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040A - 재구성 가능한 신청식 전화 및 데이터 라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구성 가능한 신청식 전화 및 데이터 라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040A
KR19990029040A KR1019980700343A KR19980700343A KR19990029040A KR 19990029040 A KR19990029040 A KR 19990029040A KR 1019980700343 A KR1019980700343 A KR 1019980700343A KR 19980700343 A KR19980700343 A KR 19980700343A KR 19990029040 A KR19990029040 A KR 19990029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ommunication
visioned
user location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3208B1 (ko
Inventor
마이클 B. 프롭프
데이비드 L. 프롭프
크리스토퍼 P. 래다스
Original Assignee
어댑티브 네트웍 아이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댑티브 네트웍 아이엔시 filed Critical 어댑티브 네트웍 아이엔시
Publication of KR19990029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2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전화 회선망(예를 들면, 기존의 동력선 배선망)을 통한 디지털 통신을 이용하여 각각의 사용자에게 전화선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전화선 서비스는, 어떤 사용자라도 전기적 회선에 전화관련 기구를 접속시켜 즉시 전화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신청식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용회선 서비스를 받고 싶지 않은 수요자들에게 주전화 서비스 및 한편으로는 2차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쓸 수도 있다. 주 또는 2차 서비스를 위해서는, 해당 회선에 관계된 전화번호를 전화회사 또는 공익사업회사가 배정할 수도 있고, 또는 해당 전화번호가, 전선과 연결된 각각의 특정 전화에 대해 부수적으로 배정된 것일 수도 있다.
부수적 "신청식" 전화회선의 경우, 특정의 "신청식" 회선을 향하고 또한 그로부터의 지정연결 호출(routing call)용으로, 첨부기호같은 확인자를 배정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재구성 가능한 신청식 전화 및 데이터 라인 시스템
오늘날의 전화 네트웍은 일련의 개인 사용자들에게 전화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각각의 사용자에게는 부대(additional) 전화번호가 배정되고 전용 전화선 또는, 사용자 위치로부터 전화회사 중앙 오피스(central office)에 이르는 전화가입자 루프(loop)가 제공된다. 전형적으로, 사용자 위치로부터 중앙 오피스까지의 거리는 수 마일 정도이다. 상기 중앙 오피스는 개인 사용자들과 나머지 전화 네트웍간의 연결을 제공하게 된다.
각각의 사용자 루프는 그에 연결된 일련의 전화 및 기타 통신기기, 예를 들면, 팩스 또는 모뎀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기들은 모두 동일한 전화 회선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번에 단 한 건의 전화호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서, 전화/팩스 연결식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전화를 통한 음성호출 또는 팩스 기기를 통한 팩스 통신이 하나의 주어진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전화/모뎀 연결식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전화를 통한 음성호출 또는 모뎀을 통한 데이터 호출이 한 시점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따금, 두 사람이 하나의 전화로 통화하는 도중, 팩스 또는 데이터 파일(file)을 상대방에게 보내고자 할 때와 같이 음성호출과 데이터 호출 또는 모뎀 호출울 동시에 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다. 각 사용자에게 배정된 단일 회선으로는, 유일한 해결방안인즉, 음성호출을 종료하여 팩스 또는 데이터로 변환하고나서 다시 후속 음성호출을 시작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극히 불편하다.
통시통화와 관련된 상기 문제점에 대한 또하나의 대책은 각각의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전용회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사람의 사용자가 두 개의 전용회선을 배정받게 되면, 하나의 회선으로는 팩스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가운데 다른 하나로서는 음성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각 사용자에게 복수의 전용회선을 배정함에 있어서는, 다른 상대방들간의 동시 음성통화라는 문제가 또한 제기된다. 이러한 상황은, 어떤 한 사용자가 다른 상대방과의 음성통화를 원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그러면, 각 당사자는 서로 다른 사용자 회선을 통해 별개의 음성통화를 시작하게 된다.
