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516A - 할로겐화 수은-유기물 복합체가 층간 삽입된 다적층 Bi-계 초전도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할로겐화 수은-유기물 복합체가 층간 삽입된 다적층 Bi-계 초전도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516A
KR19990030516A KR1019970050741A KR19970050741A KR19990030516A KR 19990030516 A KR19990030516 A KR 19990030516A KR 1019970050741 A KR1019970050741 A KR 1019970050741A KR 19970050741 A KR19970050741 A KR 19970050741A KR 19990030516 A KR19990030516 A KR 19990030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rcury
organic
intercalated
based superconductor
supercondu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3479B1 (ko
Inventor
권순재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19970050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3479B1/ko
Publication of KR19990030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60/85Superconducting active materials
    • H10N60/855Ceramic superconductors
    • H10N60/857Ceramic superconductors comprising copper oxide
    • H10N60/858Ceramic superconductors comprising copper oxide having multilayered structures, e.g. superlatt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01Manufacture o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할로겐화 수은을 Bi-계 초전도 물질 (Bi2Sr2Cam-1CumOn; m = 1, 2 또는 3이고 m=1일 때 n=6+x, m=2일 때 n=8+y, m=3일 때 n=10+z이며, x,y,z는 각각 0 보다 크고 1 보다 작은 양수이다)에 층간 삽입하고, 삽입된 할로겐화 수은과 유기물-할로겐염을 복합체 반응시켜 할로겐화 수은-유기물 복합체가 층간 삽입된 초전도층-절연층의 다적층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와 같이 하여 생성된 할로겐화 수은-유기물 복합체가 층간 삽입된 Bi-계 층상 초전도 물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할로겐화 수은-유기물 복합체가 층간 삽입된 다적층 Bi-계 초전도체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Bi-계 고온 초전도 물질의 단위 구성 격자 사이에 할로겐화 수은-유기물 복합체가 층간 삽입된 다적층 물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물질의 층간에 할로겐화 수은을 삽입하고 이를 사슬 모양의 유기물과 복합체 반응시켜 제조되는, 산화물 초전도체층과 유기물층이 교대로 반복되는 다적층 초전도 물질 (multilayered superconducting material)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Bi-계 층상 초전도 물질은 Bi, Sr, Ca 및 Cu 등으로 이루어진 산화물로서 구성비 및 단위 격자 내에 들어 있는 구리-산소 평면의 수(m)에 따라 식 Bi2Sr2Cam-1CumOn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m은 1, 2 또는 3이고, n(산소 함량)은 m=1일 때 6+x, m=2일 때 8+y, m=3일 때 10+z이며, x, y 및 z는 각각 0 보다 크고 1 보다 작은 양수이다. 산소 함량은 산소 분압 등의 합성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각 금속 원자 대신에 이온 반경이 비슷한 다른 금속 이온이 위치할 수 있으므로 위 초전도체는 Pb, La, Y, Co, Fe, Ca 등의 금속 원자로 부분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Phys. Rev. B. 41(10), pp6564-6574(1990), T. Tamegai et al "Metal-Insulator Transition in the Bi2Sr2Ca1-xYxCu2O8+ysystem"; 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 28, ppL112-L115(1989), D.B. Mitzi et al "Growth and properties of oxygen- and ion-doped Bi2Sr2CaCu2O8+δsingle crystals"; Physica C, 200, pp215-219(1992), A. Struk et al "Pressure dependence of the superconducing transition temperature of compounds Bi2-yPbySr2Ca1-xYxCu2O8-δ"; Physica C. 225, pp173-180(1994), A.R. West et al "Stoichiometry and Tc of Bi-2201 doped with La, Pr, Nd and Pb" 참조).
