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556A - 리튬전지셀의 고체전해질 계면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리튬전지셀의 고체전해질 계면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556A
KR19990030556A KR1019970050800A KR19970050800A KR19990030556A KR 19990030556 A KR19990030556 A KR 19990030556A KR 1019970050800 A KR1019970050800 A KR 1019970050800A KR 19970050800 A KR19970050800 A KR 19970050800A KR 19990030556 A KR19990030556 A KR 19990030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lithium
solid electrolyte
lithium battery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1769B1 (ko
Inventor
조성아
Original Assignee
왕중일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중일,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왕중일
Priority to KR1019970050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769B1/ko
Publication of KR19990030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7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전지셀의 고체전해질계면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Li2CO3/K2CO3가 2:1비로 혼합된 공융혼합물을 전해질에 졸화시켜 리튬극판위에 고르게 도포시킨 후, CO2가스를 대략 10cc/min 속도로 24시간정도 불어넣어 LiCO 와 Li2CO2의 계면을 생성하게 되므로써, 리튬전지의 안정적인 수명을 보장하고, 전지내부에서 급작스런 단락이나 부가반응이 적게 발생하는 한편, 전압영역이 평탄화되는 등의 전지성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튬전지셀의 고체전해질 계면형성방법(Method of making a solid surface interface in a lithum battery cell)
본 발명은 리튬폴리머 2차전지셀의 적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과 격리막 역할을 하는 고체 폴리머 사이의 계면저항을 최화하므로써 전지성능을 향상시키게 해주는 리튬폴리머 2차전지셀의 적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튬폴리머 2차전지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폴리머 전해질을 끼워넣고 그 외부를 집전체, 외장재 순으로 씌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폴리머전해질은 통상 모노마, 유기용제, 전해질염 등 3종류의 물질을 혼합해 사용하고, 양극에는 LiCoO2를 사용하고, 음극에는 탄소재료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리튬폴리머 2차전지의 장점은 우선 고체나 겔상태의 폴리머를 사용하기 때문에 두께를 1mm이하로 줄일 수 있는 등 제작할 수 있는 두께에서 리튬이온2차전지보다 크게 앞서고, 또한 안정성면에서도 전해질을 점성이 높은 겔상태의 고체폴리머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지에 구멍이 나도 용액이 흘러나오지 않아 리튬이온 2차전지와 같은 발화위험이 거의 없는 것이다.
이러한 리튬폴리머 전지셀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포일(11)과, 이 구리포일(11)의 상부에 음극활물질막(13)이 적층된다.
또한, 상기 음극활물질막(13)위에 전해질격리막(15)을 적층한 후, 양극활물질막(17)이 적층되며, 이 양극활물질막(17)위에 알루미늄포일(19)이 적층되어져 있다.
이러한 리튬폴리머전지셀의 종래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셀을 구성하는 구리포일(11), 음극활물질(13), 전해질격리막(15), 양극활물질막(17) 및 알루미늄포일(19)을 소정온도로 가열되는 오븐(20)내에서 두 개의 압축롤(21, 22) 사이로 동시에 주입하여 통과시키면서 압축하여 제조하고 있었다.
또 다른 종래의 제조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1단계로 구리포일(11)과 음극활물질(13)을 2개의 롤(23, 24)로 압축 합판하여 음극판을 제조하고, 알루미늄포일(19)과 양극활물질(17)을 2개의 롤(25, 26)으로 압축합판하여 양극판을 제조한다.
그리고 이어서 상기 음극판과 양극판을 전해질격리막(15)을 사이에 두고 120℃의 온도로 가열하면서 다시 2개의 롤(27, 28)로 압축합판하여 제조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전지셀의 각 층을 모두 고체 상태에서 서로 압축합판시키기 때문에 각 층간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계면저항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지성능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극과 격리막사이의 계면저항을 최소화시켜주도록 직접 리튬극판위에 고체전해질계면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튬전지셀의 고체전해질계면형성방법은, Li2CO3/K2CO3가 2:1비로 혼합된 공융혼합물을 전해질에 졸화시켜 리튬극판위에 고르게 도포시킨 후, CO2가스를 대략 10cc/min 속도로 24시간정도 불어넣어 LiCO 와 Li2CO2의 계면을 생성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된 리튬전지는 안정적인 전지수명을 유지할 수 있고, 내부에서 급작스런 단락이나 부가반응이 적게 발생하는 한편, 전압영역이 평탄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리튬폴리머 2차전지셀의 층상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2차전지셀의 적층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또다른 종래의 2차전지셀의 적층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튬극판을 음이온으로 하는 전지에서는 리튬극판과 고체 전해질 사이에 일정한 계면을 형성하게 되고, 이 계면은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생성되는 신가, 두께가 각기 다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 리튬극판에 고체전해질계면을 형성하기 위해 Li2CO3/K2CO3가 혼합된 공융혼합물을 사용하는 데, 그 혼합비는 Li2CO3/K2CO3가 대략 2:1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공융혼합물을 전해질 예컨대 탄산에틸렌(EC) 또는 탄산프로필렌(PC)에 용해시켜 졸상태로 만든다.
