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262A - 전착가능한 커버 물품 - Google Patents

전착가능한 커버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262A
KR19990028262A KR1019970709574A KR19970709574A KR19990028262A KR 19990028262 A KR19990028262 A KR 19990028262A KR 1019970709574 A KR1019970709574 A KR 1019970709574A KR 19970709574 A KR19970709574 A KR 19970709574A KR 19990028262 A KR19990028262 A KR 19990028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dhesive
cover
backing
electrodeposi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시 스기부찌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19990028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26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26Devices, non-fluid media or methods for cancelling, correcting errors, underscoring or ruling
    • B41J29/36Devices, non-fluid media or methods for cancelling, correcting errors, underscoring or ruling for cancelling or correcting errors by overprinting
    • B41J29/367Devices, non-fluid media or methods for cancelling, correcting errors, underscoring or ruling for cancelling or correcting errors by overprinting sheet media carrying a pigmented transferable correction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4Transfer or decalcoman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1Protectiv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81Dissimilar adhes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86Ornamental, decorative, pattern, or indic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9Sectional layer remov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9Sectional layer removable
    • Y10T428/1495Adhesive is on removabl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8Translucent oute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Landscapes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접착부로 커버 기재의 정확한 접착을 보증하고, 충분한 마스킹 특성을 가지며 또한 커버 기재의 탈착을 가능하게 하는 전착가능 커버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착가능 커버 물품 (10)은 광 투과성 백킹 (11) 및 탈착 가능한 접착제 (13)를 통하여 백킹 (11)상에 적층된 커버 기재 (12)를 포함하고, 기재 (12)는 백킹 (11)보다 작고 탈착 가능한 접착제 (13)은 백킹 (11)에 접하지 않는 기재 (12)의 표면상에 적층된다.

Description

전착가능한 커버 물품
문서의 일부를 수정하거나 그 가운데 글자 일부를 삭제 또는 가리기 위해 사용되는 전착가능 커버 물품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종래에는, 마스킹 특성을 갖는 기재가 적층되어 있는 백킹으로서 탈착 가능한 종이를 포함하는 물품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물품의 경우에 있어서, 영구적인 접착제가 통상적으로 탈착 가능한 종이와 접촉하게 될 기재 표면상에 코팅되어 왔다. 이 기재를 접착부로 전착시키는데 있어서, 기재를 탈착 가능한 종이로부터 벗겨 내어 예정된 접착부상으로 포개어 압착하였다. 접착부로의 접착은 정확한 위치 선정이 필요하나, 이는 탈착 가능한 종이로부터 벗겨낸 상당히 접착성인 기재만을 손으로 잡아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정확한 위치를 선정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또한, 접착부에 영구적인 접착제로 결합된 기재를 재차 벗겨 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불편은 탈착 가능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극복할 수 있으나 위치 선정에 있어서의 어려움은 해결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반복되는 접착에서 접착제는 손에 의해 오염되어 접착력이 감소되거나 접착부를 더럽히게 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물품은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착가능 커버 물품은 개략적으로 시이트 형태 또는 테이프 형태로서 분류된다. 시이트 형태 제품의 예는 상표명 "유니온 디카드리 파스토(Union Decadry Fasto)"의 카본 페이퍼(Carbon Paper)이고, 오타 수정용 테이프인 코큐오사(Kokuyo Co., Ltd.)의 팁-엑스(Tipp-Ex)(상표명)로 거래되는 것이다. 테이프 형태의 물품은 수정 테이프인 플러스사(Plus Co., Ltd.)의 위퍼(WHIPER)(상표명), 니키반사(Nichiban Co., Ltd.)의 리뮤카(Rimuka)(상표명), 및 코큐오사(Kokuyo Co., Ltd.)의 상표명 케시피타(Keshipita)로 거래되는 것들로 예시될 수 있다.
이제까지 시판되어 온 거래되는 전착가능 커버 테이프들 중에서, 시이트 형태의 것들 및 테이프 형태의 것의 일부[상기 플러스사(Plus Co., Ltd.)의 위퍼(WHIPER)(상표명), 코큐오사(Kokuyo Co., Ltd.)의 케시피타(Keshipita)]는 백색 잉크와 같은 접착 성질을 갖는 코팅층이 제공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이형지를 포함하고 노출된 코팅 표면은 예정된 접착부(예를 들면, 수정 또는 커버하도록 의도된 문자가 씌어진 문서 부분상)에 겹쳐지고 그곳에 압착되어 접착부로 코팅층을 전착시킨다. 이 경우에 있어서, 커버물로서 전착될 코팅된 층의 두께의 한계로 인하여, 전착된 코팅층 밑의 문자는 때때로 완전하게 커버되지 않기 때문에 커버 효과는 만족할 만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전착을 재시도하거나 커버된 문자를 다시 드러나도록 할 때, 한번 전착된 코팅층은 접착부에 손상을 주지 않고 벗겨 내기가 힘들다.