Bi-계 초전도체는 공통적으로 약하게 결합된 Bi-O 이중층을 가지고 있어 금속 산화물 격자에 변화를 유발하지 않고 원자 및 분자가 이 이중층 사이에 층간 삽입될 수 있다. 대표적인 초전도 층간 삽입 물질로서는 요오드 (문헌 : Nature, 348, p. 145-147) 및 할로겐화 수은 (문헌 : J. Am. Chem. Soc. 116, 1994 p. 11564-11565)이 층간 삽입된 Bi2Sr2CaCu2On(Bi2212)가 있으나 이들은 층간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Bi-계 초전도 물질에 층간 삽입된 할로겐화 수은과 유기물(양이온)-할로겐(음이온) 염을 반응시킴으로써 할로겐화 수은-유기물이 층간에 삽입된 층상 초전도 물질을 합성하였다. 포화된 알킬 사슬을 갖는 유기물을 층상 초전도 물질에 삽입시킴으로써 알킬 사슬의 길이를 변화시켜 Bi-Sr-Ca-Cu-O로 구성된 산화물 초전도체의 층간 거리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층간 거리가 크게 증가한 유기물-층상 초전도 물질 복합체는 적절한 처리 과정을 거쳐 초전도 미세 분말 및 초전도 박막/선재 제조에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슬 형태의 유기물을 삽입시킴으로써 유기물의 특성을 최대한 이용하여 금속 산화물 초전도체의 층간 거리를 32 Å까지 증가시킬 수 있고, 격자간 거리가 팽창함에도 불구하고 초전도 전이 온도(Tc)는 원물질인 Bi-계 초전도 물질과 비슷한 값을 보인다. 궁극적으로는 단위층을 완전히 격리시켜서 초전도 나노입자 및 초전도 박막/선재의 출발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물질은 초전도층-절연층-초전도층이 반복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절연층의 두께를 임의로 조절가능하므로 초미세 자기 센서 및 X-선 검출기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할로겐화 수은-유기물 복합체가 층간 삽입된 Bi2Sr2CaCu2Oy(Bi2212)에 있어서 알킬 사슬의 탄소수에 따른 X-선 회절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할로겐화 수은-유기물 복합체가 층간 삽입된 Bi2212 초전도체에서의 유기 사슬 길이와 층간 거리 증가에 대한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할로겐화 수은-유기물 복합체가 층간 삽입된 Bi2212 초전도체, HgI2, 층간 삽입물 (HgI2-Bi2212) 및 원물질 (Bi2212)에 대한 직류 자화율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할로겐화 수은-유기물 복합체가 층간 삽입된 Bi2Sr1.6La0.4CuOy(Bi2201) 초전도체에서의 알킬 사슬의 탄소수에 따른 X-선 회절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할로겐화 수은-유기물 복합체가 층간 삽입된 Bi2201 초전도체에서의 유기 사슬 길이와 층간 거리 증가에 대한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할로겐화 수은-유기물 복합체가 층간 삽입된 Bi2201 초전도체, HgI2, 층간 삽입물 (HgI2-Bi2201) 및 원물질 (Bi2201)에 대한 직류 자화율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할로겐화 수은-유기물 복합체가 층간 삽입된 Bi2Sr2Ca2Cu3Oy(Bi2223) 초전도체에 대한 X-선 회절도.
본 발명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할로겐화 수은(mercuric halide)을 Bi-계 초전도체에 층간 삽입시키는 단계, 이들을 유기 할로겐염과 반응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할로겐화 수은으로는 요오드화수은 및 브롬화수은이 가능하고, 유기 할로겐염으로는 알킬 암모늄 할로겐염 (R-NH3+X-), 4차 암모늄 할로겐염 (quaternary ammonium salt), 또는 알킬 피리디늄 할로겐 염(Py-CnH2n+1X; X = Br, I) 등이 가능하나, 초전도 격자에 대한 화학적 안정성이나 층간 삽입의 용이성 면에서 요오드화수은 및 알킬피리디늄-요오드 염의 조합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로겐화 수은이 층간 삽입된 초전도 물질은 Bi-계 초전도 물질과 할로겐화 수은을 진공 상태에서 가열하여 제조한다. 알킬피리디늄의 할로겐화 염은 피리딘과 1-할로겐화 알칸 (CnH2n+1X; X = Br, I)을 디에틸 에테르 또는 헥산을 용매로 하여 같은 화학 당량으로 상온에서 섞어주면 고체 상태로 합성된다. 이를 세척 및 건조 과정을 거친 후 사용한다. 초전도 물질의 할로겐화 수은 삽입물은 용매 존재하에서 알킬피리디늄 할로겐염과 반응시켜 유기물의 양이온의 형태로 초전도체의 층간에 안정화되도록 한다. 이 때 첨가하는 용매는 아세톤과 같은 비수소성 극성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용매에 의한 초전도체 격자의 손실을 막을 수 있고 낮은 온도에서 층간 삽입 반응이 촉진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Bi2Sr2Cam-1CumOn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웃한 Bi-O 이중층이 약한 화학 결합을 하고 있다. 이 이중층 사이에 요오드화수은(HgI2)을 삽입시키고 알킬피리딘의 요오드염(alkylpyridinium iodide)과 반응시킴으로써 층간에 비스(알킬피리디늄)테트라요오드화수은염 (bis(alkylpyridinium)tetraiodomercurate; [(Py-CnH2n+1)2HgI4])이 생성되도록 유도하여, 유기물이 층간 삽입된 Bi-계 고온 초전도체를 합성한다. 이 때 비수소성 극성(aprotic polar)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반응이 균일하게 진행되도록 하고 비교적 낮은 온도인 40-70 ℃에서 합성할 수 있도록 한다.
