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190U - 자동차 흡배기 장치의 에어 밸브 - Google Patents

자동차 흡배기 장치의 에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190U
KR19990027190U KR2019970039777U KR19970039777U KR19990027190U KR 19990027190 U KR19990027190 U KR 19990027190U KR 2019970039777 U KR2019970039777 U KR 2019970039777U KR 19970039777 U KR19970039777 U KR 19970039777U KR 19990027190 U KR19990027190 U KR 199900271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valve
intake
exhaust devic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성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9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190U/ko
Publication of KR199900271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190U/ko

Links

Landscapes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흡배기 장치의 에어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 라인으로 에어 클리너, 에어 펌프, 에어 밸브 및 매니폴드로 구성되어 공기를 배기시키는 자동차의 흡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밸브는 몸체의 내부 하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밀폐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은 상단이 고정링과 고정 플레이트 사이의 스프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는 개폐 부재로 개폐되어 지며 상기 밀폐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는 에어 펌프와 연결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하부에는 배출부가 형성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흡배기 장치의 에어밸브를 제공하므로서, 자동차의 엔진 구동시에 배기되는 에어를 에어밸브의 작동에 의해만 공기가 배기되도록 하여 전자제어부와 연결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등과 같은 별도의 부품과 회로 등을 삭제하여 간단한 구조로 공기를 배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흡배기 장치의 에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흡배기 장치의 에어 밸브(VALVE OF AIR INJECTION SYSTEM FOR A CAR)
본 고안은 자동차 흡배기 장치의 에어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동차의 엔진 구동시에 배기되는 에어를 에어밸브의 작동에 의해만 공기가 배기되도록 하므로서, 전자제어부와 연결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등과 같은 별도의 부품과 회로 등을 삭제하여 간단한 구조로 공기를 배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흡배기 장치의 에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흡배기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데, 이러한 흡배기 장치는 엔진이 작동되면서 실린더내에 혼합기를 흡입하거나, 연소후의 가스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흡기장치(intake system)는 실린더에 흡입하는 공기중의 먼지 등을 제거하는 에어 클리너 및 각 실린더에 혼합기를 분배하는 흡기 매니폴드(intake manifold) 등으로 구성되어 진다.
한편, 배기장치(exhaust system)는 각 실린더의 배기가스를 종합하는 배기 매니폴드(exhaust manifold), 배기 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배기 파이프 및 배기소음을 저하시키는 소음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엔진의 압축 및 연소행정에서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서 크랭크 케이스로 블로바이 가스(blow-by gas)를 그대로 대기중으로 방출하면 대기 오염의 원인이 되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안기준에 따른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흡기장치인 에어 클리너(air cleaner)는 엔진을 운전하는 데는 1%의 가솔린에 대하여 10㎥에 가까운 공기를 필요로 하는 데, 이 공기 중에는 많은 모래먼지와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기화기를 거처서 혼합기와 함께 실린더로 흡입되면 고속으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과 실린더벽에 끼어서 거친 연마제로 작용하여 실린더벽에 상처를 입힌다. 또 엔지 오일에 혼합되므로 베어링 메탈 등의 각 접동부분에 마모를 촉지하고 엔지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이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에어 클리너를 기화기의 에어혼부에 장치하여,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대부분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는 그밖에도 흡기계통에서 발생하는 흡기음을 없애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자동차의 흡배기 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4 및 도 5에 의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엔진이 구동되면서 외부공기가 에어 덕트(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에어 클리너(50)에 유입되면서 공기 중에 섞여 있는 먼지나 이물질 등이 제거되고 이 이물질 등이 제거된 공기는 다시 파이프 라인(60)을 통해 에어 컴프레셔(도시되지 않음)를 거쳐 에어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되어 진다.
이렇게, 에어탱크에 저장된 공기는 다시 전자제어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결된 에어 펌프(air pump)(70)의 구동에 의해 다시 몸체(800)의 내부에 스프링(802)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 부재(804)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로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90)와 연결되는 연결부(805)가, 측면에는 상기 에어 펌프(70)와 연결되는 결합부(806)가, 하부에는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부(808)로 구성된 에어 밸브(80)로 공급되어 지고 이 에어 밸브(80)는 다시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9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에어 밸브(80) 내를 진공상태로 하여 개폐 부재(804)가 개방되면서 매니폴드(100)를 통해 배기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 자동차 흡배기 장치에서 에어를 배기하는 과정이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된 에어 펌프(80)와, 이 에어 밸브(80)와 연결되어 에어 밸브(8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90)등으로 구성되어, 그 구성이 복잡하게 구성되는 문제점과, 상기와 같은 작동을 위해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되는 회로 등이 복잡하게 추가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엔진 구동시에 배기되는 에어를 에어밸브의 작동에 의해만 공기가 배기되도록 하므로서, 전자제어부와 연결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등과 같은 별도의 부품과 회로 등을 삭제하여 간단한 구조로 공기를 배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의 구성요소로 인해 달성된다.
