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463U - 눌림식 쉴드 회전방지구조를 구비한 드럼식 파크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눌림식 쉴드 회전방지구조를 구비한 드럼식 파크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463U
KR19990025463U KR2019970037970U KR19970037970U KR19990025463U KR 19990025463 U KR19990025463 U KR 19990025463U KR 2019970037970 U KR2019970037970 U KR 2019970037970U KR 19970037970 U KR19970037970 U KR 19970037970U KR 19990025463 U KR19990025463 U KR 199900254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back plate
pressing
drum
sho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남열
Original Assignee
배길훈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2019970037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463U/ko
Publication of KR199900254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463U/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부를 형성하는 백플레이트(3), 상기 백플레이트(3)에 홀드다운 스프링(7)으로 고정된 브레이크 슈우 조립체(5), 상기 슈우 조립체(5)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휠 실린더(9) 및, 상기 휠 실린더(9)의 팽창에 의한 상기 슈우 조립체(5)의 확장시 브레이크 라이닝(17)에 압착되어 마찰에 의해 제동되는 브레이크 드럼으로 구성되어 있는 파크 브레이크(1)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3)와 상기 슈우 조립체(5) 사이에 끼워지는 더스트 쉴드(19)의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눌림돌기(31)를 형성하고, 상기 눌림돌기(31)와 대응하는 백플레이트(3)의 상면에 상기 눌림돌기(31)의 형태와 상응하는 걸림홈(33)을 가공한 눌림식 쉴드 회전방지구조를 구비한 드럼식 파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스트 쉴드의 표면 적정 위치에 눌림돌기를 프레스 성형하고, 이 눌림돌기와 상응하는 형태의 걸림홈을 대응하는 백플레이크 표면상의 위치에 가공함으로써 눌림돌기와 걸림홈의 상호 쐐기작용에 의해 백플레이트에 대한 더스트 쉴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눌림식 쉴드 회전방지구조를 구비한 드럼식 파크 브레이크(park brake provided with sinking type shield rotation preventing structure)
본 고안은 드럼식 파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더스트 쉴드의 표면 적정 위치에 눌림돌기를 프레스 성형하여 이 카운터 싱킹된 눌림돌기에 의해 백플레이트에 대한 더스트 쉴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한 눌림식 쉴드 회전방지구조를 구비한 드럼식 파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브레이크는 자동차의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정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주행중 운전자가 수시로 조작하면서 자동차의 속도 조절이나 임시 정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페달로 조작하도록 함과 아울러, 자동차의 주차시나 장시간 정차시 사용하도록 드럼 브레이크 레버를 두고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의 일종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것이 드럼식 브레이크이며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체형 드럼식 파크 브레이크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럼식 파크 브레이크는 도 1 및 도 2에 101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부를 형성하는 백플레이트(103)와, 이 백플레이트(103)에 판형 홀드다운 스프링(107)으로 고정되는 슈우 조립체(105)와, 슈우 조립체(105)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휠 실린더(109) 및, 슈우 조립체(105)의 확장시 압착되어 마찰에 의해 제동되는 브레이크 드럼(111)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슈우 조립체105)는 원주 부분의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113)를 갖는 브레이크 슈우(115)와 이 브레이크 슈우(115)의 외주면에 복수개 부착되어 있는 브레이크 라이닝(117)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휠실린더(109)는 브레이크 슈우(115)의 개구부(113) 내에 설치되어 백플레이트(10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마스터 실린더에서 공급되는 제동압에 의해 팽창하여 브레이크 슈우(115)의 직경을 확장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파크 브레이크(101)는 운전자의 브레이크페달 답력에 의해 발생된 기계적인 힘이 마스터 실린더에서 유압을 발생시켜 휠 실린더(109)를 작동시킴으로써 휠 실린더(109)의 피스톤이 좌우로 팽창되어 브레이크 슈우(115)의 직경을 확장시킨다. 이때, 확장되는 브레이크 슈우(115)의 외주면에 부착된 라이닝(117)이 자동차 휠의 브레이크 드럼(105)의 내주면에 압착되어 휠에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파크 브레이크(101)는 브레이크 슈우 조립체(105)가 휠 실린더(109)의 팽창에 따라 확장되면서 회전할 때 더스트 쉴드(119)가 마찰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 및 도 3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103)를 고정하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 형성된 볼트홀(119)의 둘레부분이 절곡되어 회전방지 플랜지(121)를 형성함으로써 백플레이트(103)의 볼트홀(120)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회전방지구조는 볼트홀(120)로의 체결용 볼트 삽입시 더스트 쉴드(119)의 회전방지용 플랜지(121)가 볼트머리로 인해 찢어짐으로 인해 더스트 쉴드(119)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더스트 쉴드(119)에 부싱 형태의 플랜지(121)를 절곡하여 가공한 위치와 백플레이트(103)의 표면에 관통 개구되어 있는 볼트홀(119)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지 않아 조립시 볼트홀(119)의 중심선과 플랜지(121)의 중심선이 정렬되지 않음으로써 조립 불량으로 인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크 브레이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백플레이트와 슈우 조립체 사이에 조립되는 더스트 쉴드가 표면에 압입된 눌림돌기에 의해 백플레이트의 걸림홈에 걸려 회전이 억제되도록 함으로써 더스트 쉴드가 파손되거나 백플레이트의 볼트홀과 플랜지의 오정렬로 인한 조립불량을 일으킬 염려없이 브레이크 슈우의 확장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럼식 파크 브레이크 조립도.