요오드 및 요오드화수은이 층간 삽입된 Bi-계 초전도체에서는 초전도 전이 온도 (Tc)가 13-16 K 정도 감소하나 본 발명에 의해 합성한 유기물 복합체가 삽입된 초전도체는 직류 자화율 (DC magnetic susceptibility) 측정 결과 오히려 Tc가 2-3 K 정도 증가하였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 더욱 상세히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Bi2O3, SrCO3, CaCo3및 CuO를 2:3:3: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고상 반응으로 840-850 ℃에서 열처리하여 Sr 자리에 Ca가 일부 치환된 Bi2Sr2CaCu2On(명목 조성비 : Bi2Sr1.5Ca1.5Cu2On)를 얻었다. Bi2Sr2CaCu2On, HgI2및 I2를 1:5:0.5의 중량 비율로 파이렉스 유리관에 넣고 진공 상태로 봉한 후 190 ℃에서 2시간, 240 ℃에서 4-5시간 가열하여 요오드화수은이 층간 삽인된 초전도체 [(HgI2)0.5Bi2Sr2CaCu2On]를 얻었다.
요오드화수은이 삽입된 초전도 물질 [(HgI2)0.5Bi2Sr2CaCu2On]에 알킬피리디늄-요오드 염을 2배 이상의 과량으로 넣어서 섞는다. 이 혼합물에 아세톤과 같은 비수소성 극성 용매를 소량 첨가한 후 40-70 ℃에서 6시간 이상 반응시킨 후 세척과 건조 과정을 거쳐서 유기물이 초전도체 층간에 삽입된 물질을 얻었다.
하기 표 1은 각 알킬피리디늄-요오드 염 (n = 1, 4, 8, 12)이 층간 삽입된 Bi2Sr2CaCu2On(Bi2212)의 합성 조건을 요약한 것이다.
화합물 반응물 반응 조건 비고
HgI2-Bi2212 Py-CnH2n+1I
(Py-C1H3)2HgI4-Bi2212 1.0 g n=1; 0.60 g 아세톤/50-70 ℃/6시간 용매없이 90-110 ℃에서 합성해도 됨
(Py-C4H13)2HgI4-Bi2212 1.0 g n=4; 0.72 g 아세톤/40-45 ℃/6시간
(Py-C8H17)2HgI4-Bi2212 1.0 g n=8; 0.88 g 아세톤/40-45 ℃/6시간
(Py-C12H25)2HgI4-Bi2212 1.0 g n=12; 1.10 g 아세톤/40-45 ℃/6시간
본 실험에서는 사용한 알킬 사슬의 길이에 따라 초전도체의 층간 거리가 증가하였다. 도 1은 알킬 사슬의 탄소수 (n = 1, 4, 8 및 12)에 따른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도시하였다. 도 2는 알킬피리디늄의 유기사슬의 길이에 따른 층간 거리 증가를 도시하고 있다. 유기사슬의 길이에 따라 초전도층간 거리가 11 Å에서 32 Å까지 증가한다. 알킬 사슬의 탄소수가 작은 경우(n = 1, 2)는 용매를 가하지 않고 80-100 ℃에서 반응시켜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유기물이 층간 삽입된 Bi-계 초전도체에서는 일반적인 초전도체의 평가에 이용되는 초전도 전이 온도(Tc)는 원물질과 같거나 약간 높은 값을 보였다. 도 3은 유기물이 층간 삽입된 Bi2212의 직류 자화율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
Bi2O3, SrCO3, La2O3및 CuO를 1:1.6:0.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고상 반응으로 840-850 ℃에서 열처리하여 Sr 대신 La 이온이 일부 치환된 Bi2Sr2CuOn(명목 조성비 : Bi2Sr1.6La0.4CuOn)를 얻었다. 유기물이 삽입된 Bi2Sr2CuOn(Bi2201)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요오드화수은이 층간 삽입된 초전도체를 알킬피리디늄-요오드 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었다.
