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056U -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056U
KR19990030056U KR2019970042727U KR19970042727U KR19990030056U KR 19990030056 U KR19990030056 U KR 19990030056U KR 2019970042727 U KR2019970042727 U KR 2019970042727U KR 19970042727 U KR19970042727 U KR 19970042727U KR 19990030056 U KR19990030056 U KR 199900300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onnecting rod
oil
crankshaft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42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0056U/ko
Publication of KR199900300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056U/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에 관한 것으로, 커넥팅로드몸체(21)에 피스톤(7)과 연결되는 피스톤 연결부(23)로 오일(L)을 공급하는 오일공급유로(30)를 형성하여 피스톤 연결부(23)와 피스톤핀(7') 사이의 마찰부를 적절하게 윤활시켜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오일안내유로(30)는 상기 커넥팅로드몸체(21)의 일측 표면에서부터 피스톤 연결부(23)까지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안내유로(30)는 상기 커넥팅로드몸체(21)로부터 상기 피스톤 연결부(23)까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피스톤(7)과 커넥팅로드(20)의 피스톤 연결부(23) 사이의 마멸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팅로드와 피스톤이 연결되는 부위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커넥팅로드와 피스톤핀 사이의 접촉부위의 마멸을 방지하도록 된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팅로드 방식의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부용기(1t)와 하부용기(1b)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1)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용기(1)의 내부에는 프레임(2)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에는 고정자(3)가 고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프레임(2)은 스프링(2S)에 의해 밀폐용기(1)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크랭크축(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축(5)에는 회전자(4)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3)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5)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축(5)의 상단에는 편심핀(5b)이 상기 크랭크축(5)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편심핀(5b)이 형성된 반대쪽에는 균형추(5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축(5)의 하단에는 하부용기(1b)의 저면에 있는 오일(L)을 크랭크축(5)에 형성되어 있는 오일유로(5a)로 빨아 올리기 위한 프로펠러(5d)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내부에 압축실(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 실린더(6)가 상기 프레임(2)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실에는 피스톤(7)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피스톤(7)은 상기 크랭크축(5)의 편심핀(5b)과 커넥팅로드(8)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편심핀(5b)은 상기 커넥팅로드(8)의 크랭크축연결부(8a)와 연결되고, 피스톤(7)과 커넥팅로드(8)의 피스톤연결부(8b)는 피스톤핀(7')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6)의 선단에는 상기 압축실로 유입되고 배출되는 냉매를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9)가 설치된다. 도면 부호 10은 헤드커버이고, 12은 냉매를 밀폐용기(1)의 내부로 전달하는 흡입파이프이고, 13은 압축된 냉매를 압축기의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파이프이다.
한편 냉매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흡입머플러(15)가 상기 밸브어셈블리(9)를 통해 실린더(6) 내부에 있는 압축실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압축기는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회전자(4)와 고정자(3)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자(4)가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자(4)와 일체로 상기 크랭크축(5)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크랭크축(5)이 회전하면 상기 크랭크축(3)에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는 편심핀(5b)이 원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편심핀(5b)과 연결되어 있는 커넥팅로드(8)가 상기 편심핀(5b)과 연통되어 상기 피스톤(7)을 직선왕복운동하게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와 같이 피스톤(7)이 압축실 내에서 직선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켜 주게 된다.
한편, 압축기의 작동 중에 마찰이 발생되는 부위에 공급되어 윤활작용을 함과 동시에 열이 발생되는 부위에 공급되어 냉각작용을 하는 오일(L)이 공급되는 것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크랭크축(5)이 회전하면, 그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펠러(5d)가 함께 회전하면서 하부용기(1b)에 있는 오일(L)을 상기 크랭크축(5)에 있는 오일유로(5a)로 전달하게 된다. 오일유로(5a)로 전달된 오일(L)은 크랭크축(5)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오일유로(5a)를 따라 크랭크축(5)의 상단부까지 전달된다. 이와 같이 전달된 오일(L)은 상기 편심핀(5b)의 상단에서 비산되어 마찰부위와 냉각이 필요한 부위로 전달된다.
그러나, 피스톤(7)과 커넥팅로드(8)의 피스톤연결부(8b)가 피스톤핀(7')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부위는 실린더(6)의 내부에 있으므로, 비산되는 오일(L)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연결부(8b)의 내면과 피스톤핀(7')의 표면은 오일(L)이 없는 상태에서 금속끼리 마찰하면서 상대적인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부위에서 심하게 마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팅로드와 피스톤이 연결되어 있는 부위에 오일을 보다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와 그 연결부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밀폐용기2 : 프레임
3 : 고정자4 : 회전자
5 : 크랭크축5a : 오일유로
5b : 편심핀5c : 균형추
5d : 프로펠러6 : 실린더
7 : 피스톤8 : 커넥팅로드
9 : 밸브어셈블리10 : 실린더헤드
15 : 흡입머플러20 : 커넥팅로드
21 : 커넥팅로드몸체22 : 크랭크축 연결부
23 : 피스톤 연결부30 : 오일안내유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크랭크축과 연결되는 크랭크축 연결부와, 피스톤과 연결되는 피스톤 연결부와, 표면 일측에서부터 상기 피스톤 연결부까지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 연결부로 오일을 안내하는 오일안내유로가 형성된 커넥팅로드몸체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일안내유로는 상기 피스톤 연결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커넥팅로드와 피스톤이 피스톤핀으로 연결되어 있는 부위에의 윤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이 부위의 마멸이 방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것은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크랭크축(5)의 회전을 피스톤(7)의 왕복직선운동으로 바꾸어주는 커넥팅로드(20)의 몸체(21)의 양측에는 각각 크랭크축 연결부(22)와 피스톤 연결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축 연결부(22)는 그 직경이 상기 피스톤 연결부(23)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축(5)의 편심핀(5b)이 끼워져 크랭크축(5)과 커넥팅로드(20)가 연결되게 한다.
상기 피스톤 연결부(23)는 피스톤(7)과 커넥팅로드(20)의 연결을 위한 부분으로, 피스톤핀(7')이 끼워져 상기 피스톤 연결부(23)와 피스톤(7)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로드몸체(21)에는 상기 크랭크축 연결부(22)로부터 피스톤 연결부(23)까지 연결된 오일안내유로(3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일안내유로(30)는 상기 편심핀(5b) 상부로 비산되었다가 낙하되는 오일(L)을 피스톤 연결부(23)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일안내유로(30)는 상기 커넥팅로드몸체(21)의 표면 일측에서부터 상기 피스톤 연결부(23)의 내경면까지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안내유로(30)는 상기 피스톤 연결부(23)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서 오일(L)이 상기 피스톤 연결부(23)로 전달되는 것을 설명한다.
압축기가 동작되기 시작하면 상기 회전자(4)의 회전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5)이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축(5)이 회전되면 상기 편심핀(5b)이 원을 그리면서 회전하면서 커넥팅로드(20)를 구동시킨다. 상기 커넥팅로드(20)는 그 피스톤 연결부(23)의 피스톤핀(7')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면서 상기 피스톤(7)을 직선왕복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피스톤(7)이 직선왕복운동하게 되면 압축실에서 냉매의 압축이 진행된다.
한편, 상기 크랭크축(5)이 회전되면 그 하단부의 프로펠러(5d)도 함께 회전되면서 오일(L)을 오일유로(5a)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오일유로(5a)로 전달된 오일(L)은 크랭크축(5)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상기 오일유로(5a)를 따라 상승하면서 마찰부위와 냉각이 필요한 부위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편심핀(5b)까지 전달된 오일(L)은 원을 그리면서 회전하는 편심핀(5b)의 상부로 비산된다.
상기와 같이 편심핀(5b)의 상부로 비산된 오일(L) 중 일부는 상기 커넥팅로드(20)의 오일안내유로(30)로 전달된다. 상기 오일안내유로(30)로 전달된 오일(L)은 피스톤 연결부(23)로 안내되어 상기 피스톤핀(7')과 피스톤 연결부(23) 사이의 마찰부위로 전달되어 윤활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일(L)은 상기 오일안내유로(30)의 경사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상기 피스톤 연결부(23)로 전달된다.
이처럼 오일이 상기 피스톤핀(7')과 피스톤 연결부(23) 사이의 마찰부위로 전달되어 윤활작용을 하게 되면 이 부위가 항상 적절한 윤활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팅로드는 피스톤과 연결되는 피스톤 연결부로 오일을 안내하는 오일안내유로를 그 몸체의 표면 일측에서부터 상기 피스톤 연결부로 관통하여 형성하였으므로, 커넥팅로드의 피스톤 연결부와 피스톤핀 사이의 마찰부로 항상 적절한 양의 오일이 공급될 수 있어 이 부위의 마멸이 줄어들게 되어 압축기의 내구성과 신뢰성이 향상된다.

