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797U - 버스의 전조등 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전조등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25797U KR19990025797U KR2019970038322U KR19970038322U KR19990025797U KR 19990025797 U KR19990025797 U KR 19990025797U KR 2019970038322 U KR2019970038322 U KR 2019970038322U KR 19970038322 U KR19970038322 U KR 19970038322U KR 19990025797 U KR19990025797 U KR 1999002579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gh beam
- headlamp
- bus
- lamp
- headligh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전조등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버스의 프런트 패널(20) 좌. 우측에 설치되는 좌. 우측 전조등(30)(30a)과, 상기 좌. 우측 전조등(30)(30a) 내부에 램프(41)가 설치된 램프 하우징(40)과, 상기 램프 하우징(40) 전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 1.2.3.4렌즈(50)(50a)(50b)(50c)로 이루어진 전조등(10)에 있어서, 상기 우측 전조등(30a)의 제 1. 2렌즈(50)(50a) 중앙부 양 외측에서 내측으로 만곡지게 로우빔부(51) 및 하이빔부(51a)를 구획하되, 상기 로우빔부(51) 및 하이빔부(51a)는, 내측부에 적정간격으로 가로 및 세로방향을 유지하여 만곡지게 돌출된 다수의 돌기부(52)로 구성된 버스의 전조등 구조를 제공하여 전조등의 각도를 조절하지 않고도 하이 빔 및 로우빔의 조명을 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버스의 전조등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전조등 렌즈 자체에 부분적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부로 이루어진 로우빔부 및 하이빔부로 구획하여 전조등의 각도를 조절하지 않고도 하이빔 및 로우빔의 조명을 할 수 있는 버스의 전조등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프런트 패널에는 전조등이 설치 되어 운전자의 전방시계를 확보하여 안전운행을 하는 것으로, 이는 운전석을 기준하여 좌. 우측의 프런트 패널에 좌. 우측 전조등이 각각 설치되는 데, 이 좌. 우측 전조등에는 타 차량이 마주올 때 작동시켜 타 차량 운전자의 전방시계를 보호해주는 로우빔(low beam)과, 마주오는 타 차량이 없을 때 동작시켜 넓은 범위를 비추어 안전운행을 하는 하이빔(hight beam) 등으로 구성되어 운전자의 안전운행에 필수적인 수단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버스의 우측 전조등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 버스 좌측 전조등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조등(100)구조는, 버스의 프런트 패널(200) 좌. 우측에 설치되는 좌. 우측 전조등(300)(300a)과, 상기 좌. 우측 전조등(300)(300a) 내부에 램프(410)가 설치된 램프 하우징(400)과, 상기 램프 하우징(400) 전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 1.2.3.4렌즈(500)(500a)(500b)(500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 하우징(400)의 상. 하부에는 고정 브라켓(600)으로써 램프 하우징(400)을 지지하되, 상기 고정 브라켓(600)의 상. 하부를 조절볼트(610)와 체결볼트(620)로써 체결 고정시켜 상기 프런트 패널(200)의 좌. 우측에 각각 설치하게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볼트(610)는 램프 하우징(400)의 상. 하각도를 조절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 우측 전조등(300)(300a)의 제 1.2.3.4렌즈(500)(500a)(500b)(500c) 내부에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의 라인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램프 하우징(400)의 후면부에는 램프(4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42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전조등(100)의 설치구조는, 먼저 운전자가 운전석의 램프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면, 프런트 패널(200)의 좌. 