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781U - 자동차용 재떨이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재떨이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781U
KR19990031781U KR2019970044526U KR19970044526U KR19990031781U KR 19990031781 U KR19990031781 U KR 19990031781U KR 2019970044526 U KR2019970044526 U KR 2019970044526U KR 19970044526 U KR19970044526 U KR 19970044526U KR 19990031781 U KR19990031781 U KR 199900317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housing
slider
cover
ash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4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781U/ko
Publication of KR199900317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781U/ko

Links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스트루먼트판넬(10)의 개구부 안쪽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전면과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판에 전후방향으로 래크기어(111)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판(112)이 개폐 가능하게 덮여지고, 상기 래크기어의 선단부쪽에 스토퍼(113)가 취부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를 통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으로, 상부와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저면부에 상기 래크기어에 맞물리는 기어형 댐퍼(121)가 취부되고, 선단부 양쪽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슬라이더(120)와;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하우징의 수납부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걸림돌기에 저면의 양측부가 착탈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되고, 개방된 상부에 덮개(131)이 회동 가능하게 덮여지며, 전면부에 커버(132)가 착탈 가능하게 취부되는 트레이(130)로 구성되어, 슬라이더(120)와 함께 일정길이 인출된 상태에서 트레이(130)를 들어올리면 분리가 되도록 하므로, 트레이(130)의 착탈이 용이하고, 커버(134)가 트레이(130)의 전면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되어, 좌측용 또는 우측용에 따른 커버만 구별하여 트레이(130)의 전면에 부착하면 되도록 하므로 트레이(130)의 공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재떨이의 구조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재떨이의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판넬(instrument panel)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재떨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재떨이에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하여 트레이의 선단부에 취부되는 커버가 착탈되도록 하므로, 커버만 좌우측식으로 분리 제작하고, 트레이는 좌우측식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비용이 저감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실내 전면부에 실내 전면부를 은폐하고 각종 계기류가 부착되도록 하는 인스트루먼트판넬이 설치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판넬의 중간 상부쪽에 오디오 및 냉난방조절장치 등이 장치되고, 인스트루먼트판넬의 중간 하부쪽에 수납상자와 재떨이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재떨이어셈블리의 장착구조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판넬(10)에 소정폭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 연부에 전면이 개방되는 수납상자(20)의 전면 외곽부가 걸림턱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수납상자(20)의 안쪽에 상부가 개방되는 재떨이(30)가 와이어스프링(wire spring)(31)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한편, 수납상자(20)는 전면이 확개되는 상자로 되며, 전면 상부에 내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후면부가 인스트루먼트판넬(10)의 개구부를 통해 안쪽에 수납되고 전면 상하의 걸림턱 수단들에 의해 인스트루먼트판넬(10)의 개구부 연부에 지지된다.
또한, 재떨이(30)는 상부가 개구되고 전면이 도어로 되는 서랍형 상자로 되어 하단부가 수납상자(20)의 전면 하단부에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에 롤러(roller)(32)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와이어스프링(31)에 의해 제한 개폐가 가능하게 탄지되어 있다.
여기서, 와이어스프링(31)은 롤러(32)가 끼워지는 상단부 양측이 각기 횡방향으로 일정폭 절곡 연장되고, 다시 하향으로 소정의 불규칙 곡선을 이루며 연장된 후 양단부가 다시 안쪽으로 서로 절곡되어 결합되는 일체로 형성되며, 이러한 하단부 중간에 절곡된 걸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 재떨이의 장착구조는, 와이어스프링(31)의 하단 걸고리부가 재떨이(30)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와이어스프링(31)의 중간 만곡 연장부가 재떨이(30)의 도어 내측면에 지지되며, 와이어스프링(31) 상단의 롤러(32)가 수납상자(20)의 상부 내측면에 구름이동 가능하게 탄지되어, 재떨이(30)의 도어를 밀면 하단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전이동되어 재떨이(30)의 후면부가 수납상자(20) 내부에 수납되고, 롤러(32) 역시 구름이동되어 수납상자(20)의 안쪽에 위치되게 된다. 