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214U - 전화기 - Google Patents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214U
KR19990027214U KR2019970039802U KR19970039802U KR19990027214U KR 19990027214 U KR19990027214 U KR 19990027214U KR 2019970039802 U KR2019970039802 U KR 2019970039802U KR 19970039802 U KR19970039802 U KR 19970039802U KR 19990027214 U KR19990027214 U KR 199900272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line
numbers
station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8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창우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98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214U/ko
Publication of KR199900272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214U/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전화국으로부터 2개의 전화번호가 부여되는 4가닥의 전화선과 전화기의 4가닥의 전화선을 접속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서 전화국의 전화선과 접속된 전화기의 4가닥의 전화선 중 하나의 전화번호가 부여되는 2가닥의 전화선을 전화기의 송수신회로와 접속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전화기에 두 개의 전화번호가 동시에 부여되고 스위칭부의 절환 작용에 의하여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전화번호를 사용하고 있는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유리하다. 즉, 하나의 전화기를 사용하여 모든 전화번호의 호출에 대한 응답을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화기 ( A telephone )
본 고안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개의 전화번호가 부여될 수 있고 그중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송화기와 수화기로 이루어지는데, 송화기는 음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고, 수화기는 전기에너지를 음향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송화기는 진동판에 가해지는 음파의 압력변화에 의해 생기는 탄소분의 접촉저항의 변화를 이용하는 것으로, 직류전압을 음향에너지에 의해 제어하는 일종의 증폭기의 기능을 한다. 수화기는 영구자석에 권선을 감고, 권선에 통화전류를 보내면 그것에 의해 진동판이 진동하면서 음성을 내도록 하는 전자형이 사용된다.
전화기의 통화품질은 정량화해서 충실도, 명료도, 양해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충실도는 원음의 기본파와 각 고조파와의 에너지관계를 재현하는 정도를 표시하는데, 전화에서는 송화자의 말의 내용을 정확히 수화자에게 전하는 것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CCITT 권고안에 의하면 300 ∼ 3400 Hz의 범위내에서 전송하도록 되어있다.
명료도는 정확하게 발송된 의미없는 음절을 보내서 수화자에게 정확하게 청취된 수와 송화한 음절의 전수와의 비율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으로서, CCITT의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에서는 국제적인 통화품질의 척도로서 명료도 등가감쇄량을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양해도는 문장, 구절 혹은 단어들을 많이 송화했을 때, 정확하게 양해된 문장, 구절, 단어의 수와 문장, 구절, 단어의 총수와의 백분율을 각각 문장, 구절, 단어 양해도라고 한다.
이와 같은 전화기를 원거리에 있는 다른 전화 가입자와 통화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것을 전화 교환이라고 하고, 이것에 쓰이는 장치를 전화 교환기라고 한다. 즉, 전화 교환기는 한 지역에 전화 가입자가 많은 경우 각 가입자에게서의 전화선을 한 곳에 모아서 많은 전화선 중 임의의 2선을 접속해서 통화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준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화기는 일반적으로 자동식 전화기인데, 이는 전화교환국에 설비한 큰 용량의 2차전지에서 전화선을 통해서 모든 가입자의 통화용 및 신호용(가입자가 전화국을 호출)의 전류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즉,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훅크온하면 통화회로는 오픈되고, 전화국에서 신호가 오면 벨이 울린다. 이때, 송수화기를 훅크오프하면 통화회로가 닫혀지고 벨회로는 오픈되어 통화상태가 된다. 또, 전화기에서 전화국을 호출할 때에는 송수화기를 들면 통화회로가 닫혀지고 교환기에서 이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화기는 현재 가장 통용되고 있는 통신수단으로서, 최근 들어 휴대용의 무선통신기기가 사용되고 있기도 하지만 저렴하면서 사용하기 편리한 전화기의 사용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아울러, 각 가정마다 컴퓨터가 널리 보급되고 컴퓨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시간이 증가하면서 2개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가정이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화번호만을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전화국(10)에서는 2개의 라인을 이용하여 하나의 전화번호를 부여하는데, 전화국(10)과 연결되는 전화선과 전화기(A)와 연결되는 전화선이 커넥터(11)를 통해 연결되고, 전화국(10)과 연결되는 전화선과 전화기(B)와 연결되는 전화선이 커넥터(12)를 통해 연결된다.
