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284A - 광정보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광정보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284A
KR19990023284A KR1019980031279A KR19980031279A KR19990023284A KR 19990023284 A KR19990023284 A KR 19990023284A KR 1019980031279 A KR1019980031279 A KR 1019980031279A KR 19980031279 A KR19980031279 A KR 19980031279A KR 19990023284 A KR19990023284 A KR 19990023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cording
absorption layer
dav
light ab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8408B1 (ko
Inventor
요시카즈 다카기시
다카노리 요시자와
에미코 하마다
Original Assignee
가와다 미쓰구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다 미쓰구,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다 미쓰구
Publication of KR19990023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 G11B7/24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methine or polymethine dyes
    • G11B7/247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methine or polymethine dyes cyanin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a polymeric compon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 G11B7/24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porphines; azaporphines, e.g. phthalocyan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 G11B7/253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comprising resins
    • G11B7/253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comprising resins polycarbonates [P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protective topcoat layers
    • G11B7/25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protective topcoat layers consisting essentially of organic resi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reflective layers
    • G11B7/258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reflective layers based on aluminiu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reflective layers
    • G11B7/259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reflective layers based on go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0Radiation imagery chemistry: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thereof
    • Y10S430/146Laser b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1Circular sheet or circular blank

Landscapes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기록광(紀錄光)에 대한 감도를 높임으로써 고속기록을 가능하게하고, 충분한 반사율 및 안정된 기록을 가능하게 하고, 또 지터를 낮게할 수 있고, 광흡수층(3)에 대하여 그 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k), 광흡수층(3)의 평균막두께(dav) 및 이들에 관련된 흡광도(A)를 적정 범위로 함으로써 기록감도 및 재생특성을 양호하게한 광정보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광흡수층(3)의 기록광 파장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A(Abs)로할 때, 0.13≤A≤0.21 임과 동시에 기록광 파장에 있어서의 광흡수층(3)의 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를 k, 광흡수층(3)의 평균막두께를 dav(nm)으로 할 때, 6.0≤k·dav≤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정보 기록매체
본 발명은 광정보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투광성 기판상에 적어도 광흡수층 및 광반사층을 갖는 기입가능한 광정보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입가능한 광정보 기록매체는 예를들면, 특공평 7-105065호의 개시와 같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프리그룹을 갖는 투광성 기판상에 유기색소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흡수층을 설치하고, 이 광흡수층상에 다시 금속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층을 설치한 구조를 기본으로 한다.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그 기판측에서 레이저광 등으로 기록광을 조사(照射)함으로써 광흡수층에 에너지를 흡수시켜서 광흡수층에 있어서의 색소의 발열, 분해 및 기판의 열변형 등으로 기록피트를 형성하고, 정보기록을 행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입가능한 광정보 기록매체는 일반적으로「CD-R」로서 알려져 있고, 이 CD-R은 재생전용 CD(콤팩트디스크) 및 CD-ROM 등의 디스크와의 호환성이 높고, 한번만의 기록이 가능하고, 이 기록을 소거할수 없다는 특징을 갖는 사실 때문에 특히 정보처리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이 되고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정보데이터 증대 및 정보처리의 복잡화 및 고도화에 따라 광정보 기록매체에의 기록속도 및 판독속도는 최근 수년 고속도화가 진행되어 CD-R시장에 있어서는 1996년도 말까지 통상의 6배속의 기록기 및 15배속의 판독용 CD-ROM드라이브가 일반적으로 시판되어 있다.
고속으로 기록을 행할 경우, 예를들면 6배속이면 선속(線速)을 6배로하고, EFM 신호의 각 피트 길이(nT)에 상당하는 시간의 약 1/6시간씩 고출력의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결과적으로 규정범위의 피트길이 3T∼ 11T까지의 신호를 기록한 광정보 기록매체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록기에 있어서 각 T의 기록피트 길이를 제어함에 있어서는 종래의 등속기록 이상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또, 기록되는 매체에 대해서도 소정길이의 각 피트를 종래의 몇분의 1만의 시간으로 형성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록시의 발열 및 열간섭의 영향이 종래보다 현격히 커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 고속기록시에 발생하는 열적 불균일성이 원인이 되어 지터가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광흡수층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를 k, 그 광흡수층의 평균막두께를 dav로 했을 때 기록하고자 하는 파장에서 k 및 dav가 크면 반사율을 충분히 얻을수 없다. 반대로, k 및 dav가 작으면 반사율은 충분히 얻을수 있으나 기록감도가 저하되고, 기록레이저를 최대 파워로 하여도 충분한 기록을 행할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k 및 dav가 크면 기록매체로서의 디스크로 반사율(Rtop) 65% 이상을 얻을 수 없다.
