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430A -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430A
KR19990023430A KR1019980032107A KR19980032107A KR19990023430A KR 19990023430 A KR19990023430 A KR 19990023430A KR 1019980032107 A KR1019980032107 A KR 1019980032107A KR 19980032107 A KR19980032107 A KR 19980032107A KR 19990023430 A KR19990023430 A KR 19990023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lwl
cap
plu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틴 슈트레프
마르쿠스 슐테
리하르트 플리거
미하엘 로트
에른스트 리비히
베르너 비트너
Original Assignee
디어터 크리스트, 베르너 뵈켈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어터 크리스트, 베르너 뵈켈,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디어터 크리스트, 베르너 뵈켈
Publication of KR19990023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43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ontaining optical and electrical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4) 및 핀 플러그 스트립(3)으로 이루어진, 전자 조립 유닛(1)용 전기 플러그 결합부 및 LWL-플러그 결합부를 가진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4)가 소켓 모듈(15, 16) 및 LWL 모듈(11)을 수용하기 위한 모듈 챔버(7, 8, 9)를 가진 캡(6)이며, LWL 모듈(11)의 LWL 플러그(23)에 할당된 전기/광학 변환기(33)가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의 바닥(31)에 일렬로 그것의 종측면(35, 46)에 평행하게 납땜 접속부(34)가 배치되는 측면에 배치됨으로써, 납땜 접속부(34)를 포함하는 접속 라인(53)의 길이가 짧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본 발명은 전자 조립 유닛, 특히 분해 가능한 멀티미디어 차량 라디오용 전기 플러그 결합부 및 LWL(광도파로) 플러그 결합부, 칼라를 가진 핀 플러그 스트립, 및 상기 핀 플러그 스트립의 칼라내로 삽입 가능한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전기 소켓 모듈 및 LWL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모듈 챔버를 가진 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 플러그 스트립의 바닥에 고정된 플러그 핀의 칼라측 단부는 소켓 모듈의 소켓에 그리고 마찬가지로 핀 플러그 스트립의 바닥에 고정된 광학/전기 변환기는 LWL 모듈의 광도파로에 할당되고, 핀 플러그 스트립으로부터 외부로 안내된 플러그 핀의 단부 및 광학/전기 변환기의 전기 접속부가 핀 플러그 스트립의 납땜 접속부인,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모듈 방식의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는 독일 특허 195 33 295 C1호에 공지되어 있다. 모듈 방식은 소켓 모듈 및 LWL 모듈의 적합한 장착에 의해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를 분해 가능한 전자 조립 유닛의 상이한 장치적 요구에 매칭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것은 선택적으로 이동 위성 텔레비젼 수신기 및/또는 이동 항법 장치와 함께 하나의 전자 조립 유닛으로 통합되는 자동차 라디오에 중요하다. 여기서 생기는 정보는 통상의 전기 플러그 접속과 더불어 LWL 플러그 접속을 필요로 한다. LWL 접속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내부에서 LWL 신호 전류가 전기/광학 변환기에 의해 전기 신호 전류로 그리고 그 역으로 변환되어야 한다. 독일 특허 제 195 33 295 C1호에 따른 공지된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에서 전기/광학 변환기가 LWL 대응 모듈내에 수용되고, 상기 모듈은 재차 핀 플러그 스트립의 바닥에 있는 홀형 리세스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이 제조 기술상으로 비교적 복잡하다는 것을 도외시하더라도, 여기서는 미리 주어진 수의 LWL 접속부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치수가 비교적 크다. 또한, 송수신 다이오드로 구현된 전기/광학 변환기가 전자 조립 유닛의 회로 기판상에서 그것에 할당된 납땝 접속부에 대한 비교적 긴 접속 라인을 필요로 한다. 실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접속 라인의 길이는 그것을 통해 전송될 높은 신호 주파수를 고려할 때 최대 20㎜ 이어야만, 바람직하지 않은 오버커플링 및 신호 왜곡이 피해진다. 이러한 최대 길이를 지키는 것은 플러그 커넥터의 핀 플러그 스트립이 대개 회로 기판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칼라 없이 전자 조립 유닛의 회로 기판상에 놓임으로써 특히 어려워지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전자 조립 유닛에 대해 일반적으로 측면 플러그 접속이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높은 주파수에 대한 완벽한 해결책을 얻기 위해, 핀 플러그 스트립에 직접 제공된 중간 플레이트가 사용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는 전기/광학 변환기의 접속부에 직접 접속될 전자 접속 부품이 전자 조립 유닛의 회로 기판상에서 중간 플레이트상으로 옮겨져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미리 주어진 최대 극수로 최소 치수를 가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중간 플레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차량용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를 가진 전자 조립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의 캡에 제공된 슬라이딩 후프의 사시도.
