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564A - 수소탈황화 방법 - Google Patents

수소탈황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564A
KR19990028564A KR1019970709884A KR19970709884A KR19990028564A KR 19990028564 A KR19990028564 A KR 19990028564A KR 1019970709884 A KR1019970709884 A KR 1019970709884A KR 19970709884 A KR19970709884 A KR 19970709884A KR 19990028564 A KR19990028564 A KR 19990028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illation column
range
overhead
column reactor
ps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7965B1 (ko
Inventor
데니스 하안
휴 엠. 푸트맨
Original Assignee
존 알 아담스
케미컬 리써치 앤드 라이센싱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알 아담스, 케미컬 리써치 앤드 라이센싱 컴파니 filed Critical 존 알 아담스
Publication of KR19990028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45/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 C10G45/02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to eliminate hetero atoms without changing the skeleton of the hydrocarbon involved and without cracking into lower boiling hydrocarbons; Hydrofinis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황 함유 석유 스트림을 수소탈황화 촉매를 촉매 증류 구조물의 형태로 함유하는 증류 컬럼 반응기내에서 70 psig 이하의 분압에서 수소와 접촉시키는 석유 스트림의 수소탈황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Description

수소탈황화 방법
석유 증류물 스트림은 다양한 유기 화학 성분을 함유한다. 일반적으로, 스트림은 조성을 결정하는 비등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스트림의 프로세싱은 또한 조성에 영향을 끼친다. 이를 테면, 촉매 분해 또는 열분해 방법으로부터의 산물은 고농도의 올레핀 물질 및 포화(알칸) 물질과 다불포화 물질(디올레핀)을 함유한다. 또한, 이러한 성분은 화합물의 다양한 이성체 중의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석유 분획에 존재하는 유기 황 화합물은 "황"으로서 명한다. 황의 양은 일반적으로 원유원에 좌우된다. 이를 테면, 사우디 아라비아산 원유는 일반적으로 특정한 국산 원유에서와 같이 황 농도가 높다. 쿠웨이트, 리비아 및 루이지애나산 원유는 일반적으로 황 농도가 낮다. 황 화합물의 유형은 또한 해당 스트림의 비등 범위에 좌우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 낮은 비등 분획은 머캡탄을 함유하는 반면에 더 무거운 비등 분획은 티오펜 및 헤테로사이클릭 황 화합물을 함유한다.
유기 황 화합물은 거의 항상 오염물질이라고 간주된다. 이들은 다운스트림에서 프로세싱을 저지하고 연소시 적어도 불쾌한 SO2가스를 생성한다. 이러한 이유로 이러한 화합물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제거의 정도는 분획의 사용에 좌우된다. 이를 테면, 촉매 개질로의 공급물 스트림은 지극히 낮은 황농도(1 wppm 이하)를 요한다. 현행 EPA 규정은 가솔린, 케로센 또는 디젤과 같은 가연성 모터 연료가 약 500 wppm 이하의 황을 갖도록 요구한다. 미래에 황 규정치는 약 50 wppm으로, 특히 가솔린에 대해 낮춰질 것이라고 예상된다.
황 화합물 제거의 가장 통상적인 방법은 석유 증류물을 알루미나 베이스 상에 지지된 수소화 금속을 포함하는 고체 입상 촉매 위에서 통과시키는 수소탈황화(HDS)에 의해서이다. 과거에 이것은 일반적으로 고정층 위에서 공급물내 막대한 양의 수소와 동시에 하향유동시킴에 의해 행해졌다. 하기의 반응식은 선행 기술의 전형적인 HDS 유닛 내에서의 반응을 설명한다:
(1) RSH + H2------> RH + H2S
(2) RCl + H2------> RH + HCl
(3) 2RN + 4H2------> RH + NH3
(4) ROOH + 2H2------> RH + H2O
부가적인 반응은 존재하는 황 화합물과 분획원에 달려 있다. 수소탈황화에 사용되는 촉매는 반드시 수소화 촉매이고 종종 지지체는 사실상 산성이다. 산성인 특성은 불포화 화합물의 일부 수소첨가분해 및 수소화를 제공한다. 수소첨가분해는 공급물보다 더 높은 용적의 덜 조밀한(더 낮은 비중) 물질을 생성한다.
