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914U - Car door outside handle - Google Patents

Car door outside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914U
KR19990024914U KR2019970037402U KR19970037402U KR19990024914U KR 19990024914 U KR19990024914 U KR 19990024914U KR 2019970037402 U KR2019970037402 U KR 2019970037402U KR 19970037402 U KR19970037402 U KR 19970037402U KR 19990024914 U KR19990024914 U KR 199900249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ide handle
knob
handle housing
seam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40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74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4914U/en
Publication of KR199900249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914U/en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과 노브를 완충해주는 범퍼와,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과 외부패널사이를 완충 내지 시일링하는 시임은 모두가 고무재질로 되어 있는 것으로 각각 별도로 성형하여야 하고 또 별도로 장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oor outside handle, conventionally a bumper for cushioning the outside handle housing and knob, and a seam for cushioning or sealing between the outside handle housing and the outer panel is all made of rubber materi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each has to be molded separately and has to be mounted separately.

따라서, 본 고안은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110)과;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110)의 상부에 장착되는 노브(120); 그리고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110)이 도어의 외부패널에 시임(200)로 구성되는 아웃사이드 핸들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110)은 양측변두리에 노브(120)의 충격이 가장 잘 전해지는 위치에 두 개의 홀(210,210')을 각각 형성하였고, 상기 시임(200)은 상기 홀(210,210')이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홀(210,210')의 지름에 상응하는 지름을 갖고 상기 홀(210,210')의 형성깊이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완충돌기(220,2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여 노브가 조작될 때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별도의 범퍼를 사용하지않고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과 외부패널을 시일링하는 시임으로 노브의 조작충격을 완충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uter handle housing 110; a knob 120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handle housing 110; And the outside handle housing 110 is composed of a seam (200) on the outer panel of the door, the outside handle housing 110 is best transmitted to the impact of the knob 120 on both side edges. Has formed two holes 210 and 210 'at the positions, and the seam 200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holes 210 and 210' at the positions where the holes 210 and 210 'are loca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protrusions 220 and 220 'having a height greater than the depth of formation of') to seal the outside handle housing and the outer panel without using a separate bumper to absorb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knob is operated. The ring seam has the effect of cushioning the operating shock of the knob.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Car door outside handle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브가 조작될 때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별도의 범퍼를 사용하지않고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과 외부패널을 시일링하는 시임으로 노브의 조작충격을 완충하는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oor outside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operate the knob by sealing the outside handle housing and the outer panel without using a separate bumper that absorbs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knob is operated. An automobile door outside handle cushions a shock.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프론트 시이트와 좌우로 각각 사이드 도어가 있고, 또 리어 시이트 좌우로 각각 사이드 도어가 있는 데, 차량에 따라서는 리어 시이트 의 사이드 도어가 우측에 하나만 있는 것이 있거나, 전혀 없는 것이 있다.Generally, automobiles have side doors on the front seat and left and right sides, and side doo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seat, respectively, and some vehicles have only one side door on the right side or none at all.

따라서, 차량을 구분할 때에 리어시트에 사이드 도어가 하나만 있는 것을 3-도어, 아예없는 것을 2-도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사이드 도어가 모두 있으면, 4-도어로 구분할 수 있다.Therefore, the three-door and the two-door that have only one side door in the rear seat when distinguishing the vehicle is called, and generally, if all the side doors, can be divided into four-door.

상기한 자동차의 사이드 도어를 여닫을 때에, 도어를 닫으면 도어록킹기구의 래치부분이 스트라이커부분과 접촉되면서 록킹래치부가 회전하여 록킹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도어록킹기구는 로드로 연결된 아웃사이드 핸들 또는 인사이드핸들의 노브를 조작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When opening and closing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when the door is closed, the latching portion of the door locking mechanism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riker portion and the locking latch portion rotates and locks. Such door locking mechanisms can be opened and closed by operating knobs of an outside handle or an inside handle connected to a rod.

여기서,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은 도어의 외부패널에 설치되어 밖에서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도어록킹기구를 개방시켜 주게 된 것으로, 차량 도어의 외부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에 아웃사이드핸들의 하우징이 삽입되어 보울트로 고정되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된 노브를 상하로 회전동작시키므로써 도어 록커를 개방시키게 되어 있다.Here, the outside handle is installed on the outer panel of the door to open the door locking mechanism to open and close the door of the vehicle from the outside, the housing of the outside handle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formed in the outer panel of the vehicle door The door locker is fixed by a bolt and rotates up and down the knob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즉, 종래의 아웃사이드 핸들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외부패널 형성된 구멍에 아웃사이드의 핸들의 하우징(51)이 내부에서 보울트로 고정설치되어 있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outside hand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ousing 51 of the outside handle is fixed to the inside by a bolt in the hole formed in the door outer panel.

그리고 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51)의 상부에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브라케트(70,70')에 수평축(72)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평축(72)의 좌우측에 일단은 하우징의 걸림턱(76)에 고정되고 다른 단은 고정홈(77)에 고정설치된 작동스프링(S)에 각각 감겨 장착되는 노브(52)가 장착되어 있다.And i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bracket 70 (70, 70 ') formed to protrude left and 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handle housing 51, the one en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rizontal shaft 72 The knob 52 is fixed to the jaw 76 and the other end is wound around the operating spring S fixed to the fixing groove 77.