우측에 설치된 좌. 우측 전조등(300)(300a)의 램프 하우징(400) 후면부에 설치된 커넥터(420)를 통하여 차체의 전원이 램프(410)로 인가 됨으로써 램프 하우징(400)의 전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가로 및 세로의 라인이 형성된 제 1. 3렌즈(500)(500b)를 통하여 외부로 일정한 조도와 각도를 유지하여 불빛이 조사 되어 야간에 운전자의 전방 시계를 완전하게 확보하여 안전운행을 하게 된다. 이는 주로 버스 운행시 타 차량이 마주보고 운행중일 때 작동하게 되는 로우빔 위치인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마주보고 주행하는 차량이 없을 때 램프 스위치를 하이빔 위치로 조작시켜 좌. 우측 전조등(300)(300a)의 램프(410) 불빛을 좌. 우측 전조등(300)(300a)의 제 2. 4렌즈(500a)(500c)를 통하여 멀리 상방으로 조명을 한 상태에서 안전운행을 하다가 마주오는 타 차량이 있을 때 운전자는 신속히 램프 스위치를 로우빔으로 전환시켜 좌. 우측 전조등(300)(300a)의 제 1. 3렌즈(500)(500b)를 통하여 낮게 넓게 조명을 하게 됨으로써 상대방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보호해 주게 되는 데, 이와 같은 램프(410) 불빛의 각도 조절은 램프 하우징(400)을 지지하는 고정 브라켓(600) 상부에 체결된 조절볼트(610)로써 램프 하우징(400)의 상. 하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즉, 버스의 조립 작업시 미리 조절볼트(610)를 풀거나 조여 각 전조등(100)의 램프 하우징(400) 상. 하 각도를 조절해 놓거나 버스 운행시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운전자가 적절하게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전조등 설치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버스의 프런트 패널에 설치되어 야간에 운전자의 전방시계를 확보하는 전조등의 램프 불빛을 로우빔 및 하이빔으로 조절를 하기 위해서, 즉 램프 불빛의 상. 하각도를 조절볼트로써 조절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여 그 조립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버스 전조등의 렌즈 자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돌기부를 형성하여 램프 불빛이 자연적으로 하이빔과 로우빔으로 조사되게 됨으로써 그 구조를 단순화시켜 조립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과제는, 버스의 프런트 패널 좌. 우측에 설치되는 좌. 우측 전조등과, 상기 좌. 우측 전조등 내부에 램프가 설치된 램프 하우징과, 상기 램프 하우징 전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 1.2.3.4렌즈로 이루어진 전조등에 있어서, 상기 우측 전조등의 제 1. 2렌즈 중앙부 양 외측에서 내측으로 만곡지게 로우빔부 및 하이빔부를 구획하되, 상기 로우빔부 및 하이빔부는, 내측부에 적정간격으로 가로 및 세로방향을 유지하여 만곡지게 돌출된 다수의 돌기부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버스의 우측 전조등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3은 종래 버스 좌측 전조등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5은 본 고안 버스의 우측 전조등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버스의 좌측 전조등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9(a)은 도 5의 A- A선 단면도이고, (b)는 도 5의 B- B선 단면도이고, (c)는 도 5의 C- C선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A- 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30a : 좌. 우측 전조등 50,50a,50b,50c : 제 1.2.3.4렌즈
51 : 로우빔부 51a : 하이빔부