각각의 사용자에게 복수 회선을 제공함에 있어 하나의 단점은 그러한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추가 시스템의 복잡성과 밴드폭(bandwidth)이다. 사용자측에서의 또다른 주요 단점이라면, 특히 두 번째(또는 더 이상의) 회선이 간혹 그리고 매우 짧은 시간동안만 사용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여분의 회선들로 인한 비용추가를 들 수 있다. 두 번째 회선과 관련된 상기 가격 불합리는, 대개의 경우, 단일회선 구성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는, 전화회선의 설치 및 가동이 순전히 관료적 절차와 관계된다는 사실 때문이다. 사용자측의 이러한 불편은, 해당 전화회선이 짧고 임시적일 때 더욱 증폭된다. 예로서, 임시주소, 대학 기숙사, 하기 휴가용 집 또는 그 유사물의 경우, 얼마 안있어 제거할 전화회선을 설치·가동하는 건 때때로 불편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동력선 배선망 등 비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전화회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력선 배선망 등 비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재구성가능한 전화회선 서비스를 동적으로(dynamically)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동력선 배선망 등 비전화 회선을 통해 사용자에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신청식' 전화회선을 동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전화 및 데이터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전압 동력선 배선망과 같은 비전화 네트웍(non-telephone network)을 신청식(on-demand) 전화 및 데이터 라인(data lines)으로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저전압선과 같은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들에게 전화회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위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저전압선은 개개의 사업체 및 주민들에게 예로서 120V의 주거용 단상 전력을 공급하는 데 쓰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전화회선 서비스는, 어떤 사용자라도 전화 또는 기타 통신기기와 접속됨으로써 즉시 하나의 전화회선 서비스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신청식'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스템은, 전용회선 서비스에 관한 비용을 물고싶어하지 않는 사용자들에게 주전화(primary telephone)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쓸 수도 있다. 또 한편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시스템은, 전용 2차회선 서비스에 관한 비용을 부담하고싶지 않은 사용자들에게 2차전화 서비스 즉, 2번, 3번,··회선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쓸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선 전화 서비스는 전선을 통한 디지털 통신을 이용한다. 주전화 서비스로 이용되는 경우, 그 회선에 관계된 전화번호는 전화회사, 공익사업회사(utility company)가 배정할 수 있는 한편, 전선에 연결된 각각의 전화별로 부수적으로 배정된 번호일 수도 있다. 이는 2차전화 서비스의 경우 역시 동일하다. 한편, 2차전화 서비스에 있어서는, 동력선과 관계된 상기 전화번호가, 특정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모든 전화에 대해 동일한 번호일 수도 있다. 부수적 '신청식' 전화회선들에는 사용자위치 번호와 관련된 어떤 확인자(identifier)가 배정될 수도 있는 바, 이는 특정 '신청식' 회선으로부터 또는 그로 향하는 호출을 지정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기존 동력선 배선망을 사용함에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화 서비스는 케이블 또는 CATV망 등과 같은 어떠한 배선 시스템을 통해서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전압 배선망은, 미국 시스템상으로 거의 열두개 위치를 전형적으로 연결하는 동력 변환기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변환기에 연결된 위치수는 해당 위치의 시스템 특성에 따라 많을 수도 있고 적을 수도 있다. 이러한 동력 변환기들은, 각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부대한 '신청식' 회선뿐 아니라, 해당 변환기에 연결된 주전화 회선으로 호출을 지정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기를 구비하고 있다. 물리적 단일 통신매체를 통해 다회선 전화(multiple telephone)들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통신매체에의 접속을 제어함에 있어 토큰 통과(token passing)같은 복식 접속법이 이용된다. 본 명세서상에서 참고로 하는 미국 특허 제4,815,106호에 기재된 바의 동력선 통신기기 또는 그 유사물은 동력선을 전화기에 연결시키는 데 쓰인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 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기재된 바의 내용은 도면상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전화 회선망 블록 다이어그램,
도2는 '신청식'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력선 배선망 블록 다이어그램,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청식' 전회회선간의 연결을 나타낸 사용자위치 다이어그램이다.