도 4 - 6은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의 여러 가지 사시도.
도 7은 바닥의 하부면을 바라본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의 각-핀 플러그 스트립의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따른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의 각-핀 플러그 스트립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9 내지 11은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캡의 여러 가지 모듈 장착 실시예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조립 유닛 2: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3: 각-핀 플러그 스트립 4: 플러그
5,53: 접속 라인 6: 캡
7,8,9: 모듈 챔버 10,12,37,50: 횡측면
11,55: LWL 모듈 13,14: 부분 영역
15,16: 소켓 모듈 17,18: 모듈 하우징
19,20,22: 수용 홀 21,56: LWL 모듈 하우징
23: LWL 플러그 24,25,26,48: 가이드 홈
27,28: 가이드 스트립 29: 홈
30: 칼라 31: 바닥
32: 핀 33: 변환기
34: 납땜 접속부 35,44,46: 종측면
36: 배선판 38: 포켓
39: 평형 삽입 안전수단 40: 리세스
41: 슬라이딩 후프 42: 조작 헤드
43: 프레임 레그 45: 접속부재 가이드
47: 가이드 핀 49: 개구
51: 벽 52: 슬릿
54: 관형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핀 플러그 스트립이 각-핀 플러그 스트립이고, 광학/전기 변환기가 일렬로 그것의 종측면에 대해 평행하게 각-핀 플러그 스트립의 바닥에서 납땜 접속부가 배치되는 측면에 배치됨으로써, 그것의 납땜 접속부를 포함하는 접속 라인의 길이가 가급적 짧으며, 전자 조립 유닛의 회로 기판상에서 그것의 에지에 고정된 각-핀 플러그 스트립이 그것의 납땜 접속부와 함께 회로 기판상에서 그것에 할당된 납땜홀-접속부내에 직접 삽입되어 그것에 납땜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전기/광학 변환기가 제시된 방식으로 LWL 대응 모듈의 생략 하에 각-핀 플러그 스트립의 바닥에 배치되면, 미리 정해진 극수로 가급적 작은 치수로 설계된 각-핀 플러그 스트립에서 송수신 다이오드에 대한 접속 라인의 길이가 매우 바람직한 방식으로 최대 20㎜로 제한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청구범위 제 2항 내지 11항에 제시된다.
다극 플러그 커넥터에서 플러그 결합시 및 플러그 분리시 많은 압축력 및 인장력이 가해져야 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접속부재 슬라이더 형태의 보조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예컨대 독일 특허 제 36 04 548 C2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조수단으로서 U형 프레임 및 조작 헤드를 가진 슬라이딩 후프(hoop)가 사용된다. 상기 슬라이딩 후프의 프레임 레그는 캡의 종측면상에서 슬릿형 접속부재 가이드내로 안내되어 고정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서로 직접 층층이 놓인 부품, 즉 이동 항법 시스템(NAV) 및 이동 위성 텔레비젼 수신기(SAT/TV)에 의해 확장된 라디오로 이루어진 차량용 전자 조립 유닛(1)을 나타낸다. 물론, 항법 시스템(NAV) 및 위성 텔레비젼 수신기(SAT/TV)가 차량내에서 접속 라인을 통해 라디오(RAD) 밑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 조립 유닛(1)을 차량내에 조립하는 것을 간소화하기 위해 그리고 장소적 이유 때문에, 상기 전자 조립 유닛(1)의 모든 단자 접속이 하나의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2)내에 집중되고, 상기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의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은 전자 조립 유닛(1)의 라디오(RAD)의 고정 구성 부분이며, 가요성 접속 라인(5) -이것만이 도시됨- 에 접속된 플러그(4)가 상기 각-핀 플러그 스트립(3)내로 삽입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2)의 구성 및 여러 가지 부품이 도 2에 도시된다. 