도 4는 상기 유기물이 삽입된 Bi2201 초전도체의 알킬 사슬의 탄소수 (n = 1, 8 및 12)에 따른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도시하였다. 도 5는 알킬피리디늄의 유기사슬 길이에 따른 층간 거리 증가를 도시하고 있으며 유기사슬의 길이에 따라 초전도층간 거리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유기물이 삽입된 Bi2201 [(Py-CnH2n+1)2HgI4-Bi2201]에서도 초전도 전이 온도 (Tc)는 원물질과 같거나 약간 높은 값을 보였다. 도 6은 원물질인 Bi2201과 요오드화수은 및 유기물이 층간 삽입된 Bi2201의 직류 자화율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3>
Bi2O3, PbO, SrCO3, CaCO3및 CuO를 0.9:0.2:2:2: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고상 반응으로 840-850 ℃에서 열처리하여 Bi 대신 Pb가 일부 치환된 Bi2Sr2Ca2Cu3On(명목 조성비 : Bi1.8Pb0.2Sr2Ca2Cu3On)를 합성하였다. 유기물이 삽입된 Bi2Sr2Ca2Cu3On(Bi2223)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요오드화수은을 층간 삽입시키고 여기에 알킬피리디늄-요오드 염을 반응시킴으로써 합성하였다.
도 7은 유기물이 층간 삽입된 Bi2223의 X-선 회절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유기물을 층상 고온 초전도체에 층간 삽입하여 초전도체-절연체의 반복되는 다적층 구조를 가지는 물질을 합성함으로써, 초고진공에서 초전도체 및 절연체를 이루는 성분을 증발시켜 교대로 적층하는 방법보다 비용과 제조 용이성 면에서 월등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층간 삽입되는 유기물의 사슬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초전도체 층간의 절연막의 두께를 균일하고 수월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고온 초전도-유기물 복합체는 저렴한 제조 비용 및 합성의 용이성 등으로 고감도 초전도 센서 및 X-선 감지기 등에 응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적절한 처리 과정을 거쳐 고온 초전도 미세 분말 및 초전도 박막/선재의 출발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Bi-계 초전도체 이외의 층상 초전도체 및 흑연 등의 전도성 층상 물질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초전도층(또는 전도층)-유기물 절연층의 다적층 구조(multilayered structure)를 갖는 신물질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할로겐화 수은-유기물 복합체가 층간 삽입된 식 Bi2Sr2Cam-1CumOn(m = 1, 2 또는 3이고, m=1일 때 n=6+x, m=2일 때 n=8+y, m=3일 때 n=10+z이며, x, y 및 z는 각각 0 보다 크고 1 보다 작은 양수이다)의 Bi-계 초전도체.
  2. 제1항에 있어서, 유기물이 알킬피리디늄 할로겐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계 초전도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할로겐화 수은이 요오드화수은(HgI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계 초전도체.
  4. 제1항에 있어서, 각 금속 이온이 Pb, La, Y, Co, Fe 및 C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른 금속 이온으로 일부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계 초전도체.