도1에는 통상적 전화 배선망의 한 부분이 나타나 있다. 중앙 오피스(100)는 전용가입자 루프(120)를 통해 각 사용자 또는 가입자(110)와 연결된다. 부수적 전화회선을 희망하는 가입자(11)는 해당 특별 가입자 루프(12)를 설치하고 매월 사용료를 납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중앙 오피스(11)으로부터 가입자(110)에 이르는 전용회선짝이 필요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록 극히 뜸하게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비용 전액을 부담해야 한다.
도2는, 회선(204)을 통해 각 사용자위치(210)를 동력선 배선망 변환기(200)로 연결하는 저전압선 또는 동력선(220)을 거쳐 해당 사용자위치(210)에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변환기(200)를 통한 동력선 배선망의 이용예를 나타낸다. 변환기(200)는 회선(240)을 통해 고전압선 배선망에 연결된다. 변환기(200)에는 제어기(202)가 연결되는 바, 후에 상술하겠거니와, 이는 본 발명을 보조하는 필수적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제어기(202)는 회선(204)상 또는 회선(220)들중 어느 곳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동력선 접속기구(230)는 각 사용자위치(21) 및 동력선(220)간에 배치된다. 접속기구(230)는, 동력선을 통한 디지털 데이터통신을 가능케 한 미국 특허 제4,815,106호에 따른 동력선 통신기기라도 좋다. 한편, 접속기구(230)는, 전화기를 동력선 소켓에 플러그 삽입함과 동시에 확보되는 식의 전화 서비스처럼, 해당 전화기를 이루는 하나의 내부 구성요소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접속기구(230)는, 선택적 베터리 백업(backup)기능뿐 아니라, SLIC(Subscriber Line Inter- face Circuit)에 의한 통상의 BORSCHT 기능(배터리, 과전압, 경고음, 감시, 코드접속, 혼성 및 테스트)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기(202)는 국지적 동력선 네트웍 관리 및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들은 동적 주소지정 및 네트웍 주소/전화번호 연결, 및 동적 음성/데이터 체널지정 및 관리를 이용한 네트웍 접속관리같은 국지적 주소지정 및 관리를 포함한다. 덧붙여, 제어기(202)는 실행감시, 실수(error)/오류(fault) 검색, 오류위치 감시 및 원격 노드(node) 진단을 포함하는 국지적 네트웍 감시를 수행한다. 제어기(202)는 또한 고급 스위칭 시스템으로부터의 또는 그러한 시스템을 향한 고속 다중송신을 제공한다. 유니트(unit) 진단 및 신호변환(국지적 주소로의)과 같은 선택적, 관리적, 지속적 및 일시적 (OAM + P) 추가기능도 제어기(202)에 의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위치에는 통상의 전화번호가 배정된다. 이 번호는 위치(210)에서의 주전화 번호(212)와 관계를 갖게 된다. 사용자위치에서 요구되는 부수적 '신청식' 전화회선은, 각 위치(210)에 있어서의 특정 전화회선임을 확인하는 첨부기호(suffix)에 덧붙여, 해당 위치(210)에서의 통상의 전화번호에 대해 배정된다. 상기 '신청식' 전화회선의 배정은 하나의 부수적 전화가 연결될 때마다 제어기(202)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555-1212-1", "555-1212-2" 등의 부대 '신청식' 회선을 갖는 "555-1212"라는 전화번호가 위치(210)에 대해 배정될 수 있다. 그러면, 위치(210)로 향하는 호출들은 최초 연결가능한 전화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위치(210)에 하나의 호출이 연결되면, 그것은 주전화기(212)를 울리게 된다. 다음번째 호출의 경우, 제어기(202)가 주전화번호가 현재 사용중인 것을 감지함에 따라, 첫 번째 '신청식' 회선 즉, "555-1212-1"로 연결된다. 유사한 절차가 발송 호출에도 적용된다. 위치(210)에서 시작되는 최초 호출은 주전화번호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취급된다. 다음번째의 호출은 첫 번째 '신청식' 회선 "555-1212-1"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취급된다. 