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222U - 가속과 제동을 겸하는 페달기구 - Google Patents

가속과 제동을 겸하는 페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222U
KR19990026222U KR2019970038756U KR19970038756U KR19990026222U KR 19990026222 U KR19990026222 U KR 19990026222U KR 2019970038756 U KR2019970038756 U KR 2019970038756U KR 19970038756 U KR19970038756 U KR 19970038756U KR 19990026222 U KR19990026222 U KR 199900262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shaft
support
elastic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호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70038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222U/ko
Publication of KR19990026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222U/ko

Links

Landscapes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속과 제동을 겸하는 페달기구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고안은 횡방향으로 샤프트(24)를 수용하고 전후방으로 각각 탄성부재(31)(32)를 지니는 지지대(23); 상기 지지대(23) 상에서 전방 탄성부재(31)의 탄성력을 상방향으로 받도록 샤프트(2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방페달(21); 상기 지지대(23) 상에서 후방 탄성부재(32)의 탄성력을 상방향으로 받도록 샤프트(2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후방페달(22); 그리고 상기 전방페달(21) 및 후방페달(22)의 상방향 회전을 재한하도록 샤프트(24) 상에 장착되는 중간판(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자동차에서 운전자가 가장 많이 조작하는 가속페달과 제동페달을 통합하여 발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두 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속과 제동을 겸하는 페달기구
본 고안은 가속과 제동을 겸하는 페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에서 운전자가 가장 많이 조작하는 가속페달과 제동페달을 통합하여 발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두 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가속과 제동을 겸하는 페달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속페달 및 제동페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자동차의 가속페달(11)은 부호 11a의 힌지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고 케이블(13)을 개재하여 엔진의 흡기계통에 장착되는 스로틀 보디와 연결된다. 가속페달(11)의 상부에서 부호 11b의 연결부에 고정되는 케이블(13)은 가속페달(11)을 밟으면 후방으로 당겨지고 스로틀 보디에서 혼합 공기량이 증대되도록 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높이게 된다.
자동차의 제동페달(12)은 부호 12a의 힌지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고 부호 12b의 연결부에서 마스터실린더(14)의 스풀을 작동하는 로드에 연결된다. 제동페달(12)을 밟으면 로드가 전진하여 마스터실린더(14)에서 고압이 발생하고 휠의 제동 실린더에 고압이 전달되어 제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속페달(11)과 제동페달(12)은 횡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발의 이동거리가 길어 장거리 운전시 피로를 가중시키기도 하고 초보 운전자의 경우 양자를 혼동하여 사고를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보완하는 것으로서 자동차에서 운전자가 가장 많이 조작하는 가속페달과 제동페달을 통합하여 발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두 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가속과 제동을 겸하는 페달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속페달 및 제동페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구를 분해 및 부분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가속페달 12: 제동페달
13: 케이블 14: 마스터실린더
21: 전방페달 21a, 22a: 힌지부
21b, 22b: 연결부 22: 후방페달
23: 지지대 24: 샤프트
25: 중간판 26: 롤러
27: 링크 31, 32: 탄성부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횡방향으로 샤프트(24)를 수용하고 전후방으로 각각 탄성부재(31)(32)를 지니는 지지대(23); 상기 지지대(23) 상에서 전방 탄성부재(31)의 탄성력을 상방향으로 받도록 샤프트(2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방페달(21); 상기 지지대(23) 상에서 후방 탄성부재(32)의 탄성력을 상방향으로 받도록 샤프트(2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후방페달(22); 그리고 상기 전방페달(21) 및 후방페달(22)의 상방향 회전을 재한하도록 샤프트(24) 상에 장착되는 중간판(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과 제동을 겸하는 페달기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방페달(21)은 답력이 작용하면 롤러(26)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케이블(13)을 후진 운동시켜 가속되도록 하고, 상기 후방페달(22)은 답력이 작용하면 링크(27)를 통하여 마스터실린더(14)에 가압력을 전달하여 제동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구를 분해 및 부분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횡방향으로 샤프트(24)를 수용하고 전후방으로 각각 탄성부재(31)(32)를 지니는 지지대(23)가 장착된다. 지지대(23)는 샤프트(24)를 2점지지하는 수직부재를 지니고 하부의 차체나 프레임에 고정된다. 지지대(23) 및 샤프트(24)는 강도를 고려하여 금속 소재를 사용한다. 지지대(23)에서 샤프트(24)가 설치되는 높이는 후술하는 전방페달(21) 및 후방페달(22)의 작동을 고려하여 충분히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23) 상에서 전방 탄성부재(31)의 탄성력을 상방향으로 받도록 샤프트(24)에 전방페달(21)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다. 탄성부재(31)는 와이어 형태로 된 스프링을 사용하고 전방페달(21)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한다. 전방페달(21)의 상면에는 종래와 같이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재질을 부착하는데 도시처럼 전방페달(21)의 상단을 절곡된 형태로 하여 발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전방페달(21)은 답력이 작용하면 롤러(26)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케이블(13)을 후진 운동시켜 가속되도록 한다. 전방페달(21)이 힌지부(21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연결부(21b)도 하강하므로 케이블(13)은 후진한다. 롤러(26)의 위치를 적절히 변경하면 전방페달(21)의 회전각에 따른 케이블(13)의 후진 거리가 달라지므로 종래의 스로틀 보디를 그대로 사용하여도 동일한 가속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23) 상에서 후방 탄성부재(32)의 탄성력을 상방향으로 받도록 샤프트(24)에 후방페달(22)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다. 후방페달(22)과 전방페달(21)은 각각의 힌지부(21a)(22a)가 어긋나면서 서로의 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샤프트(24)에 장착된다. 탄성부재(32)는 전술한 전방페달(21)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고 후방페달(22)의 하면에 접촉시킨다. 후방페달(22)의 하단을 절곡하거나 고무를 부착시키는 것도 동일하다.
이때 상기 후방페달(22)은 답력이 작용하면 링크(27)를 통하여 마스터실린더(14)에 가압력을 전달하여 제동되도록 한다. 후방페달(22)에 답력이 작용하면 힌지부(22a)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링크(27)를 전진시키고 링크(27)는 마스터실린더(14)를 가동한다. 링크(27)는 후방페달(22)의 작동시 연결부(22b)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을 변환하여 마스터실린더(14)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볼조인트 등을 사용한다.
한편 탄성부재(31)(32)는 전방페달(21) 및 후방페달(22)에 답력이 없는 동안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지니므로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전방페달(21) 및 후방페달(22)의 상방향 회전을 재한하도록 샤프트(24) 상에 중간판(25)을 장착한다. 중간판(25)은 부호 25a로 나타내는 것처럼 샤프트(24)에 장착하기 위한 수직부재를 지니는데 그다지 큰 하중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한다. 중간판(25)은 전방페달(21) 및 후방페달(22)의 상면에 접촉하여 도 3과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중간판(25)은 발을 올려놓을 때 편안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기능도 지닌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작동을 설명한다.
운전자는 본 고안의 페달에 항상 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가속을 할 때는 발을 앞으로 이동시켜 앞부분으로 가압하고 제동을 할 때는 발을 뒤로 이동시켜 뒷부분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발을 떼어 횡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가속과 제동이 명확히 구분되므로 페달을 잘못 작동하는 위험성이 배제된다.
또한 본 고안의 기구를 자동 트랜스밋션 방식의 자동차에 설치하면 운전자의 중심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취향이나 신체조건에 따라 좌우측 발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수동 트랜스밋션을 지니는 자동차에 적용하는 경우 급한 언덕길에서 출발할 때 제동에서 가속으로 전환하는 시간이 짧아 뒤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의 가속과 제동을 겸하는 페달기구는 자동차에서 운전자가 가장 많이 조작하는 가속페달과 제동페달을 통합하여 발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두 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횡방향으로 샤프트를 수용하고 전후방으로 각각 탄성부재를 지니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서 전방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상방향으로 받도록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방페달;
    상기 지지대 상에서 후방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상방향으로 받도록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후방페달; 그리고
    상기 전방페달 및 후방페달의 상방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샤프트 상에 장착되는 중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과 제동을 겸하는 페달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페달은 답력이 작용하면 롤러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케이블을 후진 운동시켜 가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과 제동을 겸하는 페달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페달은 답력이 작용하면 링크를 통하여 마스터실린더에 가압력을 전달하여 제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과 제동을 겸하는 페달기구.
KR2019970038756U 1997-12-19 1997-12-19 가속과 제동을 겸하는 페달기구 KR199900262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756U KR19990026222U (ko) 1997-12-19 1997-12-19 가속과 제동을 겸하는 페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756U KR19990026222U (ko) 1997-12-19 1997-12-19 가속과 제동을 겸하는 페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222U true KR19990026222U (ko) 1999-07-15