선행 기술 HDS 반응에 대한 전형적인 작동 조건은 다음과 같다:
온도, ℉ 600-780
압력, psig 600-3000
H2재순환율, SCF/bbl 1500-3000
신선한 H2보충, SCF/bbl 700-1000
수소첨가처리를 완료한 후, 수소 설파이드를 방출하고 이에 따라 스위트닝된 분획을 수집하기 위해서 산물을 분획화하거나 단순히 플래슁한다.
작동의 조건 또는 엄격성은 존재하는 황 화합물과 목적하는 탈황화도에 좌우될 것이라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이를 테면, 머캡탄은 티오펜보다 훨씬 더 쉽게 탈황화된다. 티오펜의 탈황화와 기타 헤테로사이클릭 황 화합물의 탈황은 반드시 더 높은 엄격성을 요하는 환의 파괴와 포화를 수반한다.
반응 시스템의 성분이 증류 구조물로서 촉매 구조물을 사용하는 증류에 의해 동시에 분리가능한 촉매 반응 수행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이 본원과 함께 양도된 미국 특허 제 4,215,011호; 4,232,177호; 4,242,530호; 4,250,052호; 4,302,356호 및 4,307,254호에 다양하게 기재되어 있다. 또한, 양도된 미국 특허 제 4,443,559호, 5,057,468호, 5262,012호, 5,266,546호 및 5,348,710호는 이러한 용도를 위한 다양한 촉매 구조물을 기재하고 본원에 참고 문헌으로 인용된다. 고체 입상 촉매가 증류 구조물로서 작용하도록 증류 컬럼 내에 배치되는 증류 컬럼 반응기를 활용한다. 증류 컬럼 반응기는 반응 산물이 반응 영역으로부터 거의 즉시 제거되기 때문에 평형 제한된 반응에 특히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증류 컬럼 반응기는 원하지 않는 부반응을 방지하는 데에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특허 제 4,194,964호에서 Chen 일동은 중량 석유 스톡의 동시수소첨가처리 및 증류를 위해 약 300 psig 내지 3000 psig, 높은 수소 분압 및 높은 수소 유동율(약 4000 SCF/B)로 작업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질적으로, Chen 일동은 표준 고압 처리 및 수소첨가분해 동안 중량 스톡의 동시 증류 및 수소첨가처리의 사용을 기재한다. 조건의 범위는 선행 기술 방법과 매우 일치한다.
본 발명은 증류 컬럼 반응기내 석유 스트림의 수소탈황화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 말해서, 본 발명은 석유 분획이 석유 분획내 함유된 유기 황 화합물이 오버헤드 산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H2S를 형성하기 위해서 수소와 반응하는 촉매 증류 구조물의 형태로 수소탈황화 촉매를 함유하는 증류 컬럼 반응기로 공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약 300 psig 이하, 바람직하게는 290 이하, 좀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0 psig의 낮은 총압, 0.1 내지 70 psi의 낮은 수소 분압 및 400 내지 800 ℉ 범위의 온도로 수소탈황화에서 촉매 증류를 사용한다. 간단히, 본 발명은 황 화합물을 함유하는 석유 스트림 (1)과 수소 (2)를 증류 컬럼 반응기로 공급하고;
이와 동시에 증류 컬럼 반응기 내에서 (a) 석유 스트림을 증류함으로써 증기상 석유 산물이 증류 컬럼 반응기를 통하여 위로 올라가고 액체의 내부 환류가 증류 컬럼 반응기에서 아래로 유동하며 석유 산물을 응축하며,
(b) 석유 스트림과 수소를 촉매 증류 구조물의 형태로 제조된 수소탈황화 촉매의 존재하에 약 300 psig 이하의 총압, 0.1 내지 70 psi 이하 범위의 수소 분압 및 400 내지 800 ℉ 범위의 온도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석유 스트림에 함유된 유기황 화합물 부분을 수소와 반응시켜 H2S를 형성시키며;
H2S를 함유하는 증류 컬럼 반응기로부터 오버헤드를 회수하며;
부분 응축기내 고비등점 분획을 응축시킴으로써 오버헤드로부터 H2S를 분리하며;
응축된 오버헤드 부분을 외부 환류로서 증류 컬럼 반응기로 귀환시킨 다음;
석유 스트림보다 더 낮은 황 함량을 갖는 바닥 산물을 회수함을 포함한다고 말할 수 있다.
