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934U - 자동차 도어트림의 그립핸들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트림의 그립핸들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934U
KR19990029934U KR2019970042603U KR19970042603U KR19990029934U KR 19990029934 U KR19990029934 U KR 19990029934U KR 2019970042603 U KR2019970042603 U KR 2019970042603U KR 19970042603 U KR19970042603 U KR 19970042603U KR 19990029934 U KR19990029934 U KR 199900299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handle
door trim
clip
mounting structur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국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2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9934U/ko
Publication of KR199900299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934U/ko

Links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그립핸들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립핸들의 상하측 고정부에 이탈방지를 위한 벌림용 걸림홈을 구비하는 클립을 설치하고 클립의 중앙부까지 관통된 핀공에 끼워지는 착탈핀을 이용하여 클립을 선택적으로 오므리거나 벌려주도록 하므로서 그립핸들의 착탈이 신속 용이하게함과 아울러 구멍을 마감하는 별도의 캡이 필요없어 미관의 개선을 추구할 수 있으며, 부품이 절감되어 제조공정의 단순화로 인한 생산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트림의 그립핸들 장착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그립핸들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립핸들의 상하측 고정부에 이탈방지를 위한 벌림용 걸림홈을 구비하는 클립을 설치하고 클립의 중앙부까지 관통된 핀공에 끼워지는 착탈핀을 이용하여 클립을 선택적으로 오므리거나 벌려주도록 하므로서 그립핸들의 착탈이 신속 용이하게함과 아울러 구멍을 마감하는 별도의 캡이 필요없어 미관의 개선을 추구할 수 있으며, 부품이 절감되어 제조공정의 단순화로 인한 생산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존에 알려진 그립핸들의 장착 구조는 도 1에서와 같이 도어트림(DT)의 아암레스트(AR)의 일부를 절취시켜 삽지부(2)를 구비시키고 이곳과 도어트림(DT)의 상측에 각각 체결공(H)을 천공하되 상기 삽지부(2)에 끼워져 고정되는 하부체(1')에 일체로 구성된 그립핸들(1)을 보울트(B)를 이용하여 체결 장착하며,
그립핸들(1)과 하부체(1')에 천공된 보울트공(BH)에는 미관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마감용 캡(C)을 끼워주도록 한 것이나,
이는 도어트림(DT)의 탈착시 마감용 캡(C)을 빼낸 다음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보울트(B)를 풀러 도어 인너패널(IP)에서 도어트림(DT)을 분리시키게 되는 것이나 마감용 캡(C)의 결합이 주로 강제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므로 빼냄시 끝이 예리한 공구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이탈시켜야 하는 것이어서 마감용 캡(C)이 연부와 구멍의 연부가 손상되어 미관을 크게 저해하게 됨과 동시에 작업의 난해성으로 인해 탈착작업에 시간과 인력의 소모가 크게 되며,
부품수가 많아 제조공정이 증가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폐단이 노출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그립핸들의 착탈이 신속 용이하게함과 아울러 구멍을 마감하는 별도의 캡이 필요없어 미관의 개선을 추구할 수 있으며, 부품이 절감되어 제조공정의 단순화로 인한 생산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그립핸들의 상하측 고정부에 이탈방지를 위한 벌림용 걸림홈을 구비하는 클립을 설치하고 클립의 중앙부까지 관통된 핀공에 끼워지는 착탈핀을 이용하여 클립을 선택적으로 오므리거나 벌려주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그립핸들 장착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그립핸들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인 클립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요부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T:도어트림 AR:아암레스트
1:그립핸들 1':하부체
2:삽지부 3,3':끼움공
4,4':클립 4A:벌림용 걸림홈
4B:걸림턱 5,5':핀공
6:착탈핀 6':벌림용 융출부
첨부도면의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관한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어트림(DT)의 아암레스트(AR)의 일부를 절취시켜 삽지부(2)를 구비시키고 이 삽지부(1)와 도어트림(DT)에 각각 끼움공(3)(3')을 천공하되 상기 끼움공(3)(3')에 끼워져 고정되는 하부체(1')를 포함하는 그립핸들(1)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1')와 그립핸들(1)상단에 일체로 구성되며 내외측면에 각각 벌림용 걸림홈(4A)과 걸림턱(4B)을 구비하는 클립(4)(4')과;
상기 클립(4)(4')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하부체(1')와 그립핸들(1)에 천공되는 핀공(5)(5')과;
상기 핀공(5)(5')에 끼워지며 선단부에 몸퐁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구(求)형의 벌림용 융출부(6')를 일체로 구비하는 착탈핀(6)을 각각 결합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 도면중 미설명 부호 *
(IP)는 도어 인너 패널이고, (H)는 도어 인너 패널의 체결공을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 핸들그립(1)의 장착시에는 착탈핀(6)을 후퇴시켜 융출부(6')가 도 4의 실선과 같이 벌림홈(4A)에서 벗어나도록 하여 착탈핀(6)의 단부가 핀공(5)(5')의 외부로 소정길이 만큼 돌출되도록 한 다음 하부체(1')와 그립핸들(1)상단에 일체로 구성된 클립(4)(4')을 끼움공(3)(3')을 통해 도어 인너 패널(IP)의 체결공(H)에 대고 눌러주면 클립(4)(4')의 걸림턱(4B)이 오므라 지면서 체결공(H)을 통과해 도 3의 실선과 같이 체결된다.
체결이 완료되면 돌출된 착탈핀(6)의 후단부를 고무망치 등을 이용하여 타격하면 융출부(6')이 안으로 이동되면서 클립(4)(4')을 외향으로 벌려지게함과 동시에 도 4의 가상선에서와 같이 융출부(6')가 벌림용 걸림홈(4A)에 걸려지게 되어 클립(4)(4')의 벌어진 상태를 고정시켜 주게 되는 것으로 그립핸들(1)을 강제적으로 잡아당기더라도 클립(4)(4')이 수축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그립핸들(1)이 무단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같은 상태에서 그립핸들(1)을 도어트림(DT)에서 분리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착탈핀(6)을 타격하여 융출부(6')가 벌림용 걸림홈(4A)에서 이탈되도록 하면 클립(4)(4')은 융출부(6')와 몸통의 직경차이만큼 재질적탄성력에 의하여 자동수축되어 그립핸들(1)을 강제적으로 잡아당기면 클립(4)(4')이 쉽게 도어트림(DT)에서 이탈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착탈핀을 타격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그립핸들의 손상없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도어트림에서 착탈할 수 있음은 착탈작업에 편의성과 작업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이며,
착탈핀이 노출된 핀공을 막아주는 기능을 하게 되므로 구멍을 마감하는 별도의 캡이 필요없게 되므로 미관의 개선을 추구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부품수가 절감되어 제조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하게 되어 생산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어트림(DT)의 아암레스트(AR)의 일부를 절취시켜 삽지부(2)를 구비시키고 이 삽지부(1)와 도어트림(DT)의 상측에 각각 끼움공(3)(3')을 천공하되 상기 끼움공(3)(3')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일체로 구성되는 하부체(1')를 포함하는 그립핸들(1)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1')와 그립핸들(1)상단에 일체로 구성되며 내외측면에 각각 벌림용 걸림홈(4A)과 걸림턱(4B)을 구비하는 클립(4)(4')과;
    상기 클립(4)(4')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하부체(1')와 그립핸들(1)에 천공되는 핀공(5)(5')과;
    상기 핀공(5)(5')에 끼워지며 선단부에 몸퐁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구(求)형의 벌림용 융출부(6')를 일체로 구비하는 착탈핀(6)을 각각 결합 구비하여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트림의 그립핸들 장착구조.
KR2019970042603U 1997-12-29 1997-12-29 자동차 도어트림의 그립핸들 장착구조 KR199900299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603U KR19990029934U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 도어트림의 그립핸들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603U KR19990029934U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 도어트림의 그립핸들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934U true KR19990029934U (ko) 1999-07-26

