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584U - 셔터 개폐기의 장착구 - Google Patents

셔터 개폐기의 장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584U
KR19980032584U KR2019960045461U KR19960045461U KR19980032584U KR 19980032584 U KR19980032584 U KR 19980032584U KR 2019960045461 U KR2019960045461 U KR 2019960045461U KR 19960045461 U KR19960045461 U KR 19960045461U KR 19980032584 U KR19980032584 U KR 199800325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switch
fastener
cap
lock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5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겸
선용호
김진왕
Original Assignee
전상겸
선용호
김진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겸, 선용호, 김진왕 filed Critical 전상겸
Priority to KR2019960045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2584U/ko
Publication of KR199800325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584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1Locking arrangements
    • E06B2009/804Locking arrangements acting directly on the shu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기(20)의 결합공(21)에 끼워지는 끼움홈부(3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단턱(32)사이에 결합공(33)을 다수 형성된 체결구(30)와, 중앙에 내향경사지고 절개부(41)로 나뉘어진 압입부(42)가 형성된 걸림편(40)과, 상기 걸림편(40)이 입구에 설치되어 셔터(10)의 외부에는 상기 체결구(30)에 결합되는 캡(50)으로 구성된 셔터 개폐기의 장착구를 제공하여 한사람의 작업자가 셔터(10)의 내측에 개폐기(2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캡(50)에 의해 셔터(10)의 외관에 손상을 주지 않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셔터 개폐기의 장착구
본 고안은 셔터 개폐기의 장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셔터에 개폐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장착상태가 견고할 뿐만 아니라 셔터의 외관에 손상을 주지않게 한 것이다.
종래의 셔터 개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a)의 내부에서 개폐기(b)를 일정한 위치에 잡아주고 볼트(c)로 체결하였기 때문에 셔터(a)에 개폐기(a)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2사람 이상의 작업자가 있어야 했으며, 외부로 볼트(c)가 돌출되어 외관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공구로 볼트(c)를 돌리게 되면 개폐기(b)가 셔터(a)로부터 떨어져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염려가 있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사람의 작업자가 셔터의 내측에 개폐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장착상태가 견고할 뿐만 아니라 셔터의 외관에 손상을 주지 않게 한 셔터 개폐기의 장착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개폐기의 결합공에 끼워지는 끼움홈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단턱이 다수 형성된 체결구와, 중앙에 내향경사지고 절개부로 나뉘어진 압입부가 형성된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이 입구에 설치되어 셔터의 외부에서 상기 체결구에 결합되는 캡으로 구성된 셔터 개폐기의 장착구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도 1은 종래 셔터 개폐기의 장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셔터 개폐기의 장착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셔터 개폐기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셔터11 : 체결공
20 : 개폐기21 : 결합공
30 : 체결구31 : 끼움홈부
32 : 단턱33 : 결합홈
40 : 걸림편41 : 절개부
42 : 압입부50 : 캡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기(20)의 결합공(21)에 끼워지는 끼움홈부(3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단턱(32)사이에 결합홈(33)을 다수 형성된 체결구(30)와, 중앙에 내향경사지고 절개부(41)로 나뉘어진 압입부(42)가 형성된 걸림편(40)과, 상기 걸림편(40)이 입구에 설치되어 셔터(10)의 외부에서 상기 체결구(30)에 결합되는 캡(50)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건물 내부에서 개폐기(20)의 결합공(21)과 셔터(10)의 체결공(11)을 일치시키고 체결구(30)를 압입하게 되면 끼움홈부(31)에는 개폐기(20)와 셔터(10)가 끼워짐으로써 개폐기(20)가 셔터(10)의 장착 위치에 고정된다. 이때 체결구(30)의 타측은 셔터(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작업자는 체결구(30)로 개폐기(20)를 셔터(10)에 고정시켜 놓고 셔터(10)의 외부로 나가 돌출된 체결구(30)에 캡(50)을 끼워넣게 되면 캡(50)의 입구에 설치된 걸림편(40) 중앙에 내향으로 경사지고 절개부(41)로 나뉘어진 압입부(42)가 체결구(30)에 눌려져 내향으로 오므라들었다가 자체 복원력에 의하여 다수의 단턱(32)중 하나에 걸리게 됨으로써 압입부(42)가 절단되지 않는 한 체결구(30)가 결합공(21)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상태로 개폐기(20)가 셔터(10)에 장착되게 된다.
이렇게 본 고안의 체결구(30)와 캡(50)을 이용하여 셔터(10)에 개폐기(2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셔터(10)의 내부에서 개폐기(20)를 잡아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한사람의 작업자가 개폐기(20)를 셔터(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폐기(20)가 설치된 셔터(10)를 외부에서 보았을 때 체결구(30)가 미려한 형상을 갖는 캡(50)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셔터(10)의 외관 디자인이 손상되지 않는 잇점도 있을 뿐만 아니라 캡(50)은 걸림편(40)으로 인하여 힘을 가해도 체결구(30)로부터 빠지지 않기 때문에 종래처럼 개폐기(20)가 셔터(10)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없는 것이다.
상기 걸림편(40)은 금속재로 제작되어 충분한 취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는 체결구(30)를 외부에서 셔터(10)에 결합하고 개폐기(20)를 내부로 돌출된 체결구(30)에 끼우고 단턱(32)에 압입부(42)가 걸리도록 캡(50)을 끼움으로써 개폐기(20)를 셔터(10)에 취부하는 작업방법을 택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개폐기(20)의 결합공(21)에 끼워지는 끼움홈부(3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단턱(32)사이에 결합홈(33)을 다수 형성된 체결구(30)와, 중앙에 내향경사지고 절개부(41)로 나뉘어진 압입부(42)가 형성된 걸림편(40)과, 상기 걸림편(40)이 입구에 설치되어 셔터(10)의 외부에서 상기 체결구(30)에 결합되는 캡(50)으로 구성된 셔터 개폐기의 장착구를 제공하여 한사람의 작업자가 셔터(10)의 내측에 개폐기(2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캡(50)에 의해 셔터(10)의 외관에 손상을 주지 않게 한 것이다.