이어서, 상기 졸상태로 존재하는 Li2CO3/K2CO3의 공융혼합물을 리튬극판의 표면에 소정의 두께로 졸코팅한다.
그리고, 이 졸코팅된 리튬극판을 이산화탄소 공급원이 부착된 밀폐된 챔버에 넣고, CO2가스를 대략 10cc/min 속도로 24시간정도 불어넣게 된다.
이렇게 되면, 리튬극판위에 LiCO 와 Li2CO2중 어느하나로 된 고체전해질계면을 생성하게 된다.
이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된 리튬극판을 사용하는 리튬전지는 안정적인 전지수명을 유지할 수 있고, 내부에서 급작스런 단락이나 부가반응이 적게 발생하는 한편, 전압영역이 평탄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Li2CO3/K2CO3가 2:1비로 혼합된 공융혼합물을 전해질에 졸화시켜 리튬극판위에 고르게 도포시킨 후, CO2가스를 대략 10cc/min 속도로 24시간정도 불어넣어 LiCO 와 Li2CO2의 계면을 생성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전지셀의 고체전해질계면형성방법.
KR1019970050800A 1997-10-01 1997-10-01 리튬전지셀의 고체전해질 계면형성방법 KR100251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800A KR100251769B1 (ko) 1997-10-01 1997-10-01 리튬전지셀의 고체전해질 계면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800A KR100251769B1 (ko) 1997-10-01 1997-10-01 리튬전지셀의 고체전해질 계면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556A true KR19990030556A (ko) 1999-05-06
KR100251769B1 KR100251769B1 (ko) 2000-04-15

Family

ID=1952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800A KR100251769B1 (ko) 1997-10-01 1997-10-01 리튬전지셀의 고체전해질 계면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6637A (zh) * 2019-06-28 2019-11-05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固态电池缓冲层的制备方法及其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6637A (zh) * 2019-06-28 2019-11-05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固态电池缓冲层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10416637B (zh) * 2019-06-28 2022-08-12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固态电池缓冲层的制备方法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1769B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8591B2 (en) External packaging material for battery devic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nd battery pack
KR100731240B1 (ko) 비수계 겔 전해질 전지의 제조 방법
US8785047B2 (en)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charging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US20050244716A1 (en)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charging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JP5226332B2 (ja) ラミネート外装材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US7297441B2 (en) Nonaqueous-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20080007143A (ko) 전지 전극, 리튬 이온 2차 배터리, 리튬 이온 2차 배터리를 포함하는 집합 배터리 및 차량
KR20010090538A (ko) 비수성-전해질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547085B1 (ko) 고분자 다공성 분리막 및 리튬이온 고분자 전지의 제조방법
KR102337577B1 (ko) 이차 전지
US20050186481A1 (en)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US6767668B2 (en) Solid electrolyte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2001266941A (ja) ゲル電解質電池の製造方法
JP3260310B2 (ja) シート型電極・電解質構造体の製造方法
JPH10261386A (ja) 電池用外装体および電池
JP2001185096A (ja)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44691A (ja) 薄形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51769B1 (ko) 리튬전지셀의 고체전해질 계면형성방법
JPH10162802A (ja) セパレータ、非水電解液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21043A (ja) ポリマー二次電池の製造方法
CN115004441A (zh) 一种电化学装置及包含该电化学装置的电子装置
JP2003157810A (ja) 電 池
JP4018881B2 (ja) 電気化学デバイス
JP3795894B2 (ja) 電源、充電装置及び充電システム
JP3491089B2 (ja) 電気化学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