, 상기 정보 처리 제어 단계로부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 단계로부터 인터넷에서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고 추후 사용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 단계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방법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상기 명령어 입력 단계에서 키 패드나 펜 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외부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음성으로 명령어를 입력할 수도 있는데, 마이크로폰에 명령어를 발성하여 상기 음성 인터페이스 단계에 입력하고, 이를 입력받은 상기 음성 인터페이스 단계에서는 인터넷 명령어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와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A/D 변환한 후, 인터넷 명령어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는 상기 음성 인식 단계로 출력하고,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신호는 상기 음성 처리 단계로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음성 인식 단계에서는 상기 음성 인터페이스 단계로부터 인터넷 명령어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명령어 변환 단계에서는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인터넷에 사용되는 명령어로 변환시킨다. 이어서, 상기 명령어 처리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이 음성을 인터넷 명령어로 변환한 신호를 입력받고, 외부로부터 상기 명령어 입력 단계로부터 인터넷 명령어를 입력받아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인터넷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단계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외부 입력 명령어를 입력받고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신호를 음성 인터페이스 단계에서 디지털화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형태의 RF 신호로 변화시켜 전송한다. 우선,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 단계에서는 상기 명령어 제어 단계로부터 전송할 인터넷 명령어를 입력받아 전송을 위한 프레임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신호 처리 단계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신호 처리 단계에서 복조한 인터넷 정보를 프레임 형태로 입력받아 원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정보 처리 단계로 출력한다. 반면, 상기 음성 처리 단계에서는 상기 음성 인터페이스 단계로부터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전송할 프레임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신호 처리 단계로 출력하고, 상기 무선 신호 처리 단계로부터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신호를 프레임 형태로 입력받아 원래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 출력 단계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 출력 단계에서는 상기 음성 처리 단계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 처리 단계에서 음성 합성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로 변화하여 이를 스피커로 출력한다.
상기 정보 처리 단계에서는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단계로부터 입력되는 인터넷 정보를 표시 및 저장하고, 음성으로 인터넷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음성 합성을 수행한다. 우선, 상기 정보 표시 단계에서는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단계로부터 인터넷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 처리 제어 단계의 제어를 받아 표시창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장치에 인터넷 정보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에서 그래픽과 같은 모든 데이터를 입력받지 않고 텍스트 데이터만을 입력받기 때문에 상기 정보 표시 단계에서는 주메뉴나 부메뉴와 같이 표시를 위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저장 단계에서는 상기 정보 표시 단계에 나타난 정보를 추후 사용하기 위해 저장하는데, 이는 상기 정보 처리 제어 단계의 제어를 받아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정보 저장 단계는 사용자가 이미 인터넷에서 전송한 정보를 다시 전송받고자 할 경우에 명령어의 재전송이 필요없이 간단히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 합성 단계에서는 텍스트 형태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음성 형태로 출력하기 위해 음성 합성을 수행하여 상기 음성 출력 단계로 출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와 인터넷간의 음성 대화식 정보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키 패드나 터치 스크린과 같은 외부 명령어 입력 장치와 음성 인식을 위한 음성 인터페이스를 휴대 단말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어를 데이터뿐만 아니라 음성으로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으로부터 전송되는 인터넷 데이터 정보를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고, 추후 사용할 목적으로 정보를 저장하며, 데이터 형태의 정보를 음성 합성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휴대 단말 장치와 인터넷간에 데이터 및 음성 대화식 정보 전송을 가능케 하고, 휴대 단말 장치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며, 기존의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에 인터넷 서비스 기능을 단일 단말에 첨부하여, 단일 휴대 단말 장치로도 다양한 서비스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사용자가 음성이나 외부 명령어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연결 및 원하는 정보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 상기 게이트웨이부간의 프로토콜에 적합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명령어 제어부와;
    상기 명령어 제어부로부터 명령어에 해당되는 데이터나 음성 서비스 지원을 위해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기지국 장치에서 지원하는 형태의 RF 신호로 변화시키고,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RF 신호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인터넷 정보를 입력받아 표시 및 저장하며, 데이터 형태로 입력된 인터넷 정보를 음성 합성을 통해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정보 처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연결 및 원하는 정보에 대해 음성으로 발생된 명령어와 통화를 위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인터넷 정보를 위한 음성 신호를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음성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로부터 인터넷 정보에 대한 명령어를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명령어 입력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부와;
    상기 음성 인식부로부터 텍스트 형태의 신호를 입력받아 인터넷에 사용되는 명령어로 변환하는 명령어 변환부; 및