플러그(4)는 3개의 모듈 챔버(7), (8) 및 (9)를 가진 캡(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듈 챔버는 상부로 그리고 전방 횡측면(10)이 개방된다. 전체 챔버 길이에 걸쳐 동일한 챔버 폭을 가진 모듈 챔버(9)는 LWL-모듈(11)을 수용한다. 동일하게 형성된 모듈 챔버(7) 및 (8)은 캡(6)의 전방 횡측면(10) 및 후방 횡측면(12) 사이에 상이한 챔버 길이 및 챔버 폭을 가진 2개의 부분 영역을, 보다 상세하게는 짧은 챔버 길이 및 챔버 폭을 가진 후방 부분 영역(13) 및 큰 챔버 길이 및 챔버 폭을 가진 전방 부분 영역(14)을 포함한다. 모듈 챔버(8) 및 (9)의 후방 부분 영역(13)은 낮은 전류용 소켓 모듈(15)을 수용하기 위해 그리고 전방 부분 영역(14)은 높은 전류용 소켓 모듈(16)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소켓 모듈(15)의 하우징(17) 및 소켓 모듈(16)의 하우징(18)은 하나의 2중 그리드에 배치된 수용 홀(19) 및 (20)을 갖는다. 상기 수용 홀(19) 및 (20)내에 도시되지 않은 소켓이 고정된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LWL 모듈 하우징(21)이 일렬로 배치된 LWL 플러그(23)용 수용 홀(22)을 갖는다. 상기 LWL 플러그(23) 중 하나가 광도파로 없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모듈 하우징(17) 및 (18)의 2개의 외부 종측면에는 가이드 홈(24) 및 (25)이 제공된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LWL 모듈 하우징(21)의 2개의 외부 종측면에 가이드 홈(26)이 제공된다. 모듈 하우징(17) 또는 (18)의 가이드 홈(24) 또는 (25)에는 모듈 챔버(8) 및 (9)의 2개의 종측면에 있는 가이드 스트립(27)이 할당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LWL 모듈 하우징(21)의 가이드 홈(26)에는 모듈 챔버(9)의 2개의 종측면에 있는 가이드 스트립(28)이 할당된다. 한편으로는 모듈 챔버(7) 및 (8)내로 모듈(15) 및 (16)을 삽입할 때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모듈 챔버(9)내로 LWL 모듈(11)을 삽입할 때, 서로 대응하는 가이드 홈과 가이드 스트립이 맞물린다. 이로 인해, 모듈(15) 및 (16) 및 LWL 모듈(11)이 그것에 할당된 모듈 챔버(7), (8) 및 (9)내에 안내되고 고정된다. 동시에 서로 맞물리는 가이드 홈 및 가이드 스트립은 한편으로는 소켓 모듈(15) 및 (16)내의 소켓에 대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LWL 모듈(11)내의 LWL 플러그(23)에 대한 포지티브 록킹 2차 안전 수단을 형성한다. 도 2에는 LWL 모듈(11)의 특성이 도시된 LWL 플러그(23)를 참고로 명확히 나타난다. 플라스틱 부품인 LWL 플러그(23)는 LWL 모듈(11)의 수용 홀(22)내로 삽입된 그 하부에서 마주 놓인 측면상에 홈(29)을 갖는다. 상기 홈(29)에 의해, 홈(29)이 LWL 모듈(11)의 가이드 홈(26)과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경우에만 LWL 모듈(11)이 그것에 할당된 모듈 챔버(9)내로 삽입되는 것이 보장된다.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은 그것과 플러그(4)의 결합을 위해 칼라(30), 및 동시에 상기 칼라(30)의 바닥인 바닥(31)을 갖는다. 바닥(31)에 소켓 모듈(15) 및 (16)의 소켓용 플러그 핀(32)이 고정된다. 또한, 바닥(31)에는 LWL 모듈(11)에 할당된 전기/광학 변환기가 고정된다. 상기 변환기는 후술될 도 6 내지 8에만 도시되며 도면 부호 (33)으로 표시된다. 납땜 접속부(34)를 형성하기 위해, 플러그 핀(32) 및 도 6에 도면 부호 (53)으로 표시된 전기/광학 변환기(33)의 접속 라인이 바닥(31)의 하부면에서 직각으로 휘어지고, 그것의 납땜 접속부(34)를 나타내는 단부가 그것의 전방 종측면(35)에 제공된 배선판(36)에 고정된다.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의 칼라(30)는 전방 횡측면(37)의 내부면에 여기서는 라디오를 위해 제공된 평형 삽입 안전 수단(39)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38)을 갖는다. 도 2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평형 삽입 안전 수단(30)을 삽입하기 위한 포켓(38)의 내부에는 2개의 소켓이 제공되며, 직각으로 휘어진 상기 소켓의 접속 단부는 마찬가지로 납땜 접속부(34)로서 배선판(36)내에 고정된다.