증류 컬럼 반응기의 작동은 증류 반응 영역내에 액체 및 증기 상 모두를 생성한다. 증기의 상당 부분은 수소이고 반면에 일부는 석유 분획으로부터의 증기상 탄화수소이다. 실제적인 분리는 단지 2차적인 고려사항일 수 있다. 증류 반응 영역내에는 층내 부분을 응축시키는 상승하는 증기상 탄화수소를 냉각하는 외부 환류로부터의 내부 환류 및 액체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효율성을 발휘하는 메커니즘이 촉매의 존재하에 수소와 황 화합물 간의 필수적인 균질 접촉을 수득하여 수소화를 생성하도록 응축 액체중의 충분한 수소를 흡장하는 반응 시스템내 증기 부분의 응축현상임이 제안되었다.
촉매 증류 양식의 방법 작동의 결과는 낮은 수소 분압 (및 이에 따라 낮은 총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타 증류에서와 같이, 증류 컬럼 반응기내에 온도 구배가 존재한다. 컬럼의 하단의 온도는 더욱 고비점 물질을 함유하고 이에 따라 컬럼의 상단보다 더 높은 온도이다. 더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황 화합물을 함유하는 저비점 분획은 더욱 큰 선택성, 즉, 바람직한 올레핀 화합물의 더 적은 수소첨가분해 또는 포화를 제공하는 컬럼의 상단에서 더욱 낮은 온도에 놓이게 된다. 더 높은 비점 부분은 황 함유 환 화합물을 분해하여 개환하고 황을 수소화하기 위해서 증류 컬럼 반응기의 하단에서 높은 온도에 노출된다.
본 반응 촉매 증류는 잇점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첫째, 반응이 증류와 함께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초기 반응 산물과 기타 스트림 성분이 부반응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만큼 빨리 반응 영역으로부터 제거된다. 둘째, 모든 성분이 비등되기 때문에, 반응 온도가 시스템 압력에서 혼합물의 비점에 의해 조절된다. 반응열은 단순히 더욱 많은 비등을 일으키지만, 소정 압력에서 온도의 증가는 없다. 결과적으로, 반응속도 및 산물의 분포에 대한 대량의 조절은 시스템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처리량(체류 시간 = 액체 시간당 공간 속도-1)의 조정은 추가로 산물 분포의 조절과 올리고머화와 같은 부반응의 일정 정도의 조절을 부여한다. 이러한 반응이 촉매 증류로부터 수득할 수 있는 추가의 잇점은 내부 환류가 촉매에 제공하는 세척 효과이며 이에 따라 중합체 빌드업 및 코킹이 감소된다.
마지막으로, 위로 유동하는 수소는 증류 반응 영역에서 생성되는 H2S를 제거하는 것을 돕는 제거제로서 작용한다.
본 방법에 의해 황을 제거하기 위해서 처리할 수 있는 석유 분획에는 전범위의 석유 증류물이 포함되고 천연 가스액, 나프타, 케로센, 디젤, 가스 오일(대기와 진공 모두), 및 잔류물이 포함된다. 분획은 원유 분획화 유닛으로부터 나온 직류 물질일 수 있거나 유체 촉매 분해, 열분해 또는 지연된 코킹과 같은 다운스트림 프로세싱의 결과일 수 있다.
반응기로의 수소화율은 반응을 유지하기에 충분해야 하지만, 용어가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유효량의 수소"로 이해되는 컬럼의 범람을 일으키는 것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공급물내 수소 대 황 화합물의 몰비는 화합물의 유형과 이중 또는 삼중 결합 포화와 같은 부반응에 의해 소비될 것으로 예상되는 수소의 양에 따라 변한다. 수소 유동율은 전형적으로 공급물 배럴 당 표준 ft3(SCFB)로서 계산되고 300 내지 3000 SCFB의 범위이다.
놀랍게도, 수소탈황화에는 약 300 psig 이하, 예를 들면, 0 내지 200 psig 범위의 낮은 총압이 요구되고 70 psi 내지 0.1 psig 이하의 수소 분압, 즉 0.1 내지 70 psig,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10 psig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수소 분압은 50 psig 이하이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10 psia 범위의 수소 분압, 더욱 바람직하게는 7 psia이다. 최적의 결과는 0.5 내지 50 psig 수소 분압의 범위에서 수득되었다.