도 2는 도 1의 중심선을 따른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드럼식 파크 브레이크 조립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파크 브레이크 3 : 백플레이트
5 : 브레이크 슈우 조립체 9 : 휠 실린더
15 : 브레이크 슈우 17 : 브레이크 라이닝
19 : 더스트 쉴드 31 : 눌림돌기
33 : 걸림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기부를 형성하는 백플레이트, 이 백플레이트에 홀드다운 스프링으로 고정된 브레이크 슈우 조립체, 슈우 조립체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휠 실린더 및, 이 휠 실린더의 팽창에 의한 슈우 조립체의 확장시 브레이크 라이닝에 압착되어 마찰에 의해 제동되는 브레이크 드럼으로 구성되어 있는 파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백플레이트와 슈우 조립체 사이에 끼워지는 더스트 쉴드의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눌림돌기를 형성하고, 눌림돌기와 대응하는 백플레이트의 상면에 눌림돌기의 형태와 상응하는 걸림홈을 가공한 눌림식 쉴드 회전방지구조를 구비한 드럼식 파크 브레이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파크 브레이크는 도 4에 도면번호 1로 표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슈우(15) 및 이 브레이크 슈우(15)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부착되어 드럼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브레이크 라이닝(17)으로 이루어진 슈우 조립체(5)와 슈우 조립체(5)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백플레이트(3)로 구성된 일반적인 파크 브레이크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브레이크 슈우(15)는 하단의 홀드다운 스프링(7)에 의해 백플레이트(3) 측으로 가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단 개구부(13)에 휠 실린더(9)가 장착되어 있고, 백플레이트(3)의 외주면에는 더스트 쉴드(19)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더스트 쉴드(19)는 백플레이트(3)와 슈우 조립체(5) 사이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더스트 쉴드(19)의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눌림돌기(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눌림돌기(31)와 상응하는 백플레이트(3)의 상면에 눌림돌기(31)가 삽입되어 걸리는 복수개의 걸림홈(33)이 가공되어 있다.
이 눌림돌기(31)는 도 5 및 도 6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슈우(15)가 휠 실린더(9)의 팽창으로 인해 확장될 때 회전하게 되는 방향으로 쐐기면(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의 중심선 부분이 에지(37)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삼각뿔 형태를 가지도록 프레스에 의해 성형된다.
또한, 이 눌림돌기(31)가 끼워지는 걸림홈(33)은 눌림돌기(31)의 쐐기형 삼각뿔 형태와 형상이 일치되도록 브레이크 슈우(15)의 회전방향으로 삼각면(39)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33)의 바닥면은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중심선이 삼각면(39)으로부터 위쪽으로 종방향 경사져 있으며,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중심선쪽으로 횡방향 하향 경사진 경사면(41)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파크 브레이크(1)에 의하면, 먼저,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 또는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에 의해 슈우 조립체(5)의 브레이크 슈우(15)가 확장되면서 슈우(15)의 외주면에 부착된 브레이크 라이닝(5)이 브레이크 드럼과 접촉함으로써 마찰에 의해 제동을 이루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 슈우(15)의 확장으로 인해 발생한 마찰력에 의해 더스트 쉴드(19)가 회전하려고 하더라도 더스트 쉴드(19) 상면으로부터 압입되어 들어간 눌림돌기(31)가 백플레이트(3)의 걸림홈(33)에서 걸려 쐐기작용을 일으키게 되므로 더스트 쉴드(19)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파크 브레이크에 따르면, 백플레이트와 슈우 조립체 사이에 조립되는 더스트 쉴드가 표면에 압입된 눌림돌기에 의해 백플레이트의 걸림홈에 걸려 브레이크 슈우의 확장시 슈우와의 마찰로 인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종래의 파크 브레이크에서와 같이 브레이크 슈우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백플레이크 볼트홀에 끼워지는 플랜지를 더스트 쉴드에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므로 이들 플랜지와 볼트홀간의 오정렬로 인한 조립불량이 제거되어 더스트 쉴드의 가공 공차역을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더스트 쉴드에 프레싱에 의한 간단한 작업으로 눌림돌기를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더스트 쉴드의 가공비나 제작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게 되며, 볼트홀과는 무관하게 눌림돌기와 걸림홈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쐐기구조로 회전을 방지하므로 종래의 방식에서와 같이 볼트로 인해 더스트 쉴드의 플랜지 부분이 찢어지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눌림돌기와 걸림홈의 형상에 의해 자연스럽게 더스트 쉴드가 백플레이트와 조립될 때 눌림돌기가 걸림홈을 따라 안내되어 원활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종래의 방식에서와 같이 플랜지와 볼트홀의 오정렬로 인해 조립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오가공으로 인한 오조립의 가능성을 감소시켜 조립불량으로 인한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기부를 