반대로 k 및 dav가 작으면 충분히 낮은 레이저 파워도 기록할수 없어 지터증가 등에 따라 특히 상기와 같은 고속기록에 대처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제문제를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 기록광에 대한 감도를 높임으로써 고속기록을 가능하게한 광정보 기록매체를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기록광에 대한 감도를 높임으로써 감도가 양호하고, 근사한 이종의 레이저에 따른 기록이라도 기록특성에 변화가 없는 즉, 감도차가 적은 광정보 기록매체를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충분한 반사율 및 안정된 기록을 가능하게 하고, 또 지터를 낮출수 있는 광정보 기록매체를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광흡수층에 대하여 그 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k), 광흡수층의 평균막두께(dav) 및 이들에 관련된 흡광도(A)를 적정 범위로 함으로써 기록감도 및 재생특성을 양호하게한 광정보 기록매체를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k 및 dav 및 이들로부터 흡광도(A)를 적정 범위로 하는 것에 착안한 것으로, 투광성을 갖는 기판과, 이 기판상에 설치됨과 동시에 레이저광에 의한 기록광을 흡수하는 색소로 구성된 광흡수물질을 함유하는 광흡수층과, 이 광습수층상에 설치됨과 동시에 레이저광을 반사하는 광반사층을 가지고 상기 광흡수층에 상기 기록광을 조사함으로써 정보를 기록하는 광정보 기록매체로서, 상기 광흡수층의 상기 기록광 파장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A(Abs)로 할 때 0.13≤A≤0.21 임과 동시에 기록광 파장에 있어서의 상기 광흡수층 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를 k, 광흡수층의 평균막두께를 dav(nm)으로 할 때, 6.0≤k·dav≤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매체이다.
상기 기록레이저 파장에 있어서의 상기 광흡수층의 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k)가 0.1≤k≤2.0 이 되는 재료를 상기 광흡수층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층의 평균막두께(dav)가 40nm≤dav≤85nm일수 있다.
상기 광흡수층 물질은 도 2의 구조식을 갖는 벤조계 시아닌 색소를 80mol% 이상 함유할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기록매체에 있어서는 광흡수층 흡광도를 A(Abs)로 할 때에, 0.13≤A≤0.21 임과 동시에 기록광 파장에 있어서의 상기 광흡수층 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를 k, 광흡수층의 평균막두께를 dav로 할 때, 6.0≤k·dav≤12.0인 것이기 때문에 기록감도 및 재생특성을 양호하게 할수 있다.
이하,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기록매체(1)의 단면도,
도 2는 동, 주광흡수물질로서 채용가능한 벤조인도디카보시아닌 색소의 구조식 표시도,
도 3은 동, 파장에 대한 광흡수층(3)의 흡광도(A)의 그래프,
도 4는 동, 메틴사슬 탄소수가 5인 인도트리카보시아닌 색소의 구조식 표시도,
도 5는 동, 메틴사슬 탄소수가 5인 폴리메틴색소의 구조식 표시도,
도 6은 동 실시예 1, 2, 4에서 사용한 벤조인도디카보시아닌 색소(일본 감광색소연구소(주)제, 제품번호 NK-3386)의 구조식 표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광정보 기록매체 2:투광성 기판
3:광흡수층 4:광반사층
5:보호층 6:나선상 프리그룹
7:랜드 8:제 1층계(層界)
9:제2 층계 10:제 3층계
11:피트 L1:기록광(기록용 레이저광)
L2:재생광(재생용 레이저광)
k:기록광(L1)의 파장에 있어서의 광흡수층(3)의 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
dav:광흡수층(3)의 평균막두께(nm)
A:광흡수층(3)의 흡광도(Ab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기록매체(1)의 단면도이고, 광정보 기록매체(1)는 투광성 기판(2)과, 기판(2)상에 형성된 광흡수층(3)과 광흡수층(3)상에 형성된 광반사층(4)과, 광반사층(4) 상에 형성된 보호층(5)을 갖는다.
