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931U - 배선용 차단기용 트립버튼의 작동구조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용 트립버튼의 작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931U
KR19990028931U KR2019970041569U KR19970041569U KR19990028931U KR 19990028931 U KR19990028931 U KR 19990028931U KR 2019970041569 U KR2019970041569 U KR 2019970041569U KR 19970041569 U KR19970041569 U KR 19970041569U KR 19990028931 U KR19990028931 U KR 199900289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 button
trip
nail
button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24237Y1 (ko
Inventor
배용득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70041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237Y1/ko
Publication of KR199900289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9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2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5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버튼 작동구조를 기존의 누름방식에서 탈피하여, 보조커버를 개방시킬 경우 또는 트립버튼이 커버에서 이탈시 자동적으로 트립 동작이 일어나도록 하므로써, 차단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차단기 커버(1)의 설치공(2) 내에 하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립버튼(3)과, 상기 트립버튼의 하강시 트립버튼에 복원력을 부여하도록 트립버튼의 축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4)과, 트립버튼의 헤드부가 노출되도록 커버(1) 상부에 설치되는 보조커버(5)와, 상기 트립버튼의 하강시 빗면(7a)이 눌러짐에 따라 힌지축(6a)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사이드 플레이트(8) 선단에 결합된 네일(7)과, 상기 네일의 회동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일측 힌지축(6b)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래치홀더(9)로부터 석방되어 개폐기구를 연동시키므로써 차단기를 트립시키게 되는 래치(10)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5)를 닫음에 따라 트립버튼(3)에 설치된 압축스프링(4)이 압축됨과 동시에 버튼 하단에 형성된 가압돌기(11)가 상기 네일(7)의 빗면(7 a)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속되어 있다가, 상기 보조커버(5)가 제거됨에 따라 상기 압축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트립버튼이 상승하면서 상기 가압돌기(11)가 네일(7)의 빗면(7 a)을 가압하여 상기 네일을 회동시키므로써, 상기 래치홀더(9)로부터 래치(10)가 석방되도록 개폐기구를 연동시키게 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버튼 작동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용 트립버튼의 작동구조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버튼 작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립버튼의 작동구조를 기존의 누름방식에서 탈피하여 보조커버를 개방시킬 경우 자동적으로 차단기를 트립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공장, 빌딩 등의 수배전 설비 중에서 주로 배전반에 설치되어 무부하 상태에서는 부하측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개폐장치의 역할을 하고, 부하 사용중에는 부하전로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부하 전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흐를 경우 전로의 전선 및 부하측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차단기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선용 차단기는 프레임의 크기, 극수, 동작방식등이 상이하여 여러 가지 구조의 것이 제작되고 있으나, 몰드케이스·접촉자·트립장치·개폐기구·소호장치·단자 등을 기본적인 요소로 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는 회로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전로를 차단하여 배선 및 접속기기의 파괴 또는 화재 발생을 방지하게 되며,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 특성은 시연트립, 순시트립, 단·한시트립의 3가지로 구분된다.
상기한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 특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연트립은 정격전류의 125% 이상의 전류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흐르게 되면, 전선이 뜨거워지고 방치하면 화재의 원인이 되므로, 전선의 온도가 위험한 정도까지 이르기 전에 배선용 차단기는 전로를 차단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순시트립은 부하 선로나 부하의 이상으로 순간적으로 큰 사고전류가 발생되면 순간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를 트립시켜서 사고전류를 차단시키는 것을 말한다.
또한, 단·한시트립은 간선용 배선용 차단기와, 분기용 배선용 차단기가 직렬로 설치되어 있는 계통에서 부하측에 가까운 한 분기회로에서 사고전류가 발생한 경우에 분기회로의 배선용 차단기가 간선용 배선용 차단기보다 먼저 트립되게 하여 간선용 비선용 차단기가 트립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으로서, 이 특성은 순시트립값을 조정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에만 해당되는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한편, 도 3은 도 2의 개폐기구부 확대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다른 트립버튼의 작동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트립버튼의 작동구조 및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폐용 핸드(15)을 투입시켜 차단기가 온(on)된 상태에서 트립버튼(3)을 이용히여 차단기를 트립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4a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립버튼(3)의 헤드부에 누름력을 가하면, 보조커버(5)의 설치공(2)을 관통하여 설치된 트립버튼(3)이 하강하면서, 기폐기구부를 구성하는 네일(7)의 빗면(7a)을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사이드 플레이트(8)의 부하측 선단에 힌지결합된 네일(7)은 힌지축(6a)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이때, 래치홀더(9)에 홀딩되어 있던 래치(10)는 메인스프링(도시는 생략함)의 복원력에 의해 석방되어 회전중심(12)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링크기구의 연동작용에 의해 메인샤프트(16)에 설치된 가동접촉자(13)를 고정접촉자(14)로부터 이격시켜 차단기를 트립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는 트립버튼(3)을 눌러야만 트립이 발생하므로 인해, 트립버튼(3)이 차단기 커버(1)에서 이탈하거나 네일(7)에 끼어트립불량을 일으키게 되므로써 차단기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버튼 작동구조를 기존의 누름방식에서 탈피하여, 보조커버를 개방시킬 경우 또는 트립버튼이 커버에서 이탈시 자동적으로 트립 동작이 일어나도록 하므로써, 차단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버튼 작동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선용 차단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폐기구부 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트립버튼의 작동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 4a는 트립버튼이 하강하기 전의 상태도.