라디오(RAD)용 평형 삽입 안전 수단(39)의 이러한 배치에 의해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1)의 플러그(4)의 조작을 위해 필요한 공간이 마찬가지로 평형 삽입 안전 수단(39)의 조작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칼라(30)의 내부에 제공된 포켓(38)내에 평형 삽입 안전 수단(39)을 배치함으로써, 포켓(38)의 치수에 알맞는 리세스(40)가 캡(6)의 전방 횡측면(10)에 제공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38)이 칼라(30)의 내부에서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의 전방 횡측면(37)에 배치됨으로써, 캡(6)내의 리세스(40)에 의해 모듈 챔버(7) 및 (8)만이 약간 단축된다. 그렇지 않으면, 주어진 치수에서 6개의 LWL 플러그(23)용 LWL 모듈(11)이 모듈 챔버(9)내에 수용될 수 없을 것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42극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2)의 실시예는 플러그 결합시 및 플러그 분리시 보다 양호한 조작을 위해 슬라이딩 후프(41) 형상을 가진 삽입 보조수단을 갖는다. 상기 슬라이딩 후프는 손잡이 헤드(48)를 가진 U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후프(41)는 도 3에 사시도로 도시된다. 슬라이딩 후프의 프레임 레그(43)는 캡(6)의 2개의 종측면(44)상에서 슬릿형 접속 부재 가이드(45)내에 안내되어 고정된다. 도 2에는 슬라이딩 후프(41)가 캡(6)에서 2개의 슬라이딩 위치로 도시된다. 실선은 결합 종료 위치를 나타내고, 파선은 결합 전 위치를 나타낸다. 슬라이딩 후프(41)가 캡(6)에서 삽입 보조수단으로 작용하기 위해, 그것이 각-핀 플러그 스트립(3)에 드러스트 베어링을 가져야 한다. 이것을 위해 칼라(30)에, 특히 후방 종측면(46) 및 전방 종측면(35)의 상부 에지에 가이드 핀(47)이 형성된다. 가이드 핀(47)은 캡(6)과 슬라이딩 후프(41)를 결합 전 위치에서 가이드 홈(48)내로 삽입할 때 슬라이딩 후프(41)의 프레임 레그(43)내로 삽입된다. 프레임 레그(43)내에서 가이드 홈(48)의 경사진 배치에 의해, 슬라이딩 후프(41)를 그것의 결합 전 위치와 결합 종료 위치 사이로 이동시킬 때 캡(6)이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의 칼라(30)내에서 적은 힘으로 좌우 이동될 수 있다.
도 4에는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2)가 조립된 상태로 도시된다. 여기서는 캡(6)이 슬라이딩 후프(41)와 함께 결합 전 위치에서 각-핀 플러그 스트립의 칼라(30)상에 놓인다. 슬라이딩 후프(41)를 그것의 결합 종료 위치로 삽입함으로써, 캡(6)과 각-핀 플러그 스트립(3) 사이의 플러그 결합이 이루어진다. 각-핀 플러그 스트립(3)과 캡(6)이 서로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 횡측면(10)이 개방된 모듈 챔버(7), (8) 및 (9)가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의 전방 횡측면(37)에 의해 커버된다.