또한 재떨이(30)가 닫히면 롤러(32)가 수납상자(20)의 내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롤러(32)와 수납상자(2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롤러(32)의 구름이동이 억제되게 되며, 이로인해 재떨이(30)의 닫힌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한편, 재떨이(30)의 도어 상단부를 일정이상의 힘으로 당기면 롤러(32)가 구름이동되게 되어 하단의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전이동되게 되며, 롤러(32)가 수납상자(20) 전면 상단의 걸림턱에 밀착되면 회전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즉, 롤러(32)의 구름이동 범위만큼 재떨이(30) 상부가 인출되어 상기 인출된 재떨이(30)의 상부쪽 개구부에 재를 떨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 재떨이의 장착구조는, 재떨이(30)가 수납상자(20)에 탄력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재떨이(30)를 비우고자 하는 경우 재떨이(30)을 전방으로 회동시킨 후 힌지 연결부를 분리시켜야 하므로 조작이 번거롭고 용이하지 않으며, 분리된 재떨이를 다시 삽입하는 과정 역시 쉽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 재떨이의 장착구조는, 좌측용과 우측용에 따라 재떨이(30)의 전면부 형상을 다르게 형성하는데, 재떨이(30)의 전면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별도의 금형과 제조공정을 거쳐 제작을 해야 하므로 인해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재떨이어셈블리의 하우징(housing)에서 트레이(tray)를 일정길이 인출한 후 상부로 들면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트레이의 전면부에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취부되도록 구성하여, 트레이를 쉽게 들어낼 수 있도록 하므로, 재를 비우기 위해 트레이를 인출하거나 인출된 트레이를 다시 장착하기가 용이하고, 좌측 또는 우측용에 따른 커버만 트레이에 취부하면 되도록 하므로 트레이의 공용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인스트루먼트판넬에 장착된 재떨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 재떨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 재떨이의 장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인스트루먼트판넬 110;하우징 111;래크기어 112;상판 113;스토퍼 114;가이드레일 115;착탈장치 120;슬라이더 121;댐퍼 123;슬라이드레일 124;걸림턱 125;판스프링 126;후크 130;트레이 131;덮개 132;털이판 133;램프캡 134;커버
본 고안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판넬(10)의 개구부 안쪽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전면과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판에 전후방향으로 래크기어(rack gear)(111)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판(112)이 개폐 가능하게 덮여지고 래크기어(111)의 선단부쪽에 스토퍼(stoper)(113)가 취부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전면 개구부를 통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으로 상부와 전면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저면부에 래크기어(111)에 맞물리는 기어형 댐퍼(damper)(121)가 취부되며 선단부 양측에 각기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슬라이더(slider)(120)와; 슬라이더(120)와 함께 하우징(110)의 수납부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으로 슬라이더(120)의 선단부 걸림돌기에 중간부 저면의 양측부가 착탈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되고 개방된 상부에 덮개(131)이 회동 가능하게 덮여지며 전면부에 커버(cover)(132)가 착탈 가능하게 취부되는 트레이(tray)(130)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트레이(130)의 커버(134)를 당기면 트레이(130)와 함께 슬라이더(120)가 하우징(110)의 전면 개방부를 통해 앞쪽으로 인출되며, 이때 래크기어(111)에 맞물린 댐퍼(121)가 이동을 억제시켜 천천히 이동되도록 하고, 슬라이더(120)가 어느정도 인출되면 스토퍼(113)에 슬라이더(120)의 저면 후단부가 걸려 이동이 제한되도록 한다. 또한, 슬라이더(120)와 함께 인출된 트레이(130)의 덮개(131)를 상부로 회동시키면, 트레이(130)의 내부공간이 개방되어 담배재를 떨수 있게 된다. 한편, 트래이(130) 내부의 재를 비우고자 하는 경우, 인출된 트레이(130)의 선단부 양측면부를 잡고 들어올리면 걸림돌기들이 양측 저면 걸림홈에서 빠지게 되어 덮개(131)가 덮인 상태로 분리되게 되며, 덮여진 덮개(131)가 트레이(130) 내부에 있는 담배재가 날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재를 비운 트레이(130)는 슬라이더(120)의 걸림돌기에 의해 안착시키고, 커버(134)를 밀면 슬라이더(120)가 트레이(130)와 함께 하우징(110)의 안쪽으로 미끄럼 이동되어 수납되게 되며, 커버(134)가 인스트루먼트판넬(10)의 개구부에 동일평면상으로 닫혀지게 된다.
여기에서, 하우징(110)은 바닥 양측과 상단부 양측에 가이드레일(guide rail)(114)이 형성되고, 후단 상부에 착탈장치(115)가 장치되어, 슬라이더(120)의 저면부와 상단부 양측이 상기 가이드레일(114)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슬라이더(120)의 후단부가 완전히 수납되면 상기 착탈장치(115)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도록 지지된다. 여기서, 착탈장치(115)는 한 번 누르면 체결되고 다시 한 번 누르면 체결이 탈거되도록 하는 통상의 장치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슬라이더(120)는 저면부 양측에 슬라이드레일(slide rail)(123)이 형성되고, 후단부 양쪽 상단부에 각기 걸림턱(124)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후단부에 판스프링(125)이 취부되고, 후면 중앙부에 후크(hook)(126)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앞에서 밀면 슬라이드레일(123)과 걸림턱(124)이 하우징(110)의 가이드레일(114)를 따라 미끄럼 이동되어 하우징(110)의 내부로 수납되게 되며, 하우징(110)의 내부에 왼전히 수납되면 판스프링(125)이 하우징(110)의 후단부 내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후크(126)가 착탈장치(115)에 체결되어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또한, 전면부에서 다시 한 번 누르면 착탈장치(115)에서 후크(126)이 탈거되고, 판스프링(125)의 탄발력에 의해 전방으로 소정폭 돌출되게 되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트레이(130)는 선단부 상면에 담배재를 부벼 떨수 있도록 하는 털이판(132)이 형성되고, 후단부 상면에 상부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하는 덮개(131)의 후단부가 힌지(hinge)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양측 저면에 슬라이더(120)의 슬라이드레일(123)에 연속되는 슬라이드레일이 형성되고, 후단부 일측에 불빛이 내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하는 램프캡(lamp cap)(133)이 취부되어, 슬라이더(120)의 개방된 상부에 하단부가 수납되어 지지되고, 덮개(131)를 상부로 회동시키면 털이판(132)과 내부공간이 노출되어 담배재를 털 수 있게 되며, 덮개(131)를 덮으면 내부가 은폐되어 담배재가 외부로 날리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후단부 측부에 취부되는 램프캡(133)을 통해 불빛이 내부를 비추게 되어 야간 흡연시 편리성이 도모되도록 한다.
