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756A - 기형교정용 경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형교정용 경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756A
KR19990022756A KR1019970709198A KR19970709198A KR19990022756A KR 19990022756 A KR19990022756 A KR 19990022756A KR 1019970709198 A KR1019970709198 A KR 1019970709198A KR 19970709198 A KR19970709198 A KR 19970709198A KR 19990022756 A KR19990022756 A KR 19990022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tooth
segment
engagement frame
tooth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온 쿠식
Original Assignee
레온 쿠식
쿠식 오르소페딕 시스템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온 쿠식, 쿠식 오르소페딕 시스템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레온 쿠식
Publication of KR19990022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75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망 또는 밴드(band)의 이용으로 전형적으로 제한되는 것보다 많은 부정교합의 형태를 교정하기 위한 조립식 장치(10)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10)는, 필요로될 경우, 위쪽 앞니 또는 뒷니에 안정하면서도 견고하게 끼워맞춰지도록 디자인된다. 상기 장치(10)는 위쪽 앞니에 맞물리기에 적합하게된 치아 맞물림 틀(20); 상기 치아 맞물림 틀에 부착되며 환자의 입에 상기 장치(10)를 안정하면서도 편안하게 끼워맞추기에 적합하게된 안정 세그먼트(39); 및 선택된 아래쪽 앞니의 혀 모양 접촉면에 접촉하여 아래턱을 원하는 정도로 앞쪽 및 위쪽으로 밀고나가도록 치아 맞물림 틀의 전방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아래쪽 및 뒤쪽으로 연장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a,36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형교정용 경사장치 및 방법
본 출원인은 미국 특허 제4,773,853호에 부정교합(즉, 가지런하지 못한 턱 및 교합 또는 치아)을 교정하기 위한 장치를 이미 개시하였다. 그러나, 미국 특허 제4,773,853호의 장치는 안정시키기 어려우며, 충분한 경험없이는 환자의 입에 상기 장치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remodeling segment)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어렵다. 더욱이, 어떤 경우에는, 환자의 위쪽 앞니에 적절한 억지끼워맞춤하도록 첨가되는 중합체(polymer)와 미리 형성된 장치 사이에 견고한 접합을 이루기가 어렵다. 또한, 상기 장치는 어떤 상태에서는 중심을 일치시켜 정렬시키기가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장치의 교정효과를 조정하는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용이하고 안정하면서도 견고하게 환자의 입에 끼워맞추게 하고, 미리 형성된 장치와 첨가된 중합체 사이의 접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며, 끼워맞추는 동안 상기 장치의 측면 또는 수평면의 끝을 팁핑(tipping)하지 않고도 적절하게 중심이 맞춰진 정렬을 용이하게하는 특징들이 상기 미국 특허 제4,773,853호의 기본장치에 첨가된다. 상기 개선된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 보다 나은 억지끼워맞춤은 상기 장치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치를 이용하는 동안, 상기 장치가 이동되어 부드러운 조직에 접촉됨으로 인하여 상기 부드러운 조직을 자극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선된 디자인은 기계적으로도 더욱 견고하다. 상기 미국 특허 제4,773,853호(이하, '853 특허라 함)의 전체 개시내용이 여기서 참고로 포함되었다.
'853 특허의 장치는 이 장치를 중합재와 결합하여 환자의 위쪽 앞니에 억지끼워맞춤 하는 치아 맞물림 틀, 후방으로 연장한 한 쌍의 날개 형상 세그먼트 및 환자의 아래턱을 위턱에 대하여 앞쪽 및/또는 위쪽으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아래쪽 측면 앞니 가장자리에 접촉하도록 된 한 쌍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를 구비한다. 상기 아래턱의 재배치는 턱의 근육부를 긴장(tension)시킨다. 이론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을 바라지는 않지만, 상기 근육부의 긴장은 턱의 재배치를 개시시키고, 상기 장치는 적절한 근육부의 자극이 턱의 뼈 성장 매카니즘을 개시시키므로써 임상용으로 작용을 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부정교합(malocclusion), 즉 비정상적인 턱 또는 치열을 교정하기 위한 조립식 기형교정용 경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형교정용 경사 장치의 일실시예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형교정용 경사 장치의 일실시예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형교정용 경사 장치의 일실시예 평면도.
