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326U - 러버 슬리브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러버 슬리브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326U
KR19990027326U KR2019970039916U KR19970039916U KR19990027326U KR 19990027326 U KR19990027326 U KR 19990027326U KR 2019970039916 U KR2019970039916 U KR 2019970039916U KR 19970039916 U KR19970039916 U KR 19970039916U KR 19990027326 U KR19990027326 U KR 199900273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sleeve
hinge shaft
link member
clean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복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70039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326U/ko
Publication of KR199900273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326U/ko

Links

Landscapes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러버 슬리브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코일카(101) 새들(102) 저부에 장착되어 새들(102)에 놓여진 러버슬리브(100)를 집어 파지하기 위한 집게 형태의 클램핑수단과, 이 클램핑수단의 양단에 러버슬리브(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러버슬리브(100)의 측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클램핑수단은 코일카(101) 저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힌지축(10)과, 이 힌지축(10)을 중심으로 양쪽에 일측선단이 상기 힌지축(10)에 힌지결합되어 집게형태로 회동되는 두 개의 프레임(20), 이 두 개의 프레임(20)을 연결하는 지지로드(21), 상기 힌지축(10)을 중심으로 교차되도록 중앙부는 힌지축(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은 상기 각각의 지지로드(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교차링크부재(30) 및, 이 교차링크부재(30)를 시소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31)와, 이 실린더(31)의 피스톤로드(32)와 상기 교차링크부재(30)의 자유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링크부재(33)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클리닝수단은 상기 프레임(20)의 자유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러버 슬리버의 측면을 닦기 위한 청소용 솔(43)이 부착된 롤(40)과 이 롤(4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우터(41)로 구성되어, 맨드랠에 삽입시키는 작업 및 러버슬리브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러버슬리브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러버 슬리브 착탈장치(Device for clamping a rubber sleeve)
본 고안은 맨드랠에 끼워져 박판에 릴마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러버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러버슬리브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 러버슬리브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러버슬리브는 맨드랠에 일정한 장력으로 감기는 박판의 내경에 릴마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맨드랠에 끼워져 사용되는 것으로, 가격이 고가이므로 사용시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따라서 완제품이 아닌 통판재 코일 권취 및 수리 작업시에는 텐션릴인 맨드랠로부터 취출후 세워서 보관하고 완제품 권취시에는 재 삽입시켜 박판에 발생하는 릴마크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러버 슬리브를 맨드랠에 장착하기 위한 종래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카(101)의 새들(102)에 러버슬리브(100)를 안착 후 맨드랠(103)쪽으로 전진시켜 맨드랠(103)에 상기 러버슬리브(100)를 소정길이 삽입시킨 후 상기 코일카(101)를 후진시켜 새들(102) 측면부로 상기 러버슬리브(100)의 선단부를 밀어 맨드랠(103)에 완전히 삽입시키도록 되어 있다.
맨드랠에 러버슬리브를 삽입시킨 후에는 상기 러버슬리브의 표면부에 묻은 이물즐을 작업자가 맨드랠을 서서히 회전시키면서 닦아내도록 되어 있다.
한편, 맨드랠로부터 상기 러버슬리브를 탈거시키기 위해서는 코일카를 러버슬리브 저면에서 받쳐 올린 후 코일카를 후진하여 빼내게 된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의 방법은 러버 슬리브 탈착 시간과 청소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러버슬리브의 선단부가 코일카의 새들 측면에 접촉되어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가의 장비인 러버슬리브가 조기에 폐기처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라버슬리브의 설치와 탈거 및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하여 라버슬리브의 수명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러버 슬리브 착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착탈장치는, 코일카 새들 저부에 장착되어 새들에 놓여진 러버슬리브(100)를 집어 파지하기 위한 집게 형태의 클램핑수단과, 이 클램핑수단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러버슬리브(100)의 측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수단은 코일카 저부에 힌지축이 고정설치되고, 이 축을 중심으로 양쪽에는 일측선단이 상기 힌지축에 힌지결합되고 지지로드로 연결되어 집게형태는 회동되는 두 개의 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코일카 저부에는 상기 프레임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벌리고 오므리기위한 구동수단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리닝수단은 상기 사각 프레임의 자유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러버 슬리버의 측면을 닦기 위한 청소용 롤과 이 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우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조로 되어, 새들에 놓여진 러버슬리브(100)를 클램핑수단으로 파지한 후 상기 구동모우터를 작동시키게 되면 롤이 회전하면서 러버 슬리브(100)의 측면을 닦아내게 되고 코일카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클램핑수단으로 파지되어 지지된 러버슬리브(100)가 맨드랠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삽입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러버 슬리브 착탈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러버슬리브 착탈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힌지축 11 : 베어링블럭