도 4b는 트립버튼이 하강한 후의 상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트립버튼의 작동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 5a는 보조커에 의해 트립버튼이 구속된 상태도.
도 5b는 보조커버가 열려 트립버튼이 구속상태로부터 해제되었을 때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버2 : 설치공
3 : 트립버튼4 : 압축스프링
5 : 보조커버6a,6b : 힌지축
7 : 네일7a : 빗면
8 : 사이드 플레이트9 : 래치홀더
10 : 래치11 : 가압돌기
12 : 회전중심13 : 가동접촉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차단기 커버의 설치공 내에 하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립버튼과, 상기 트립버튼의 하강시 트립버튼에 복원력을 부여하도록 트립버튼의 축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과, 트립버튼의 헤드부가 노출되도록 커버 상부에 설치되는 보조커버와, 상기 트립버튼의 하강시 빗면이 눌러짐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네일과, 상기 네일의 회동시 래치홀더로부터 석방되어 개폐기구를 연동시키므로써 차단기를 트립시키게 되는 래치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를 닫음에 따라 트립버튼의 외주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트립버튼 하단에 형성된 가압돌기가 상기 네일의 빗면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속되어 있다가, 상기 보조커버가 제거됨에 따라 상기 압축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트립버튼의 가압돌기가 네일의 빗면을 가압하여 상기 네일을 회동시키므로써, 상기 래치홀더로부터 래치가 석방되도록 개폐기구를 연동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버튼 작동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보조커에 의해 트립버튼이 구속된 상태도이고, 도 5b는 보조커버가 열려 트립버튼이 구속상태로부터 해제되었을 때의 상태도로서,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다른 트립버튼의 작동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고안은 차단기 커버(1)의 설치공(2) 내에 하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립버튼(3)과, 상기 트립버튼(3)의 하강시 트립버튼(3)에 복원력을 부여하도록 트립버튼(3)의 축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4)과, 트립버튼(3)의 헤드부가 노출되도록 커버(1) 상부에 설치되는 보조커버(5)와, 상기 트립버튼(3)의 하강시 빗면(7a)이 눌러짐에 따라 힌지축(6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네일(7)과, 상기 네일(7)의 회동시 래치홀더(9)로부터 석방되어 링크기구를 연동시키므로써 차단기를 트립시키게 되는 래치(10)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5)를 닫음에 따라 트립버튼(3) 외주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4)이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트립버튼 하단에 형성된 가압돌기(11)가 상기 네일(7)의 빗면(7a)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속되어 있다가, 상기 보조커버(5)가 제거됨에 따라 상기 압축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트립버튼이 상승하면서 트립버튼의 가압돌기(11)가 상기 네일(7)의 빗면(7a)을 가압하여 네일(7)을 회동시키므로써 상기 래치홀더(9)로부터 래치(10)가 석방되도록 개폐기구를 연동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배선용 차단기는 보조커버(5)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트립버튼(3)의 헤드부가 보조커버(5)에 의해 눌려져 구속되어진 상태가 된다.