석유 스트림이 나프타인 경우, 전형적인 조건은 350 내지 550 ℉ 범위의 오버헤드 온도, 500 내지 800 ℉ 범위의 하단 온도 및 25 내지 300 psig 이하 범위의 압력이다. 석유 스트림이 케로센인 경우, 전형적인 조건은 350 내지 650 ℉ 범위의 오버헤드 온도, 500 내지 800 ℉ 범위의 하단 온도 및 0 내지 200 psig 범위의 압력이다. 석유 스트림이 디젤인 경우, 전형적인 조건은 350 내지 650 ℉ 범위의 오버헤드 온도, 500 내지 850 ℉ 범위의 하단 온도 및 0 내지 150 psig 범위의 압력이다.
수소탈황화 반응에 유용한 촉매에는 코발트, 니켈, 팔라듐과 같은 VIII족 금속 단독으로 또는 알루미나,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지르코니아 등일 수 있는 적합한 지지체상의 몰리브덴 또는 텅스텐과 같은 기타 금속과의 조합으로 포함된다. 보통 금속은 압출물 또는 구상체에 지지된 금속의 옥사이드로서 제공되고 이들 자체로는 증류 구조물로서 일반적으로 유용하지 않다.
촉매는 주기율표의 V, VIB, VIII족 금속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의 성분을 함유한다. 증류 시스템의 사용은 탈활성화를 감소시키고 선행 기술의 고정층 수소화 유닛보다 더 오랜 실행을 제공한다. VIII족 금속은 증가된 전체 평균 활성을 제공한다. 몰리브덴과 같은 VIB족 금속 및 코발트 또는 니켈과 같은 VIII족 금속을 함유하는 촉매가 바람직하다. 수소탈황화 반응에 적합한 촉매에는 코발트-몰리브덴, 니켈-몰리브덴 및 니켈-텅스텐이 포함된다. 금속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나, 실리카-알루미나 등과 같은 중성 베이스상에 지지된 옥사이드로서 제시된다. 금속은 황 화합물 함유 스트림에의 노출에 의해 사용시 또는 사용에 앞서 설파이드로 환원된다. 전형적인 수소탈황화 촉매의 성질을 하기에 기재하였다.
제조 크리테리온 카탈리스트 캄파니
명칭 C-448
형태 트리-로브 압출물
공칭 크기 1.2 mm 직경
금속, Wt.5코발트
2-5%
몰리브덴 5-20%
지지체 알루미나
광범위하게 말해서, 촉매 물질은 촉매와 증류 팩킹, 즉 증류 작용 및 촉매 작용 모두를 지닌 증류 컬럼을 위한 팩킹으로서 작용하는 증류 시스템의 성분이다.
촉매가 명백한 실체를 유지하므로 반응 시스템을 이질성으로서 기재할 수 있다.
본 수소화 반응의 바람직한 촉매 구조는 본 방법과 병행하여 최근에 개발된 여러 양태 중 하나에서 입상 촉매 물질로 충진된, 가요성의 반-경질 개방 메쉬 관상 물질,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 와이어 메쉬를 포함한다.
수소화의 용도로 개발된 하나의 신규 촉매 구조물이 완전히 본원에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 5,266,546호에 기재되어 있다. 간단히 말해서, 신규 촉매 구조물은 입상 촉매 물질로 충진된 가요성의 반-경질 개방 메쉬 관상 물질(두개의 말단을 갖고 관상 물질 직경의 약 1/2 내지 2배 범위의 길이를 지니며, 제 1 말단은 제 1 봉합선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 1 축을 따라 봉입되고 제 2 말단은 제 2 봉합선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 2 축을 따라 봉입됨),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 와이어 메쉬를 포함하는 촉매 증류 구조물이다(관상 물질의 축을 따른 제 1 봉합선의 평면과 관상 물질의 축을 따른 제 2 봉합선의 평면은 약 15 내지 90°로 서로 양분한다).
본원에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 4,242,530호와 미국 특허 제 4,443,559호는 천으로 된 벨트 또는 와이어 메쉬 관상 구조물 내 다수의 포켓에 지지되고, 두개를 함께 나선으로 꼬음으로써 개방 메쉬 편직된 스테인레스강 와이어에 의해 증류 컬럼 반응기에 지지되는 촉매를 기재한다. 본원에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 5,348,710호는 선행 기술의 여러 다른 적합한 구조물을 기재하고 본 방법에 적합한 신규 구조물을 기재한다. 이러한 목적에 유용한 기타 촉매 증류 구조물이 본원에 참고 문헌으로 기재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 4,731,229호와 제 5,073,236호에 기재되어 있다.