20 : 프레임 21 : 지지로드
22 : 턱 30 : 교차링크부재
31 : 실린더 32 : 피스톤로드
33 : 연결링크부재 40 : 롤
41 : 구동모우터 42 : 베어링축
43 : 솔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러버 슬리브(100) 착탈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러버 슬리브(100) 착탈장치는, 코일카(101) 새들(102) 저부에 장착되어 새들(102)에 놓여진 러버슬리브(100)를 집어 파지하기 위한 집게 형태의 클램핑수단과, 이 클램핑수단의 양단에 러버슬리브(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러버슬리브(100)의 측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새들(102)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수단이 놓여져 작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수단은 코일카(101) 저부에 힌지축(10)이 고정설치되고, 이 축(10)을 중심으로 양쪽에 일측선단이 상기 힌지축(10)에 힌지결합되어 집게형태로 회동되는 두 개의 프레임(20)이 설치되며, 이 프레임(20)은 지지로드(21)로 연결되는 한편, 상기 코일카(101) 저부에는 상기 프레임(20)을 힌지축(10)을 중심으로 벌리고 오므리기위한 구동수단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0)은 러버슬리브(100)의 단면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되고 측면에는 슬립방지용 턱(22)이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프레임(20)이 러버슬리브(100)를 파지했을 때 러버슬리브(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0)은 새들(102) 중앙부를 가로질러 길이방향으로 놓여지며 양 선단은 코일카(101)에 고정된 베어링블럭(11)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힌지축(10)을 중심으로 교차되도록 중앙부는 힌지축(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은 상기 각각의 지지로드(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교차링크부재(30) 및, 이 교차링크부재(30)를 시소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31)와, 이 실린더(31)의 피스톤로드(32)와 상기 교차링크부재(30)의 자유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링크부재(33)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31)의 피스톤로드(32)가 상하작동하게 되면, 연결링크부재(33)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은 교차링크부재(30)가 힌지축(10)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지지로드(21)를 움직이게 되어 이 지지로드(21)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20)이 힌지축(10)을 중심으로 오므려지거나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클리닝수단은 상기 프레임(20)의 자유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러버 슬리버의 측면을 닦기 위한 청소용 롤(40)과 이 롤(4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우터(41)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수단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지지로드(21)로 연결되어 있는 일측 프레임(20) 선단에는 구동모우터(41)이 설치되고, 다른쪽 프레임(20) 선단에는 베어링이 내장된 베어링축(42)이 고정설치되는 한편, 상기 롤(40)은 양단이 각각 상기 구동모우터(41)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베어링축(42)의 베어링에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롤(40)은 표면에 클리닝용 솔(43)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우터(41)을 회전시키게 되면 모우터(4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롤(40)이 회전하면서 롤(40)의 솔(43)에 의해 러버슬리브(100) 표면이 세척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조로 되어, 새들(102)에 놓여진 러버슬리브(100)를 클램핑수단으로 파지한 후 상기 구동모우터(41)을 작동시키게 되면 롤(40)이 회전하면서 러버 슬리브(100)의 측면을 닦아내게 되고 코일카(101)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클램핑수단으로 파지되어 지지된 러버슬리브(100)가 맨드랠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삽입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러버 슬리브 착탈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러버슬리브(100)를 맨드랠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코일카(101) 새들(102) 위에 상기 러버슬리브(100)를 안착 후 유압 실린더(31)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실린더(31)의 피스톤로드(32)가 당겨지면서 상기 피스톤로드(32)와 연결링크부재(33)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교차링크부재(30)가 교차축인 힌지축(10)을 중심으로 교차 회동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교차링크부재(30)의 선단에 연결된 지지부재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지지부재가 고정설치되어 있는 프레임(20)이 힌지축(1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오므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20)이 좁혀지면서 새들(102)에 놓여져 있는 러버 슬리브(100)를 감싸쥐게 되고 프레임(20)의 선단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롤(40)은 상기 러버슬리브(100) 표면에 접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0)에는 각각 슬립방지용 턱(22)이 부착되어 있는 바, 상기 턱(22)이 러버슬리브(100)의 양 선단에 밀착되게 되어 러버슬리브(100)를 맨드랠에 삽입시 새들(102)로부터 러버슬리브(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러버슬리브(100)가 상기와 같이 프레임(20)에 의해 파지된 후 프레임(20)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우터(41)을 별도의 스위칭 수단을 통해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러버슬리브(100) 표면에 접하고 있는 롤(40)이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롤(4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청소용 솔(43)이 회전하면서 러버슬리브(100)의 표면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롤(40)이 회전하게 되면 롤(40)에 접하고 있는 러버슬리브(100)는 롤(40)을 따라 같이 회전하게 되어 러버슬리브(100) 전체 표면을 닦아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러버슬리브(100) 이물질 제거가 끝난 후에는 코일카(101)를 맨드랠로 전진시켜 상기 러버슬리브(100)를 맨드랠에 삽입시킨다.