파이프 라인으로 에어 클리너, 에어 펌프, 에어 밸브 및 매니폴드로 구성되어 공기를 배기시키는 자동차의 흡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밸브는 몸체의 내부 하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밀폐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은 상단이 고정링과 고정 플레이트 사이의 스프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는 개폐 부재로 개폐되어 지며 상기 밀폐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는 에어 펌프와 연결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하부에는 배출부가 형성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에어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에어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4는 종래 자동차의 흡배기 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도.
도 5는 종래 에어 밸브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어 밸브 11 : 몸체
12 : 배출공 13 : 밀폐 플레이트
14 : 고정링 15 : 스프링
16 : 고정 플레이트 17 : 개폐 부재
18 : 유입부 19 : 배출부
50 : 에어 클리너 60 : 파이프 라인
70 : 에어 펌프 100 : 매니폴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먼저, 외부공기가 에어 덕트(도시도지 않음)를 통해 에어 클리너(50)에 유입되면서 공기 중에 섞여 있는 먼지나 이물질 등이 제거되고 이 이물질 등이 제거된 공기는 다시 파이프 라인(60)을 통해 에어 컴프레셔(도시되지 않음)를 거쳐 에어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되어 지며, 이 저장되어진 공기는 다시 전자제어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결된 에어 펌프(70)의 구동에 의해 다시 몸체(11)의 내부 하측에 배출공(12)이 형성된 밀폐 플레이트(13)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2)은 상단이 고정링(14)과 고정 플레이트(16) 사이의 스프링(15)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는 개폐 부재(17)로 개폐되어 지며 상기 밀폐 플레이트(13)와 고정 플레이트(16) 사이에는 상기 에어 펌프70()와 연결되는 유입부(18)가 형성되고 몸체(11)의 하부에는 매니폴드(100)와 연결되게 배출부(19)가 형성된 에어 밸브(10)로 공급되어 진 후에 매니폴드(100)를 통해 배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에어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서, 에어 펌프(70)의 구동에 의해 몸체(11) 내의 고정 플레이트(16)와 밀폐 플레이트(13) 사이에 형성된 유입부(18)로 공기가 유입되면 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밀폐 플레이트(13)에 형성된 배출공(12)을 차단하고 있는 개폐 부재(17)에 압력이 가해져 배출공(12)을 개방시키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에어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서, 에어 펌프(70)의 구동이 멈춰지게 되면 에어 밸브(10)의 몸체(11) 내에 가해졌던 공기의 압력이 약해지면서 고정 플레이트(16)와 스프링(15)으로 지지되게 설치된 개폐 부재(17)가 스프링(15)의 복원력과, 매니폴드(도 1참조)(100)를 통해 배기되었던 배기공기가 역류되면서 그 공기의 압력으로 밀폐 플레이트(13)의 배출공(12)을 폐쇄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의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의 엔진이 구동하면서 외부공기가 에어 덕트를 통해 에어 클리너(50)에 유입되면서 공기 중에 섞여 있는 먼지나 이물질 등이 제거되고 이 이물질 등이 제거된 공기는 다시 파이프 라인(60)을 통해 에어 컴프레셔를 거쳐 에어탱크에 저장되어 진다.
이렇게, 이물질이 제거되어 저장되어진 공기는 다시 전자제어장치(ECU)와 연결된 에어 펌프(70)의 구동에 의해 다시 몸체(11)의 내부 하측에 배출공(12)이 형성된 밀폐 플레이트(13)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2)은 상단이 고정링(14)과 고정 플레이트(16) 사이의 스프링(15)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는 개폐 부재(17)로 개폐되어 지며 상기 밀폐 플레이트(13)와 고정 플레이트(16) 사이에는 상기 에어 펌프(70)와 연결되는 유입부(18)가 형성되고 몸체(11)의 하부에는 매니폴드(100)와 연결되게 배출부(19)가 형성된 에어 밸브(10)로 공급되어 진 후에 매니폴드(100)를 통해 배기된다.
상기에서, 에어 밸브(10)의 작동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에어 펌프(70)가 온(ON)되어 구동하게 되면 에어 밸브(10)의 몸체(11) 내에 설치된 고정 플레이트(16)와 밀폐 플레이트(13) 사이에 형성된 유입부(18)로 공기가 몸체(11) 내로 유입되고 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밀폐 플레이트(13)에 형성된 배출공(12)을 차단하고 있는 개폐 부재(17)에 압력이 가해져 밀폐 플레이트(13)의 배출공(12)을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밀폐 플레이트(13)의 배출공(12)이 개방되어 지면 에어 밸브(10)의 몸체(11) 하부에 형성된 배출부(19)를 통해 매니폴드(100)를 거쳐 완전히 배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배기가 완료된 후 에어 펌프(70)의 구동이 멈취지게 되면 에어 밸브(70)의 몸체(11) 내로 유입부(18)를 통해 공급되었던 공기가 공급되지 않아, 에어 밸브(10)의 몸체(11) 내에 가해졌던 공기의 압력이 약해지면서 고정 플레이트(16)와 스프링(15)으로 지지되게 설치된 개폐 부재(17)가 스프링(15)의 복원력과, 도 1에서와 같이 매니폴드(100)와 연결된 배출부(19)로 배기되었던 공기가 역류되면서 발생되는 공기의 압력으로 밀폐 플레이트(13)의 배출공(12)을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엔진이 구동되면서 작동되는 흡배기 장치의 에어 밸브(10)를 종래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90)에 의해 개폐할 수 있게 설치되었던 부품과 회로 등을 삭제하고도 에어 밸브(10) 자체에서 에어 펌프(70)의 구동에 의해 가해지는 공기의 압력으로 개폐할 수 있어, 흡배기 장치 전체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흡배기 장치인 에어 밸브를 에어 펌프의 작동에 의해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되는 부품과 그에 따른 회로 등을 삭제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흡배기 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하고 상기 부품과 회로 등의 삭제로 인해 제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흡배기 장치에 있어서, 에어 밸브(10)는 몸체(11)의 내부 하측에 배출공(12)이 형성된 밀폐 플레이트(13)가 형성되고, 배출공(12)은 상단이 고정링(14)과 고정 플레이트(16) 사이의 스프링(15)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는 개폐 부재(17)로 개폐되며, 밀폐 플레이트(13)와 고정 플레이트(16) 사이에는 에어 펌프(70)와 연결되는 유입부(18)가 형성되고, 몸체(11)의 하부에는 배출부(19)가 형성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흡배기 장치의 에어 밸브
KR2019970039777U 1997-12-23 1997-12-23 자동차 흡배기 장치의 에어 밸브 KR199900271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777U KR19990027190U (ko) 1997-12-23 1997-12-23 자동차 흡배기 장치의 에어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777U KR19990027190U (ko) 1997-12-23 1997-12-23 자동차 흡배기 장치의 에어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190U true KR19990027190U (ko) 1999-07-15