입상 촉매 물질은 분말, 작은 불규칙 청크 또는 단편, 작은 비드 등일 수 있다. 충분한 표면적이 합당한 반응 속도를 허용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한 구조내 촉매 물질의 특정 형태는 중요하지 않다. 촉매 입자의 크기는 각각의 촉매 물질에 대하여 가장 잘 결정될 수 있다(다공성 또는 이용가능한 내부 표면적은 상이한 물질에 따라 변할 수 있고 물론 촉매 물질의 활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본 수소탈황화에 대한 팩킹을 위한 바람직한 촉매 구조물은 투과성 판 또는 스크린 와이어의 더욱 개방된 구조물을 사용하는 것들이다.
하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표 1에 기재된 촉매 물질 0.947 파운드를 함유하는 촉매 구조물은 본원에 인용된 미국 특허 제 5,431,89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조하여 20 피트 길이 1인치 직경 증류 컬럼 반응기의 중간 19 피트에 배치한다. 촉매 위 수정 섹션내 1/2 피트의 불활성 팩킹과 촉매 아래 제거 섹션내 1/3 피트의 불활성 팩킹이 존재한다. 액체 공급물을 증류 컬럼 반응기로 촉매층의 약 중간 지점 또는 아래에 공급하고 수소를 촉매층 하단에 공급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오버헤드와 하단 모두에서 유기 황의 양이 상당히 감소하였음을 보여주며, 제거된 유기 황은 H2S로 전환되어 오버헤드의 부분적인 응축에 의한 오버헤드에서 분리된다.
실시예 1
완전한 비등 범위 나프타를 상기에 주지된 바와 같이 제조한 촉매를 함유하는 증류 컬럼 반응기로 공급한다. 조건과 결과를 하기 표 2에 제시하였다.
실행 번호 4_25HDS
시간 605.2
공급물율, lbs/hr
1.00
총 황, wppm (mg) 925 (419)
H2-율, SCFH (SCFB) 11.03 (3243)
온도, ℉
오버헤드 364
상단 촉매층 503
중간 촉매층 514
하단 촉매층 580
하단 679
공급물 401
총압, psig 200
수소 분압, psig 23.9
오버헤드율, lbs/hr
0.74
총 황, wppm (mg) 120(140)
하단율, lbs/hs
0.20
총 황, wppm (mg) 203(18)
환류비 10:1
공급물 위 촉매, 피트 9
공급물 아래 촉매, 피트 10
유기 황의 전환율, % 86
실시예 2
케로센 분획을 상기에 기재된 증류 컬럼 반응기에 공급한다. 조건과 결과를 하기 표 3에 제시하였다.
실행 번호 4_25HDS
시간 1757.2
공급물율, lbs/hr
1.00
총 황, wppm (mg) 1528 (694)
H2-율, SCFH (SCFB) 5.02 (1476)
온도, ℉
오버헤드 449
상단 촉매층 647
중간 촉매층 659
하단 촉매층 697
하단 784
공급물 450
총압, psig 100
수소 분압, psig 11
오버헤드율, lbs/hr
0.81
총 황, wppm (mg) 38(14)
하단율, lbs/hs
0.17
총 황, wppm (mg) 1577(122)
환류비 10:1
공급물 위 촉매, 피트 19
공급물 아래 촉매, 피트 0
유기 황의 전환율, % 80
실시예 3
디젤 분획을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증류 컬럼 반응기에 공급한다. 조건과 결과를 하기 표 4에 제시하였다.
실행 번호 4_25HDS
시간 1421.2
공급물율, lbs/hr
1.00
총 황, wppm (mg) 1528 (694)
H2-율, SCFH (SCFB) 10.03 (2949)
온도, ℉
오버헤드 438
상단 촉매층 634
중간 촉매층 648
하단 촉매층 689
하단 801
공급물 450
총압, psig 100
수소 분압, psig 23
오버헤드율, lbs/hr
0.77
총 황, wppm (mg) 84 (29)
하단율, lbs/hs
0.21
총 황, wppm (mg) 1278(122)
환류비 10:1
공급물 위 촉매, 피트 19
공급물 아래 촉매, 피트 0
유기 황의 전환율, % 78
실시예 4
하기의 실시예에서 표 1의 촉매 물질 18.7 파운드를 미국 특허 제 5,431,89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조된 촉매 증류 구조물에 배치하고 50 피트 길이 3인치 직경 증류 컬럼 반응기 중간 40 피트에 배치한다. 액체 공급물을 컬럼의 약 2/3 지점으로 하고 수소를 층 아래로 공급한다. 제 2 완전 범위 유체 분해된 나프타를 컬럼으로 공급하고 조건과 결과를 하기 표 5에 제시하였다.
