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180U - 버스시트의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버스시트의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180U
KR19990025180U KR2019970037687U KR19970037687U KR19990025180U KR 19990025180 U KR19990025180 U KR 19990025180U KR 2019970037687 U KR2019970037687 U KR 2019970037687U KR 19970037687 U KR19970037687 U KR 19970037687U KR 19990025180 U KR19990025180 U KR 199900251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rmrest
bus
belt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7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180U/ko
Publication of KR199900251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180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시트에 일측에 제공되어 착석자의 팔을 재치시킬 수 있는 버스시트용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써, 시트 착석자의 팔을 재치시킬 수 있으며, 내측에 수용격실(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격실(11)은 일측면(12)에 의해 개폐가능하며, 상기 일측면(12)에 대향하는 타측면(14)에는 상기 수용격실(11)을 향해 돌출형성된 2개의 고정편(15)이 제공되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수용격실(11)내에 펼침가능하게 롤링방식으로 삽설되는 착석부(21), 및 상기 착석부(21)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선단부가 타측의 시트의 벨트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 벨트부(22a) 및 상기 밸트부(22a)의 종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본체(10)의 고정편(15)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고리(22b)를 구비한 벨트부재(22)를 포함하는 보조의자(20);로 이루어지며, 버스에 탑승한 승객 중 일정수의 탑승자가 암레스트에 설치된 보조의자를 이용하여 임시적으로 또는 장기간 착석상태로 여행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버스시트의 암레스트
본 고안은 버스시트의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버스에 승차한 승객중 입석탑승자가 일시적으로 착석할 수 있는 보조시트를 구비한 버스시트의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에는 다수의 승객이 동시에 탑승하며 이같은 탑승자는 대부분 시트에 착석하게 된다.
그러나, 법규상 입석탑승자를 허용하지 않는 고속버스를 제외한 기타관광버스 또는 출퇴근용 버스에는 대부분 탑승자 중 일부는 입석상태로 탑승하게 된다.
또한, 도시형버스를 제외한 대부분의 버스는 대부분 2인이 동시에 착석할 수 있는 시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이같은 시트에는 착석자의 팔을 재치시켜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암레스트가 제공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버스시트(1)는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쿠션(2) 및 탑승자의 등을 기댈수 있는 시트백(3)을 포함하며, 또한 전술된 바와같이 시트(1)의 일측에는 탑승자의 팔을 재치할 수 있는 암레스트(4)가 제공되어 있다.
물론, 이같은 시트(1)는 레그(5)에 의해 플로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이같은 시트에 정상적으로 착석한 탑승자를 제외한 입석탑승자들은 상기 시트(1)와 그 시트(1)의 맞은편에 설치된 시트 사이에 서서 여행하게 된다.
또한, 시간이 장기화됨에 따라 입석탑승자는 다리에 피로를 느끼게되며 이에따라 입석탑승자는 시트(1)의 암레스트(4)에 걸터 앉게된다.
그러나, 입석탑승자가 이와같이 암레스트(4)에 걸터앉게되면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는 팔을 재치시킬 수가 없어 불편함을 느낄뿐 아니라, 특히, 입석탑승자의 신체가 큰 경우에는 그의 하체가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상체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심한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같이 스트암레스트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시트암레스트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잇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버스에 탑승한 입석자들이 일시적으로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는 보조시트를 구비한 버스시트의 암레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름 목적은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에게 불편을 초래하지 않고 입석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버스시트의 암레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버스 시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의 시트의 암레스트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버스시트의 암레스트에 제공된 보조의자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수용격실
12: 일측면 15: 고정편
20: 보조의자 21: 착석부
22: 벨트부재
이같은 목적들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버스의 시트의 일측에 제공되어 착석자의 팔을 재치시킬 수 있는 버스시트용 암레스트에 있어서, 시트 착석자의 팔을 재치시킬 수 있으며, 내측에 수용격실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격실은 일측면에 의해 개폐가능하며, 상기 일측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상기 수용격실을 향해 돌출형성된 2개의 고정편이 제공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격실내에 펼침가능하게 롤링방식으로 삽설되는 착석부, 및 상기 착석부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선단부가 타측의 시트의 벨트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 벨트부 및 상기 밸트부의 종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본체의 고정편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고리를 구비한 벨트부재를 포함하는 의자부재;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시트용 암레스트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암레스트에 제공된 보조의자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본 고안에 따른 버스시트의 암레스트에 적용되는 보조의자는 버스내의 일측에 설치된 시트의 암레스트에 제공된 하나의 의자부재와 타측에 설치된 시트의 암레스트에 제공된 다른하나의 의자부재가 상호 연계되어 완전한 하나의 보조의자를 형성하지만 본 명세서는 명확성을 의해 일측의 시트에 적용된 암레스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암레스트는 본체(10) 및 보조의자(2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시트(1)의 일측에 고정되고 또한 내측에서 수용격실(11)을 포함하며, 일측면(12)이 경첩(13)과 같은 회동수단에 의해 상기 격실(11)을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일측면(12)에 대향하는 타측면(14)의 내측에는 상기 수용격실(11)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2개의 고정편(15)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에는 펼침가능하게 롤(role)식으로 감겨진 보조의자(20)가 삽입되는바, 상기 보조의자(20)는 입석탑승자가 신체의 일부를 착석할 수 있는 착석부(21), 및 상기 착석부(21)를 지지하기 위한 2개의 지지부재(22)를 구비한다.