기판(2)에는 나선상으로 프리그룹(6)을 형성하고 있다. 프리그룹(6) 좌우에는 프리그룹(6) 이외의 부분 즉 랜드(7)가 위치하고 있다.
광흡수층(3)은 레이저광(L1)을 흡수하는 단일 또는 복수의 색소로 구성된 주광흡수물질, 필요에 따라 이 주광흡수물질의 안정화를 위한 안정화제, 기타 첨가제 등을 함유한다.
안정화제(광안정화제)란, 파장 900∼1100nm의 근적외선 영역에 막의 흡수 피크를 가지고, 단파장 또는 주광흡수물질의 흡수영역에서 장파장 또는 파장 1500nm 이상의 적외선 영역까지 완만하고 미약하게 광흡수를 하는 화합물이고, 그 때문에 기록감도의 향상효과는 그다지 기대할수 없으나 주광흡수물질을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높은 화합물이다.
이 안정화제는 알루미늄염 및 이모늄염, 디티오벤질 등의 디티올 착체 등을 사용할수 있다.
이 안정화제는 광흡수층(3) 중에 중량비율 0.1∼30wt%, 바람직하게는 1∼25wt%, 더 바람직하게는 5∼20wt% 함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광흡수층(3) 중에는 주광흡수물질, 장파장흡수제 및 안정화제의 혼합제를 도포할때에 사용한 용제가 0.01∼1.0wt% 정도 함유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때의 도포용제로는 이소프로필알콜, 부탄올 등의 알콜,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의 알콕시알콜, 디아세톤알콜, 아세틸아세톤 등의 케토알콜 젖산에틸, 젖산메틸 등의 젖산 에스테르 2,2,3,3 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 등의 플루오르화 알콜등을 사용할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광흡수층(3)의 막을 만드는데에는 일반적으로 범용성면에서 스핀코팅법이 사용되나, 필요에 따라 디프코팅법, 또는 증착법 등을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또, 광흡수층(3)에는 코팅시의 도포성을 고려하여 수지바인더를 첨가하여도 상관없다.
첨가수지는 예를들면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의 열가소성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수지 및 액고무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소부틸렌, 무수말레산 공중합체, 에틸렌산 코폴리머,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산화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나일론, 쿠마론수지, 케톤수지, 아세트산비닐, 폴리스티렌, PVA(폴리비닐알콜), PVE(폴리비닐에스테르)등을 들수 있다.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HPC(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HEC(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MC(메틸셀룰로오스), EC(에틸셀룰로오스), EHEC(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CMEC(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등을 들수 있다.
올리고머로는 올리고스티렌, 메틸스티렌올리고머 등을 들수 있다.
엘라스토머고무로는 스티렌블록코폴리머, 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수 있다.
또, 기판(2)과 광흡수층(3)은 제1 층계(8)에 의해 서로 접해 있다. 광흡수층(3)과 광반사층(4)은 제2 층계(9)에 의해 접해 있다. 광반사층(4)과 보호층(5)은 제3 층계(10)에 의해 접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광정보기록매체(1)에 기록광(기록용 제이저광; L1)을 조사했을 때 광흡수층(3)이 이 레이저광(L1)의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발열하고, 기판(2)측에 열변형이 생겨 피트(11)를 형성하고 있다. 또, 기록부분에 있어서는광흡수층(3) 중의 색소의 발열분해에 따라 피트(11) 부분 굴절율이 변화하고 있다.
이 피트(11) 부분에 재생광(재생용 레이저광; L2)을 조사함으로써 피트(11) 부분에 있어서의 기판(2)의 열변형, 및 피트(11) 부분 및 비피트부(랜드; 7)의 굴절율차를 원인으로 하는 광학적 위상차에서 생기는 광 회절에 의해 피트콘트라스트를 얻어 정보를 판독한다.