또한,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51)의 내주면과 노브(52)가 접촉하는 부위의 양측에 고무재질의 버퍼(53,53')를 장착시키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의 노브(52)를 개폐하는 경우 아웃사이드핸들의 하우징(51)의 내주면과의 잦은 접촉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rubber buffers 53 and 53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side handle housing 51 and the portion where the knob 52 contacts, the knob 52 of the outside handle In case of opening / closing), it is for preventing noise from being generated by frequent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51 of the outside handle.

이렇게 형성된 아웃사이드 핸들은 도어의 외부패널(60)에 형성된 장착구멍(62)에 끼워져 장착되는 데,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51)과 도어의 외부패널(60)사이에는 시임(shim,63)을 두어 완충역할을 하게하고, 아울러 시일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The outside handle thus formed is fitted into a mounting hole 62 formed in the outer panel 60 of the door, and a seam 63 is formed between the outside handle housing 51 and the outer panel 60 of the door. It acts as a buffer and expects a sealing effect.

이와같이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과 노브를 완충해주는 범퍼와,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과 외부패널사이를 완충 내지 시일링하는 시임은 모두가 고무재질로 되어 있는 것으로 각각 별도로 성형하여야 하고 또 별도로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고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bumper for cushioning the outside handle housing and the knob and the seam for cushioning or sealing between the outside handle housing and the outer panel are all made of rubber and must be molded separately. And since it must be installed separate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ability is lowered and the cost rises.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것으로, 노브가 조작될 때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별도의 범퍼를 사용하지않고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과 외부패널을 시일링하는 시임으로 노브의 조작충격을 완충하며, 구조를 간단히 하고 또한 작업성을 좋게 함과 아울러 원가를 절감하는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peration shock of the knob to seal the outside handle housing and the outer panel without using a separate bumper to absorb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knob is operated. It is to provide an automobile door outside handle which cushions the structure, simplifies the structure, improves workability, and saves cost.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외부패널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시임을 사이에 두고 장착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과;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에 스프링으로 탄성적인 조작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노브로 이루어진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에서 상기 노브의 조작충격이 전달되는 부위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시임에 상기 홀과 상응하는 지름을 갖으며 상기 상기 홀이 깊이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완충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여 달성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side handle housing which is mounted to the mounting hole formed in the outer panel of the door between the seams; A vehicle door outside handle comprising a knob mounted on the outside handle housing to enable elastic operation by a spring, wherein the hol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outside handle housing to which an operation shock of the knob is transmitted. It is achieved by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a buffer protrusion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hole and the hole has a height greater than the depth.

이러한 본 고안은, 도어의 외부패널에 장착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에 형성된 홀에 시임의 완충돌기를 끼워 장착한 다음, 노브를 장착하여 조작하면 스프링에 위해 노브가 귀환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cushioning projection of the seam in the hole formed in the outer handle housing mounted to the outer panel of the door, and then operating by mounting the knob to absorb the impact that the knob is returned to the spring for the purpose To achieve this.

도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후면도,1 is a rear view of a vehicle door outside hand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는 도1의 A-A'선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1;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후면도,3 is a rear view of the vehicle door outsid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도3의 B-B'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아웃사이드 핸들 103,103' : 브라케트100: outside handle 103,103 ': bracket

105 : 수평축 106 : 걸림턱105: horizontal axis 106: locking jaw

108 : 작동스프링 110 :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108: operating spring 110: outside handle housing

120 : 노브 200 : 시임(shim)120 knob 200 seam

210,210' : 홀 220,220' : 완충돌기210,210 ': Hall 220,220': Shock absorber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a preferred embodiment to effectively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후면도이고, 도4는 도3의 B-B'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110)과;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110)의 상부에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브라케트(103,103')에 수평축(105)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평축(105)의 좌우측에 일단은 하우징의 걸림턱(106)에 고정되고 다른 단은 작동스프링(108)에 각각 감겨 장착되는 노브(120); 그리고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110)이 도어의 외부패널에 시임(200)을 사이에 두고 장착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Figure 3 is a rear view of the vehicle door outsid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ure 3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utside handle housing 110 and It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racket (103, 103 ') formed to protrude left and 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outside handle housing 110, the horizontal axis 105, one en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rizontal axis 105 A knob 120 fixed to 106 and the other end wound around the operating spring 108, respectively; The outside handle housing 110 is mounted on the outer panel of the door with the seam 200 interposed therebetween.

그러나,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110)은 양측변두리에 노브(120)의 충격이 가장 잘 전해지는 위치에 두 개의 홀(210,210')을 각각 형성하였고, 상기 시임(200)의 상기 홀(210,210')이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홀(210,210')의 지름에 상응하는 지름을 갖고 상기 홀(210,210')의 형성깊이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완충돌기(220,220')를 형성하고 있다.However, the outside handle housing 110 has formed two holes 210 and 210 'at positions where the impact of the knob 120 is best transmitted at both sides, and the holes 210 and 210' of the seam 200 are respectively formed. The buffer protrusions 220 and 220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holes 210 and 210' and having a height greater than the depth of formation of the holes 210 and 210 'are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hole is located.