이런 식으로, 제어기(202)에 의해 일시적 배선관리를 받는 동시에 '신청식'의 형태를 갖는 각각의 위치(210)에서 다수의 전회회선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신청식' 회선에 대한 비용은, 전화가 연결된 전체 시간, 일단 연결된 전화가 대기상태를 유지한 전체 시간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를 감안하여 계산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전화에는 플러그를 꽂음과 동시에 하나의 확인번호가 동적으로 배정된다. 하나의 호출이 접수되면, 상기 제어기(202)는 특정의 사용자위치(201)에 연결된 전화 즉, 그들의 확인번호가 특정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모든 전화기를 울린다. 상기 호출은 최초 전화로 연결된다. 다음 호출이 접수되면, 상기 제어기(202)에 의해 모든 비사용 전화기들이 울린다. 이 호출은 그에 답하는 상기 첫 번째 전화기로 연결된다. 이와 동일한 과정이 이어지는 접수 호출에 대하여 적용된다. 유사한 과정이 발송 호출의 경우에도 실행된다. 즉, 호출을 희망하는 사용자위치(210)의 첫 번째 전화기에 하나의 회선이 동적으로 배정된다. 위치(210)에 있어서의 모든 전화기에, 그들이 호출을 내보낼 때마다 회선들이 동적으로 배정되는 것이다.
한편, 변환기(200) 전화번호에 대한 하나의 부수적 확인자가 해당 변환기(200)와 연결된 모든 전화기에 배정되는 것으로 하여, 변환기(200)에 하나의 전화번호를 배정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위치(210)에 있어서는 계속적 가입자 루프에 대한 비용지불은 하지 않아도 된다. 오히려, 위치(210)들중 어딘가에 전화회선이 필요할 때마다, 상기 전화기 장치에 플러그를 꽂기만 하면 하나의 '신청식' 전화회선이 배정되는 결과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첨부기호를 모두 배제하고, 각 전화기에 내장된 독특한 전화기 확인번호 시스템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는, 셀룰러(cellular) 전화 시스템에서 통상 사용되는 전화기 일련번호의 사용과 유시히다.
복합적 기구들이 하나의 물리적 통신체널을 통해 입출력 실시하는 관계로, 국지적 지역망(LAN) 또는 광역 지역망(WAN)에서 쓰이는 것과 같은 다중 접속법(multi-access method)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상기 통신 시스템은, 패킷형 디지털 메시징 시스템(packet-type digital messaging system)일 수도 있는 바, 이때 각각의 데이터 패킷은 희망 수취인을 특정짓는 선단정보(header inform- ation)를 포함한다. 이 선단정보는 통상의 전화번호 또는 통상의 전화번호와 관계된 논리망 주소(logical network address)일 수도 있고, 또는 공급되는 특정 시스템에 따라서는 부가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머지 일반 교환 전화망(PSDN)에 대해 투명성을 갖기 위하여, 상기 선단정보는 표준 선단정보 즉,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면, 각각의 제어기(202)가 첨부기호와 관련된 패킷 데이터 관리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선단정보는 부가정보, 또는 부수적 전화 일련번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3에 따르면, 하나의 동력선을 거쳐 동력선 배선망 에 연결된 사용자위치(210)이 도시되어 있다. 네트웍 접속기구(230)는, 필요한 접속기능을 제공하는 한, 사용자위치에 대해 내부적일 수도 있고 외부적일 수도 있다. 덧붙여, 네트웍 접속기구(230)는 한 회선에 단 하나의 전화기 단자(300)를 접속하는 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한 회선에 일련의 전화기 단자(300)를 접속하는 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한편으로, 네트웍 접속기구(230)를 일련의 회선에 접속되게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화기 단자(300)가 네트웍 접속기구(230)를 통해 동력선(220)에 연결되는 것이다. 더 많은 전화회선이 필요한 경우, 추가 전화 단자(300)를 연결해도 된다. 모뎀, 팩스 기기, 및 그와 유사한 추가 데이터 통신장비를 역시 유사한 형태로 네트웍 접속기구(230)에 연결할 수도 있다.
