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441U -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31441U KR19990031441U KR2019970044159U KR19970044159U KR19990031441U KR 19990031441 U KR19990031441 U KR 19990031441U KR 2019970044159 U KR2019970044159 U KR 2019970044159U KR 19970044159 U KR19970044159 U KR 19970044159U KR 19990031441 U KR19990031441 U KR 1999003144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spring
- fixing protrusion
- electric compressor
- vibratio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압축기의 프레임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2)을 지지하는 스프링(20)과 상기 프레임(2)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20)이 고정되는 고정돌기(24)의 열팽창율을 달리하여 만들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20)의 내경이 고정돌기(24)의 외경보다 크게 하여 이들 사이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사용에 의해 밀폐용기(1)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면 상기 고정돌기(24)가 더 많이 열팽창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돌기(24)와 스프링(20)이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였다. 따라서 조립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프레임(2)의 좌우방향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동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진동을 최소화시켜 압축기의 동작신뢰성을 높여주는 전동압축기의 프레임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동압축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부용기(1t)와 하부용기(1b)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1)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용기(1)의 내부에는 프레임(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에는 고정자(3)가 고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프레임(2)은 스프링(2S)에 의해 밀폐용기(1)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3)이 스프링(2S)에 의해 지지된 구조를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상기 스프링(2S)의 상단부에는 상기 프레임(2)의 하면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돌기(2')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2S)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용기(1b)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돌기(1b')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2S)의 내경은 상기 고정돌기(2')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하여 이들 사이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크랭크축(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축(5)에는 회전자(4)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3)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5)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축(5)의 상단에는 편심핀(5b)이 상기 크랭크축(5)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편심핀(5b)이 형성된 반대쪽에는 균형추(5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축(5)은 상기 프레임(2)에 베어링(15)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5)의 내부에는 오일통로(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일통로(5a)를 통해서는 밀폐용기(1)의 저면에 구비되어 있는 오일(L)이 안내되어 상기 프레임(2)의 상부로 전달되어 비산된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5)의 하단부에는 상기 오일(L)을 펌핑하여 상기 오일통로(5a)로 전달하는 펌핑기구(5d)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내부에 압축실(6')가 구비된 실린더(6)이 상기 프레임(2)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실(6')에는 상기 크랭크축(5)의 편심핀(5b)과 커넥팅로드(8)로 연결된 피스톤(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6)의 선단에는 상기 압축실(6')로 유입되고 배출되는 냉매를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9)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어셈블리(9) 상에는 헤드커버(1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헤드커버(10)에는 흡입머플러(11)가 상기 압축실(6')로 냉매를 전달할 수 있도록 밸브어셈블리(9)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는 냉매를 밀폐용기(1)의 내부로 전달하는 흡입파이프이고, 13은 압축된 냉매를 압축기의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파이프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동압축기는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회전자(4)와 고정자(3)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자(4)가 고정자(3)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자(4)와 일체로 상기 크랭크축(5)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크랭크축(5)이 회전하면 상기 크랭크축(5)에 대해 편심되어 있는 편심핀(5b)이 원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편심핀(5b)과 연결되어 있는 커넥팅로드(8)가 상기 편심핀(5b)을 따라 구동되면서 상기 피스톤(7)을 직선왕복운동하게 한다. 이와 같이 피스톤(7)이 압축실(6') 내에서 직선왕복운동하게 되면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프레임(2)은 진동을 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이 진동하게 되는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상기 회전자(4)와 크랭크축(5)의 회전, 그리고 이에 따른 피스톤(7)의 왕복운동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프레임(2)의 진동은 상기 프레임(2)을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2S)에 의해 감쇄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따르면 프레임(2)의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쇄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상기 프레임(2)이 단지 상기 스프링(2S)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있어, 상기 스프링(2S)의 감쇄력에 의해서만 상기 프레임(2)의 진동이 감쇄되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프레임(2)이 상기 스프링(2S)에 지지되는 구조에 의해서도 프레임(2)의 좌우방향 진동이 많이 발생된다. 즉, 상기 프레임(2)의 고정돌기(2')를 상기 스프링(2S)에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2S) 상단부의 상기 고정돌기(2')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2S)의 내경면과 상기 고정돌기(2')의 외면 사이에는 약간의 틈(G)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틈(G)이 존재하게 되면 상기 프레임(2)의 좌우방향의 진동이 더욱 심하게 되어 진동과 소음이 하부용기(1b)로 많이 전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기의 내부에 구비된 프레임의 진동을 보다 확실하게 감쇄시켜 주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전동압축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동압축기에서 프레임을 지지하는 구조를 보인 상세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밀폐용기1a : 상부용기
