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436U -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436U
KR19990031436U KR2019970044154U KR19970044154U KR19990031436U KR 19990031436 U KR19990031436 U KR 19990031436U KR 2019970044154 U KR2019970044154 U KR 2019970044154U KR 19970044154 U KR19970044154 U KR 19970044154U KR 19990031436 U KR19990031436 U KR 199900314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pring
damping
vibration
electric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44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436U/ko
Publication of KR199900314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436U/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압축기의 프레임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2)을 지지하는 스프링(20)의 하단부가 설치되는 하부용기(1b)에 상기 스프링(20)이 위치되는 댐핑케이스(30)를 설치하고, 상기 댐핑케이스(30) 내부에 댐핑액(31)을 채워 상기 스프링(20)의 감쇄력을 높여준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프레임(2)의 진동을 보다 확실하게 감쇄시켜 줄 수 있으며,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상기 프레임(2)의 진동을 감쇄시켜 주는 능력이 크게 줄어들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본 고안은 전동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진동을 최소화시켜 압축기의 동작신뢰성을 높여주는 전동압축기의 프레임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동압축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부용기(1t)와 하부용기(1b)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1)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용기(1)의 내부에는 프레임(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에는 고정자(3)가 고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프레임(2)은 스프링(2S)에 의해 밀폐용기(1)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3)이 스프링(2S)에 의해 지지된 구조를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상기 스프링(2S)의 상단부에는 상기 프레임(2)의 하면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돌기(2')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2S)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용기(1b)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돌기(1b')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크랭크축(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축(5)에는 회전자(4)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3)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5)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축(5)의 상단에는 편심핀(5b)이 상기 크랭크축(5)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편심핀(5b)이 형성된 반대쪽에는 균형추(5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축(5)은 상기 프레임(2)에 베어링(15)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5)의 내부에는 오일통로(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일통로(5a)를 통해서는 밀폐용기(1)의 저면에 구비되어 있는 오일(L)이 안내되어 상기 프레임(2)의 상부로 전달되어 비산된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5)의 하단부에는 상기 오일(L)을 펌핑하여 상기 오일통로(5a)로 전달하는 펌핑기구(5d)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내부에 압축실(6')가 구비된 실린더(6)이 상기 프레임(2)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실(6')에는 상기 크랭크축(5)의 편심핀(5b)과 커넥팅로드(8)로 연결된 피스톤(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6)의 선단에는 상기 압축실(6')로 유입되고 배출되는 냉매를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9)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어셈블리(9) 상에는 헤드커버(1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헤드커버(10)에는 흡입머플러(11)가 상기 압축실(6')로 냉매를 전달할 수 있도록 밸브어셈블리(9)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는 냉매를 밀폐용기(1)의 내부로 전달하는 흡입파이프이고, 13은 압축된 냉매를 압축기의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파이프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동압축기는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회전자(4)와 고정자(3)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자(4)가 고정자(3)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자(4)와 일체로 상기 크랭크축(5)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크랭크축(5)이 회전하면 상기 크랭크축(5)에 대해 편심되어 있는 편심핀(5b)이 원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편심핀(5b)과 연결되어 있는 커넥팅로드(8)가 상기 편심핀(5b)을 따라 구동되면서 상기 피스톤(7)을 직선왕복운동하게 한다. 이와 같이 피스톤(7)이 압축실(6') 내에서 직선왕복운동하게 되면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프레임(2)은 진동을 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2)이 진동하게 되는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상기 회전자(4)와 크랭크축(5)의 회전, 그리고 이에 따른 피스톤(7)의 왕복운동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프레임(2)의 진동은 상기 프레임(2)을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2S)에 의해 감쇄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따르면 프레임(2)의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쇄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상기 프레임(2)이 단지 상기 스프링(2S)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있어, 상기 스프링(2S)의 감쇄력에 의해서만 상기 프레임(2)의 진동이 감쇄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2S)이 프레임(2)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키지 못하게 되면, 진동과 소음이 커져 압축기의 동작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2S)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므로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되면 일종의 가공경화 현상이 발생되어 그 감쇄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기의 내부에 구비된 프레임의 진동을 보다 확실하게 감쇄시켜 주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프레임의 진동과 소음을 감쇄하는 능력이 떨어지지 않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전동압축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동압축기에서 프레임을 지지하는 구조를 보인 상세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밀폐용기1a : 상부용기
1b : 하부용기2 : 프레임
2S : 스프링2' : 고정돌기
3 : 고정자4 : 회전자
5 : 크랭크축6 : 실린더
6' : 압축실7 : 피스톤
8 : 커넥팅로드9 : 밸브어셈블리
10 : 헤드커버11 : 흡입머플러
15 : 베어링20 : 스프링
24, 25 : 고정돌기30 : 댐핑케이스
31 : 댐핑액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여 프레임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탄성지지부재와, 상기 탄성지지부재의 일부가 위치되고, 그 내부에 댐핑액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지지부재에 감쇄력을 더해주는 댐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댐핑수단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지지부재의 하단부가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르면, 프레임을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의 감쇄력이 커져 압축기의 진동과 소음이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인데,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레임(2)의 하면을 스프링(20)이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20)은 일반적으로 4개 정도가 사용되는데, 그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레임(2)의 하면에는 상기 스프링(20)의 상단부를 프레임(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20)의 하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25)가 상기 하부용기(1b)에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돌기(25)에는 상기 스프링(20)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된다.
