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721U -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721U
KR19990026721U KR2019970039260U KR19970039260U KR19990026721U KR 19990026721 U KR19990026721 U KR 19990026721U KR 2019970039260 U KR2019970039260 U KR 2019970039260U KR 19970039260 U KR19970039260 U KR 19970039260U KR 19990026721 U KR19990026721 U KR 199900267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ylinder
hydraulic pump
automatic brak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9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721U/ko
Publication of KR199900267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721U/ko

Links

Landscapes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레이크 고장이 발생된 경우 강제적으로 주차 케이블을 동작시키는 별도의 작동수단을 갖는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는, 차량의 소정부위에 각기 설치되는 센서(56)(76)와, 주차 브레이크 레버(30)에 연결되는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34)의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40)와, 실린더(40)의 내측에 설치되며, 귀환 스프링(42)을 개제하여 설치되는 피스톤(44)과, 실린더(40)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압 펌프(50)와, 그 일측이 상기 유압 펌프(50)에 연결되며, 그 타측이 센서(56)에 연결되는 컨트롤러(52)와, 유압 펌프(50)에 연결되는 오일 저장탱크(60)와, 실린더(40)의 타측에 설치되는 밸브(62)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는 유압 브레이크의 고장시 별도의 제동수단에 의해 브레이크를 강제로 동작하게 하여 제동하게 되므로 운전자에게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
본 고안은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레이크 고장이 발생된 경우 강제적으로 주차 케이블을 동작시키는 별도의 작동수단을 갖는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브레이크 장치는 주행중에 주로 사용되는 주 브레이크와, 자동차를 주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주차 브레이크가 있으며, 상기 주 브레이크는 운전자의 발로 조작하므로 발 브레이크라하고, 상기 주차 브레이크는 일반적으로 손으로 조작하기 때문에 핸드 브레이크라고 칭한다.
브레이크 장치의 조작기구에는 로드나 와이어를 사용하는 기계식과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식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발 브레이크에는 유압식이, 주차 브레이크에는 기계식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발 브레이크에는 유압식 이외에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배력식 브레이크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압식 브레이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은 것이 공지되어 있다. 유압식 브레이크는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브레이크 페달(10)을 밟으면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12), 그 유압을 받아서 브레이크 슈(14)를 드럼에 밀어 붙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휠 실린더(16), 유로를 형성하는 브레이크 파이프(18) 및 호스(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20은 브레이크 드럼이다.
상기 유압식 브레이크는 제동력이 모든 바퀴에 균등하게 전달되어 마찰손실도 적고, 조작력도 적게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은 있지만 브레이크 파이프(18)의 파손에 의해 브레이크 액 누출이 일어나면 기능을 상실하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압식 브레이크는 고장시 별도의 제동수단이 없으므로 운전자가 당황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압식 브레이크의 고장시 별도의 제동수단에 의해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운전자에게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한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는, 차량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며, 메인 브레이크의 동작과 제동패드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주차 브레이크 레버에 연결되는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압 펌프와; 그 일측이 상기 유압펌프에 연결되고, 그 타측에 센서에 연결되는 컨트롤러와; 상기 유압 펌프에 연결되며, 그 내측에 소정의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오일 저장탱크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압식 브레이크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된 디스크 브레이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브레이크 페달 12 : 마스터 실린더
14 : 브레이크 슈 16 : 휠 실린더
20 : 브레이크 드럼 30 : 주차 브레이크 레버
40 : 실린더 42 : 귀환 스프링
44 : 피스톤 50 : 유압 펌프
52 : 컨트롤러 56,76 : 센서
60 : 오일 저장탱크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종래와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30)에 연결되는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34)의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40)와, 상기 실린더(40)의 내측에 설치되며, 귀환 스프링(42)을 개제하여 설치되는 피스톤(44)과, 상기 실린더(40)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압 펌프(50)와, 상기 유압 펌프(50)에 연결되는 오일 저장탱크(60)와, 상기 실린더(40)의 타측에 설치되는 밸브(6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 펌프(50)의 일측에는 컨트롤러(52)가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52)는 스트로크 감지센서(56)에 연결되게 된다. 상기 스트로크 감지센서(56)는 브레이크 페달(도시되지 않음)의 이동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사시도이다. 디스크 브레이크(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퀴(도시되지 않음)와 함께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70)에 양쪽에서 제동 패드(72)를 유압으로 밀어 붙여 제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동 패드(72)의 대향측에는 피스톤(74)이 설치되며, 상기 제동 패드(72)는 상기 피스톤(74)의 피스톤 로드(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게 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74)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피스톤(74)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76)가 설치된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의 동작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메인 브레이크 시스템의 동작이 고장인 경우 상기 스트로크 감지센서(56)와 센서(76)가 상기 메인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컨트롤러(52)는 유압 펌프(50)를 동작하게 된다. 상기 유압 펌프(50)는 오일 저장탱크(60)로부터 받은 오일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실린더(40)내에 설치된 피스톤(44)을 화살표 P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34)이 화살표 P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70)에 제동 패드(72)가 부착하게 되면서 제동이 되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는 메인 브레이크가 고장이 난 경우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을 자동으로 동작시켜 제동하게 되므로 운전자에게 안정성을 제공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는 유압 브레이크의 고장시 별도의 제동수단에 의해 브레이크를 강제로 동작하게 하여 제동하게 되므로 운전자에게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차량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며, 메인 브레이크의 동작과 제동패드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주차 브레이크 레버에 연결되는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압 펌프와;
    그 일측이 상기 유압펌프에 연결되고, 그 타측에 센서에 연결되는 컨트롤러와;
    상기 유압 펌프에 연결되며, 그 내측에 소정의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오일 저장탱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그 내측에 귀환 스프링을 개제하여 설치되는 피스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그 타측에 상기 실린더의 내측의 압력을 차속에 따라서 소정의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한 밸브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
KR2019970039260U 1997-12-19 1997-12-19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 KR199900267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260U KR19990026721U (ko) 1997-12-19 1997-12-19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260U KR19990026721U (ko) 1997-12-19 1997-12-19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721U true KR19990026721U (ko) 1999-07-15

