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309U - 자동차용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309U
KR19990025309U KR2019970037816U KR19970037816U KR19990025309U KR 19990025309 U KR19990025309 U KR 19990025309U KR 2019970037816 U KR2019970037816 U KR 2019970037816U KR 19970037816 U KR19970037816 U KR 19970037816U KR 19990025309 U KR19990025309 U KR 199900253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sion
vehicle
seat
headres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범영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7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309U/ko
Publication of KR199900253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309U/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벽하게 흡수하여 탑승자가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하여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38)의 하단에 하단이 등받이부(34)의 상단에 고정되는 한쌍의 플렉시블 관(40)이 고정되고, 이 플렉시블 관(40)의 외주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단이 헤드레스트(38)의 하단에 밀착고정되며, 하단이 등받이부(34)의 상단에 밀착고정되는 스프링(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SEAT FOR USE IN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벽하게 흡수하여 탑승자가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하여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플로어(Floor)에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프론트 시트는 주로 분리식을 채용하는 반면, 리어 시트는 2개의 좌석이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들 시트에는 충돌 사고시, 탑승자가 시트로부터 이탈됨으로써 2차 부상을 입는 것을 막기 위한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안전벨트는 충돌사고 또는 급정지 할 경우 관성에 의한 작용 및 반작용으로 운전자 및 탑승자가 자동차의 주행방향으로 계속 운동하려는 힘을 구속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전면유리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안전벨트는 안전사고발생시에 운전자 및 탑승자의 부상이나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장착된 것이다.
프론트 시트에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레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등받이 부분인 시트 백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레버가 시트의 측면에 장착되어있다. 또한, 프론트 도어의 내측 패널에는 탑승한 승객이 한쪽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만든 아암 레스트(Arm Rest)가 설치되어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설명하면, 시트(2)는 받침부(4)와 등받이부(6)로 이루어지며, 등받이부(6)는 받침부(4)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진다. 받침부(4)와 등받이부(6)의 사이에는 등받이부(6)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레버(8)가 설치되어있다. 등받이부(6)의 상단에는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의 충격으로부터 승객의 목부분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헤드레스트(10)가 지지봉(12)에 의하여 연장가능하게 설치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시트를 이용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안락하게 착석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경우 헤드레스트가 지지봉에 의하여 등받이부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벽하게 흡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벽하게 흡수하지 못함에 따라 운전자 및 탑승자가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하여 부상당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벽하게 흡수하여 탑승자가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하여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가 시트의 상단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관과 스프링이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 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면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시트 32 : 받침부
34 : 등받이부 36 : 각도조절레버
38 : 헤드레스트 40 : 플렉시블 관
42 : 스프링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용 시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헤드레스트의 하단에 하단이 등받이부의 상단에 고정되는 한쌍의 플렉시블 관이 고정되고, 이 플렉시블 관의 외주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단이 헤드레스트의 하단에 밀착고정되며, 하단이 등받이부의 상단에 밀착고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가 시트의 상단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관과 스프링이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설명하면, 시트(30)는 받침부(32)와 등받이부(34)로 이루어지며, 등받이부(34)는 받침부(32)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받침부(32)와 등받이부(34)의 사이에는 등받이부(34)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레버(36)가 설치된다.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승객의 목부분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헤드레스트(38)가 구비되고, 이 헤드레스트(38)의 하단에는 한쌍의 플렉시블 관(Flexible pipe)(40)이 고정된다. 헤드레스트(38)에 고정된 플렉시블 관(40)의 하단은 등받이부(34)의 상단에 밀착고정된다. 플렉시블 관(40)의 외주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단이 헤드레스트(38)의 하단에 밀착고정되고, 하단이 등받이부(34)의 상단에 밀착고정되는 스프링(42)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헤드레스트가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자동차의 후방에서 충격이 전달되면, 운전자 및 탑승자의 머리가 관성의 법칙에 의하여 자동차의 주행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순간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헤드레스트(38)가 플렉시블 관(40)과 스프링(42)에 의하여 등받이부(34)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자동차의 후방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운전자 및 탑승자의 머리가 관성의 법칙에 의하여 자동차의 주행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순간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 운전자 및 탑승자의 머리부분이 헤드레스트(38)에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38)가 리어시트(미도시)가 있는 부분으로 변형된 상태를 갖는다. 이때, 플렉시블 관(40)의 외주면에 위치한 스프링(42)은 플렉시블 관(40)의 변형에 따라 변형된 상태를 갖는다. 즉, 운전자 및 탑승자의 머리부분이 헤드레스트(38)로 이동되는 충격을 플렉시블 관(40)과 스프링(42)이 변형되면서 흡수함으로 후방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운전자의 부주위로 인하여 급발진 할 경우에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충격을 흡수한다.
종래에는 헤드레스트가 지지봉에 의하여 등받이부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벽하게 흡수할 수 없어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부상당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지만,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플렉시블 관(40)과 스프링(42)이 흡수하면서 변형됨으로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는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플렉시블 관과 스프링이 흡수하면서 변형되도록 헤드레스트를 구성하여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용 시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헤드레스트(38)의 하단에 하단이 등받이부(34)의 상단에 고정되는 한쌍의 플렉시블 관(40)이 고정되고, 이 플렉시블 관(40)의 외주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단이 헤드레스트(38)의 하단에 밀착고정되며, 하단이 등받이부(34)의 상단에 밀착고정되는 스프링(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KR2019970037816U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시트 KR199900253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816U KR19990025309U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816U KR19990025309U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309U true KR19990025309U (ko) 1999-07-05

Family

ID=6968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816U KR19990025309U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30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50052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CA2152526A1 (en) Retractable pop-up head rest usable with a vehicle passenger seat
US20050006941A1 (en) Headrest for vehicles
JPH0826008A (ja) 衝撃エネルギ吸収チャイルドシート
JPS6322750A (ja) 弾性を有し復元可能な車載用膝クッション
US5513897A (en) Vehicle seat
JPH10309968A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のリバウンド抑制方法および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
KR19990025309U (ko) 자동차용 시트
KR100496683B1 (ko) 목 보호용 안전장치
KR100217988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의 충격 완화장치
KR100461106B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
KR200147871Y1 (ko) 사이드 에어백 장착 가능한 자동차 시이트 프레임
KR100333873B1 (ko) 승객 보호용 헤드 레스트
KR100531692B1 (ko) 측면 충격흡수장치를 갖는 시트 프레임의 등받이
JP2001112570A (ja) 衝撃吸収シート
KR100217990B1 (ko) 목 받침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장치
KR0130281Y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JPH11115770A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支持構造
KR200336141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200204144Y1 (ko) 자동차용 후방시트
KR100222352B1 (ko) 자동차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KR19980018629U (ko) 자동차용 충돌 방지 안전 시트
JPH10287164A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の上体保護方法および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
KR0120077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장치
KR0131767Y1 (ko) 자동차의 무릎보호를 위한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