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679U - 자동차 보디의 리어 휠 하우스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보디의 리어 휠 하우스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679U
KR19990024679U KR2019970037158U KR19970037158U KR19990024679U KR 19990024679 U KR19990024679 U KR 19990024679U KR 2019970037158 U KR2019970037158 U KR 2019970037158U KR 19970037158 U KR19970037158 U KR 19970037158U KR 19990024679 U KR19990024679 U KR 199900246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heel
wheel house
flange
panel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7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4679U/ko
Publication of KR199900246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679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보디의 리어 휠 하우스(Rear Wheel House)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 휠 하우스 패널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의 하부로 연결되는 쿼터 패널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를 연장 확대시켜 리어 휠 하우스 패널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의 상부로부터 압착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하여 주어, 리어 휠 하우스 패널과의 연결 조립시 신속하고도 용이한 상호간의 연결 조립 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이고, 주행중 전달되어 오는 충격에도 상호간에 연결을 이루고 있는 플렌지부가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일정기간 사용 후에도 상호간의 연결 부위 즉, 플렌지부 상호간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상호간에 일정의 유격을 형성하고 있는 내측 하부에 충진 구비하고 있는 차체 씰라의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 시에도 상기 상호 연결되어 있는 플렌지 부위를 통해 세차시나 악천우시와 같은 상황에서의 주행시 물과 더불어 이 물질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이고, 상기 연결 부위의 조기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이고, 차량 전체의 상품성과 품질성 및 신뢰도 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보디의 리어 휠 하우스 연결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보디의 리어 휠 하우스(Rear Wheel House)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 휠 하우스 패널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의 하부로 연결되는 쿼터 패널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를 연장 확대시켜 리어 휠 하우스 패널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의 상부로부터 압착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하여 주어, 리어 휠 하우스 패널과의 연결 조립시 신속하고도 용이한 상호간의 연결 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이고, 주행중 차체로 전달되어 오는 충격에도 상호간에 연결을 이루고 있는 플렌지부가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일정기간 사용 후에도 상호간의 연결 부위 즉, 플렌지부 상호간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상호간에 일정의 유격을 형성하고 있는 내측 하부에 충진 구비하고 있는 차체 씰라의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 시에도 상기 상호 연결되어 있는 플렌지 부위를 통해 세차시나 악천우시와 같은 상황에서의 주행시 물과 더불어 이물질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연결 부위의 조기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이고, 차량 전체의 상품성과 품질성 및 신뢰도 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보디의 리어 휠 하우스(Rear Wheel House)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의 구조를 박스의 조합이라고 생각하면 전체를 하나의 박스로 한 것을 원 박스(one box)라 하며 이것에 대해 밴 이나 해치 백(hatch back) 자동차는 엔진 룸과 승원실의 2 개의 박스로 되어 있는 것을 투 박스(tow box)라 한다. 또 독립된 트렁크 룸이 있는 경우에는 쓰리 박스(three box) 자동차라 하는데, 이와 같이 나눌 수 있는 자동차 보디의 형태는 그 용도에 따라 시트의 배치와 수, 도어의 위치와 그 수, 승객실, 루프의 구조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차의 차체 구조는 또한 프런트 보디(front body)와 센터 보디(center body) 그리고 리어 보디(raer body)로 분할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이중, 자동차의 리어 보디(raer body)는 독립된 트렁크 룸이 있는 노치 백(notch back)형, 승용차와 테일 게이트(tail gate)가 있는 해치 백(hatch back)형 승용차와는 구조가 약간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리어 필러와 연결되어 있는 쿼터 패널을 좌,우로 연결하는 리어 샐프, 차체 끝단의 리어 엔드 패널 그리고 트렁크의 바닥에 해당하는 리어 플로어 팬, 그 하면의 리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리어 보디(raer body)의 측면에 해당하는 쿼터 패널은 내측으로 리어 휠 하우스 패널과 연결 접합을 이루어 리어 휠 하우스부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 자동차 리어 보디의 휠 하우스 구조는 도 2 에 전형적인 한 예를 도시하였는 바,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측 하단에 돌출 절곡되어 있는 플렌지부(14b)를 구비하고 있는 리어 휠 하우스 패널(12)과, 하단 내측에 상기 리어 휠 하우스 