나머지 종래의 테이프 형태의 전착가능 커버 물품은 도포된 탈착 가능한 접착제가 롤링된 테이프 기재를 포함하며, 감겨져 있다. 이들의 예는 상기 니키반사(Nichiban Co., Ltd.)의 리뮤카(Rimuka)(상표명)이다. 이러한 형태의 물품에 있어서, 커버용 테이프는 펴지고 목적하는 길이로 잘려져서, 마스킹될 위치에 겹쳐지고 압착되어 마스킹 효과를 나타낸다. 사용된 접착제가 탈착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커버 테이프는 후에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커버 조작 동안 잘려진 테이프의 양끝을 손가락으로 붙잡고 있어야 하므로, 이러한 형태의 전착가능 커버 물품은 손가락이 있던 부분이 오염되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접착부에 접착하게 될 표면상의 오염은 접착부에의 접착력을 저하시키고, 접착부에 접착된 후에 노출되는 표면상의 오염은 미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특히 복사 시에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더욱이, 테이프가 주어진 지점에 접착되지 않아서 접착 조작을 반복할 때, 오염을 동반한 문제점은 점차 심각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단지 커버 기재만을 접착부로 전착가능하고, 탈착 가능한 커버 기재가 제공된 백킹을 포함하는 전착가능 커버 물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으로서 전착가능 커버 시이트를 도시한 도이다.
도 1(a)는 도 1의 시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I-I 라인을 따라 절취한 도 1(a)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으로서 전착가능 커버 시이트를 도시한 도이다.
도 2(a)는 도 2의 시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II-II 라인을 따라 절취한 도 2(a)의 단면도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기재의 오염 없이 접착부로 커버 기재를 정확하게 접착시킬 수 있고, 충분한 커버력을 지니며 또한 탈착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전착가능 커버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착가능 커버 물품은 광 투과성 백킹 및 탈착 가능한 접착제를 통하여 백킹 상에 적층되어 있고, 상기 백킹 보다 작고 탈착 가능한 접착제가 백킹에 면하지 않은 기재의 표면상에 적층되어 있는 커버 기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착가능 커버 물품에 사용하기 위한 커버 기재는 충분한 마스킹 특성을 갖는 테이프 또는 시이트 형 재료인 한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스킹 특성"이라는 용어는 사람이 기재를 통하여 접착부에 쓰여지거나 인쇄된 문자, 형상 또는 기호를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볼 수 없도록 하는 작용을 의미한다. 커버 기재가 전착된 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복사에 있어서, 기재 그 자체는 섀도우로서 복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스킹 특성을 갖는 기재의 전형적인 예는 종이 재료 및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한다. 재료의 색상은 특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커버 기재가 전착될 접착부가 문서인 경우, 커버 기재는 백색이거나 거의 백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적인 백색 기재의 예는 티타늄 화이트 또는 탄산 칼슘과 같은 백색 안료로 코팅된 목질 없는 종이, 및 상기에 기술된 백색 안료가 혼합된 플라스틱 필름 및 상기에 기술된 백색 안료로 코팅되거나 인쇄된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한다. 종래의 커버 물품으로 사용되어 온 백색 기재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기재의 두께는 적당하게는 50 내지 150 ㎛이고, 커버된 부분은 대비되며, 접착부로 전착된 기재는 이질적인 느낌을 주고 기재는 섀도우로 복사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백킹은 접착부로 기재를 전착시킬 때 압력 하에서 백킹을 통하여, 기재가 접착하게 될 위치로의 고정을 촉진시키기 위해 광 투과성이어야 한다. 백킹은 물론 시각적으로 접착부 및 기재로부터 구별가능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백킹의 예는 투명한 또는 광 투과성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상기에 기술된 재료로 제조된 "어플리케이션 테이프" 또는 "어플리케이션 시이트"로 공지된 일반적 목적의 테입- 또는 시이트-형 백킹도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백킹으로서 사용된 플라스틱 재료의 두께는 50 내지 150 ㎛가 적당하다. 두께가 50 ㎛미만의 경우, 백킹은 커버 조작 중에 쉽사리 구겨져 접착부상의 커버 부분으로의 기재의 정확한 결합이 어렵게 될 수 있고, 반면에 두께가 150 ㎛이상인 경우, 백킹은 커버 부분으로 기재를 접착시킨 후 벗겨 내기가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전착가능 커버 물품의 사용시, 기재가 접착부의 예정된 부분에 접착된 후 그곳에 압착되어 단지 백킹만을 벗겨 냄으로써 기재가 커버 부분에 부착되어 남겨지도록 제품을 위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재가 백킹보다 작은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로 인하여, 접착부상의 커버 부분은 커버 조작에서 광 투과성 백킹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부가하여, 기재의 전체 또는 많은 부분과 접촉하지 않고 전착가능 커버 물품을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기 때문에, 기재의 오염으로 인한 기재로의 접착력 저하를 방지하여, 커버 조작의 재시도를 이롭게 할 수 있다.