한편, 트레이(130)의 커버(134)는 트레이의 전면부에 덮이는 일정 넓이의 판형상으로 되고 후면의 하단부 양쪽에 각기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어, 슬라이더(120)의 전면부 양쪽에 형성되는 체결돌기가 양쪽 플랜지의 체결구멍에 삽입되도록 하여 결합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하우징(110)의 수납부에 미끄럼 이동에 의해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슬라이더(120)의 선단부에 트레이(130)의 후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라이더(120)와 함께 일정길이 인출된 상태에서 들어올리면 분리가 되도록 하므로 트레이(130)의 착탈이 용이한다. 한편, 커버(134)가 트레이(130)의 전면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되어, 좌측용 또는 우측용에 따른 커버만 구별하여 트레이(130)의 전면에 부착하면 되도록 하므로 트레이(130)의 공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은, 재떨이어셈블리의 하우징에서 트레이를 일정길이 인출한 후 상부로 들면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트레이의 전면부에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취부되도록 구성되어, 트레이를 쉽게 들어낼 수 있도록 하므로, 재를 비우기 위해 트레이를 인출하거나 인출된 트레이를 다시 장착하기가 용이하고, 좌측 또는 우측용에 따른 커버만 트레이에 취부하면 되도록 하므로 트레이의 공용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인스트루먼트판넬(10)의 개구부 안쪽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전면과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판에 전후방향으로 래크기어(111)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판(112)이 개폐 가능하게 덮여지고, 상기 래크기어의 선단부쪽에 스토퍼(113)가 취부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를 통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으로, 상부와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저면부에 상기 래크기어에 맞물리는 기어형 댐퍼(121)가 취부되고, 선단부 양쪽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슬라이더(120)와;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하우징의 수납부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걸림돌기에 저면의 양측부가 착탈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되고, 개방된 상부에 덮개(131)이 회동 가능하게 덮여지며, 전면부에 커버(132)가 착탈 가능하게 취부되는 트레이(1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재떨이의 구조.
KR2019970044526U 1997-12-31 1997-12-31 자동차용 재떨이의 구조 KR199900317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526U KR19990031781U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용 재떨이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526U KR19990031781U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용 재떨이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781U true KR19990031781U (ko) 1999-07-26

Family

ID=69696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526U KR19990031781U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용 재떨이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78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880B1 (ko) * 2000-10-23 2003-02-19 카택유한회사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어셈블리
KR100583498B1 (ko) * 2004-09-10 2006-05-25 주식회사 키프코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880B1 (ko) * 2000-10-23 2003-02-19 카택유한회사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어셈블리
KR100583498B1 (ko) * 2004-09-10 2006-05-25 주식회사 키프코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46899Y2 (ja) 自動車の物入れ兼用ア−ムレスト
KR19990031781U (ko) 자동차용 재떨이의 구조
JPH07106694B2 (ja) 自動車用のサンバイザ
KR19990031780U (ko) 자동차용 재떨이의 구조
KR200175566Y1 (ko) 자동차용 시거잭 및 재떨이커버구조
KR0116324Y1 (ko) 차량용 재떨이의 뚜껑개폐구조
JPH0431893B2 (ko)
KR19990027423A (ko) 자동차 인스트루먼트판넬의 재떨이 개폐구조
KR100372880B1 (ko)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어셈블리
GB2209656A (en) Ashtray for a motor vehicle
KR0134403Y1 (ko) 자동차용 푸시 오픈 타입의 재떨이 구조
JP3967900B2 (ja) ペダル開閉式ごみ容器
KR970002192Y1 (ko) 자동차용 재털이
KR200147380Y1 (ko) 자동차용 트레이
KR0139451B1 (ko) 자동차용 재털이
KR100324371B1 (ko) 자동차용 재떨이
KR0138718Y1 (ko) 리브를 형성한 차량용 힌지식 재떨이 구조
JP3051209U (ja) 携帯用灰皿
JPH0659805B2 (ja) 車両用灰皿
KR200153112Y1 (ko) 원활한 슬라이딩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재떨이
JPS5921972Y2 (ja) 自動車用グロ−ブボツクス
JPS593756Y2 (ja) 車両用アツシユトレイ
KR970004138Y1 (ko) 자동차용 회전식 재떨이
KR100368355B1 (ko) 자동차용 애쉬트레이의 인출구조
KR0135380Y1 (ko) 차량용 애쉬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