도4는 상기 장치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에 첨가되도록 디자인된 첨가 세그먼트와 함께 나타낸 상기 장치의 일실시예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측정장치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형교정용 경사 장치의 작용 상태도.
도7은 환자의 윗니에 본 발명의 장치를 접합하기 위해 교합측 홈을 이용한 일실시예 정면도.
도8은 도7의 실시예에 의한 측면도.
도9는 도7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도.
본 발명은 구개에 양측 안정 접촉을 가지는 부정교합을 교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접촉은 끼워맞춤 과정을 단순화시키고,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의 경사면을 고정시키며, 미숙련된 치과교정의사, 치과의사 또는 기술에자가 환자에게 상기 장치를 적당하면서도 신속하게 끼워맞추도록 한다.
상기 장치는 a) 맞물린 치아가 끼워맞춰지는 구멍을 구비하며 위쪽 앞니에 맞물리는 치아 맞물림 틀; b) 상기 치아 맞물림 틀에 부착되어,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이 상기 위쪽 치아를 맞물릴 경우 구개 양측에 접촉하기에 적합하게된 구개측 안정 세그먼트; 및 c) 소정의 각도로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의 전방으로부터 아래쪽 및 뒤쪽으로 연장되며, 전면에 위치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개측 안정 세그먼트가 구개에 접촉하게된 구개 접촉 패드를 후단부에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구개측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 구개 접촉 패드와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의 결합이 상기 장치를 안정하게 위치시키게 되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구개의 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기에 적합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장치가 구개 및 위쪽 앞니의 가장자리에 동시에 접촉하여 끼워맞춰지는 동안 상기 장치가 환자의 입에 안정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앞니의 형상으로 상기 장치를 성형한 상기 중합재의 장치 전에, 초기 끼워맞춤하는 동안 상기 위치의 안정성은 (a)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의 적당한 각을 가지는 장치의 선택하거나 (b) 연마 또는 선택, 예를 들면 적당한 경사 첨가 세그먼트를 결합하므로써 상기 각의 조정을 조정한다.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된 세그먼트는 재료를 제거, 전형적으로 연마하므로써 또는 이용하는 재료, 예를 들면 중합재를 첨가하므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들의 각은 아래쪽 측면 앞니의 가장자리에 각각 부드럽게 접촉하도록 바람직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물론, 특별한 치료의 경우에는, 환자 치아의 정렬이 상기 접근법에 따른 조정을 요구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의 구개에 접촉하여 기대도록된 부분은 상기 장치를 정식 임상용으로 이용하기 전에 연마되어 상기 장치를 보다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장치가 환자의 위쪽 앞니에 끼워맞춤된 후에 구개의 부드러운 조직을 자극하지 못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장치 및 환자의 입에 상기 장치를 끼워맞추기에 충분한 중합재를 포함하는 제1치과용 키트(kit)를 더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키트가 중합재를 빛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단 또는 패키지(package)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중합재는 광경화(light curing)하므로써 중합작용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환자에게 끼워맞추는 방법에 있어서, 1) 치아 맞물림 틀의 구멍 내로 중합재를 끼워맞추는 단계; 2) 환자의 치아 또는 입의 중심선과 상기 장치의 중심을 정렬시키고 구강에 안정 세그먼트를 접촉시키므로써, 상기 환자의 입에 상기 장치의 위치를 안정시키면서 상기 중합재를 환자의 위쪽 앞니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3) 성형된 치아로부터 상기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 및 4) 그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중합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성형하는 단계와 제거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중합재를 부분적으로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의 앞니 가장자리가 치아 맞물림 틀 구멍의 바닥면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중합재로 위쪽 앞니의 본을 