기재 및 백킹은 기재가 백킹보다 작아야 하는 상기에 기술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 어떤 모양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전착가능 커버 물품은 시이트-형 백킹 및 백킹상에 적층된 독립된 모양을 갖는 다수의 기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기재는 모두 같은 모양이거나 다른 모양일 수 있다. 또한, 연속적인 또는 비연속적인 테이프 형태의 기재는 테이프-형 백킹에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착가능 커버 물품에서 사용되는 탈착 가능한 접착제는 접착부의 커버 부분 상으로 기재를 전착시키기 위하여 백킹을 벗겨 내는 동안 단지 기재만을 접착부에 접착되어 남아 있게 하는 한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고, 부가하여 기재는 나중에 접착부로부터 제거될 때 쉽게 벗겨질 수 있다.
약한 자가-접착 접착제 및 미소구체 접착체로서 공지된 것들이 유용한 탈착 가능한 접착제의 좋은 예이다. 이들 접착제용 재료들로서는, 아크릴 접착제 및 고무를 기재로한 접착제가 언급될 수 있다. 특히, 이들의 블렌드는 바람직하게는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고 이러한 효과로 인하여, 아크릴산 성분이 아크릴 접착제중에서 증가되거나 높은 용융점을 갖는 점착제가 고무를 기재로한 접착체에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탈착 가능한 접착제는 코팅되어 5 내지 30 ㎛의 두께를 갖게 된다. 두께가 5 ㎛ 미만인 경우, 접착 강도는 아주 낮아져 접착부에 기재를 접착시킬 수 없게 되고, 반면에 두께가 30 ㎛를 넘는 경우, 과량의 접착제가 튀어나와 백킹을 벗겨낼 때 기재가 접착부에 접착되지 않으며 백킹에 달라붙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각의 백킹상에 기재를 적층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접착제 및 각각의 접착부와 접착하는 기재의 표면상에 척층된 접착제는 탈착 가능한 접착제이다. 이들 접착제는 같은 종류이거나 다른 종류일 수 있다. 사용된 양 접착제가 같은 종류인 경우, 백킹이 접착부에 접착된 기재로부터 벗겨질 수 있기 때문에, 접착부에 결합된 기재의 영역을 접착부에 결합된 백킹의 영역보다 크게 하여 접착부로의 기재의 접착 강도를 접착부로의 백킹의 접착 강도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상이한 종류의 접착제가 사용될 때, 동일한 방법으로 세팅되어 접착부로의 기재의 접착 강도는 접착부로의 백킹의 접착 강도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착가능 커버 물품에 있어서, 배면의 백킹에 면하고, 한 면에 탈착 가능한 접착제가 적층되어 있는 커버 기재는 탈착 가능한 접착제를 통하여 기재보다 큰 광 투과성 백킹에 적층된다. 기재보다 큰 광 투과성 백킹으로 인하여, 커버될 접착부의 부분은 기재의 결합중에 백킹을 통하여 관련된 부분에 쉽게 고착시킬 수 있고, 커버 조작 중에 전착가능 물품을 손으로 처리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접착부에 결합하게 될 기재의 표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기재는 접착부의 커버 부분에 결합되어 그 밑에 문자 등을 감춘다. 백킹과 기재간의 탈착 가능한 접착제를 삽입하여, 접착부로 기재의 결합 후에 단지 백킹만을 제거할 수 있고 기재는 접착부에 접착된 채로 남게 할 수 있다. 추가로, 접착부에 결합하게 될 기재의 표면상에 적층된 탈착 가능한 접착제로 인하여, 바람직한 경우, 나중에 기재를 접착부로부터 제거하여, 커버된 부분을 드러낼 수 있고, 또한 접착부로의 접착을 재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a)에서 도시한 평면도 및 도 1(b)에서 도시한 단면도로 나타난 본 발명의 전착가능 커버 물품 (10)은 시이트 형 광 투과성 백킹 (11) 및 마스킹 특성을 갖는 다수의 테이프- 또는 시이트-형 기재 (12)가 탈착 가능한 접착제층 (13)을 통하여 적층되어 있으며, 탈착 가능한 접착제 (14)는 광 투과성 백킹 (11)의 반대편 상에서 기재 (12)의 표면(나중에 접착부에 결합되는 표면상)에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물품은 전착가능 커버 시이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b)에서 도시한 단면도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형제로 처리한 이형지 (15)는 전착가능 커버 물품 (10)의 접착제 (14)를 운반하는 기재 표면상에 추가로 적층되어 기재상의 접착제를 보호한다.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전착가능 커버 시이트의 사용시, 전착가능 시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이 이형지로부터 벗겨지고, 적당한 크기의 기재는 접착부의 예정된 부분에 결합하고, 백킹은 기재로부터 벗겨지고 미사용된 전착 시이트는 이형지에 다시 포개지도록 할 수 있다. 접착부에 결합된 기재는 후에 제거될 수 있다.