Family

ID=6969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603U KR19990029934U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 도어트림의 그립핸들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993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684B1 (ko) * 2002-10-01 2004-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684B1 (ko) * 2002-10-01 2004-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6192B2 (en) Anti-rotation tacking rivet having ribs
JP3896170B2 (ja) 留め具
US20040148735A1 (en) Removable door check device
EP1479924A1 (en) Blind rivet fastener and workpiece assembly using same
KR19990029934U (ko) 자동차 도어트림의 그립핸들 장착구조
KR101059518B1 (ko)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US5325688A (en) Assembly optional multi-purpose automobile lock
WO2002062616A1 (en) Fastener for component such as assist grip of automobile
JP3634669B2 (ja) 自動車サンバイザーの保持構造
KR100200123B1 (ko) 변속기 케이블 장착 클램프
KR200145323Y1 (ko) 와이어링 고정클립
KR200264804Y1 (ko) 도어 잠금장치의 고정 브라켓
KR200180950Y1 (ko) 트림 고정용 파스너
KR0137278Y1 (ko) 자동차 도어 손잡이의 결합구조
KR200252593Y1 (ko) 창문의 일체형 잠금장치
KR19980032584U (ko) 셔터 개폐기의 장착구
JPH0782949A (ja) 開閉リッド用のヒンジ構造
KR200352038Y1 (ko) 디지털 도어록의 장착구조
KR200141965Y1 (ko) 차량용 도어록크와 손잡이로드의 결합구조
KR200229067Y1 (ko) 창문의 핸들 일체형 잠금장치
KR200346709Y1 (ko) 소화전용 도어의 손잡이 구조물
KR20060055815A (ko) 차량용 파스너
JP2000287328A5 (ko)
JP2891702B1 (ja) 扉枢着装置
KR0136925Y1 (ko) 차량용 퓨즈 박스의 커버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