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453U - 실린더 블록의 냉각수 통로 부식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실린더 블록의 냉각수 통로 부식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453U
KR19990030453U KR2019970043145U KR19970043145U KR19990030453U KR 19990030453 U KR19990030453 U KR 19990030453U KR 2019970043145 U KR2019970043145 U KR 2019970043145U KR 19970043145 U KR19970043145 U KR 19970043145U KR 19990030453 U KR19990030453 U KR 199900304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cylinder block
corrosion
water passa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3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0453U/ko
Publication of KR199900304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453U/ko

Links

Landscapes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엔진의 실린더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린더 블록의 냉각수통로에 부주의로 방청성분이 부족한 부동액이 채워질 경우 냉각수통로의 벽면에 부식 발생을 막고, 냉각수 통로를 원활히하여 냉각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데 주안점을 둔 실린더 블록의 냉각수 통로 부식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의 실린더 보어(110)와, 이 실린더 보어(110)의 둘레로 냉각수통로(120)를 갖는 주철재의 실린더 블록(100)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통로(120)의 벽면(121)에 냉각수에 의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부식방지수단으로 실린더 블록(100)의 소재보다 산화하기 쉬운 아연도금층(13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린더 블록의 냉각수 통로 부식방지 구조
본 고안은 엔진의 실린더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린더 블록의 냉각수통로에 부주의로 방청성분이 부족한 부동액이 채워질 경우 냉각수통로의 벽면에 부식 발생을 막고, 냉각수 통로를 원활히하여 냉각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데 주안점을 둔 실린더 블록의 냉각수 통로 부식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엔진에는 기관의 과열을 방지하고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냉각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엔진의 냉각장치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이 수냉식 냉각장치로, 엔진의 냉각에 냉각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냉각수는 대기와 접해있는 열교환기(10)(라디에이터)내에 저장되어 물펌프(12)에 의해 펌핑되어 엔진(20)의 실린더 블록(100)과 실린더 헤드(200)내의 냉각수통로를 순환하고, 수온조절수단(수온조절기)(50)에 의해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일 경우 다시 실린더 블록(100)과 실린더 헤드(200)를 재순환하고, 반대로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일 경우에 열교환기(10)로 순환하게 된다. 이때 열교환기(10)를 통과하는 냉각수는 전도와 대류를 통해 대기로 열을 방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10)의 후방에는 송풍팬(30)이 배설되어 있어 엔진(20)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 이를 수온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엔진제어장치(ECU)에 의해 송풍팬(30)을 일정시간 회전시켜서 상기 열교환기(10)에 바람을 불어넣어서 냉각수의 냉각효과를 상승시키게 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 냉각장치는 엔진의 과열을 방지하여 엔진내의 모든 작동부품(예컨대 피스톤, 밸브 등)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하고 엔진의 정상적인 구동을 얻는 데 있다.
그런데 실린더 블록(100)의 냉각수통로(120)에 부주의로 방청성분이 부족한 부동액이 채워질 경우 냉각수통로(120)의 벽면에 부식이 발생하고 녹이 슬어, 냉각수통로(120)가 막히게 되면 냉각수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냉각성능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특히 냉각수통로의 막힘이 일어나는 곳은 실린더블록(100)에서 실린더 헤드(200)로 연결되는 냉가수통로 연결 부분이다.
이러한 엔진의 냉각저하는 기관의 과열을 초래하여 피스톤, 밸브 등의 소착 등을 일으켜 엔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린더 블록의 냉각수통로에 부주의로 방청성분이 부족한 부동액이 채워질 경우 냉각수통로의 벽면에 부식 발생을 막고, 냉각수 통로를 원활히하여 냉각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데 주안점을 둔 실린더 블록의 냉각수 통로 부식방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원통형의 실린더 보어와, 이 실린더 보어의 둘레로 냉각수통로를 갖는 실린더 블록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통로의 벽면에 냉각수에 의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부식방지수단으로 아연도금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부식방지수단으로 인산염피막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부식방지수단으로 냉각수 통로의 벽면에 다수개의 아연 블록을 부착하여 달성된다.
상기의 수단에 의하면 실린더 블록의 냉각수가 아연도금층, 또는 인산염 피막층에 접촉하기 때문에 냉각수통로의 벽면에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수단에 의하면 아연 블록이 실린더 블록보다 먼저 산화되기 쉽기 때문에 냉각수통로의 벽면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엔진의 냉각수 순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실린더 블록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실린더 블록의 평면도.
도 4,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실린더 블록의 종단면도 및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실린더 블록 110 : 실린더 보어
120 : 냉각수 통로 121 : 벽면
130 : 아연도금층 140 : 아연 블록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실린더 보어(110)와, 이 실린더 보어(110)의 둘레로 냉각수통로(120)를 갖는 주철재의 실린더 블록(100)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통로(120)의 벽면(121)에 냉각수에 의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부식방지수단으로 실린더 블록(100)의 주철 소재보다 산화하기 쉬운 아연도금층(130)을 형성한 구성이다.
상기 아연도금층(130)의 형성은 실린더 블록(100)의 주물제작 후 디핑(DIPPING)공정을 통해 냉각수통로(120)의 벽면(121)에 형성시킨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실린더 블록(100)의 냉각수통로(120)의 벽면(121)에 전기아연도금을 하여 아연도금층(130)을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식방지수단으로는 아연도금에 대체하여 인산염피막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 상기 부식방지수단으로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00)의 냉각수 통로(120)의 벽면(121)에 다수개의 아연 블록(140)을 부착하여 냉각수통로(120)의 벽면(121)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냉각수통로(120)의 벽면(121)에 아연 블록(140)을 설치하면, 냉각수통로(120)로 흐르는 냉각수는 아연 블록(140)이 실린더 블록(100)의 소재보다 산화하기가 쉬우므로 아연 블록(140)을 먼저 산화시키게 되고, 이 아연 블록(140)이 완전히 산화되기 전까지는 냉각수통로(120)를 부식에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실린더 블록(100)내의 냉각수가 산화되기 쉬운 아연도금층(130), 또는 인산염 피막층에 접촉하기 때문에 냉각수통로(120)의 벽면(121) 부식을 방지할 수 잇고, 이러한 냉각수통로(120)의 벽면(121) 부식방지로 냉각수 통로(120)가 막히는 일은 없다.
따라서 냉각수통로(120)에 부주의로 방청성분이 부족한 부동액이 채워질 경우 냉각수통로(120)의 벽면(121)에 부식 발생을 막고, 냉각수 통로(120)를 막힘이 없이 원활히하여 냉각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아연 블록(140)이 주철재의 실린더 블록(100) 보다 먼저 산화되기 쉽기 때문에 냉각수통로(120)의 벽면(121)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실린더 블록내의 냉각수가 산화되기 쉬운 아연도금층, 또는 인산염 피막층에 접촉하기 때문에 냉각수통로의 벽면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냉각수통로의 벽면 부식방지로 냉각수 통로가 막히는 일은 없다.
따라서 냉각수통로에 부주의로 방청성분이 부족한 부동액이 채워질 경우 냉각수통로의 벽면에 부식 발생을 막고, 냉각수 통로를 막힘이 없이 원활히 하여 냉각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원통형의 실린더 보어(110)와, 이 실린더 보어(110)의 둘레로 냉각수통로(120)를 갖는 주철재의 실린더 블록(100)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통로(120)의 벽면(121)에 냉각수에 의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부식방지수단으로 실린더 블록(100)의 소재보다 산화하기 쉬운 아연도금층(13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블록의 부식방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방지수단으로 인산염피막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블록의 부식방지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방지수단으로 냉각수 통로(120)의 벽면(121)에 다수개의 아연 블록(140)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블록의 부식방지 구조.
KR2019970043145U 1997-12-30 1997-12-30 실린더 블록의 냉각수 통로 부식방지 구조 KR199900304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145U KR19990030453U (ko) 1997-12-30 1997-12-30 실린더 블록의 냉각수 통로 부식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145U KR19990030453U (ko) 1997-12-30 1997-12-30 실린더 블록의 냉각수 통로 부식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453U true KR19990030453U (ko) 1999-07-26