패널(12)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14b)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플렌지부(14a)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쿼터 패널(10) 상호간의 플렌지부(14a),(14b)를 융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호간에 일정의 유격을 형성하고 있는 내측 하부에는 차체 씰라(16)를 충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자동차 보디의 리어 휠 하우스(Rear Wheel House) 연결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하단에 돌출 절곡되어 있는 플렌지부(14b)를 구비하고 있는 리어 휠 하우스 패널(12)과, 하단 내측에 상기 리어 휠 하우스 패널(12)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14b)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플렌지부(14a)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쿼터 패널(10) 상호간의 플렌지부(14a),(14b)를 스포트 용접을 통한 융착을 이뤄 연결구성하여 줌에 따라, 제작시 플렌지부(14a),(14b) 상호간을 스포트 용접에 의해 융착하여 주어야 함에 따른 생산 공정상의 전반적인 지연과 공정상의 어려움을 초래시켰고, 또한 주행시 차체로 전달되어 오는 충격에 의해 상호간에 융착을 이루고 있는 플렌지부(14a),(14b)가 쉽게 변형되는 강성상의 문제를 야기시켜 일정기간 사용 후에는 상호간의 융착 부위 즉, 플렌지부(14a),(14b) 상호간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 현상을 초래시켜 상호간에 일정의 유격을 형성하고 있는 내측 하부에 충진 구비하고 있는 차체 씰라(16)의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없도록 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 시에도 상기 상호 연결되어 있는 플렌지 부위를 통해 세차시나 악천우시와 같은 상황에서의 주행시 다량의 물과 더불어 이 물질을 유입시켜 상기 연결 부위의 조기 노화를 부축 이는 문제 현상 및 차내로의 누수를 야기시켜 차량 전체의 조기 노화 및 차량 배선상의 접속을 야기시켜 차량의 전자 시스템을 제로화 시키는 등의 문제를 초래시켜 결과적으로 생산성의 저하는 물론이고, 차량 전체의 상품성과 품질성 및 신뢰도 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따라서, 본 고안은 리어 휠 하우스 패널과의 연결 조립시 신속하고도 용이한 상호간의 연결 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이고, 주행중 전달되어 오는 충격에도 상호간에 연결을 이루고 있는 플렌지부가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일정기간 사용 후에도 상호간의 연결 부위 즉, 플렌지부 상호간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상호간에 일정의 유격을 형성하고 있는 내측 하부에 충진 구비하고 있는 차체 씰라의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 시에도 상기 상호 연결되어 있는 플렌지 부위를 통해 세차시나 악천우시와 같은 상황에서의 주행시 물과 더불어 이물질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연결 부위의 조기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이고, 차량 전체의 상품성과 품질성 및 신뢰도 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보디의 리어 휠 하우스(Rear Wheel House)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쿼터 페널과 리어 휠 하우스 패널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자동차 보디의 리어 휠 하우스(Rear Wheel House) 연결 구조에 있어서, 리어 휠 하우스 패널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의 하부로 연결되는 쿼터 패널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를 연장 확대시켜 리어 휠 하우스 패널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의 상부로부터 압착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하여 주어 달성될 수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차 보디(Body)의 형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 는 종래 자동차 보디의 리어 휠 하우스(Rear Wheel House) 부위를 절단 도시한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인 자동차 보디의 리어 휠 하우스(Rear Wheel House) 부위를 절단 도시한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쿼터 패널 102 :리어 휠 하우스 패널
104a,104b :플렌지부 106 :차체 씰라
108 :휠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과 도 4 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와 동일 구성은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여기서는 본 고안의 특징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휠 하우스 패널(10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104b)의 하부로 연결되는 쿼터 패널(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104a)를 연장 확대시켜 리어 휠 하우스 패널(102)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104b)의 상부로부터 압착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호간에 일정의 유격을 형성하고 있는 내측 하부에는 차체 씰라(106)를 충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08은 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휠 하우스 패널(10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104b)의 하부로 연결되는 쿼터 패널(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104a)를 연장 확대시켜 리어 휠 하우스 패널(102)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104b)의 상부로 부터 압착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하여 주어, 실사용시 리어 휠 하우스 패널(102)과의 연결 조립시 신속하고도 용이한 상호간의 연결 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이고, 