또, 주광흡수물질(주광흡수제)이란, 기록시에 레이저광(L1)을 흡수 분해하고, 광흡수층(3)내의 굴절율 변화를 만들어내고, 피트(11) 형성의 원인이 되는 물질이다.
상기 광흡수 물질은 도 2 표시의 구조식을 갖는 벤조계 시아닌 색소를 함유할수 있다.
상기 벤조계 시아닌 색소는 예를들면 벤조인도디카보시아닌으로 광흡수층은 그 흡광도의 막피크파장이 710nm이상의 벤조인도디카보시아닌을 80mol% 이상함유할수 있다.
광흡수층(3)의 흡광도를 A(Abs)로 할 때 0.13≤A≤0.21 이다.
기록광(L1)의 파장에 있어서의 광흡수층(3)의 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를 k, 광흡수층(3)의 평균막두께를 dav로 할 때, 6.0≤k·dav≤12.0 이다.
k·dav는 광흡수층(3)에 있어서의 광흡수층 정도를 표시하는 바로 메타이고, 종래는 예를들면, k = 0.05, dav = 100nm, 따라서 k·dav = 5.0정도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평균막두께(dav)를 더욱 작게, 광흡수층(3)의 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k)를 더욱 크게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40≤dav(nm)≤85 및 6.0≤k·dav≤12.0으로 할 수가 있다.
평균막두께(dav)가 40nm이하에서는 CD 규격에 합치하는 변조도(變調度) 60%를 얻기 어렵다. 또 dav가 85nm 이상에서는 색소막에의 축열효과가 커지기 때문에 재생시의 지터특성이 악화되고, 결과적으로 충분한 재생안정성을 얻기 곤란하다.
환언하면, 광흡수층(3)의 막두께(dav)가 크더라도 복소굴절율의 허수부(k)가 작으면 기록시의 피트(11)내는 적정한 열상태가 되고, 안정된 기록피트(11)를 얻을수 있다.
또 반대로, 막두께(dav)가 작더라도 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k)가 크면 피트내에서 충분한 색소분해가 행해지기 때문에 안정된 기록피트(11)를 얻을수 있다.
A가 0.13보다 작으면, 또는 k·dav가 6.0보다 작으면 기록감도가 악화한다.
A가 0.21보다 크면, 또는 k·dav가 12.0보다 크면 레이저광 흡수정도가 과대해지고, 지터가 악화되며, 반사율도 얻기 어렵다.
반사율을 얻기쉽게 함으로써 반사층(4)의 재료로서 종래의 고가의 금(Au) 대신 비교적 저코스트인 알루미늄(Aℓ) 또는 은(Ag) 등을 채용할수 있다.
또한 도 3은 파장에 대한 광흡수층(3)의 흡광도(A) 그래프로서 도시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파장 증가에 따라 흡광도는 저하하나, 기록광(L1)의 파장에 있어서의 k가 0.1≤k≤2.0이 되는 장파장 흡수제를 첨가함으로써 흡광도를 증가시킬수 있고(도면의 점선) 양자의 합성에 따른 흡광도를 조정하고, 기록광(L1)의 파장 전역에 있어서, k, dav, A(Abs)를 상기 범위내로 할수 있다.
이러한 첨가재료는 예를들면 도 4와 같이, 메틴사슬 탄소수가 7 인 인도트리카보시아닌 색소, 또는 도 5의 메틴사슬 탄소수가 5인 폴리카보네이트색소, 또 나프타로시아닌 등의 폴리필린계 색소 등을 사용할수 있다.
실시예 1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정보기록매체를 설명한다.
폭 0.55μm, 깊이 185nm, 피치 1.6μm의 나선상 프리그룹(6)을 형성하였다. 두께 1.2mm, 외경 120mm, 내경 15mm의 폴리카보네이트제 기판(2)을 사출 성형법으로 얻는다.