Family

ID=6969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756U KR19990026222U (ko) 1997-12-19 1997-12-19 가속과 제동을 겸하는 페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22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495B1 (ko) * 2003-12-02 2010-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형 회전 제어 페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495B1 (ko) * 2003-12-02 2010-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형 회전 제어 페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49755B1 (en) Brake pedal assembly with variable ratio
US4683977A (en) Adjustable pedal assembly
US6151985A (en) Adjustable pedal apparatus
US6860170B2 (en) Electronic throttle control hysteresis mechanism
KR20000006030A (ko) 히스테리시스를갖는전자식스로틀제어장치
JP2917136B2 (ja) 自動車の縦運動及び横運動を制御するための操作素子装置
US3935916A (en) Dual control system for motorcycle instruction
KR20010021152A (ko) 조절가능한 페달-평행한 나사와 로드
US20070137396A1 (en) Adjustable pedal system with low brake ratio change
US4152952A (en) Brake pedal linkage mechanism
KR19990026222U (ko) 가속과 제동을 겸하는 페달기구
JPH08142818A (ja) 自走車両用ペダル機構
US5427216A (en) Control linkage for a hydrostatic transmission
KR100381560B1 (ko) 자동차의단일-페달장치및기존의페달장치를단일-페달장치로교체하는방법
US3354743A (en) Vehicle driving controls
US7823480B2 (en) Support bracket with an integrated switch for a pedal assembly
JP2561448Y2 (ja) 乗用作業車の走行操作装置
KR200220801Y1 (ko) 자동차의 답면 일체형 페달장치
KR930007338B1 (ko) 제동 겸용 가속페달을 갖춘 승용차
JP2006076535A (ja) ブレーキ装置
EP1318051A2 (en) System to disengage the arm of a pedal
JP3373908B2 (ja) 作業機のペダル操作構造
JP3521153B2 (ja) 車両用エンジン緊急停止装置
JPS644632Y2 (ko)
JPS5923619Y2 (ja) 農用トラクタのアクセルペダ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