제어기(202)의 네트웍측 연결부(206, 도2)는 통상의 전화회사 중앙 오피스와 직접 연결할 수도 있고, 또는 선택적으로, 제어기(202)에 연결된 고급 접속기구와 연결할 수도 있는 바 이때 제어기(202)는 전화 네트웍과 차례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은 전선(wire), 케이블, 단파(microwave), 라디오파(radiowave) 또는 옵티컬 링크(optical link)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은 회선(240)과 같은 고전압 회선을 경유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접속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국지적 전화 운영회사의 그것에 근접 내지는 동등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인 바, 본 발명은 그러한 모든 발명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저전압선과 같은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들에게 전화회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바, 이로써 국지적 전화 운영회사의 그것에 근접 내지는 동등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9)

  1. 비전화 회선망을 거쳐 입출력되는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제어기를 사용하는 단계와,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각 통신기기와 상기 비전화 회선망을 연결하기 위하여 비전화 회선망 접속기구를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위치에서의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첫 번째 통신기기에 대하여 하나의 전화번호를 배정하고, 상기 비전화 회선망을 통해 상기 첫 번째 통신기기에 통신체널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위치에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각각의 부수적 통신기기에 대하여 상기 비전화 회선망을 통해 부수적 통신체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상기 각각의 부수적 통신기기에 대하여 상기 전화번호, 및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특정 부수적 통신기기임을 입증하는 확인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2차 전화번호를 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상기 첫 번째 통신기기에 대하여 하나의 2차 전화번호를 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상기 각각의 추가 통신기기에 대하여 상기 전화번호, 및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특정 부수적 통신기기임을 입증하는 확인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2차 전화번호를 동적으로 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상기 첫 번째 통신기기에 대하여 하나의 2차 전화번호를 동적으로 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상기 추가 통신기기에 대하여 하나의 전화번호를 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상기 첫 번째 통신기기에 대하여 하나의 2차 전화번호를 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각각의 추가 통신기기에 대하여 하나의 전화번호를 동적으로 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첫 번째 통신기기에 대한 상기 전화번호의 배정이 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상기 첫 번째 통신기기에 대하여 하나의 2차 전화번호를 동적으로 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상기 첫 번째 통신기기에 첫 번째 접수되는 통신채널을 연결시키고,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상기 각각의 2차 전화번호에 의하여 확인된 상기 부수적 통신수단에 추가 접수되는 통신채널을 차례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상기 첫 번째 통신기기로부터 발송되는 첫 번째 통신채널을 연결시키고,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상기 각각의 2차 전화번호에 의해 확인된 상기 부수적 통신기기로부터 발송되는 부대 통신채널을 차례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상기 첫 번째 통신기기에 첫 번째 접수되는 통신채널을 연결시키고, 상기 각각의 전화번호에 의해 확인되고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상기 부수적 통신기기에 추가 접수되는 통신채널을 차례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상기 첫 번째 통신기기로부터의 첫 번째 발송 통신채널을 연결시키고, 상기 각각의 전화번호에 의해 확인되고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상기 부수적 통신기기로부터의 발송 통신채널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동력선 배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CATV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16. 비전화 회선망을 통한 접수 및 발송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제어기를 사용하는 단계와,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각 통신기기를 상기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하기 위하여 비전화 회선망 접속기구를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위치에서의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첫 번째 통신기기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배정하고, 상기 비전화 회선망을 통해 상기 첫 번째 통신기기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체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위치에서의 한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동력선 배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위치에서의 한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CATV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위치에서의 한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19. 비전화 회선망을 통한 접수 및 발송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제어기를 사용하는 단계와,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각 통신기기와 상기 비전화 회선망을 연결하기 위하여 비전화 회선망 접속기구를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위치에서의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각 통신기기에 대하여 하나의 확인번호를 동적으로 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전화망과 통신중인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에 대하여 확인번호를 제공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a) 하나의 접수 통신채널이 해당 사용자위치에 걸려오는 경우, 비사용중이며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모든 통신기기를 울려주는 단계와,