다음에 기록색소로서 도 6 표시 구조의 벤조인도디카보시아닌 색소(일본 감광색소 연구소(주)제, 제품번호 NK-3386)를 디아세톤알콜에 30그램/리터로 용해하고, 이것을 상기 기판(2)상에 도포하여 막두께(dav) 69nm의 색소막층(광흡수층(3))을 형성하였다.
이때, 파장 780nm에 있어서의 막의 흡광도(A)는 0.20(Abs)이었다.
또, 이 막의 광학정수(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 k = 0.1이고, 따라서 k·dav≤6.9 이다.
이 색소막 부착기판(2)상에 RF 스퍼터링법에 의해 금(Au)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100nm의 광반사층(4)을 형성하고, 이 광반사층(4)상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대일본 잉크화학공업(주)제 SD-211)를 스핀코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10μm보호층(5)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얻은 광정보기록매체(1)의 파장 780nm에 있어서의 방사율은 Rg = 70.5%R이고, 파장 780nm을 사용한 기록에(팔스텍사(주)제 DDU-1000)를 사용하여 선속도 1.2m/s로 기록하였던바, 변조도 I11/Itop = 75.4%, I3/Itop = 33.2%, Rtop = 68.2%R, 지터치는 3T∼11T 전역에서 랜드(7) 및 피트(11) 모두 30ns이하의 양호한 아이패턴신호를 6.2mW의 낮은 파워 기록으로 얻을수 있었다.
단,「Itop」은 CD의 재생신호에 있어서의 최대반사광량이고,「I11」은 기록된 최장피트에 의해 회절되어 대물렌즈로 돌아오는 반사광량과, 비피트부에 의해 반사되어 대물렌즈에 돌아오는 반사광량과의 차에 대응하는 광학적 변조성분이고, 「I3」은 기록된 최단피트에 의해 회절되어 렌즈로 돌아오는 반사광량과, 비피트부에 의해 반사되어 대물렌즈로 돌아오는 반사광량과의 차에 대응하는 광학적 변조성분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기판(2)에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벤조인도디카보시아닌 색소(일본 감광색소 연구소(주)제, 제품번호 NK-3386, 도 6) 97중량부, 도 5의 폴리메틴색소 3중량부를 디아세톤알콜에 30그램/리터로 용해하고, 이것을 상기 기판(2)상에 도포하여 막두께(dav) 65nm의 색소막층(광흡수층(3))을 형성하였다.
이때, 파장 780nm 및 790nm에 있어서의 이 막의 흡광도(A)는 각각 0.20(Abs) 및 0.18(Abs) 이었다.
또 도 5의 폴리메틴색소의 파장 780nm 및 790nm 에 있어서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k)는 각각 0.90 및 0.93이다.
또, 상기 색소막층(광흡수층(3))의 파장 780nm 및 790nm에 있어서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는 각각 k780 = 0.11 및 k790 = 0.10 이고, 따라서 파장 780nm 및 790nm에 있어서의 k·dav는 각각 7.15 및 6.50이다.
이 색소막 부착 기판(2)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RF 스퍼터링법에 의해 금(Au) 의 광반사층(4) 및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의한 보호층(5)을 형성하였다.
이와같이 얻은 광정보 기록매체(1)의 파장 780nm 및 790nm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각각 Rg780 = 71.0%R 및 Rg790 = 70.2%이고, 파장 780nm 및 790nm의 레이저를 사용한 기록기(야마하(주)제 CD-R-1000)를 사용하여 선속도 4.8m/s로 4배속 기록을 행하였던바, 변조도 및 반사율 Rtop은 파장 780nm의 레이저로 기록한 경우, I11/Itop = 77.2%, I3/Itop = 39.0%, Rtop = 67.3%이고, 파장 790nm 의 레이저로 기록할 경우, I11/Itop = 78.4%, I3/Itop = 34.1%, Rtop = 68.2%R이고, 각 경우의 지터치는 3T ∼11T 전역에서 랜드(7) 및 피트(11) 모두 33ns이하의 양호한 아이패턴 신호를 얻을수 있었다.