한편, 상기 하부용기(1b)에는 댐핑케이스(30)가 구비된다. 상기 댐핑케이스(30)의 내부에는 댐핑액(31)이 채워진다. 상기 댐핑케이스(30)의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20)의 하반부(下半部)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20)은 상기 댐핑액(31)에 감겨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프레임(2)의 진동이 감쇄되는 것을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압축기가 동작되기 시작하면, 상기 회전자(4)가 크랭크축(5)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크랭크축(5)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7)이 압축실(6') 내에서 왕복직선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동작과정에서 상기 회전자(4)와 크랭크축(5)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기 프레임(2)에는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7)이 압축실(6')내에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토출하는 동작에 의해서도 상기 프레임(2)에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2)의 진동은 일단 상기 프레임(2)을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20)에 의해서 감쇄된다. 그리고 상기 댐핑케이스(30)의 내부의 댐핑액(31)에 잠겨있는 상기 스프링(20)의 하반부가 상기 프레임(2)의 진동에 의해 압축되고, 신장되는 동작을 반복함에 의해 상기 프레임(2)의 진동이 역시 감쇄된다.
이와 같이 댐핑액(31)에 의해 진동의 감쇄가 이루어지는 것은, 상기 스프링(20)이 상기 댐핑액(31) 내에서 이동됨에 의해서이다. 즉, 상기 스프링(20)이 압축되고 신장되는 동작을 상기 댐핑액(31)이 방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감쇄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되면 프레임(2)의 진동이 상기 스프링(20)의 감쇄력과 댐핑액(31)의 감쇄력에 의해 감쇄되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2)의 진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감쇄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20)은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되면 일종의 가공경화 현상에 의해 그 감쇄력이 어느 정도 떨어지게 되나, 상기 댐핑액(31)의 존재에 의해 전체적으로 감쇄력이 일정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게 되어 프레임(2)의 진동이 허용범위를 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동압축기의 프레임지지장치는 프레임의 진동을 감쇄시킴에 있어, 스프링의 감쇄력 뿐만 아니라 댐핑액의 감쇄력 까지 이용하므로 보다 효율적인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고, 특히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감쇄력이 상기 프레임의 진동허용범위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 있도록 규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여 프레임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탄성지지부재와,
    상기 탄성지지부재의 일부가 위치되고, 그 내부에 댐핑액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지지부재에 감쇄력을 더해주는 댐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압축기의 프레임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수단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지지부재의 하반부가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압축기의 프레임지지장치.
KR2019970044154U 1997-12-31 1997-12-31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KR199900314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154U KR19990031436U (ko) 1997-12-31 1997-12-31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154U KR19990031436U (ko) 1997-12-31 1997-12-31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436U true KR19990031436U (ko) 1999-07-26

Family

ID=6969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154U KR19990031436U (ko) 1997-12-31 1997-12-31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43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4713Y1 (ko) 전동압축기의프레임지지장치
KR100350805B1 (ko) 밀폐형 압축기
JP3509071B2 (ja) 密閉型往復動式圧縮機
KR19990031436U (ko)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KR200224993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KR200336979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KR200373767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KR100682500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KR100682502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KR10043273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KR100517459B1 (ko) 밀폐형 압축기
KR100299213B1 (ko) 전동압축기의냉매흡입구조
KR200227918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KR19990031441U (ko)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KR100241490B1 (ko) 압축기의 현가 장치
KR200165733Y1 (ko) 압축기의 현가스프링 고정구조
KR20060041041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결합체
KR0122685Y1 (ko) 밀폐형 압축기
KR100529941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
JPH09112425A (ja) 往復動型流体機械
KR19990060436A (ko) 밀폐형 압축기의 압력파이프 진동저감장치
KR100417741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0165730Y1 (ko) 압축기용 흡입머플러의 냉매흡입관 결합구조
KR100244378B1 (ko) 압축기의현가장치
KR100585954B1 (ko)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왕복동식 공기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