    상기 명령어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명령어나 상기 명령어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명령어를 입력받아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 상기 게이트웨이부간의 프로토콜에 적합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프로토콜 변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명령어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인터넷 명령어를 입력받아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레임 형태로 변환시키고, 상기 기지국 장치에서 전송된 프레임을 해석하여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형태로 변화시키는 데이터 신호 처리부와;
    상기 명령어 제어부로부터 음성 통화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 전송을 위한 프레임 형태로 변환시키고, 상기 기지국 장치에서 수신된 프레임 형태의 음성 통화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음성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전송할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기지국 장치에서 지원하는 형태의 RF 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RF 신호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프레임 형태의 데이터로 복조하는 무선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음성 처리부로부터 음성 통화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 처리부로부터 음성 합성된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로부터 인터넷에서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정보 처리부를 제어하는 정보 처리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로부터 인터넷에서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 처리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표시부와;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로부터 인터넷에서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 처리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를 음성 합성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로 출력하는 음성 합성부; 및
    상기 정보 처리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부로부터 인터넷에서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고 추후 사용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장치.
  5. 사용자가 음성이나 외부 명령어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연결 및 원하는 정보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하고, 이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 인터넷간의 프로토콜에 적합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명령어 제어 단계와;
    상기 명령어 처리 단계로부터 명령어에 해당되는 데이터나 음성 서비스 지원을 위해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기지국에서 지원하는 형태의 RF 신호로 변화시키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F 신호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단계; 및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단계로부터 인터넷 정보를 입력받아 표시 및 저장하며, 데이터 형태로 입력된 인터넷 정보를 음성 합성을 통해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단계로 출력하는 정보 처리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제어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연결 및 원하는 정보에 대해 음성으로 발생된 명령어와 통화를 위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인터넷 정보를 위한 음성 신호를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단계로 출력하는 음성 인터페이스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인터넷 정보에 대한 명령어를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명령어 입력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 단계로부터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 단계와;
    상기 음성 인식 단계로부터 텍스트 형태의 신호를 입력받아 인터넷에 사용되는 명령어로 변환하는 명령어 변환 단계; 및
    상기 명령어 변환 단계로부터 출력되는 명령어나 상기 명령어 입력 단계로부터 출력되는 명령어를 입력받아 무선 네트워크와 인터넷간의 프로토콜에 적합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단계로 출력하는 명령어 처리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단계는
    상기 명령어 제어 단계로부터 출력되는 인터넷 명령어를 입력받아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레임 형태로 변환시키고, 기지국에서 전송된 프레임을 해석하여 인터넷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형태로 변화시키는 데이터 신호 처리 단계와;
    상기 명령어 제어 단계로부터 음성 통화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 전송을 위한 프레임 형태로 변환시키고, 기지국에서 수신된 프레임 형태의 음성 통화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처리 단계와;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 단계 및 상기 음성 처리 단계에서 출력되는 전송할 신호를 입력받아 기지국에서 지원하는 형태의 RF 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RF 신호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프레임 형태의 데이터로 복조하는 무선 신호 처리 단계; 및
    상기 음성 처리 단계로부터 음성 통화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 처리 단계로부터 음성 합성된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 단계로부터 인터넷에서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정보 처리 단계를 제어하는 정보 처리 제어 단계와;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 단계로부터 인터넷에서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 처리 제어 단계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표시 단계와;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 단계로부터 인터넷에서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 처리 제어 단계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를 음성 합성하여 상기 음성 출력 단계로 출력하는 음성 합성 단계; 및
    상기 정보 처리 제어 단계로부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처리 단계로부터 인터넷에서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고 추후 사용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제어 단계에서
    텍스트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 표시 단계에서는 주메뉴나 부메뉴와 같이 표시를 위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 방법.