도 5의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1)는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의 바닥(31)과 캡(6)의 하부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캡(6)의 하부면에서 그것의 접속 부재 가이드(45)의 영역에 개구(49)를 가지며, 상기 개구(49)를 통해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의 칼라(30)의 상부 에지에 형성된 가이드 핀(46)이 슬라이딩 후프(41)의 프레임 레그(43)내에 있는 가이드 홈(48)내로 삽입된다.
전방 횡측면(37)과 후방 횡측면(50) 사이에서 바닥(31)에 대해 수직으로 슬릿(52)을 가진 벽(51)이 제공된다. 바닥(31)의 하부면에서 벽(51)의 상부로 나온 핀(32) 및 하부로 수직으로 휘어진 그 부품이 상기 슬릿(52)내에서 안내된다. 납땜 접속부(34)를 형성하는 단부를 가진 핀(32)의 휘어진 부품은 벽(51)의 하부에서 벽(51)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배선판(36)내에 부가로 고정된다.
벽(51)과 배선판(36) 사이의 바닥(31)의 부분 영역에서 도 6의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LWL 모듈(11)에 할당된 전기/광학 변환기(33)와 그 접속 라인이 바닥(31)의 관형부(54)내에 배치된다. 납땜 접속부(34)인 단부를 가진 전기/광학 변환기(33)의 접속 라인(53)은 마찬가지로 하부로 수직으로 휘어지고 배선판(36)내에 고정된다. 도 6에는 전기/광학 변환기(33)가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의 바닥(31)에서 배선판(36) 바로 근처에 배치되는,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2)의 LWL-플러그 결합 배치가 납땜 접속부(34)를 포함하는 접속 라인(53)의 최소 길이를 갖는 것이 매우 잘 나타난다. 여기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2)의 실시예에서 상기 길이는 20㎜이다. 따라서,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의 배선판(36)의 에지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플레이트의 생략 하에 직접 전자 조립 유닛(1)의 회로 기판(P)상에 놓이기 위한 고주파 전제 조건이 주어진다. 이 경우, 각-핀 플러그 스트립(3) 및 그 납땜 접속부(34)가 그것의 납땜을 위해 회로 기판(P)상에 배치된,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납땜 홀 접속부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부가해서 핀 및 전기/광학 변환기 없이 바닥(31) 및 벽(51)의 하부면을 바라본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의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절단선 A-A을 따른 단면도가 도 8에 도시된다. 바닥(31)에서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배선판의 측면에서 하부에 총 6개의 관형부(54)가 제공된다. 6개의 송수신 포토다이오드를 나타내는 전기/광학 변환기(33)가 상기 관형부(53)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전기/광학 변환기(33)를 관형부(54)에 장착하는 것은 최대 6개의 LWL 플러그(23)를 LWL 모듈(11)에 장착하는 것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9 내지 11은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1)의 모듈 장착과는 다른,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1)의 3가지 모듈 장착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에는 슬라이딩 후프(41) 및 평형 삽입 안전 수단(39)을 가진 캡(6)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도 2 및 4에 따른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1)의 모듈 장착과의 중요한 차이점은 LWL 모듈 하우징(56)과 관련해서 동일한 치수를 가진 LWL 모듈(55)이 단지 2개의 LWL 플러그(23)를 위해 제공된다는 것이다.. 도 9에 따른 장착 실시예에서는 2개의 모듈(15) 및 (16)과 하나의 LWL 모듈(55)이 사용된다. 이것과는 달리, 도 10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모듈 챔버(9)내에 2개의 LWL 모듈(55)이 차례로 배치된다. 도 11에 따른 장착 실시예에서는 모듈 챔버(9)내에 3개의 LWL 모듈(55)이 차례로 배치된다. 또한, 모듈 챔버(8)내에는 단 하나의 소켓 모듈(16)이 삽입된다. 최대 6개의 LWL 플러그(23)에 대한 캡(6)의 가장 짧은 길이는 하나의 LWL 모듈(11)이 사용될 때 얻어진다. 즉, 제조 기술상의 이유 때문에, 3개의 차례로 배치된 LWL 모듈(55)은 하나의 LWL 모듈(11) 보다 긴 길이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미리 주어진 최대 극수로 최소 치수를 가질 수 있고 중간 플레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가 제공된다.