또, 이때의 기록파워는 파장 780nm의 경우에 12.0mW, 파장 790nm의 경우에 12.5mW이고, 레이저의 최고 출력치 16.0mW에 대하여 충분히 낮은 기록파워로 기록할수 있었다.
실시예 3
기록 색소로서 도 2 표시구조의 벤조계 시아닌색소에 있어서의 R1=-(CH2)3-, R2=CH3, Y=H, X-=I-인 색소(일본 감광색소 연구소(주)제, 제품번호 NK-3251)를 디아세톤알콜에 23그램/리터로 용해하고,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기판(2)상에 이것을 도포하여 막두께(dav) 46nm의 색소막두께(광흡수층(3))를 형성하였다.
이때, 파장 780nm에 있어서의 막의 흡광도(A)는 0.14(Abs)이었다.
또 이 막의 광학정수(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 k = 0.13이고, 따라서 k·dav = 6.0이다.
이 색소막 부착의 기판(2)상에 실시예1과 같이 RF 스퍼터링법으로 금(Au)의 광반사층(4) 및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의한 보호층(5)을 형성하였다.
이와같이 얻은 광정보 기록매체(1)의 파장 780nm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Rg = 73.5%R이고, 파장 780nm을 사용한 기록기(팔스텍사(주)제 DDU-1000)를 사용하여 선속도 1.2m/s로 기록하였던바, 변조도 I11/Itop = 60.8%. I3/Itop = 30.1%, Rtop = 71.3%, 지터치는 3T∼11T 전역에서 랜드(7) 및 피트(11) 모두 30ns이하의 양호한 아이패턴 신호를 7.4mW의 저파워의 기록으로 얻을수 있다.
실시예 4
기록색소로서, 실시예 1과 같은 색소를 디아세톤알콜에 35그램/리터로 용해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기판(2)상에 이것을 도포하여 막두께(dav) 82nm의 색소막층(광흡수층(3))을 형성하였다.
이때, 파장 780nm에 있어서의 이 막의 흡광도(A)는 0.21(Abs)이었다.
또 이 막의 광학정수(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 k = 0.1이고, 따라서 k·dav = 8.2이다.
이 색소막부착 기판(2)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RF 스퍼터링법으로 금(Au)의 광반사층(4) 및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의한 보호층(5)을 형성하였다.
이와같이 얻은 광정보 기록매체(1)의, 파장 780nm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Rg = 68.2%R이고, 파장 780nm을 사용한 기록기(팔스텍사(주)제 DDU-1000)를 사용하여 선속도 1.2m/s 로 기록하였던바, 변조도 I11/Itop = 83.5%, I3/Itop = 36.8%, Rtop = 65.2%R, 지터치는 3T∼11T 전역에서 랜드(7) 및 피트(11) 모두 30ns이하의 양호한 아이패턴신호를 6.0mW의 저파워 기록으로 얻을수 있었다.
실시예 5
폭 0.4μm, 깊이 100nm, 피치 0.8μm의 나선상 프리그룹(6)를 형성하였다. 두께 0.6mm, 외경 120mm, 내경 15mm의 폴리카보네이트제 기판(2)을 사출성형법으로 얻는다.
다음에 기록색소로서 1-n-펜틸-3,3-디메틸-2-〔3-(1-n-펜틸-3, 3-디메틸-2-인돌리니리덴)-1-프로페닐-3H-인돌리늄 파크로레이트〕(일본 감광색소연구소(주)제, 제품번호 NK-4320)를, 디아세톤알콜에 30그램/리터로 용해하고, 이것을 상기 기판(2)상에 도포하여 막두께(dav)가 71nm의 색소막층(광흡수층(3))을 형성하였다.
이때, 파장 635nm에 있어서의 막의 흡광도(A)는 0.18(Abs)이었다.
또 이 막의 광학정수(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 k = 1.0이고, 따라서 k·dav = 7.1이다.
이 색소막 부착 기판(2)상에 RF 스퍼터링법으로 알루미늄(Aℓ)으로 이루어진 두께 100nm의 광 반사층(4)을 형성하고, 이 광 반사층(4)상에 자외선 경화성수지(대일본 잉크 화학공업(주)제 DS-211)를 스핀 코팅하고, 그 위에 두께 0.6mm, 외경 120mm, 내경 15mm의 폴리카보네이트제 지지기판을 겹쳐 지지기판측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 기판을 접착하였다.