통상, 전화기(A)와 전화기(B)는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하게 되는데, 전화기(A)에 가까이 있던 사용자는 멀리 떨어져 있는 전화기(B)가 호출되면 전화기(B)의 호출에 응답하기 위하여 이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때 사용자가 이동하는 도중에 전화가 끊어지기도 하고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전화기로 두 개의 전화번호가 동시에 입력되고 필요에 따라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화국으로부터 2개의 전화번호가 부여되는 4가닥의 전화선과 전화기의 4가닥의 전화선을 접속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서 전화국의 전화선과 접속된 전화기의 4가닥의 전화선 중 하나의 전화번호가 부여되는 2가닥의 전화선을 전화기의 송수신회로와 접속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화국의 전화선과 전화기의 전화선의 접속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서 전화국의 전화선과 전화기의 전화선의 접속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화국 21: 커넥터
22: 스위칭부 23: 송수신회로
L11,L12,L21,L22,L31: 전화선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전화국(10)으로부터 2개의 전화번호가 부여되는 4가닥의 전화선(L11,L12)과 전화기(20)의 4가닥의 전화선(L21,L22)을 접속하는 커넥터(21)와, 상기 커넥터(22)에서 전화국(10)의 전화선과 접속된 전화기(20)의 4가닥의 전화선(L21,L22) 중 하나의 전화번호가 부여되는 2가닥의 전화선을 전화기의 내부 전화선(L31)을 통해 전화기(20)의 송수신회로(23)와 접속하는 스위칭부(22)를 포함하며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화국(10)에서는 2가닥의 전화선을 이용하여 하나의 전화번호를 부여하는데, 본 고안에서 4가닥의 전화선(L11,L12) 중 2가닥의 전화선(L11)을 이용하여 전화번호(A)를 부여하고 2가닥의 전화선(L12)을 이용하여 전화번호(B)를 부여한다. 이때, 전화국(10)의 4가닥의 전화선(L11,L12)은 커넥터(21)를 통해 전화기(20)의 4가닥의 전화선(L21,L22)과 접속된다. 즉, 전화국(10)의 2가닥의 전화선(L11)은 전화기(20)의 2가닥의 전화선(L21)과 접속되고, 전화국(10)의 2가닥의 전화선(L12)은 전화기(20)의 2가닥의 전화선(L22)과 접속된다.
전화기(20)는 평상시에 전화번호(A)를 호출받도록 세팅되어 있는데, 이는 도 2와 같이 스위칭부(22)가 전화번호(A) 쪽으로 절환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스위칭부(22)는 전화국(10)의 2가닥의 전화선(L11)과 접속되어 전화번호(A)를 부여받는 전화기(20)의 2가닥의 전화선(L21)과 내부 전화선(L31)이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데, 전화번호(A)에 대한 호출이 발생되면 송수신회로(23)의 수신부가 동작하여 전화기(20)의 벨을 울리고, 전화기(20)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고자 하면 송수신회로(23)의 송신부가 동작하여 통신 가능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가까이 있는 전화기(20)를 이용하여 전화번호(B)의 호출에 응답하고자 하면, 스위칭부(22)를 전화번호(B) 쪽으로 절환하면 된다. 이때, 전화국(10)의 2가닥의 전화선(L12)과 접속되어 전화번호(B)를 부여받는 전화기(20)의 2가닥의 전화선(L22)이 스위칭부(22)를 통해 내부 전화선(L31)과 연결되기 때문에 전화번호(B)의 호출이 전화기(20)로 인가된다. 이때, 전화기(20)를 훅크오프하면 송수신회로(23)의 수신부가 동작하여 전화 상대방의 호출에 응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전화기에 두 개의 전화번호가 동시에 부여되고 스위칭부의 절환작용에 의하여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전화번호를 사용하고 있는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유리하다. 즉, 하나의 전화기를 사용하여 모든 전화번호의 호출에 대한 응답을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화국으로부터 2개의 전화번호가 부여되는 4가닥의 전화선과 전화기의 4가닥의 전화선을 접속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서 전화국의 전화선과 접속된 전화기의 4가닥의 전화선 중 하나의 전화번호가 부여되는 2가닥의 전화선을 전화기의 송수신회로와 접속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KR2019970039802U 1997-12-23 1997-12-23 전화기 KR199900272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802U KR19990027214U (ko) 1997-12-23 1997-12-23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802U KR19990027214U (ko) 1997-12-23 1997-12-23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214U true KR19990027214U (ko) 1999-07-15

Family

ID=6968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802U KR19990027214U (ko) 1997-12-23 1997-12-23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21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486B1 (ko) * 1999-11-02 2003-02-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486B1 (ko) * 1999-11-02 2003-02-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9269B1 (ko) 인터넷 전화기 및 인터넷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방법
KR910008402B1 (ko) 무선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119399B (zh) 蓝牙喇叭
US5259020A (en) Portable-to-portable call transfer system for cordless telephone
KR19990027214U (ko) 전화기
JP2877580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661935A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装置
JP3354966B2 (ja) 電話機システム
CN201383879Y (zh) 一种3g电话通信系统
KR930002581B1 (ko) 무선 전화기의 인터컴 통화회로
JP3619787B2 (ja) 親子電話装置の親機
CN101505345A (zh) 一种3g电话通信系统、方法
JPH0528536B2 (ko)
KR100197058B1 (ko) 전화기의 통화로 자동전환장치
JP2651694B2 (ja) 自動電話回線切替装置
JP2971151B2 (ja) ボタン電話装置
JP2919323B2 (ja) 専用回線伝送方式
JP3104614B2 (ja) Phsを採用した簡易リピータ
KR19990008918U (ko) 전화기의 송/수신 음량 조절장치
JPH0290886A (ja) ボタン電話機の外部機器インタフェース回路
JPH0252545A (ja) 有線無線電話機
JPH05183613A (ja) コ−ドレス電話装置および通話中デ−タ伝送方法
JPH062844U (ja) 電話装置
JPH05167522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20000013133A (ko) 키폰 전화기의 부재중 전화 연결방법 및 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