KR1019970052812A 1997-10-15 1997-10-15 무선네트워크상에서음성대화식인터넷접속휴대통신장치및방법 KR100270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812A KR100270237B1 (ko) 1997-10-15 1997-10-15 무선네트워크상에서음성대화식인터넷접속휴대통신장치및방법
US09/108,570 US20010011302A1 (en) 1997-10-15 1998-07-01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activated internet access and voice output of information retrieved from the internet via a wireles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812A KR100270237B1 (ko) 1997-10-15 1997-10-15 무선네트워크상에서음성대화식인터넷접속휴대통신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912A true KR19990031912A (ko) 1999-05-06
KR100270237B1 KR100270237B1 (ko) 2000-10-16

Family

ID=1952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812A KR100270237B1 (ko) 1997-10-15 1997-10-15 무선네트워크상에서음성대화식인터넷접속휴대통신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23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314A (ko) * 2000-02-07 2000-05-06 최중인 보이스 웹
KR20000049352A (ko) * 1999-11-24 2000-08-05 강인규 연락정보 제공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10081535A (ko) * 2000-02-15 2001-08-29 조헌영 인터넷의 정보를 전화 및 이동통신기에 음성 및 문자로자동연결하여 제공하는 방법
KR20020030224A (ko) * 2000-10-16 2002-04-24 이세진 웹 가이드를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US11942072B2 (en) 2021-01-25 2024-03-26 Sang Rae Park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voice recognition and voice synthesi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352A (ko) * 1999-11-24 2000-08-05 강인규 연락정보 제공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00024314A (ko) * 2000-02-07 2000-05-06 최중인 보이스 웹
KR20010081535A (ko) * 2000-02-15 2001-08-29 조헌영 인터넷의 정보를 전화 및 이동통신기에 음성 및 문자로자동연결하여 제공하는 방법
KR20020030224A (ko) * 2000-10-16 2002-04-24 이세진 웹 가이드를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US11942072B2 (en) 2021-01-25 2024-03-26 Sang Rae Park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voice recognition and voice synthe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0237B1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5307B2 (ja) コードレス電話を組み込んだコンピュータ
JP3885236B2 (ja) 携帯型通信端末
US7643619B2 (en) Method for offering TTY/TDD service in a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20170187859A1 (en) System for text assisted telephony
US200100113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activated internet access and voice output of information retrieved from the internet via a wireless network
US20020097692A1 (en) User interface for a mobile station
JPH10512430A (ja) 腕時計無線電話
KR100263493B1 (ko) 무선네트워크를이용한인터넷접속휴대통신장치및방법
JP2001036652A (ja) 携帯電話機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機器遠隔制御方法
KR100270237B1 (ko) 무선네트워크상에서음성대화식인터넷접속휴대통신장치및방법
KR100888340B1 (ko) 단말 브라우저 기반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70617B1 (ko) 핸즈프리 키트를 이용한 음성 대화식 인터넷 접속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076500B1 (ko)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JP2001008254A (ja) 地図情報出力方法及び携帯電話機
KR100489203B1 (ko) 음성인식 문자 서비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방법 및 장치
JP2001103556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2003188948A (ja) 携帯端末装置
JP3332111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10067811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
JP3332110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モデム初期設定方法
KR20010044102A (ko) 실시간 문자와 음성 통화를 위한 전화기
KR0175587B1 (ko) 휴대장치에서 현재시간 표시 가능한 무선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142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내용 디스플레이 방법
JP2000209648A (ja) 無線デ―タ通信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40022723A (ko)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주문형오디오 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