Family

ID=6969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777U KR19990027190U (ko) 1997-12-23 1997-12-23 자동차 흡배기 장치의 에어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19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837B1 (ko) * 2002-10-15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가변흡기시스템의 진공액츄에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837B1 (ko) * 2002-10-15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가변흡기시스템의 진공액츄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3025A (en) Blowby disposal system
US5494020A (en) Apparatus for recycling the exhaust gas of an engine crankcase
US11203955B2 (en) Blow-by gas system
KR19990027190U (ko) 자동차 흡배기 장치의 에어 밸브
KR100353945B1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100362413B1 (ko) 가변 길이형 튜브가 삽입되는 에어 클리너
FR2426171A1 (fr) Installation a air aspire pour vehicules
KR200181702Y1 (ko) 블로바이 가스의 과다흡입 방지장치
JPH0639096Y2 (ja) 内燃機関のアイドルアップ空気供給装置
KR100444878B1 (ko) 오일세퍼레이터 구조
KR100428218B1 (ko) 엔진 오일의 분리ㆍ회수를 겸한 터보차저용 소음기
JP3612716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KR101013747B1 (ko) 엔진 흡기계로의 블로바이가스 유출방지장치
KR100384004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KR100333290B1 (ko) 자동차 머플러의 매연가루 제거장치
JP2001295621A (ja) 筒内噴射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KR200160391Y1 (ko)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JPH09236054A (ja) サージタンク
KR100224209B1 (ko) 흡기장치의 에어 클리너
KR20090055845A (ko) 자동차용 에어클리너와 공명기덕트 결합장치
KR19990031921U (ko) 자동차용 블로우 바이 가스 환원 장치
KR20070064498A (ko) 에어컨트롤 밸브용 밸브축의 오일배출구조
JPH0530479U (ja) エアコンプレツサ
KR19980061194A (ko) 에어 클리너 청소 장치
KR20030032108A (ko) 디젤엔진의 블로바이가스 재순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