Claims (1)

  1. 개폐기(20)의 결합공(21)에 끼워지는 끼움홈부(3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단턱(32)사이에 결합홈(33)을 다수 형성된 체결구(30)와, 중앙에 내향경사지고 절개부(41)로 나뉘어진 압입부(42)가 형성된 걸림편(40)과, 상기 걸림편(40)이 입구에 설치되어 셔터(10)의 외부에서 상기 체결구(30)에 결합되는 캡(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개폐기의 장착구.
KR2019960045461U 1996-12-04 1996-12-04 셔터 개폐기의 장착구 KR199800325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461U KR19980032584U (ko) 1996-12-04 1996-12-04 셔터 개폐기의 장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461U KR19980032584U (ko) 1996-12-04 1996-12-04 셔터 개폐기의 장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584U true KR19980032584U (ko) 1998-09-05

Family

ID=5398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5461U KR19980032584U (ko) 1996-12-04 1996-12-04 셔터 개폐기의 장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258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2329B2 (en) Vehicle mirror devic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vehicle mirror device
KR19980032584U (ko) 셔터 개폐기의 장착구
JP2005248981A (ja) 固定構造、プロテクタおよび電気接続箱
US4955932A (en) Padlock
KR19990002072U (ko) 피스캡이 일체로 된 블럭앵커
KR0139513Y1 (ko) 도어트림 고정용 클립
US7007987B2 (en) Spindle for a door handle assembly
JPH0429124Y2 (ko)
KR200146008Y1 (ko) 자동차의 도어 로크 결합구조
KR19980042287U (ko) 안전 볼트
KR200229067Y1 (ko) 창문의 핸들 일체형 잠금장치
KR0116538Y1 (ko) 내장판넬
JPH0223718Y2 (ko)
KR200141965Y1 (ko) 차량용 도어록크와 손잡이로드의 결합구조
KR950002326Y1 (ko) 3단 작동구를 이용한 보조자물쇠와 2단 록킹장치
KR970004416Y1 (ko) 차량의 윈도우 고정구조
KR0182111B1 (ko) 도난 방지용 도어 록 마운팅 구조
KR0164719B1 (ko) 트렁크 리드록장치
KR100506915B1 (ko) 도어 스커프 트림의 커버구조
KR200253950Y1 (ko) 가구용 힌지조립체 장착구조
KR19990029934U (ko) 자동차 도어트림의 그립핸들 장착구조
KR200145160Y1 (ko) 자동차의 도어 록 버튼
KR200214336Y1 (ko) 자동차 번호판의 봉인장치
KR200152342Y1 (ko) 공구대용 모서리 보호구
JPS6025493Y2 (ja) 障子の外れ止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