이와같이 얻은 광정보기록매체(1)에 대하여, 파장 635nm의 반도체 레이저를 적재한 기록기를 사용하여 선속도 3.5m/s로 기록하였던바, 변조도 I/14/Itop = 62.4%, Rtop = 60.3%R로, 양호한 지터 특성을 갖는 기록을 기록파워 11.0mW로 행할수 있었다.
비교예 1
실시예 3에서 사용한 색소(일본 감광색소연구소(주)제, 제품번호 NK-3251)를 디아세톤알콜에 20그램/리터로 용해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기판(2)상에 이것을 도포하여 막두께(dav) 45nm의 색소막층(광흡수층(3))을 형성하였다.
이때, 파장 780nm에 있어서의 이 막의 흡광도(A)는 0.13(Abs)이었다.
또, 이 막의 광학정수(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 k = 0.13이고, 따라서 k·dav = 5.9이다.
이 색소막 부착 기판(2)상에 실시예 1과 같이 RF 스퍼터링법으로 금(Au)의 광반사층(4) 및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보호층(5)을 형성하였다.
이와같이 얻은 광정보기록매체(1)의, 파장 780nm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Rg = 74.3%R이고, 파장 780nm을 사용한 기록기(팔스텍사(주)제 DDU-1000)를 사용하여 선속도 1.2m/s로 기록하였던바, 변조도 I11/Itop = 58.2%, I3/Itop = 29.2%로, 모두 CD 규격을 만족하지 않는다.
또, 이때의 기록파워도 8mW이상의 고파워를 요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발명에 따르면, 평균막두께(dav), 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k) 및 흡광도(A)를 소정 범위로 한정함으로써 충분한 반사율 및 안정된 기록을 행하고, 특성이 우수한 광정보기록매체로 할수 있다.

Claims (4)

  1. 투광성을 갖는 기판과,
    이 기판상에 설치됨과 동시에 레이저광에 의한 기록광을 흡수하는 색소로 구성된 광흡수 물질을 함유하는 광흡수층과,
    이 광흡수층상에 설치됨과 동시에 레이저광을 반사하는 광반사층을 가지며,
    상기 광흡수층에 상기 기록광을 조사함으로써 정보를 기록하는 광정보기록매체로서,
    상기 광흡수층의 상기 기록광의 파장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A(Abs)로 할 때에, 0.13≤A≤0.21 임과 동시에
    상기 기록광의 파장에 있어서의 상기 광흡수층의 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를 k, 그 광흡수층의 평균막두께를 dav(nm)으로 할 때에, 6.0≤k·dav≤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광의 파장에 있어서의 상기 광흡수층의 막의 복소굴절율의 허수부(k)가,
    0.1≤k≤2.0
    가 되는 재료를 상기 광흡수층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의 평균막두께(dav)가,
    40nm≤dav≤85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물질은 도 2에 표시된 구조식을 갖는 벤조계 시아닌 색소를 80mol%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KR1019980031279A 1997-08-01 1998-07-31 광정보 기록매체 KR100278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19773 1997-08-01
JP21977397 1997-08-01
JP98-185719 1998-06-17
JP10185719A JPH11102538A (ja) 1997-08-01 1998-06-17 光情報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284A true KR19990023284A (ko) 1999-03-25
KR100278408B1 KR100278408B1 (ko) 2001-01-15

Family

ID=2650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279A KR100278408B1 (ko) 1997-08-01 1998-07-31 광정보 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68844B1 (ko)
EP (1) EP0895231B1 (ko)
JP (1) JPH11102538A (ko)
KR (1) KR100278408B1 (ko)
DE (1) DE69827709T2 (ko)
SG (1) SG70098A1 (ko)
TW (1) TW5587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8929B2 (ja) * 1999-03-23 2004-08-04 太陽誘電株式会社 光情報記録媒体
JP2001047746A (ja) * 1999-08-13 2001-02-20 Sony Corp 光記録媒体
US6733950B2 (en) * 2001-03-14 2004-05-11 General Electric Company Limited play data storage media and method for limiting access to data thereon
US20030205323A1 (en) * 2002-04-22 2003-11-06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making limited play data storage media
US20030198892A1 (en) * 2002-04-22 2003-10-23 General Electric Company Limited play data storage media and method for limiting access to data thereon
US20030207206A1 (en) * 2002-04-22 2003-11-06 General Electric Company Limited play data storage media and method for limiting access to data thereon