도 2(a)에서 도시한 위에서 본 도면 및 도 2(b)에서 도시한 단면도로 나타나는, 본 발명의 전착가능 커버 물품 (20)은 테이프형 광 투과성 백킹 (21) 및 마스킹 특성을 갖는 테이프형 기재 (22)가 탈착 가능한 접착 층 (23)을 통하여 적층되어 있고 탈착 가능한 접착제 (24)는 광 투과성 백킹 (21)의 반대편 면상의 기재 (22)의 표면(나중에 접착부에 결합되는 표면)에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물품은 전착가능 커버 테이프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백킹 (21)의 배면 (28)상의 이형지 (28)를 코팅한 후, 테이프는 롤 물품으로 감긴다. 이러한 전착가능 커버 테이프의 사용시, 테이프는 롤로부터 필요한 크기로 잘려지고, 기재는 접착부의 예정된 부분에 결합되고 백킹은 기재로부터 벗겨진다. 접착부에 접착된 기재는 후에 제거될 수 있다.
아크릴 접착제[소켄(Soken) 화학 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된 에스케이 다인(SK Dine) 1495]를 90 g/m2(두께 : 100 ㎛)중량을 갖는 목질이 없는 종이의 한 면에 20 g/m2(코팅 두께 20 ㎛)로 코팅하고, 종이를 10 mm × 50 mm의 크기로 잘라 커버 기재용 압력에 민감한 접착제 시이트를 제조한다. 동일한 아크릴 접착제를 30 mm 폭의 60 ㎛ 두께 및 투명한 폴리프로필렌 필름[토요보사(Toyobo Co., Ltd.)사에서 제조한 피렌(Pylen)(상표명)]상에 20 g/m2(코팅 두께 : 20 ㎛)의 양으로 코팅하여 얻은 감압성 접착제 테이프를 상기에서 백킹으로서 얻은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배면 상에 포갠다. 백킹의 배면 상에 추가로, 실리콘을 기재로한 이형제[다우 케미칼에서 제조한 SIL-OFF294]를 코팅하고 코팅을 롤에 감아 전착가능 커버 테이프를 제조한다.
JIS Z 0237에 따른 접착부(복사 종이)에 대한 전착가능 커버 테이프의 접착 강도의 측정에서, 백색 시이트 또는 테이프(기재)의 접착 강도는 100g/25mm이고 투명 테이프(백킹)의 접착 강도는 80g/25mm였다. 이 전착가능 커버 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기재로서의 백색 테이프를 커버하도록 의도된 부분에 맞추고 압착하여 단지 투명 테이프만을 접착부로부터 제거하면, 백색 시이트를 접착부로 전착시킬 수 있었다.
상기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의 전착가능 커버 물품은 광 투과성 백킹을 통하여 사람이 눈으로 접착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커버될 접착부상의 부분에 정확하고 쉽게 배치할 수 있다. 이는 커버될 부분이 작을 때 특히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착가능 커버 물품에 사용하기 위한 기재는 잉크로 코팅된 필름과는 달리 탁월한 마스킹 특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완전한 커버를 실현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전착가능 커버 물품은 탈착 가능한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접착부로의 접착을 재시도할 수 있고, 사용 후 커버 기재는 접착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접착부는 벗겨내는 동안 손상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전착가능 커버 물품은 기재보다 큰 백킹을 포함함으로써, 손가락으로 기재를 더럽히지 않고 접착부로 접착시킬 수 있고 기재는 실패 없이 접착부로 전착될 수 있다.