Claims (12)

  1. 전자 조립 유닛(1), 특히 분해 가능한 멀티미디어 차량 라디오용 전기 플러그 결합부 및 LWL(광도파로) 플러그 결합부, 칼라(30)를 가진 핀 플러그 스트립, 및 상기 핀 플러그 스트립의 칼라(30)내로 삽입 가능한 플러그(4)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4)는 전기 소켓 모듈(15, 16) 및 LWL 모듈(11, 55)을 수용하기 위한 모듈 챔버(7, 8, 9)를 가진 캡(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 플러그 스트립의 바닥(31)에 고정된 플러그 핀(32)의 칼라측 단부는 소켓 모듈(15, 16)의 소켓에 그리고 마찬가지로 핀 플러그 스트립의 바닥(31)에 고정된 광학/전기 변환기(33)는 LWL 모듈(11, 55)의 광도파로에 할당되고,
    핀 플러그 스트립으로부터 외부로 안내된 플러그 핀(32)의 단부 및 광학/전기 변환기(33)의 전기 접속 라인(53)이 핀 플러그 스트립의 납땜 접속부(34)인,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핀 플러그 스트립이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이고, 광학/전기 변환기(33)가 일렬로 그것의 종측면(35, 46)에 대해 평행하게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의 바닥(31)에서 납땜 접속부(34)가 배치되는 측면에 배치됨으로써, 그것의 납땜 접속부(34)를 포함하는 접속 라인(53)의 길이가 가급적 짧으며,
    전자 조립 유닛(1)의 회로 기판(P)상에서 그것의 에지에 고정된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이 그것의 납땜 접속부(34)와 함께 회로 기판(P)상에서 그것에 할당된 납땜홀-접속부내에 직접 삽입되어 그것에 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납땜 접속부(34)를 포함하는 전기/광학 변환기(33)의 접속 라인(53)의 길이가 최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납땜 접속부(34)가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의 바닥(31)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며 각-핀 플러그 스트립(3)에 고정된 배선판(36)내에 고정되고,
    전자 조립유닛(1)의 회로 기판(P)상에 고정된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이 그것의 배선판(36)과 함께 회로 기판(P)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캡(6)과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캡(6)의 종측면(44)이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의 종측면(35, 46)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캡(6)은 캡(6)의 종측면(44)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 적어도 2개의 모듈 챔버(7, 8, 9)를 포함하며,
    소켓 모듈(15, 16) 및 LWL 모듈(11, 55)을 삽입하기 위한 모듈 챔버(7, 8, 9)가 캡(6)의 전방 종측면(10)에서 개방되고,
    소켓 모듈(15, 16)을 수용하기 위한 모듈 챔버(7, 8, 9)가 캡(6)의 전방 및 후방 횡측면(10, 12) 사이에 상이한 챔버 길이 및/또는 챔버 폭을 가진 2개의 부분 영역(13, 14)을 포함하며, 특히 짧은 챔버 길이 및/또는 챔버 폭을 가진 후방 부분 영역(13)은 그것의 소켓과 관련해서 작은 전류용으로 설계된 소켓 모듈(15) 및 (16)을 수용하고 긴 챔버 길이 및/또는 챔버 폭을 가진 전방 부분 영역(14)은 그것의 소켓과 관련해서 큰 전류용으로 설계된 소켓 모듈(16)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캡(6)이 서로 평행한 3개의 모듈 챔버(7, 8, 9)를 포함하고, 특히 2개의 동일한 모듈 챔버(7, 8)는 소켓 모듈(15, 16)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며 모듈 챔버(9)는 LWL 모듈(11, 55)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모듈 챔버(7, 8, 9)가 그것의 종측면을 따라 가이드 스트립(27, 28)을 포함고, 소켓 모듈 하우징(17, 18) 및 LWL 모듈 하우징(21, 56)이 그것의 종측면을 따라 가이드 홈(24, 25, 26)을 포함하며,
    모듈(15, 16) 및 LWL 모듈(11, 55)의 가이드 홈(24, 25, 26)이 모듈 챔버(7, 8, 9)의 가이드 스트립(27, 28)과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캡(6)의 모듈 챔버(7, 8, 9)내로 모듈(15, 16) 및 LWL 모듈(11, 55)을 삽입할 때 서로 맞물리는 가이드 홈(24, 25, 26)과 가이드 스트립(27, 28)이 동시에 소켓 모듈 하우징(17, 18) 또는 LWL 모듈 하우징(21, 56)내에 고정된 소켓 또는 LWL 플러그(23)의 2차 안전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8.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이 칼라(30)의 측면상에서 그것의 양 횡측면(37, 50) 중 하나에 평형 삽입 안전수단(39)용 소켓을 가진 포켓(38)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의 접속부가 마찬가지로 납땝 접속부(34)로서 각-핀 플러그 스트립(3)으로부터 외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평형 삽입 안전수단(39)용 포켓(38)이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의 횡측면(37)의 내부면상에서 칼라(30)의 영역에 제공되고, 상기 측면이 개방된 캡(6)의 모듈 챔버(7, 8, 9)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캡(6) 및 각-핀 플러그 스트립(3)에 의해 커버되고,