주행중 차체로 전달되어 오는 충격에도 상호간에 연결을 이루고 있는 플렌지부(104a),(104b)가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을 향상시켜 일정기간 사용 후에도 상호간의 연결 부위 즉, 플렌지부(104a),(104b) 상호간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상호간에 일정의 유격을 형성하고 있는 내측 하부에 충진 구비하고 있는 차체 씰라의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에도 상기 상호 연결되어 있는 플렌지 부위를 통해 세차시나 악천우시와 같은 상황에서의 주행시 물과 더불어 이물질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연결 부위의 조기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리어 휠 하우스 패널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의 하부로 연결되는 쿼터 패널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를 연장 확대시켜 리어 휠 하우스 패널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의 상부로 부터 압착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하여 주어, 리어 휠 하우스 패널과의 연결 조립시 신속하고도 용이한 상호간의 연결 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이고, 실사용시 주행중 차체로 전달되어 오는 충격에도 상호간에 연결을 이루고 있는 플렌지부가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을 향상시켜 일정기간 사용 후에도 상호간의 연결 부위 즉, 플렌지부 상호간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상호간에 일정의 유격을 형성하고 있는 내측 하부에 충진 구비하고 있는 차체 씰라의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에도 상기 상호 연결되어 있는 플렌지 부위를 통해 세차시나 악천우시와 같은 상황에서의 주행시 물과 더불어 이 물질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연결 부위의 조기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이고, 차량 전체의 상품성과 품질성 및 신뢰도 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쿼터 페널(100)과 리어 휠 하우스 패널(102)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자동차 보디의 리어 휠 하우스(Rear Wheel House)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휠 하우스 패널(10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104b)의 하부로 연결되는 쿼터 패널(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104a)를 연장 확대시켜 리어 휠 하우스 패널(102)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104b)의 상부로 부터 압착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디의 리어 휠 하우스(Rear Wheel House) 연결 구조.
KR2019970037158U 1997-12-13 1997-12-13 자동차 보디의 리어 휠 하우스 연결 구조 KR199900246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158U KR19990024679U (ko) 1997-12-13 1997-12-13 자동차 보디의 리어 휠 하우스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158U KR19990024679U (ko) 1997-12-13 1997-12-13 자동차 보디의 리어 휠 하우스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679U true KR19990024679U (ko) 1999-07-05

Family

ID=69694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158U KR19990024679U (ko) 1997-12-13 1997-12-13 자동차 보디의 리어 휠 하우스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467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906B1 (ko) * 2005-12-12 2007-07-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프런트 펜더와 프런트 휠가드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906B1 (ko) * 2005-12-12 2007-07-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프런트 펜더와 프런트 휠가드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5500A (en) Occupant protecting structures of vehicle body upper portions
US5120106A (en) Structure of a front body of a motor vehicle
US6540286B2 (en) Body structure
US6053564A (en) Vehicle body side sill reinforcing bulkhead
US4471992A (en) Automobile body structure
US7871123B2 (en) A-pillar joint for automotive vehicles
JPH0872742A (ja) 車両のセンタピラー下方部の車体構造
CN109204569B (zh) 车辆门槛的增强结构
CN113401223A (zh) 汽车车身
JPS61282170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2015066999A (ja) 車両の車体構造および車体の製造方法
JPH11235983A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ピラー構造
JP2006088924A (ja) 車体構造
KR19990024679U (ko) 자동차 보디의 리어 휠 하우스 연결 구조
JPS6238855Y2 (ko)
US20040135401A1 (en) Rear roof frame for motor vehicles
JPS6332790Y2 (ko)
JPH0585415A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KR100578067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사이드 패널 필라 부위 결합구조
JP6220665B2 (ja) 車両の車体構造及び車体の製造方法
JP6274854B2 (ja) 車両の車体構造及び車体の製造方法
KR101982862B1 (ko) 대시패널과 사이드부의 결합구조
KR0162153B1 (ko) 차량의 센터 필러 보강구조
JPS63263178A (ja) 自動車の車体フロア構造体
KR0179481B1 (ko) 자동차용 크로스멤버 임팩트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