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094U -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094U
KR19990030094U KR2019970042765U KR19970042765U KR19990030094U KR 19990030094 U KR19990030094 U KR 19990030094U KR 2019970042765 U KR2019970042765 U KR 2019970042765U KR 19970042765 U KR19970042765 U KR 19970042765U KR 19990030094 U KR19990030094 U KR 199900300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guide member
jig
alignment devic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기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70042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0094U/ko
Publication of KR199900300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094U/ko

Links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플라인의 공작물을 회전 실린더를 작동시켜 지그 캠부와 공작물 캠부를 서로 일치하여 자동으로 공작물을 삽입하도록 한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부에 설치된 보조 지지대(52)에 연결되는 프레임(56)과; 지지대(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하 구동 엘엠 가이드(16)와; 상,하 구동 엘엠 가이드(16)의 일측에 설치되며, 그 일측에는 감지센서(38)가 설치되고, 그 타측에는 2단 실린더(36)가 연결되는 가이드 부재(18)와; 가이드 부재(18)의 상부에 장력 스프링(24)을 게재하여 설치되는 슬리이브(26)와; 가이드 부재(18)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 실린더(20)와; 슬리이브(26)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그(30)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본 고안의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는, 공작물과 캠 형상의 지그가 상호 일치하지 않을 경우 슬리이브를 이동시켜 센서를 오프한 상태에서 회전 실린더를 동작시켜 공작물을 지그에 삽설하게 되므로 공작물을 자동으로 체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
본 고안은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플라인의 공작물을 회전 실린더를 작동시켜 지그 캠부와 공작물 캠부를 서로 일치하여 자동으로 공작물을 방향정렬 되도록 한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작기계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동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실린더의 하부에는 플로팅 조인트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플로팅 조인트는 체결수단에 의해 가이드 판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판의 소정부위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가이드 축이 설치되고, 가이드 판의 하부에는 공작물을 파지하는 지그가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작기계는 공작물(예를들어, 중앙이 개방된 캠)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한 개씩 소정의 지그에 위치시키고 별도의 구동수단을 동작시키면서 공작물을 검사하게 되어 많은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공작물을 지그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승시킨 후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하여 공작물을 자동으로 배치 및 정렬되도록 한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공작물 캠부와 지그 캠부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회전 실린더를 이용하여 지그 캠부가 공작물 캠부에 일치하여 삽입되도록 한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된 보조 지지대에 연결되는 프레임과;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하 구동 엘엠 가이드와; 상,하 구동 엘엠 가이드의 일측에 설치되며, 그 일측에는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그 타측에는 2단 실린더가 연결되는 가이드 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상부에 장력 스프링을 게재하여 설치되는 슬리이브와; 가이드 부재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 실린더와; 슬리이브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그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의 정단면도,
도 2은 도 1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지지대 12 : 베이스 플레이트
16 : 상,하 구동 엘엠 가이드 18 : 가이드 부재
20 : 회전 실린더 26 : 슬리이브
38 : 감지 센서 42 : 스토퍼
50 : 구동원 52 : 보조 지지대
56 : 프레임 60 : 공작물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는 본 고안의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2은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는 지지대(10)의 상부 일측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2)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0)의 측면 일측에는 상,하 구동 엘엠(LM) 슬라이드(16)가 설치된다.
상기 엘엠 슬라이드(16)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이드 부재(18)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18)의 하부에는 회전 실린더(20)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18)의 상부 중앙에는 텐션 스프링(24)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슬리이브(2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슬리이브(26)의 상부에는 캠 형상의지그(30)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18)의 측면 일측에는 감지센서(38)가 설치되며, 그 타측에는 2단 실린더(3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18)의 중앙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축(19)이 형성되고 그 외주연에는 베어링 하우징(21)이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 실린더(20)의 하부에는 스토퍼(42)가 설치되어 회전 실린더(20)의 이동을 규제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일측에는 보조 지지대(52)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지지대(52)에는 구동원(50)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지지대(52)의 타측에는 연결축(54)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축(54)에는 절곡된 형태의 프레임(56)이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56)의 중앙에는 공작물(60)이 설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호퍼(Hopper)로부터 프레임(56)의 양측으로 공작물(60)을 앞,뒤를 구분하여 정렬한 후 캠형상의 공작물과 이와 동일한 모양으로 제작한 지그(30)를 회전 실린더(20)를 이용하여 상승시킨 후 장력 스프링(24)의 탄성을 이용하여 공작물(60)과 지그(30)를 일치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공작물(60)과 지그(30)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슬리이브(26)를 밀고 감지 센서(38)를 오프로 하게 된다. 이때, 감지 센서(38)가 오프된 신호를 받아 가이드 부재(18)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 실린더(20)를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지그(30)와 공작물(60)을 서로 일치시킬 수 있다. 이때, 장력 스프링(24)에 의해 밀리게 된 슬리이브(26)는 다시 복원되고 감지 센서(38)가 온되게 된다.
이와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공작물(60)을 지그(30)에 정확하게 자동으로 배치하면서 연속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는, 공작물과 캠 형상의 지그가 상호 일치하지 않을 경우 슬리이브를 이동시켜 센서를 오프한 상태에서 회전 실린더를 동작시켜 공작물을 지그에 삽설하게 되므로 공작물을 자동으로 체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된 보조 지지대에 연결되는 프레임과;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하 구동 엘엠 가이드와;
    상기 상,하 구동 엘엠 가이드의 일측에 설치되며, 그 일측에는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그 타측에는 2단 실린더가 연결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부에 장력 스프링을 게재하여 설치되는 슬리이브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 실린더와;
    상기 슬리이브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그 중앙에 축이 형성되고, 그 외주에는 베어링 하우징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실린더의 하부측에는 상기 회전 실린더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
KR2019970042765U 1997-12-29 1997-12-29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 KR199900300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765U KR19990030094U (ko) 1997-12-29 1997-12-29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765U KR19990030094U (ko) 1997-12-29 1997-12-29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094U true KR19990030094U (ko) 1999-07-26