    (b) 상기 접수 통신채널을 상기 사용자위치에서의 첫 번째 통신기기에 연결시킴으로써 응답하는 단계와,
    추가 접수 통신채널이 해당 사용자위치에 걸려오면 상기 (a) 및 (b)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전화망과 통신중인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에 대하여 확인번호를 제공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위치에서의 통신기기가 특정 확인번호 및 전화번호의 하나를 갖는 그들 통신기기들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전화망과 통신중인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에 대하여 확인번호를 제공하는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발송 통신채널이 필요한 사용자위치에서의 각 통신기기에 발송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전화망과 통신중인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에 대하여 확인번호를 제공하는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동력선 배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전화망과 통신중인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에 대하여 확인번호를 제공하는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CATV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전화망과 통신중인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에 대하여 확인번호를 제공하는 방법.
  25. 비전화 회선망을 거쳐 입출력되는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제어기를 사용하는 단계와,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각 통신기기와 상기 비전화 회선망을 연결하기 위하여 비전화 회선망 접속기구를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통신기기가 하나의 통신채널을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위치에서의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각각의 통신기기에 대하여 하나의 확인번호를 배정하고, 상기 비전화 회선망을 통해 상기 각각의 통신기기에 하나의 통신채널을 동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동력선 배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CATV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28. 비전화 회선망을 거쳐 입출력되는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제어기를 사용하는 단계와,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각 통신기기와 상기 비전화 회선망을 연결하기 위하여 비전화 회선망 접속기구를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통신기기가 하나의 통신채널을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위치에서의 상기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각각의 통신기기에 하나의 확인번호 및 통신채널을 동적으로 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동력선 배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CATV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31. 비전화 회선망을 거쳐 입출력되는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제어기를 사용하는 단계와,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각 통신기기를 상기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비전화 회선망 접속기구를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기에 하나의 전화번호를 배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통신기기가 하나의 통신채녈을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를 갖는각각의 통신기기에 상기 전화번호 및 하나의 확인부호를 배정하고, 상기 비전화 회선망을 통해 상기 각각의 통신기기에 하나의 통신채널을 동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 및 전화망으로부터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동력선 배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 및 전화망으로부터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CATV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 및 전화망으로부터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34. 하나의 통신기기가 해당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전체시간, 하나의 통신기기가 사용된 전체시간, 접수 통신의 건수, 발송 통신의 건수, 접수 통신의 지속시간, 동시통신 채널의 수량 및 발송 통신의 지속시간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사용자에게 사용료를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동력선 배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회선망이 CATV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37. 