Claims (2)

  1. 크랭크축과 연결되는 크랭크축 연결부와,
    피스톤과 연결되는 피스톤 연결부와,
    표면 일측에서부터 상기 피스톤 연결부까지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 연결부로 오일을 안내하는 오일안내유로가 형성된 커넥팅로드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안내유로는 상기 피스톤 연결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KR2019970042727U 1997-12-29 1997-12-29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KR199900300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727U KR19990030056U (ko) 1997-12-29 1997-12-29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727U KR19990030056U (ko) 1997-12-29 1997-12-29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056U true KR19990030056U (ko) 1999-07-26

Family

ID=6968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727U KR19990030056U (ko) 1997-12-29 1997-12-29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005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575B1 (ko) * 2002-01-23 2003-12-3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575B1 (ko) * 2002-01-23 2003-12-3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836B1 (ko) 밀폐형압축기의 오일공급구조
KR100816835B1 (ko) 밀폐형압축기의 오일공급구조
KR19990060438A (ko)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오일공급구조
KR100871129B1 (ko) 밀폐형압축기의 커넥팅로드 오일공급구조
KR19990030056U (ko)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KR100816832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KR200224989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크랭크축 편심핀 급유구조
KR20010003772A (ko) 밀폐형 압축기
KR100275876B1 (ko) 전동 압축기의 오일 공급구조
KR200382901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KR200205396Y1 (ko) 전동압축기의 운동변환부 오일공급구조
KR100288922B1 (ko) 전동압축기의 크랭크축 편심핀 급유구조
KR10023404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급유구조
KR100871131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크랭크축과 커넥팅로드 연결구조
KR100296102B1 (ko) 압축기의오일공급구조
KR100395950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공급구조
KR100745711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펌핑장치
KR100745803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크랭크축 오일안내구조
KR19990030039U (ko) 전동압축기의 오일공급구조
KR200165732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 공급장치
KR100487777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과 커넥팅로드 연결구조
KR100297431B1 (ko) 밀폐형압축기의소단부마모방지구조
KR100487961B1 (ko) 이중용량 압축기의 래칭기구
KR100703664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 오일공급구조
KR200184101Y1 (ko) 압축기의 프레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