Family

ID=6968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765U KR19990030094U (ko) 1997-12-29 1997-12-29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009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877B1 (ko) * 2006-10-28 2008-08-19 김재준 자동가공 공급장치
KR20220152698A (ko) 2021-05-10 2022-11-17 전동진 Cnc 가공장치용 얼라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cnc 가공 대상의 얼라인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877B1 (ko) * 2006-10-28 2008-08-19 김재준 자동가공 공급장치
KR20220152698A (ko) 2021-05-10 2022-11-17 전동진 Cnc 가공장치용 얼라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cnc 가공 대상의 얼라인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117612T1 (de) Verfahren zum montieren von wellenlagern, insbesondere in drehgebern, montiervorrichtung dafür und erzielte drehgeber.
DE3866489D1 (de) Vorrichtung zum aufspannen eines werkstueckes oder werkzeuges.
RU214415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рессовки подшипников
DE59005503D1 (de) Trägerstreifen für pulverkraftbetriebene Setzgeräte.
BRPI0417483A (pt) aparelho de retificação
KR19990030094U (ko) 공작물 자동 정렬장치
DE69835907D1 (de) Vorrichtung zur Positionierung von Socken für automatische Maschinen zum Formen von Socken
DE50002044D1 (de) Biegemaschine für flachmaterial
JPS62251026A (ja) 止め輪の自動插入装置
KR19990057214A (ko) 쇼크업소버의 캡 자동 조립 장치 및 그 방법
US20040242391A1 (en) Pivoting type tool pot
KR0145966B1 (ko) 호이스트이송장치에 설치된 안전가이드
KR200312868Y1 (ko) 피니언치홈흔들림체크장치
KR100195100B1 (ko) 링크트랙컨베이어
JPH06182634A (ja) クランクピン圧入用治具
KR100532375B1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검사 시스템
KR970000956Y1 (ko) 자동 넘버링장치
KR960003472B1 (ko) 고무캡 삽입장치
KR19980051232U (ko) 피니언 워크의 치형 동심도 검사장치
KR100198272B1 (ko) 팔레트 로케이팅장치
KR100241389B1 (ko) 커넥팅 로드용 측정설비의 로딩 위치 제어장치
JPS6240984Y2 (ko)
KR970065811A (ko) 단추 자동이송장치의 중심 이동장치
ATA320288A (de)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werkzeug- oder teilewechsel an maschinen
KR19980066923A (ko) 회전축의 위치 결정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