상기 착석부(21)는 다소간 탄성을 지님은 물론 신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석부(21)의 하부면에 예컨대 바느질 또는 접착제에 의한 부착방식에 의해 일체로 제공된 지지부재(22)는 상기 착석부(21)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선단부에 다수의 고정구멍(22c)이 천공된 벨트부(22a), 및 상기 벨트부(22a)의 종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본체(10)의 배면(14)에 제공된 고정편(15)에 고정되는 고정고리(22b)를 구비한다.
물론, 전술된 바와같이 하나의 완전한 보조시트를 형성하기 위해, 타측의 시트에 설치된 암레스트에 제공된 지지부재에는 상기 벨트부(22a)가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선단부에 버클(B)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암레스트의 작용모드 및 보조의자의 사용방식에 의하면, 예컨대 버스에 소수의 입석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 입석자는 암레스트이 본체(10)의 일측면(12)을 개방시킨 후 그 본체(10)의 격실내부에 롤식으로 말려 보관된 보조의자(20)를 전개시키면서 인출시킨다.
물론 이와 동시에 타측시트에(1')의 암레스트에 제공된 별도의 보조의자(20') 또한 동일방식으로 인출시킨다.
이후 상기 각각의 보조의자의 착석부(21)가 완전히 전개되어 평탄형상를 이루면 일측의 보조의자(20)의 지지부재(22)의 벨트부(22a)의 선단부를 타측의 보조의자(20')의 버클(B)에 고정시킴으로써 완전한 보조의자를 형성하게 된다.
이같은 상태에서 입석탑승자는 임시로 또는 장기간 보조의자에 착석한 상태로 여행할 수 있다.
이후 입석탑승자가 여행을 멈추거나 사용한 후에는 일측의 보조의자(20)의 벨트부(22a)를 버클(B)로부터 해제시킨후 착석부(21)를 롤방식으로 말아서 본체(10)의 격실(11)내에 삽입한 후 일측면(12)을 폐쇄시키면 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버스시트용 암레스트에 의하면, 버스에 탑승한 승객 중 일정수의 탑승자가 암레스트에 설치된 보조의자를 이용하여 임시적으로 또는 장기간 착석상태로 여행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석탑승자가 보조의자를 이용하는 경우 시트에 착석한 승객에 불편을 주지않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버스의 시트에 일측에 제공되어 착석자의 팔을 재치시킬 수 있는 버스시트용 암레스트에 있어서,
    시트 착석자의 팔을 재치시킬 수 있으며, 내측에 수용격실(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격실(11)은 일측면(12)에 의해 개폐가능하며, 상기 일측면(12)에 대향하는 타측면(14)에는 상기 수용격실(11)을 향해 돌출형성된 2개의 고정편(15)이 제공되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수용격실(11)내에 펼침가능하게 삽설되는 착석부(21), 및 상기 착석부(21)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선단부가 타측의 시트의 벨트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 벨트부(22a) 및 상기 벨트부(22a)의 종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본체(10)의 고정편(15)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고리(22b)를 구비한 벨트부재(22)를 포함하는 보조의자(20);로 이루어지는 버스시트용 암레스트.
KR2019970037687U 1997-12-16 1997-12-16 버스시트의 암레스트 KR199900251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687U KR19990025180U (ko) 1997-12-16 1997-12-16 버스시트의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687U KR19990025180U (ko) 1997-12-16 1997-12-16 버스시트의 암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180U true KR19990025180U (ko) 1999-07-05

Family

ID=69681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687U KR19990025180U (ko) 1997-12-16 1997-12-16 버스시트의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18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6413A (en) Cover cushion used on car seat covers
US5335968A (en) Child&#39;s booster seat
JP6741425B2 (ja) 姿勢保持具
JP2004131044A (ja) 自動車用フロントシート組立体
JP2000004994A (ja) 自動車用クッション付きシートカバー
KR19990025180U (ko) 버스시트의 암레스트
JP3120900U (ja) バス用補助席カバー
JPH0811604A (ja) チャイルドシート付き車両用シート
JPH0622828A (ja) シート
JPH066763Y2 (ja) 座 席
JPS6378839A (ja) 座席
JP3033107U (ja) 座布団
KR200140916Y1 (ko) 시트백을 활용한 릴렉스 시트
KR0124640Y1 (ko) 풋 레스트
JP3092670U (ja) 自動車用扉
KR19980031186U (ko) 차량의 시트 구조
JP2022146195A (ja) アームレスト
KR0136876Y1 (ko) 2인용 시트의 암레스트
JP3695620B2 (ja) 車輌用シート
KR19980023767U (ko) 보조시트가 부설되는 시트
JPH0558572U (ja) バスの床構造
KR19980039629U (ko) 자동차용 시트
KR19980039090U (ko) 어린이 보호용 보조시트가 부설되는 시트
KR960004066A (ko) 어린이용 시트로 변환 가능한 자동차용 시트
KR970036430A (ko) 버스용 승객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