제1항, 제16항, 제19항, 제25항, 제28항, 제31항 또는 제34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가 하나의 전화기 세트, 팩스 기기, 모뎀, 스마트폰(smartphone), 메시징 시스템 및 컴퓨터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비전화 회선망을 통한 접수 및 발송통신 제어를 위해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제어기와,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각 통신기기를 상기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비전화 회선망 접속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가, 각각의 사용자위치에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첫 번째 통신기기에 전화번호를 배정하도록 된 전화 배정회로와, 상기 비전화 회선망을 통해 상기 각각의 첫 번째 통신기기에 하나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도록 된 통신채널 배정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채널 배정회로가 또한 상기 사용자위치에서의 상기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추가 통신기기용으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을 통해 추가 통신채널을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동력선 배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CATV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41. 비전화 회선망을 통한 접수 및 발송통신 제어를 위해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제어기와,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각 통신기기를 상기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비전화 회선망 접속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가, 상기 사용자위치에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상기 통신기기에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배정하도록 된 전화 배정회로와, 상기 비전화 회선망을 통해 상기 통신기기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도록 된 통신채널 배정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동력선 배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CATV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44. 비전화 회선망을 통한 접수 및 발송통신 제어를 위해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제어기와,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각 통신기기를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비전화 회선망 접속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가, 상기 사용자위치에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각각의 통신기기에 하나의 확인번호를 동적으로 배정하도록 된 확이번호 배정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동력선 배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CATV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47. 제44항에 있어서, 하나의 접수통신 채널이 해당 사용자위치로 걸려오는 경우, 비사용중이며 상기 사용자위치에 연결된 모든 통신기기를 울리도록 하고 해당 접수 통신채널을 첫 번째 통신기기에 연결시킴으로써 응답하는 한편, 만약 추가 접수 통신채널이 상기 사용자위치로 걸려오게 되면, 비사용중인 나머지 연결기구를 울리도록 된 접수채널 연결 회로와,
    발송 통신채널을 필요로 하는 상기 사용자위치에서의 각 통신기기에 하나의 발송 통신채널을 제공하도록 된 발송 통신채널 연결회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48. 비전화 회선망을 통한 접수 및 발송통신 제어를 위해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제어기와,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각 통신기기를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비전화 회선망 접속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가, 상기 각각의 통신기기가 하나의 통신채널을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위치에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각각의 통신기기에 하나의 확인번호를 배정하도록 된 확인번호 배정회로와, 상기 비전화 회선망을 통해 상기 각각의 통신기기에 하나의 통신채널을 동적으로 제공하도록 된 통신채널 배정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동력선 배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50.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CATV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51. 비전화 회선망을 통한 접수 및 발송통신 제어를 위해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제어기와,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각 통신기기를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비전화 회선망 접속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가, 상기 각각의 통신기기가 하나의 통신채널을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위치에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각각의 통신기기에 하나의 확인번호 및 통신채널을 동적으로 배정하도록 된 확인번호 및 통신채널 배정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동력선 배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CATV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54. 비전화 회선망을 통한 접수 및 발송통신 제어를 위해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되며 하나의 전화번호가 배정된 제어기와,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각 통신기기를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비전화 회선망 접속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가, 상기 각각의 통신기기가 하나의 통신채널을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위치에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각각의 통신기기에 하나의 확인번호 및 통신채널을 동적으로 배정하도록 된 확인번호 및 통신채널 배정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동력선 배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CATV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57. 하나의 통신기기가 해당 비전화 회선망에 연결된 전체시간, 하나의 통신기기가 사용된 전체시간, 접수 통신의 건수, 발송 통신의 건수, 접수 통신의 지속시간, 동시통신 채널의 수량 및 발송 통신의 지속시간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사용자에게 사용료를 부가하도록 된 비용계산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동력선 배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회선망이 CATV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화 회선망을 이용하여 한 사용자위치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기기와 전화망간에 통신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