실행 번호 1027HDS
시간 308
공급물율, lbs/hr
20.0
총 황, wppm (mg) 1242 (11,277)
H2-율, SCFH (SCFB) 41 (601)
온도, ℉
오버헤드 476
상단 촉매층 552
중간 촉매층 651
하단 촉매층 696
하단 749
공급물 297
총압, psig 200
수소 분압, psig 21.23
오버헤드율, lbs/hr
16.0
총 황, wppm (mg) 122 (886)
하단율, lbs/hs
4.0
총 황, wppm (mg) 35(64)
환류비 4:1
내부 환류 6.02
공급물 위 촉매, 피트 15
공급물 아래 촉매, 피트 25
유기 황의 전환율, % 92

Claims (18)

  1. (A) 유기 황 화합물을 함유하는 석유 스트림(1)과 수소(2)를 증류 컬럼 반응기로 공급하고;
    (B) 동시에 증류 컬럼 반응기 내에서, (1) 석유 스트림을 증류함으로써 증기상 석유 산물이 증류 컬럼 반응기를 통하여 위로 올라가고 액체의 내부 환류가 증류 컬럼 반응기에서 아래쪽으로 유동하며 석유 산물을 증류 컬럼 반응기 내에서 응축하며, (2) 석유 스트림과 수소를 촉매 증류 구조의 형태로 제조된 수소탈황화 촉매의 존재하에 약 300 psig 이하의 총압, 0.01 내지 70 psi 이하 범위의 수소 분압 및 400 내지 800 ℉ 범위의 온도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석유 스트림에 함유된 유기 황 화합물 부분을 수소와 반응시켜 H2S를 형성시키며;
    (C) H2S를 함유하는 증류 컬럼 반응기로부터 오버헤드를 회수하며;
    (D) 오버헤드의 고비점 분획을 응축함으로써 오버헤드로부터 H2S를 분리하며;
    (E) 오버헤드의 응축된 고비점 분획을 외부 환류로서 증류 컬럼 반응기로 귀환시킨 다음;
    (F) 석유 스트림보다 더 낮은 황 함량을 갖는 하단 산물을 회수함을 포함하는 석유 스트림의 수소탈황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압력이 약 290 psig 이하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압력이 0 내지 200 psig 범위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소 분압이 약 0.1 내지 70 psig 범위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H2S를 부분 응축기에서 고비점 분획을 응축시키고 H2S를 비반응 수소와 함께 가스로서 제거함으로써 오버헤드로부터 분리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응축된 오버헤드의 일부를 외부 환류로서 증류 컬럼 반응기로 복귀시키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석유 스트림이 나프타인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오버헤드 온도가 350 내지 550 ℉의 범위이고, 하단 온도가 500 내지 800 ℉의 범위이며, 압력이 25 내지 300 psig 범위인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석유 스트림이 케로센인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오버헤드 온도가 350 내지 650 ℉의 범위이고, 하단 온도가 500 내지 800 ℉의 범위이며, 압력이 0 내지 200 psig 범위인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석유 스트림이 디젤인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오버헤드 온도가 350 내지 650 ℉ 범위이고, 하단 온도가 500 내지 850 ℉의 범위이며, 압력이 0 내지 150 psig 범위인 방법.
  13. 제 6 항에 있어서, 응축된 오버헤드 모두를 외부 환류로서 증류 컬럼 반응기로 귀환시키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하단 산물을 증류 컬럼 반응기로부터 제거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하단 물질의 일부를 리보일러에서 가열하고 증류 컬럼 반응기로 귀환시키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하단물질 모두를 리보일러에서 가열하고 증류 컬럼 반응기로 귀환시키는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H2S를 분리된 증류 컬럼에서 제거함으로써 오버헤드로부터 제거하는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수소 분압이 약 0.1 내지 70 psi 범위인 방법.