즉, 보조커버(5)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트립버튼(3)의 축부에 설치된 압축스프링(4)은 압축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트립버튼(3)의 가압돌기(11)를 갖는 하단부는 상기 네일(7)의 빗면(7a)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커버(5)가 닫힌 상태에서, 보조커버(5)를 개방시키면 도 5a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립버튼(3)의 헤드부에 가해지던 누름력이 제거되어, 설치공(2) 내에서 압축되어 있던 압축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트립버튼(3)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승하는 트립버튼(3)의 가압돌기(11)는 네일(7)의 빗면(7a)과 간섭하면서 상승하므로 인해, 네일(7)을 밀어올려 네일(7)을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네일(7)에 형성된 빗면(7a)의 구배는 종래의 네일(7)의 빗면(7a)과 역구배를 가지나, 트립버튼(3)의 가압방향 또한 종래와는 반대방향으로 변경되므로 인해, 네일(7)의 힌지축(6a)을 중심으로 한 회동방향은 종래와 동일한 방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비선용 차단기에서는 부속장치를 취부하거나 점검하기 위해 보조커버(5)를 여는 경우, 또는 차단기의 분해를 위해 커버(1)를 분리하는 경우, 차단기를 트립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작없이 자동적으로 차단기가 트립되어 전로를 개방시키므로 인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차단기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버튼 작동구조를 기존의 상부에서 수동으로 눌러 작동시키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보조커버(5)를 개방시킬 경우 또는 트립버튼(3)이 커버(1)에서 이탈시 자동적으로 트립 동작이 일어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부속장치를 취부하거나 점검하기 위해 보조커버를 여는 경우, 또는 차단기의 분해를 위해 커버를 분리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차단기가 트립되므로써, 부하측이 안전하게 보호되는 한편, 감전 등에 의한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1)

  1. 차단기 커버의 설치공 내에 하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립버튼과, 상기 트립버튼의 하강시 트립버튼에 복원력을 부여하도록 트립버튼의 축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과, 트립버튼의 헤드부가 노출되도록 커버 상부에 설치되는 보조커버와, 상기 트립버튼의 하강시 빗면이 눌러짐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사이드 플레이트 선단에 결합된 네일과, 상기 네일의 회동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일측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래치홀더로부터 석방되어 개폐기구를 연동시키므로서 차단기를 트립시키게 되는 래치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를 닫음에 따라 트립버튼에 설치된 압축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트립버튼 하단에 형성된 가압돌기가 상기 네일의 빗면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속되어 있다가, 상기 보조커버가 제거됨에 따라 상기 압축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트립버튼이 상승하면서 상기 트립버튼의 가압돌기가 네일의 빗면을 가압하여 네일을 회동시키므로써, 상기 래치홀더로부터 래치가 석방되도록 개폐기구를 연동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KR2019970041569U 1997-12-27 1997-12-27 배선용차단기용트립버튼의작동구조 KR200224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569U KR200224237Y1 (ko) 1997-12-27 1997-12-27 배선용차단기용트립버튼의작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569U KR200224237Y1 (ko) 1997-12-27 1997-12-27 배선용차단기용트립버튼의작동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931U true KR19990028931U (ko) 1999-07-15
KR200224237Y1 KR200224237Y1 (ko) 2001-07-19

Family

ID=5389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569U KR200224237Y1 (ko) 1997-12-27 1997-12-27 배선용차단기용트립버튼의작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2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425A (ko) * 2002-07-18 2004-01-31 엘지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보조커버 장치
KR200452900Y1 (ko) * 2008-12-31 2011-03-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트립 버튼을 갖는 배선용 차단기
KR101076291B1 (ko) 2011-02-07 2011-10-26 주식회사 대륙 세이프티 버튼이 구비된 회로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237Y1 (ko) 200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8336B2 (en) Mold cased circuit breaker
KR200477244Y1 (ko) 배선용 차단기
KR200224237Y1 (ko) 배선용차단기용트립버튼의작동구조
JP2918247B2 (ja) 回路遮断器
JP4262845B2 (ja) 折畳み式接点アーム駆動リンク装置を有する遮断器作動機構
KR200224236Y1 (ko) 배선용차단기의트립버튼
KR100574895B1 (ko) 배선용 차단기
KR200406795Y1 (ko) 회로차단기
KR200190795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KR200208219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장치
KR200224242Y1 (ko) 배선용차단기의트립장치
KR19990028927U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KR200196955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KR19990021000U (ko)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커버 체결구조
KR19990028926U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구조
KR200224239Y1 (ko) 배선용차단기의가동접촉자회동범위제한장치
JP2760887B2 (ja) 回路遮断器
KR101198971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장치
KR19990028932U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용 핸들
KR200376458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액세서리 작동 레버
KR100504557B1 (ko) 진공차단기의 패드록(Padlock) 장치
KR10063100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카바 자동트립장치
KR0179277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회로 개폐장치
KR200156758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부
JPH08250008A (ja) 差込型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