1b : 하부용기2 : 프레임
2S : 스프링2' : 고정돌기
3 : 고정자4 : 회전자
5 : 크랭크축6 : 실린더
6' : 압축실7 : 피스톤
8 : 커넥팅로드9 : 밸브어셈블리
10 : 헤드커버11 : 흡입머플러
15 : 베어링20 : 스프링
24, 25 : 고정돌기G : 갭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프레임을 지지하여 프레임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탄성지지부재와, 상기 탄성지지부재의 일단부가 설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고정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탄성지지부재보다 더 큰 열팽창률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르면, 탄성지지부재의 횡방향에 대한 프레임의 진동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레임(2)의 하면을 스프링(20)이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20)은 일반적으로 4개 정도가 사용되는데, 그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레임(2)의 하면에는 상기 스프링(20)의 상단부를 프레임(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2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돌기(24)는 별도로 만들어져 상기 프레임(2)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24)는 상기 스프링(20)보다 열팽창율이 큰 재질로 만들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24)의 외경은 상기 스프링(2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20)의 하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25)가 상기 하부용기(1b)에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돌기(25)에는 상기 스프링(20)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프레임(2)의 좌우방향 진동이 억제되는 것을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압축기가 동작되기 시작하면, 상기 회전자(4)가 크랭크축(5)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크랭크축(5)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7)이 압축실(6') 내에서 왕복직선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동작과정에서 상기 회전자(4)와 크랭크축(5)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기 프레임(2)에는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7)이 압축실(6')내에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토출하는 동작에 의해서도 상기 프레임(2)에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2)의 진동중 상하방향, 즉 상기 스프링(20)이 압축되고 신장되는 방향의 진동은 상기 스프링(20)에 의해 감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의 좌우방향으로의 진동도 일부 발생되는데, 종래에는 상기 스프링의 내경면과 고정돌기의 외경면 사이에 존재하는 갭(G)에 의해 상기 진동이 증폭되어 밀폐용기(1)로 전달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스프링(20)과 고정돌기(24)의 열팽창율의 차이 때문에, 압축기가 일정 시간 동작되어 밀폐용기(1)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면, 상기 고정돌기(24)가 상대적으로 많이 열팽창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돌기(24)가 상기 스프링(20)에 꽉 끼이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프레임(2)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돌기(24)와 스프링(20) 사이에는 갭(G)이 존재하지 않게 되고, 상기 프레임(2)의 좌우방향 진동은 종래에 비해 크게 증폭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24)와 스프링(20)의 상단부가 틈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되면, 프레임(2)의 좌우방향 진동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가 된다.
한편, 스프링(20)과 고정돌기(24)가 열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20)의 내경이 상기 고정돌기(24)의 외경보다 크므로 상기 프레임(2)을 상기 밀폐용기(1) 내부의 스프링(20)에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동압축기의 프레임지지장치는 조립은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면서도, 프레임의 좌우방향진동이 증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을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이 고정되는 고정돌기 사이의 열팽창률 차이를 두어, 압축기가 동작되면 상기 고정돌기가 상대적으로 많이 열팽창되도록 하였으므로 프레임의 좌우방향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 프레임을 지지하여 프레임에 발생된 진동을 감쇄시켜주는 탄성지지부재와,상기 탄성지지부재의 일단부가 설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고정돌기고 구성되고,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탄성지지부재보다 더 큰 열팽창률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압축기의 프레임지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44159U KR19990031441U (ko) | 1997-12-31 | 1997-12-31 |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44159U KR19990031441U (ko) | 1997-12-31 | 1997-12-31 |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1441U true KR19990031441U (ko) | 1999-07-26 |
Family
ID=69696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44159U KR19990031441U (ko) | 1997-12-31 | 1997-12-31 |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31441U (ko) |
-
1997
- 1997-12-31 KR KR2019970044159U patent/KR19990031441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234713Y1 (ko) | 전동압축기의프레임지지장치 | |
JP2001248555A (ja) | 密閉型往復動式圧縮機 | |
KR100350805B1 (ko) | 밀폐형 압축기 | |
JP3509071B2 (ja) | 密閉型往復動式圧縮機 | |
KR19990031441U (ko) |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 |
KR200224993Y1 (ko) |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 |
JP2004515694A (ja) | 密閉型圧縮機のピストンピン取付構造 | |
KR100432735B1 (ko) |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 |
KR200373767Y1 (ko) |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 |
KR100682502B1 (ko) |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 |
KR200336979Y1 (ko) |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 |
KR100682500B1 (ko) |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 |
KR100241490B1 (ko) | 압축기의 현가 장치 | |
KR100292509B1 (ko) | 리니어압축기의진동소음저감구조 | |
KR100417741B1 (ko) | 밀폐형 압축기 | |
KR19990031436U (ko) |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 |
KR100299215B1 (ko) | 밀폐형압축기의냉매흡입구조 | |
KR200227918Y1 (ko) |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 |
KR200165730Y1 (ko) | 압축기용 흡입머플러의 냉매흡입관 결합구조 | |
KR100244378B1 (ko) | 압축기의현가장치 | |
KR100207790B1 (ko) |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 |
KR0134248Y1 (ko) | 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 |
KR200165733Y1 (ko) | 압축기의 현가스프링 고정구조 | |
KR200167570Y1 (ko) | 압축기의 현가 장치 | |
KR0122685Y1 (ko) | 밀폐형 압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