Claims (8)

  1. 광 투과성 백킹 및 탈착 가능한 접착제를 통하여 백킹상에 적층된, 상기 백킹보다 작고 탈착 가능한 접착제가 상기 백킹과 면하지 않은 기재의 표면상에 적층되어 있는 커버 기재를 포함하는, 전착가능 커버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 백킹이 시이트 형태이고, 상기 기재가 다수의 시이트- 또는 테이프-형 재료로 구성되는 전착가능 커버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기재가 동일한 크기인 전착가능 커버물품.
  4. 제2항에 있어서, 기재가 상이한 크기인 전착가능 커버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 백킹이 테이프 형태이고, 상기 기재 또한 테이프 형태인 전착가능 커버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연속적인 테이프 형태인 전착가능 커버 물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비연속적인 테이프 형태인 전착가능 커버 물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부에 대한 상기 기재의 접착 강도가 접착부에 대한 상기 백킹의 접착 강도보다 큰 전착가능 커버 물품.
KR1019970709574A 1995-06-21 1996-06-07 전착가능한 커버 물품 KR199900282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54847A JPH091719A (ja) 1995-06-21 1995-06-21 目隠し転写用品
JP95/154847 1995-06-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262A true KR19990028262A (ko) 1999-04-15

Family

ID=1559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574A KR19990028262A (ko) 1995-06-21 1996-06-07 전착가능한 커버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14221A (ko)
EP (1) EP0833751A1 (ko)
JP (1) JPH091719A (ko)
KR (1) KR19990028262A (ko)
AU (1) AU6161296A (ko)
CA (1) CA2224803A1 (ko)
WO (1) WO19970007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6650A (en) * 1997-04-18 1999-06-29 Rosenbaum; Brian Sidney Removable display cover and method
US6387484B1 (en) 1997-06-17 2002-05-14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Flexible polyolefins masking film
US6626183B1 (en) 2001-12-28 2003-09-30 Cca Industries, Inc. Rub-on fingernail art
US6852409B2 (en) * 2002-02-08 2005-02-08 Bic Corporation Radiation-cured correction tap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2621A (en) * 1970-04-28 1976-03-09 Mac Karlan Method of and article for masking
US3898357A (en) * 1974-03-18 1975-08-05 Albert C Miller Methods and decal apparatus for decorating the nails of fingers and toes
US4090464A (en) * 1975-06-25 1978-05-23 Bishopp John H Vandal guard sheet
GB2096057A (en) * 1981-02-18 1982-10-13 Rubin Susan Anne Device for obliterating unwanted markings
US4676861A (en) * 1986-07-11 1987-06-30 Avery International Corp. Backing free correction tape and dispenser
US5050909A (en) * 1990-06-01 1991-09-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ack of sheet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24803A1 (en) 1997-01-09
EP0833751A1 (en) 1998-04-08
AU6161296A (en) 1997-01-22
MX9710268A (es) 1998-08-30
WO1997000775A1 (en) 1997-01-09
US5714221A (en) 1998-02-03
JPH091719A (ja) 1997-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5746A (en) Stac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ated sheets
EP0212918B1 (en) A label
US4977006A (en) Adhesive label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6503591B2 (en) Repositionable doubled-sided adhesive pad having a display
US20030051383A1 (en) Partial fold printable tab product
JPH01251077A (ja) 多層ラベ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337763A (ja) 基材なし粘着剤転写シート及びテープ類
CA2130179A1 (en) Graphic package incorporating a dual function separating layer
EP0765249A1 (en) Album containing pads of two-side coated repositionable tapes
KR19990028262A (ko) 전착가능한 커버 물품
JP2004177927A (ja) 剥がし検知表示機能付き粘着シート
EP0076593A1 (en) System for transferring indicia to a surface
JPH11116917A (ja) 接着部材及び両面接着テープ
JP2003503249A (ja) 付箋紙
EP1225208A1 (en) Repositionable double-sided adhesive pad having a display
AU5825899A (en) Transferable cover-up articles
JP2000160111A (ja) タトゥーシール
JP2001254061A (ja) 粘着シート及びその巻回体
JPH08100158A (ja) 両面粘着テープとこのテープを用いたカード
MXPA97010268A (en) Transferi coating items
JP2593316B2 (ja) 脆質ラベル
JP2580254Y2 (ja) おむつ用フロンタルテープ及び使い捨ておむつ
JP3021850U (ja) 貼着メモおよび貼着メモ集
JP4550197B2 (ja) 積層型ラベルの使用方法
JP2002348549A (ja) 標識層を有し貼直し可能な両面接着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