52 : 돌기부 54 : 반사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조등(10)구조는, 버스 프런트 패널(20)의 좌. 우측에 설치되는 좌. 우측 전조등(30)(30a)과, 상기 좌. 우측 전조등(30)(30a) 내부에 램프(41)가 설치된 램프 하우징(40)과, 상기 램프 하우징(40) 전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 1.2.3.4렌즈(50)(50a)(50b)(50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 우측 전조등(30)(30a)의 램프 하우징(40) 상. 하부에 고정 브라켓(60)을 설치하여 램프 하우징(40)을 프런트 패널(20) 좌. 우측에 각각 설치한다. 또한, 상기 램프 하우징(40)의 후면부에는 램프(41)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42)가 설치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우측 전조등(30a)의 제 1. 2렌즈(50)(50a) 중앙부 양 외측에서 내측으로 만곡지게 로우빔부(51) 및 하이빔부(51a)를 구획하되, 상기 로우빔부(51) 및 하이빔부(51a)는, 내측부에 적정간격으로 가로 및 세로방향을 유지하여 만곡지게 돌출된 다수의 돌기부(52)로 구성되어 상기 램프(41)의 불빛이 가로방향으로 발산하여 양측으로 퍼지게 조사되어 로우빔 역할을 하게 되고, 또한 램프(41)의 불빛이 세로방향으로 발산하여 모여져 멀리 조사되어 하이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2렌즈(50)(50a)의 로우빔부(51) 및 하이빔부(51a) 중앙부에 조사부(53)를 형성하되, 상기 조사부(53)는 제 1. 2렌즈(50)(50a)의 로우빔부(51) 및 하이빔부(51a) 중앙부에 세로방향을 유지하여 내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로우빔부(51)및 하이빔부(51a)를 통하여 램프(41) 불빛의 조사시 이 불빛을 보조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좌측 전조등(30)의 제 3렌즈(50b) 사양은 우측 전조등(30a)의 제 1렌즈(50)에 형성된 로우빔부(51) 및 조사부(53)와 동일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좌측 전조등(30)의 제 4렌즈(50c) 중앙부 양 외측에서 내측으로 만곡지게 하이빔부(51a)를 구획하며, 상기 일측의 하이빔부(51a) 내측부에 적정간격으로 세로방향을 유지하여 다수의 돌기부(51a)를 형성하고, 상기 일측의 하이빔부(51a) 중앙부에 반사부(54)를 형성하되, 상기 반사부(54)는, 제 4렌즈(50a)의 하이빔부(51a)에 중앙을 중심으로 하부에 위치되게 가로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타 차량의 불빛이 반사되어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운전자가 운전석의 램프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면, 상. 하부의 고정 브라켓(60)으로써 프런트 패널(20) 좌. 우측에 설치된 좌. 우측 전조등(30)(30a)의 램프 하우징(40) 후면부에 설치된 커넥터(42)를 통하여 차체의 전원이 각 램프(41)로 인가 됨으로써 이 램프(41)의 불빛이 좌. 우측 전조등(30)(30a)의 제 1. 3렌즈(50)(50b) 양측 중앙부를 구획하여 형성되고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로우빔부(51)의 돌기부(52)를 통과시켜 발산 됨으로써 불빛이 낮고 넓게 퍼지게 되면서 가까운 지역을 넓게 비추게 되어, 즉 로우빔으로 역할을 하게 되어 상대방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보호해 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주로 버스의 운행시 타 차량이 마주보고 운행중일 때 작동되는 것이다.
한편, 마주보고 주행하는 차량이 없을 때 운전석에서 램프 스위치를 하이빔 스위치로 전환시키면, 좌. 우측 전조등(30)(30a)의 제2. 4렌즈(50a)(50c) 중앙부에 구획하여 형성되고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로우빔부(51)의 돌기부(52)를 좌. 우측 전조등(30)(30a)의 램프 하우징(40) 내부의 램프(42) 불빛이 통과하게 됨으로써 불빛이 높게 좁게 멀리 비추게 되어, 즉 하이빔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안전운행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렌즈(50a)의 하이빔부(51a) 사이에 형성된 조사부(52)는 제 2렌즈(50a)의 하이빔부(51a)를 통하여 불빛이 외부로 조사될 때 동시에 하이빔이 조사부(52)를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됨으로써 제 2렌즈(50a)의 하이빔부(51a)를 통하여 조사되는 불빛을 보조하여 주게 되어 하이빔 조명이 원활한 것이다.