US20040087692A1 (en) * 2002-10-30 2004-05-06 Dixit Arun Nandkishor Method for preparation of an anthraquinone colorant composition
GB0225471D0 (en) * 2002-11-01 2002-12-11 Ciba Sc Holding Ag Solvent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20050115915A (ko) * 2003-03-18 2005-12-0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열변색 및 광변색 재료를 포함하는 광학 정보매체
US7087282B2 (en) * 2003-07-15 2006-08-08 General Electric Company Limited play optical storage medium,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202292B2 (en) * 2003-07-15 2007-04-10 General Electric Company Colored polymeric resin composition with 1,8-diaminoanthraquinone derivative, article made therefrom,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4796443B2 (ja) 2006-06-08 2011-10-19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試料分析用試薬、試料分析用試薬キット及び試料分析方法
JP4914656B2 (ja) * 2006-06-26 2012-04-11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試料分析用試薬、試料分析用試薬キット及び試料分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0009A (en) 1988-07-30 1992-02-18 Taiyo Yuden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DE69033550T2 (de) * 1989-03-03 2001-01-18 Tdk Corp Medium für optische Datenspeicherung
JPH0827983B2 (ja) * 1989-05-02 1996-03-21 太陽誘電株式会社 光情報記録媒体
US5316814A (en) * 1991-05-14 1994-05-31 Ricoh Company,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3199486B2 (ja) * 1992-06-30 2001-08-20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光記録ディスク
JP3465933B2 (ja) 1993-10-04 2003-11-10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のバックアップ方法
US5547728A (en) * 1994-09-23 1996-08-20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recording elements having recording layers containing mixtures of formazan and cyanine dyes
JP2866022B2 (ja) * 1995-02-13 1999-03-08 太陽誘電株式会社 光情報記録媒体とその再生方法
US5976658A (en) * 1996-11-01 1999-11-02 Taiyoyuden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8408B1 (ko) 2001-01-15
SG70098A1 (en) 2000-01-25
DE69827709D1 (de) 2004-12-30
EP0895231B1 (en) 2004-11-24
EP0895231A3 (en) 1999-12-01
JPH11102538A (ja) 1999-04-13
US6168844B1 (en) 2001-01-02
DE69827709T2 (de) 2005-04-14
TW558720B (en) 2003-10-21
EP0895231A2 (en) 1999-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5147A (en) Method for optically record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corded medium
EP0353393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H0827983B2 (ja) 光情報記録媒体
KR100278408B1 (ko) 광정보 기록매체
US6383722B1 (en) Method for making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JP2657579B2 (ja) 光情報記録媒体
US20020150030A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100316772B1 (ko) 광기록 매체
JP2686841B2 (ja) 情報記録媒体及び光情報記録方法
EP0836180B1 (en) An optical recording medium with a metallic recording layer
KR19990023285A (ko) 광정보 기록 매체
JPH08273193A (ja) 光記録媒体
EP1055232B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based on thin recording layers
JP2000276767A (ja) 光情報記録媒体
JPH04358331A (ja) 光情報記録媒体
JP3028520B2 (ja) 光学情報記録媒体
JPH1173679A (ja) 光情報記録媒体
JP3187408B2 (ja) 情報記録媒体
JPH0827992B2 (ja) 光情報記録媒体及びそれを用いた光情報記録方法
JP3088501B2 (ja) 情報記録媒体
JPH0442199B2 (ko)
JPH02201748A (ja) 光記録媒体
US20030161987A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JP2001076343A (ja) 光記録媒体及び光記録方式
KR19990074901A (ko) 광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