Family

ID=6969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260U KR19990026721U (ko) 1997-12-19 1997-12-19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72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583B1 (ko) * 2005-12-12 2012-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583B1 (ko) * 2005-12-12 2012-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6721U (ko) 브레이크 고장시 자동 제동장치
KR100224391B1 (ko) 안전 브레이크 장치
KR100369034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9990019603A (ko) 차량에서 스티어링 휠의 브레이크 시스템
KR100224427B1 (ko) 보조 브레이크 장치
KR0123822B1 (ko) 마찰패드 마모감지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장치
KR0122584Y1 (ko) 유압식 브레이크장치의 클레비스구조
KR19980049130A (ko) 엔진구동식 브레이크 장치
KR0184582B1 (ko) 멈춤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자동차의 스톱램프 스위치
KR19980047508A (ko) 브레이크 작동시 클러치의 자동 동력차단장치
KR0173764B1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자동작동장치
KR100241386B1 (ko) 차량의 제동 배력장치
KR100330050B1 (ko) 브레이크 유압라인 이상발생시를 대비한 보조 브레이크시스템
KR970002204Y1 (ko) 유압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19990005800U (ko) 자동차의 클러치 제어 장치
KR100220424B1 (ko) 전자석을 이용한 브레이크 보조장치
KR100428089B1 (ko) 안전 브레이크 장치
KR19980060088U (ko) 차량의 제동상태 유지장치
KR20050049621A (ko) 차량의 브레이크 패드 간격 조절장치
KR19980061140A (ko) 브레이크라인의 자동공기배출장치
KR19980051532U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0126342Y1 (ko) 자동차용 제동장치
KR200150391Y1 (ko) 시험용 차량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KR19990051213A (ko) 차량의 비상 제동방법 및 제동장치
KR19980053522U (ko) 브레이크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