한편, 하이빔으로 작동시키고 운행중 타 차량이 지나오면, 운전자는 신속히 램프 스위치를 로우빔 위치로 전환시키면, 램프 하우징(40)의 전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램프(41)의 불빛이 좌. 우측 전조등(30)(30a)의 제1. 3렌즈(50)(50b) 중앙부에 구획하여 형성되고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로우빔부(51)의 돌기부(52)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불빛이 낮게 퍼지게 되면서 가까운 지역을 넓게 비추게 되어 상대방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보호해 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4렌즈(50c)의 하이빔부(51a) 중앙 하부에 내측방으로 만곡지게 돌출 형성된 반사부(54)에 타 차량의 불빛이 조사되면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반사부(54)에 타 차량의 불빛이 부딪히게 되어 효과적으로 반사됨으로써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게 되고, 또한 상기 제 1. 3렌즈(50)(50b)의 로우빔부(51) 사이에 형성된 조사부(52)는 제 1. 3렌즈(50)(50b)의 로우빔부(51)를 통하여 불빛이 외부로 조사될 때 동시에 로우빔 불빛이 조사부(52)를 통하여 외부로 조사됨으로써 제 1. 3렌즈(50)(50b)의 로우빔부(51)를 통하여 조사되는 불빛을 보조하여 주게 되어 로우빔 조명이 원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술한 본 고안은, 버스 좌. 우측 전조등의 제 1.2.3.4렌즈에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돌기부로 이루어진 로우빔부 및 하이빔부를 각각 구획하여, 이 로우빔부와 하이빔부를 통하여 램프의 불빛을 버스의 야간 운행중 운전자가 전조등 각도를 조절하지 않고도 하이빔 및 로우빔의 조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 버스의 프런트 패널(20) 좌. 우측에 설치되는 좌. 우측 전조등(30)(30a)과, 상기 좌. 우측 전조등(30)(30a) 내부에 램프(41)가 설치된 램프 하우징(40)과, 상기 램프 하우징(40) 전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 1.2.3.4렌즈(50)(50a)(50b)(50c)로 이루어진 전조등(10)에 있어서, 상기 우측 전조등(30a)의 제 1. 2렌즈(50)(50a) 중앙부 양 외측에서 내측으로 만곡지게 로우빔부(51) 및 하이빔부(51a)를 구획하되, 상기 로우빔부(51) 및 하이빔부(51a)는, 내측부에 적정간격으로 가로 및 세로방향을 유지하여 만곡지게 돌출된 다수의 돌기부(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전조등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전조등(30)의 제 4렌즈(50a) 중앙부 양측에 가로 방향으로 적정간격을 유지하여 하이빔부(51a)를 구획하고, 상기 하이빔부(51a) 내측부에 적정간격으로 세로방향을 유지하여 다수의 돌기부(51a)를 형성하며, 상기 하이빔부(51a) 중앙 하부에 가로방향을 유지하여 내측방으로 돌출되게 반사부(5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전조등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8322U KR19990025797U (ko) | 1997-12-19 | 1997-12-19 | 버스의 전조등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8322U KR19990025797U (ko) | 1997-12-19 | 1997-12-19 | 버스의 전조등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5797U true KR19990025797U (ko) | 1999-07-05 |
Family
ID=6967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38322U KR19990025797U (ko) | 1997-12-19 | 1997-12-19 | 버스의 전조등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25797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1037B1 (ko) * | 2001-06-22 | 2005-07-18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작업차용 헤드라이트 어셈블리 |
-
1997
- 1997-12-19 KR KR2019970038322U patent/KR19990025797U/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1037B1 (ko) * | 2001-06-22 | 2005-07-18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작업차용 헤드라이트 어셈블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091629A1 (en) | Vehicle Lighting Device | |
EP2075500B1 (en) | Vehicle headlamp | |
EP2075501B1 (en) | Vehicle headlamp | |
US6394636B1 (en) | Vehicular headlamp | |
KR980003147A (ko) | 차량용 보조 전조등 | |
US5453902A (en) | Headlamp having improved mounting of inner lens | |
JPH09167506A (ja) | 車輌用前照灯 | |
KR19990025797U (ko) | 버스의 전조등 구조 | |
ATE307319T1 (de) |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einer zweifadenlampe | |
US6092918A (en) | Vehicular headlamp having improved yield of high-beam luminous energy | |
JPH01265401A (ja) | ランプ一体型フロントグリル | |
KR100294931B1 (ko) | 차량용전조등 | |
GB2308648A (en) | Headlamp for motor vehicle | |
KR970037316A (ko) | 차량용 전조등(head lamp for vehicles) | |
CN217763279U (zh) | 矩阵式远光灯及前照灯、汽车 | |
JP2004071351A (ja) | 車両用灯具 | |
KR0132561Y1 (ko) | 자동차의 헤드램프 반사경구조 | |
JP2003257221A (ja) | 車両用前照灯 | |
KR910001125Y1 (ko) | 차량용 전조등 | |
KR20170110384A (ko) | 차량용 헤드 램프 | |
US1784320A (en) | Lamp for motor and like vehicles | |
CN114659068A (zh) | 矩阵式远光灯及前照灯、汽车 | |
JP2753908B2 (ja) | 車両用灯具 | |
KR200179506Y1 (ko) | 자동차 후진용 조명등 | |
KR200147157Y1 (ko) | 자동차용 헤드 램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C193 |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