따라서, 상기 시임(200)은 상기 아웃 사이드 핸들 하우징(110)에 형성된 홀(210, 210')에 완충돌기(220,220')를 끼워 노브(120)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그러므로, 상기 노브(120)가 사람의 손으로 조작될 때에 조작스프링(108)의 힘으로 귀환될 때의 충격을 상기 시임(200)의 완충돌기(220,220')이 완충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seam 200 is mounted to protrude toward the knob 120 by inserting the buffer protrusions 220 and 220 'into the holes 210 and 210' formed in the outer handle housing 110. Therefore, the shock projections 220 and 220 'of the seam 200 buffer the shock when the knob 120 is returned by the force of the operation spring 108 when the knob 120 is operated by a human hand.

상술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의 외부패널에 장착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에 형성된 홀에 시임의 완충돌기를 끼워 장착한 다음, 노브를 장착하여 조작하면 스프링에 위해 노브가 귀환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충격이 실내에 전해져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mounting the cushioning projection of the seam in the hole formed in the outside handle housing mounted to the outer panel of the door, and then operating by mounting the knob shock to return the knob to the spring By absorbing the shock, the shock is transmitted to the room to prevent noise.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노브가 조작될 때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별도의 범퍼를 사용하지않고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과 외부패널을 시일링하는 시임으로 노브의 조작충격을 완충하여 구조를 간단히 하고 또한 작업성을 좋게 함과 아울러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door outsid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m for sealing the outside handle housing and the outer panel without using a separate bumper that absorbs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knob is operated. It is a very useful design tha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improving workability by cushioning the pressure.

Claims (1)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110)과;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110)의 상부에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브라케트(103,103')에 수평축(105)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평축(105)의 좌우측에 일단은 하우징의 걸림턱(106)에 고정되고 다른 단은 작동스프링(108)에 각각 감겨 장착되는 노브(120); 그리고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110)이 도어의 외부패널에 시임(200)로 구성되는 아웃사이드 핸들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110)은 양측변두리에 노브(120)의 충격이 가장 잘 전해지는 위치에 두 개의 홀(210,210')을 각각 형성하였고, 상기 시임(200)은 상기 홀(210,210')이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홀(210,210')의 지름에 상응하는 지름을 갖고 상기 홀(210,210')의 형성깊이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완충돌기(220,2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An outer handle housing 110; rotatably mounted to the brackets 103 and 103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handle housing 110 by a horizontal axis 105,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rizontal axis 105; At one end is fixed to the locking projection 106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the knob 120 is wound around the operating spring 108, respectively; And the outside handle housing 110 is composed of a seam (200) on the outer panel of the door, the outside handle housing 110 is best transmitted to the impact of the knob 120 on both side edges. Has formed two holes 210 and 210 'at the positions, and the seam 200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holes 210 and 210' at the positions where the holes 210 and 210 'are located. Automobile door outside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a buffer protrusion (220,220 ') having a height greater than the depth of formation of').
KR2019970037402U 1997-12-16 1997-12-16 Car door outside handle KR1999002491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402U KR19990024914U (en) 1997-12-16 1997-12-16 Car door outside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402U KR19990024914U (en) 1997-12-16 1997-12-16 Car door outside han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914U true KR19990024914U (en) 1999-07-05

Family

ID=69677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402U KR19990024914U (en) 1997-12-16 1997-12-16 Car door outside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4914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803B2 (en) Handle apparatus for vehicle door
US5752737A (en) Door reinforcement system for pick-up trucks
EP0995870B1 (en) Lock for a door of a motor vehicle
KR19990024914U (en) Car door outside handle
KR200141343Y1 (en) Structure of door latch of a car
KR200147675Y1 (en) Door striker for car with reinforcing material
KR0118424Y1 (en) Handle road structure in doorlock device of a vehicle
KR100251935B1 (en) Impact safety reinforce member for vehicle door
KR200142786Y1 (en) Actuator structure of back door latch for a car
KR200160491Y1 (en) Locking device of back door for a vehicle
KR200141632Y1 (en) Hatch of door lock for a car
JP3620083B2 (en) Car door structure
KR100568739B1 (en) Glass Latch Structure of Tale-Gate
KR100208590B1 (en) Over slam bumper for a car door switch
KR19980062490A (en) Reinforcement bracket structure to prevent bending of outer panel of automobile back door
KR0173030B1 (en) Car door
KR19980034534U (en) Vehicle Door Opener
KR19990025894U (en) Inside handle assembly of car door
KR20020051425A (en) Rear stopper for vehicle door latch
KR200207604Y1 (en) Center pillar trim structure of vehicle
KR0136100Y1 (en) Damping washer for door actuator
KR200175405Y1 (en) Arrangement for fixing knob of inner handle assembly in a vehicle door
KR19990029091U (en) Door hinge device of car
KR19990021365U (en) Outside handle assembly of car door
JPS6256312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