    캡(6)이 그것의 전방 횡측면(10)에 포켓(38)용 리세스(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10.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LWL 모듈(55)의 치수가 2개의 LWL 플러그(23)을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최대 3개의 상기 동일한 치수를 가진 LWL 모듈(55)이 이것을 위해 캡(6)내에 제공된 모듈 챔버(9)내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캡(6)의 LWL 모듈용 모듈 챔버(9)내에 일렬로 차례로 배치된 6개의 LWL 플러그(23)용 단 하나의 LWL 모듈(11)이 제공되고,
    상기 LWL 모듈(11)에는 필요에 따라 2개 내지 6개의 LWL 플러그(23)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12. 제 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캡(6)이 삽입 보조수단을 가지며, 상기 보조수단은 U형 프레임 및 조작 헤드(42)를 가진 슬라이딩 후프(41)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프(41)의 프레임 레그(43)가 캡(6)의 2개의 종측면(44)상에서 슬릿형 접속부재 가이드(45)내로 안내되어 고정되며,
    슬라이딩 후프(41)가 캡(6)내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 종료 위치를 가지고 캡(6)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빼내진 상태에서 결합 전 위치를 가지며,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이 그것의 양 종측면(35, 46)의 칼라측 상부 에지에 가이드 핀(47)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핀(47)은 결합 전 위치에서 캡(6)과 슬라이딩 후프(41)가 프레임 레그(43)내로 삽입될 때 슬라이딩 후프(41)의 프레임 레그(43)내로 삽입되며,
    슬라이드 후프(41)의 프레임 레그(43)내의 가이드 홈(48)은 슬라이딩 후프(41)가 결합 전 위치와 결합 종료 위치 사이로 움직일 때 캡(6)이 각-핀 플러그 스트립(3)의 칼라(30)내에서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KR1019980032107A 1997-08-08 1998-08-07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KR199900234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4435A DE19734435C1 (de) 1997-08-08 1997-08-08 Hybrid-Steckverbinder
DE19734435.6 1997-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430A true KR19990023430A (ko) 1999-03-25

Family

ID=7838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107A KR19990023430A (ko) 1997-08-08 1998-08-07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95698A (ko)
EP (1) EP0911909A1 (ko)
JP (1) JPH11111400A (ko)
KR (1) KR19990023430A (ko)
DE (1) DE19734435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5173B4 (de) * 1998-09-22 2008-05-15 The Whitaker Corp., Wilmington Steckverbinder für zumindest ein Lichtwellenleiter-Kabel
DE19935996A1 (de) * 1999-07-30 2001-02-01 Siemens Ag Hybride, modulare Datenbuchse zur Aufnahme von elektrischen und optischen Steckern
DE19955027A1 (de) * 1999-11-16 2001-05-17 Delphi Tech Inc Verbinderteil eines optisch/elektrischen Steckverbinders
JP3646979B2 (ja) * 1999-12-08 2005-05-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
JP2001147346A (ja) * 1999-11-19 2001-05-29 Yazaki Corp 雌コネクタ
DE10024782A1 (de) * 2000-05-19 2001-11-29 Delphi Tech Inc Verbindungsmodul
US6776652B2 (en) 2001-05-07 2004-08-17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DE10132741A1 (de) * 2001-07-05 2003-01-30 Leoni Bordnetz Sys Gmbh & Co Steckverbindung
US6582250B2 (en) * 2001-11-20 2003-06-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module organizer
US6999644B1 (en) * 2002-02-15 2006-02-14 Lebby Michael S Discrete optoelectric package
US6885796B2 (en) * 2002-03-27 2005-04-26 Pent Technologies, Inc. Worksurface power module with fiber optic capability
JP4058008B2 (ja) * 2004-01-09 2008-03-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構造
WO2005093540A1 (ja) * 2004-03-29 2005-10-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セル、パッケージ装置及びパッケージ装置の製造方法