KR1019970709884A 1995-07-10 1996-06-27 수소탈황화 방법 KR100437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0010095A 1995-07-10 1995-07-10
US08/500,100 1995-07-10
US8/500,100 1995-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564A true KR19990028564A (ko) 1999-04-15
KR100437965B1 KR100437965B1 (ko) 2004-09-13

Family

ID=2398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884A KR100437965B1 (ko) 1995-07-10 1996-06-27 수소탈황화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842242B1 (ko)
JP (1) JP3819030B2 (ko)
KR (1) KR100437965B1 (ko)
CN (1) CN1074038C (ko)
AU (1) AU6398496A (ko)
CA (1) CA2226632C (ko)
DE (1) DE69632135T2 (ko)
ES (1) ES2214544T3 (ko)
MX (1) MX9800298A (ko)
RU (1) RU2157399C2 (ko)
WO (1) WO1997003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1815A (en) * 1995-08-28 1999-10-05 Catalytic Distillation Technologies Hydroconversion process
US5894076A (en) * 1997-05-12 1999-04-13 Catalytic Distillation Technologies Process for alkylation of benzene
US6103773A (en) * 1998-01-27 2000-08-15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 Gas conversion using hydrogen produced from syngas for removing sulfur from gas well hydrocarbon liquids
CN1076753C (zh) * 1998-06-25 2001-12-26 中国石油化工集团公司 一种石油馏分临氢/加氢精制工艺
US6413413B1 (en) 1998-12-31 2002-07-02 Catalytic Distillation Technologies Hydrogenation process
DE19953486C2 (de) * 1999-11-06 2003-08-14 Siemens Ag Verfahren zur Synchronisation einer Signalübertragung in Aufwärtsrichtung in einem Funk-Kommunikationssystem
US6676830B1 (en) * 2001-09-17 2004-01-13 Catalytic Distillation Technologies Process for the desulfurization of a light FCC naphtha
US7153415B2 (en) * 2002-02-13 2006-12-26 Catalytic Distillation Technologies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light naphtha hydrocarbon streams
GB0226178D0 (en) 2002-11-11 2002-12-18 Johnson Matthey Plc Desulphurisation
FR2997415B1 (fr) * 2012-10-29 2015-10-02 IFP Energies Nouvelles Procede de production d'une essence a basse teneur en souf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4964A (en) * 1978-07-10 1980-03-25 Mobil Oil Corporation Catalytic conversion of hydrocarbons in reactor fractionator
US4232177A (en) * 1979-02-21 1980-11-04 Chemical Research & Licensing Company Catalytic distillation process
US4213847A (en) * 1979-05-16 1980-07-22 Mobil Oil Corporation Catalytic dewaxing of lubes in reactor fractionator
US5173173A (en) * 1990-09-28 1992-12-22 Union Oil Company Of California Trace contaminant removal in distillation un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398496A (en) 1997-02-10
MX9800298A (es) 1998-07-31
KR100437965B1 (ko) 2004-09-13
EP0842242B1 (en) 2004-04-07
EP0842242A4 (en) 1999-04-14
RU2157399C2 (ru) 2000-10-10
WO1997003149A1 (en) 1997-01-30
CA2226632A1 (en) 1997-01-30
CN1074038C (zh) 2001-10-31
DE69632135D1 (de) 2004-05-13
CA2226632C (en) 2007-05-29
DE69632135T2 (de) 2005-03-03
CN1189183A (zh) 1998-07-29
JP2000505118A (ja) 2000-04-25
ES2214544T3 (es) 2004-09-16
EP0842242A1 (en) 1998-05-20
JP3819030B2 (ja) 200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9883A (en) Hydrodesulfurization process utilizing a distillation column realtor
US5837130A (en) Catalytic distillation refining
US6495030B1 (en) Process for the desulfurization of FCC naphtha
US6303020B1 (en) Process for the desulfurization of petroleum feeds
US6946068B2 (en) Process for desulfurization of cracked naphtha
AU2002327574A1 (en) Process for the desulfurization of fcc naphtha
EP1190017B1 (en) Process for the desulfurization of a diesel fraction
WO2003076551A1 (en) Process for the selective desulfurization of a mid range gasoline cut
US7125484B2 (en) Downflow process for hydrotreating naphtha
US6416659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n ultra low sulfur
US6413413B1 (en) Hydrogenation process
EP0842242B1 (en) Hydrodesulfurization process
RU2241021C2 (ru) Способ гидродесульфуризации нефтяного сырья, способ гидродесульфуризации крекированной нафты(варианты)
US6984312B2 (en) Process for the desulfurization of light FCC naphth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