  5. Bi-계 초전도체에 할로겐화 수은을 층간 삽입하는 단계, 층간 삽입된 할로겐화 수은과 유기물을 복합체 생성 반응시켜 유기물을 층간 삽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할로겐화 수은-유기물 복합체가 층간 삽입된 식 Bi2Sr2Cam-1CumOn(m = 1, 2 또는 3이고, m=1일 때 n=6+x, m=2일 때 n=8+y, m=3일 때 n=10+z이며, x, y 및 z는 각각 0 보다 크고 1 보다 작은 양수이다)의 Bi-계 초전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유기물이 알킬피리디늄 할로겐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계 초전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할로겐화 수은이 요오드화수은(HgI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계 초전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각 금속 이온이 Pb, La, Y, Co, Fe 및 C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른 금속 이온으로 일부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계 초전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970050741A 1997-10-01 1997-10-01 할로겐화수은-유기물복합체가층간삽입된다적층bi-계초전도체및그제조방법 KR100273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741A KR100273479B1 (ko) 1997-10-01 1997-10-01 할로겐화수은-유기물복합체가층간삽입된다적층bi-계초전도체및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741A KR100273479B1 (ko) 1997-10-01 1997-10-01 할로겐화수은-유기물복합체가층간삽입된다적층bi-계초전도체및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516A true KR19990030516A (ko) 1999-05-06
KR100273479B1 KR100273479B1 (ko) 2000-12-15

Family

ID=1952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741A KR100273479B1 (ko) 1997-10-01 1997-10-01 할로겐화수은-유기물복합체가층간삽입된다적층bi-계초전도체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3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725B1 (ko) * 2000-05-08 2003-04-11 (주)나노하이브리드 초전도체 콜로이드, 이로부터 제조한 초전도체 박막 및 이들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725B1 (ko) * 2000-05-08 2003-04-11 (주)나노하이브리드 초전도체 콜로이드, 이로부터 제조한 초전도체 박막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6794337B1 (en) 2000-05-08 2004-09-21 Jin Ho Choy Superconducting colloids, superconducting thin layers produced therefrom,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3479B1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daelli et al. Structure, doping and superconductivity in HgBa2CaCu2O6+ δ (Tc⩽ 128 K)
JP2859602B2 (ja) 超伝導材料からなる製品の製造方法
Jakubas A new ferroelectric compound:(CH3NH3) 5Bi2Br11
US5510323A (en) Tl1 (Ba1-x Sr8)2 Ca2 Cu3 Oy oxide superconduct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hasanova et al. Superconductivity at 10.2 K in the K–Bi–O system
Calestani et al. Structural modulation and superconducting properties in (Bi, Pb) 2Sr2 (Y, Ca) Cu2Oz
KR100273479B1 (ko) 할로겐화수은-유기물복합체가층간삽입된다적층bi-계초전도체및그제조방법
US5300482A (en) Oxide superconductors
Nameki et al. Effects of lanthanoid substitution on superconductivity and modulated structure of Bi2Sr2CuOy
Al-Shakarchi et al. The Conductivity Mechanism in an Hg-Ba-Ca-Cu-O High-T c Superconductor
DE3817319C2 (ko)
Muraoka et al. Structural and superconducting properties of iodine-intercalated Bi2Sr2Ca1− xYxCu2Oz
US5262393A (en) Layered copper oxides (R.sub.(1+x) Ce.sub.(2-x))Sr2 Cu2 (M1-y Cuy)O11 wherein R is a rare earth element and M is one or both of Pb and Tl
Reller et al. Alternate structure for Ba 2 YCu 3 O 7
JP2703036B2 (ja) 超伝導物質
JPH0680420A (ja) 銅酸化物材料
JP2820082B2 (ja) 超伝導物質
Manivannan et al. Structure and superconducting properties of a new family of thallium cuprates, TlSr3− xLnxCu2O7
US5670458A (en) Oxide supercondu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04214027A (ja) 酸化物超電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671879B2 (ja) 超伝導物質
Majewski Phase Equilibria and Crystal Chemistry of the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Compounds of the System Bi203-SrO-CaO-CuO
Yang et al. Superconductivity in the triple-perovskite La-Ca-Ba-Cu-O system
Choy et al. Intercalation route to new superconducting and insulating hybrid systems, M–X–Bi2Sr2Can− 1CunOy (M= Hg, Ag; X= Br, I; Py= pyridine; n= 1, 2)
Subramanian et al. Superconductivity in Tl1− xCdxBaLaCuO5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