Family

ID=69696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145U KR19990030453U (ko) 1997-12-30 1997-12-30 실린더 블록의 냉각수 통로 부식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045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87995A (zh) * 2023-09-27 2023-11-03 江苏嘉轩智能工业科技股份有限公司 永磁直驱滚筒水冷通道的防腐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87995A (zh) * 2023-09-27 2023-11-03 江苏嘉轩智能工业科技股份有限公司 永磁直驱滚筒水冷通道的防腐工艺
CN116987995B (zh) * 2023-09-27 2023-12-26 江苏嘉轩智能工业科技股份有限公司 永磁直驱滚筒水冷通道的防腐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3969B2 (en) Engine cooling system
KR19990030453U (ko) 실린더 블록의 냉각수 통로 부식방지 구조
US6214136B1 (en) Light-alloy casting heat treatment method
CN210152767U (zh) 一种集成式汽车发动机冷却装置
JP3905426B2 (ja) シリンダブロック用スペーサ
KR100203417B1 (ko) 차량용 냉각 시스템
KR100331112B1 (ko) 실린더 헤드 가스켓의 냉각홀 구조
KR950005727Y1 (ko) 차량용 써지탱크의 네크 슬리브
KR19980040525A (ko) 자동차 엔진의 실린더블록의 냉각구조
KR950000875Y1 (ko) 전자레인지의 마그네트론 냉각구조
KR19980073093A (ko) 엔진의 부식 방지 방법 및 장치
KR19980052303U (ko) 차량의 수냉 엔진의 냉각장치
KR20230070728A (ko) 엔진 냉각수 밸브의 제어 방법
KR0182103B1 (ko) 냉각수 유동 촉진구조
KR19980022553A (ko) 자동차 엔진의 실린더블록의 냉각구조
KR19980047565U (ko) 차량용 냉각 시스템의 공기 배출장치
KR19980048990U (ko) 필터가 부착된 자동차의 냉각수 순환구조
KR19980049488A (ko) 냉각핀을 가지는 자동차용 실린더 블럭
KR19980020783U (ko) 엔진의 실린더헤드 냉각성능 향상구조
KR19980036797A (ko) 차량의 냉각수 온도제어용 써머스타트구조
KR19980044609U (ko) 엔진오일 냉각장치
KR19990020861U (ko) 엔진 오일 팬의 냉각 구조
KR19980026968A (ko) 차량의 냉각수 온도 조절장치
KR19980061033U (ko) 오일쿨러탱크 누수방지 구조
KR19980029185A (ko) 자동차 엔진 실린더블록의 냉각수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