이어서 유압 실린더(31)를 작동시켜 피스톤로드(32)를 상행시키게 되면 교차링크부재(30)가 힌지축(10)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프레임(20)은 힌지축(10)을 중심으로 좌우로 벌어져 파지하고 있던 러버 슬리브(100)의 구속을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러버 슬리브 착탈장치에 의하면, 맨드랠에 삽입시키는 작업 및 러버슬리브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러버슬리브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코일카(101) 새들(102) 저부에 장착되어 새들(102)에 놓여진 러버슬리브(100)를 집어 파지하기 위한 집게 형태의 클램핑수단과, 이 클램핑수단의 양단에 러버슬리브(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러버슬리브(100)의 측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클램핑수단은 코일카(101) 저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힌지축(10)과, 이 힌지축(10)을 중심으로 양쪽에 일측선단이 상기 힌지축(10)에 힌지결합되어 집게형태로 회동되는 두 개의 프레임(20), 이 두 개의 프레임(20)을 연결하는 지지로드(21), 상기 힌지축(10)을 중심으로 교차되도록 중앙부는 힌지축(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은 상기 각각의 지지로드(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교차링크부재(30) 및, 이 교차링크부재(30)를 시소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31)와, 이 실린더(31)의 피스톤로드(32)와 상기 교차링크부재(30)의 자유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링크부재(33)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클리닝수단은 상기 프레임(20)의 자유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러버 슬리버의 측면을 닦기 위한 청소용 솔(43)이 부착된 롤(40)과 이 롤(4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우터(41)로 구성된 러버 슬리브 착탈장치.
KR2019970039916U 1997-12-23 1997-12-23 러버 슬리브 착탈장치 KR199900273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916U KR19990027326U (ko) 1997-12-23 1997-12-23 러버 슬리브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916U KR19990027326U (ko) 1997-12-23 1997-12-23 러버 슬리브 착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326U true KR19990027326U (ko) 1999-07-15

Family

ID=6968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916U KR19990027326U (ko) 1997-12-23 1997-12-23 러버 슬리브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326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629B1 (ko) * 2001-07-11 2007-07-18 주식회사 포스코 슬리브 가열 및 분해조립장치
CN114558978A (zh) * 2020-11-27 2022-05-31 台山市东扩钢构有限公司 一种脚踏式扣形链链节折弯装置
CN115430733A (zh) * 2022-10-08 2022-12-06 广西鲁板建筑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建筑脚手架的杆件变形修复设备
CN117803716A (zh) * 2024-03-01 2024-04-02 江苏丰源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船用水密风闸及其施工方法
CN114558978B (zh) * 2020-11-27 2024-06-04 台山市东扩钢构有限公司 一种脚踏式扣形链链节折弯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629B1 (ko) * 2001-07-11 2007-07-18 주식회사 포스코 슬리브 가열 및 분해조립장치
CN114558978A (zh) * 2020-11-27 2022-05-31 台山市东扩钢构有限公司 一种脚踏式扣形链链节折弯装置
CN114558978B (zh) * 2020-11-27 2024-06-04 台山市东扩钢构有限公司 一种脚踏式扣形链链节折弯装置
CN115430733A (zh) * 2022-10-08 2022-12-06 广西鲁板建筑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建筑脚手架的杆件变形修复设备
CN117803716A (zh) * 2024-03-01 2024-04-02 江苏丰源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船用水密风闸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7326U (ko) 러버 슬리브 착탈장치
FR2713142A1 (fr) Dispositif pour manipuler des gaines sur des cylindres.
JP4436512B2 (ja) 清掃装置を印刷機から取り外し、この清掃装置または他の清掃装置を印刷機内へ取り付ける方法、ならびに、この清掃装置および固定装置を備えた印刷機
FR2569132A1 (fr) Dispositif de lavage pour filtres-presses
CN211027186U (zh) 一种全自动液压缸清洗设备
JPH0827752A (ja) ガードレールの清掃方法およびその清掃車
CN111453536B (zh) 一种电缆电线缠绕机
JP2961269B2 (ja) 延線作業車用ケーブルドラムの着脱装置
JPH03176151A (ja) 印刷機の刷版保持装置
KR20040041448A (ko) 페이오프릴의 원통형 슬리브 분리 및 이송 처리 장치
CN220138013U (zh) 一种用于绞线机的移动式线缆引导结构
JP2000317408A (ja) 洗浄装置
JP3180163B2 (ja) 印刷機械のシリンダ洗浄装置およびその洗浄方法
CN214564397U (zh) 一种家用轮胎拆胎机
JPH07328574A (ja) 除塵装置
CN216613594U (zh) 电缆卷放装置
KR200208146Y1 (ko) 천장기중기의 개폐식 집전장치
CN114150457B (zh) 一种印染机染料均布装置
JP4037501B2 (ja) 版交換装置
CN109647832B (zh) 一种全自动pvc脱标机
KR100983363B1 (ko) 디프렉트 롤 스트립 루핑장치
JP2004008962A (ja) 架線支持用碍子洗浄装置
JP3282936B2 (ja) 碍子の汚損除去装置
JPS63160839A (ja) 回動装置
DE190460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