형성하는 백플레이트(3), 상기 백플레이트(3)에 홀드다운 스프링(7)으로 고정된 브레이크 슈우 조립체(5), 상기 슈우 조립체(5)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휠 실린더(9) 및, 상기 휠 실린더(9)의 팽창에 의한 상기 슈우 조립체(5)의 확장시 브레이크 라이닝(17)에 압착되어 마찰에 의해 제동되는 브레이크 드럼으로 구성되어 있는 파크 브레이크(1)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3)와 상기 슈우 조립체(5) 사이에 끼워지는 더스트 쉴드(19)의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눌림돌기(31)를 형성하고, 상기 눌림돌기(31)와 대응하는 백플레이트(3)의 상면에 상기 눌림돌기(31)의 형태와 상응하는 걸림홈(33)을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림식 쉴드 회전방지구조를 구비한 드럼식 파크 브레이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돌기(31)는 브레이크 슈우(15)의 회전방향으로 쐐기면(35)을 형성하고 있는 삼각뿔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크 브레이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돌기(31)는 상면의 중심선 부분이 에지(37)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크 브레이크.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33)은 상기 눌림돌기(31)의 형상가 상응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슈우(15)의 회전방향으로 삼각면(39)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이 상기 삼각면(39)으로부터 종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중심선을 따라 횡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면(41)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크 브레이크.
KR2019970037970U 1997-12-17 1997-12-17 눌림식 쉴드 회전방지구조를 구비한 드럼식 파크 브레이크 KR199900254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970U KR19990025463U (ko) 1997-12-17 1997-12-17 눌림식 쉴드 회전방지구조를 구비한 드럼식 파크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970U KR19990025463U (ko) 1997-12-17 1997-12-17 눌림식 쉴드 회전방지구조를 구비한 드럼식 파크 브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463U true KR19990025463U (ko) 1999-07-05

Family

ID=69694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970U KR19990025463U (ko) 1997-12-17 1997-12-17 눌림식 쉴드 회전방지구조를 구비한 드럼식 파크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46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667A (ko) * 2000-08-26 2002-03-06 배길훈 엠보싱 클램핑을 이용한 주차 브레이크의 더스트 쉴드조립구조
WO2013112509A1 (en) * 2012-01-23 2013-08-01 Caterpillar Inc. Brake assembly having piloted park brake hous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667A (ko) * 2000-08-26 2002-03-06 배길훈 엠보싱 클램핑을 이용한 주차 브레이크의 더스트 쉴드조립구조
WO2013112509A1 (en) * 2012-01-23 2013-08-01 Caterpillar Inc. Brake assembly having piloted park brake housing
US8663058B2 (en) 2012-01-23 2014-03-04 Caterpillar Inc. Brake assembly having piloted park brake hou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0666C2 (ru) Тормозной узел и элемент системы экстренного торможения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тормозного узла
KR19990025463U (ko) 눌림식 쉴드 회전방지구조를 구비한 드럼식 파크 브레이크
KR200267458Y1 (ko)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드럼브레이크
KR100217662B1 (ko) 주차브레이크의 브레이크슈 작동레버
KR200266237Y1 (ko) 자동차용디스크브레이크의시임
KR100217674B1 (ko) 브레이크 슈
KR101354550B1 (ko) 차량용 파킹브레이크의 실린더어셈블리
KR200388388Y1 (ko)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0196981Y1 (ko) 브레이크슈 흔들림 방지장치
KR100552785B1 (ko) 드럼브레이크의 브레이크슈 장착구조
KR0147694B1 (ko) 드럼브레이크
KR19990006944U (ko) 드럼 브레이크의 슈우 조립체 이탈방지구조
KR0129241Y1 (ko) 브레이크페달 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바아의 체결장치
KR200322090Y1 (ko) 차량용 디스크식 브레이크 장치의 다피스톤 타입 유압실린더 장치
KR20000018909U (ko) 주차 브레이크의 홀드다운 구조
KR20080081707A (ko) 자동차용 파킹 브레이크의 앵커
KR200276253Y1 (ko) 드럼 브레이크
KR19980028806A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레버 장착구조
KR19980041156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패드용 리턴스프링
KR20060131576A (ko) 캘리퍼 브레이크의 슬라이딩 핀 고정구조
KR19990018604A (ko) 자동차의 드럼 브레이크
KR19990033860A (ko) 자동차용 드럼식 브레이크
KR19980079146A (ko) 자동차 디스크 브레이크의 취부구조
KR19990026450U (ko) 자동차의 디스크 브레이크
KR19980037113U (ko) 자동차의 브레이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