KR10-1998-0700343A 1995-07-18 1996-07-17 재구성가능한신청식전화및데이터라인시스템 KR100443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695P 1995-07-18 1995-07-18
US60/001476 1995-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040A true KR19990029040A (ko) 1999-04-15
KR100443208B1 KR100443208B1 (ko) 2004-11-03

Family

ID=2169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343A KR100443208B1 (ko) 1995-07-18 1996-07-17 재구성가능한신청식전화및데이터라인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839428A4 (ko)
JP (1) JP4125368B2 (ko)
KR (1) KR100443208B1 (ko)
CN (1) CN1185851C (ko)
AU (1) AU706579B2 (ko)
CA (1) CA2227267C (ko)
IL (1) IL122965A (ko)
TW (1) TW417368B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5386A (en) * 1982-03-29 1985-01-22 Astech, Inc. Telephone extension system utilizing power line carrier signals
US4523307A (en) * 1982-11-30 1985-06-11 Astech, Inc. Power line carrier multi telephone extension system for full duplex conferencing and intercom between telephones
US4701945A (en) * 1984-10-09 1987-10-20 Pedigo Michael K Carrier current transceiver
US5210788A (en) * 1986-10-22 1993-05-11 Nilssen Ole K Telephone instrument and distribution system
US5127045A (en) * 1989-11-16 1992-06-30 Cragun David R Identifying telephone controller system
DE4031092A1 (de) * 1990-10-02 1992-04-09 Christoph Faber Fernsprechsystem
US5319634A (en) * 1991-10-07 1994-06-07 Phoenix Corporation Multiple access telephone extension systems and methods
US5278889A (en) * 1992-07-29 1994-01-11 At&T Bell Laboratories Video telephony dialing
US5530737A (en) * 1993-03-22 1996-06-25 Phonex Corporation Secure access telephone extension system and method
NL9400239A (nl) * 1994-02-17 1995-10-02 Grid Telecom Systems Bv Huistelefoonsyste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39428A4 (en) 2001-07-18
TW417368B (en) 2001-01-01
JPH11510015A (ja) 1999-08-31
CN1185851C (zh) 2005-01-19
IL122965A0 (en) 1998-08-16
AU6717196A (en) 1997-02-18
KR100443208B1 (ko) 2004-11-03
CA2227267A1 (en) 1997-02-06
CA2227267C (en) 2011-10-11
AU706579B2 (en) 1999-06-17
JP4125368B2 (ja) 2008-07-30
CN1196149A (zh) 1998-10-14
IL122965A (en) 2001-03-19
EP0839428A1 (en) 1998-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4526A (en) Reconfigurable on-demand telephone and data line system
JP3441728B2 (ja) 接続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システム
CA2148384C (en) Methods for performing intelligent network services with an isdn network terminator located at a subscriber's premise
KR100572129B1 (ko) 호출재방향지시시스템
US6175620B1 (en) Compatibility between a telephone service with server and a calling line identification service
WO1998010573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connectivity to a remote data site
US20010010716A1 (en) Premises gateway and premises network interfaces for accessing subscriber premises equipment and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ring suppression
JP3002667B2 (ja) 通話システム
US20010037394A1 (en) IP address assignment system and process method thereof
KR100443208B1 (ko) 재구성가능한신청식전화및데이터라인시스템
KR100417118B1 (ko) 인텔리전트 전화교환시스템
US9042374B2 (en) Selective bandwidth connectivity through network line cards
US2001003356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RU2133557C1 (ru) Телефонная сеть 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ого объекта и система телефонной связи между удаленными 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ыми объектами, использующими указанную сеть
KR102530643B1 (ko) 사설 pstn에서 2선 전화 신호의 이더넷 변환 장치 및 방법
RU2185035C2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ления исходящего соединения и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телефонная станция, в которой осуществлен этот способ
JP3058088B2 (ja) インバンドチャネルを用いた回線交換方法
KR100445557B1 (ko) 디오디용 중계과금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93365C (zh) 能处理内部呼叫的远距离用户模件及其控制方法
JP4280532B2 (ja) VoIP用ISDNアダプタおよびVoIP通話システム
JP3686823B2 (ja) Isdn通信システム
JPH11285037A (ja) 端末アダプタ装置
JPH114310A (ja) 構内交換機システム
JPH09130474A (ja) 国際電気通信サービスの利用システム
JPH04132395A (ja) ルート選択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