DE102007036775B4 (de) 2007-08-03 2019-03-07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Steckeranordnung für elektrische Geräte und ein Herstellungsverfahren sowie die Anwendung dieser Steckeranordnung
DE102007037177B4 (de) * 2007-08-07 2015-02-26 Tyco Electronics Amp Gmbh Anordnung mit Kontaktmodulen und elektrischem Steckerelement sowie Satz aus Kontaktmodulen
US10668196B2 (en) * 2008-10-10 2020-06-02 Peter Forsell Heart assisting device
KR20160072242A (ko) * 2013-12-19 2016-06-22 인텔 코포레이션 하이브리드 전기/광학 커넥터
US10027051B1 (en) * 2017-02-20 2018-07-17 Robert Bosch Gmbh Hybrid electrical connector
US10558000B2 (en) * 2018-01-22 2020-02-1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coaxial connector module and fiber optic module
CN117590528B (zh) * 2024-01-19 2024-04-19 深圳市致尚科技股份有限公司 多芯光纤连接器及连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4548C3 (de) * 1985-03-04 1999-08-19 Amp Inc Elektrische Verbinderanordnung mit einem Steuerflächensystem
US4969924A (en) * 1989-05-18 1990-11-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optical connector plug
US4993803A (en) * 1989-05-18 1991-02-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optical header connector
US5325454A (en) * 1992-11-13 1994-06-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ber optic connector housing
US5604831A (en) * 1992-11-16 1997-0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module with fluxless laser reflow soldered joints
DE4239326C2 (de) * 1992-11-23 1996-06-27 Grote & Hartmann Lichtwellenleiter-Steckverbinder
EP0713111A1 (en) * 1994-11-15 1996-05-22 The Whitaker Corporation Sealed multiposition fiber optic connector
DE19533295C1 (de) * 1995-09-08 1997-04-10 Siemens Ag Hybrider Steckverbinder mit modularen elektrischen und Lichtwellenleiter-Steckverbind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34435C1 (de) 1998-11-12
EP0911909A1 (de) 1999-04-28
JPH11111400A (ja) 1999-04-23
US6095698A (en)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3430A (ko)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US4755149A (en) Blind mating connector
US8449321B2 (en) Power connector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and systems having the same
KR100811579B1 (ko) 리셉터클 타입의 중계용 커넥터
US4697862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axial cable termination and method
US727595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00034964A (ko) 스위치 부착 동축커넥터
US6623301B2 (en) Plug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s
US20060110982A1 (en) Connector in which a shell can be readily assembled to a connector housing
CN113131290A (zh) 连接器和连接器装置
KR970000125B1 (ko) 배선 장치용 접속기 보유기
US6234840B1 (en) Shield connector
US6443758B2 (en) Terminal holding structure of flat circuit body
US20020013072A1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11901662B2 (en) Connector housing, a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WO1996032763A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8159311A (ja) 分岐コネクタ
EP1215759B1 (en) A connector assembly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a flat wire member
CN111244686A (zh) 转接头连接器
KR100971668B1 (ko) 반도체 검사장비 및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접속구조
JP2008270107A (ja) 多極同軸コネクタ
KR20040098568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A2089461C (en) Circuit board connector
JP2001257024A (ja) コネクタ
JPH01198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