뜨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성형하는 단계는 맞물린 치아의 치관을 인걸프(engulf)하도록 상기 중합재를 바람직하게 성형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장치는 경사진 홀과 같은 홀을 구비하며, 상기 성형하는 단계는 중합재가 상기 홀의 양측면을 틀로하여 성형되는 것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방법은, 상기 장치가 환자의 입 내부에 자리잡은 경우, 상기 경화시키는 단계 후에, 상기 장치가 상기 환자의 입에 자리잡을 때, 구개에 더 이상 기대지 않도록 상기 구개측 안정 세그먼트의 구개 접촉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개측 안정 세그먼트의 용도는, 끼워맞춤하는 동안, 상기 끼워맞춰진 장치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가 적절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하고 상기 장치가 입의 중심에 정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d) 상기 맞물린 치아가 끼워맞춤되는 구멍을 구비하며, 위쪽 앞니에 맞물리는 치아 맞물림 틀; 상기 치아 맞물림 틀에 부착된 구개측 안정 세그먼트; 및 소정의 각도로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의 전방으로부터 아래쪽 및 뒤쪽으로 연장되며, 전면에 위치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치과교정 장치; e)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에 결합되어 변경된 각도를 가지는 새로운 경사진 리모델링면을 만들거나,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를 상기 치아 맞물림 틀에 대하여 더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나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에 결합되기에 적합하도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 세그먼트; 및 f) 상기 첨가 세그먼트를 결합하기에 충분한 중합재를 포함하는 제2치과용 키트를 더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첨가 세그먼트가 상기 리모델링면에 대하여 환자 치아의 위치를 설정시키기 위한 걸리개를 포함하며, 상기 걸리개의 위치가 상기 첨가 세그먼트가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에 결합된 위치를 조정하므로써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g) 맞물린 치아가 끼워맞춰지는 구멍을 구비하며, 위쪽 앞니에 맞물리고, (1) 전방 성형 융기부와 (2) 커넥터와 (3) 후방 성형 융기부를 포함하는 앞니를 맞물기 위한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성형 융기부와 상기 후방 성형 융기부와 커넥터가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하는 치아 맞물림 틀; h) 상기 치아 맞물림 틀에 부착된 구개측 연장 세그먼트; 및 i)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의 전방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아래쪽 및 뒤쪽으로 연장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j) 맞물린 치아가 기워맞춰지는 구멍을 구비하며, 위쪽 앞니를 맞물리는 치아 맞물림 틀; k) 상기 치아 맞물림 틀에 부착되는 구개측 연장 세그먼트; l) 소정의 각도로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의 전방으로부터 아래쪽 및 뒤쪽으로 연장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 및 m) 상기 장치의 중심을 정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부정교합 교정용 장치를 더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의 중심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수단이 치아 맞물림 틀의 전방 성형 융기부 상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은, (1) 전방 성형 융기부와 (2) 커넥터와 (3) 후방 성형 융기부를 포함하는 앞니를 맞물리기 위한 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의 전방 성형 융기부와 후방 성형 융기부와 커넥터는 상기 앞니의 끝부분 상에 위치된 치아 맞물림 틀에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n) 맞물린 치아가 끼워맞춰지는 구멍을 구비하며 위쪽 앞니에 맞물리는 치아 맞물림 틀; o) 구개의 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기에 적합하게된 한 쌍의 구강측 연장부; p) 상기 두 구개측 연장부를 결합하며, 상기 구개측 면을 평행하게 하기에 적합하게된 구개측 계속가공의치(bridge); 및 q) 소정의 각도로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의 전방으로부터 아래쪽 및 뒤쪽으로 연장시키며, 전면에 위치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부정교합 교정장치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r) 맞물림 치아가 끼워맞춰지는 구멍을 구비하며 위쪽 앞니에 맞물리는 치아 맞물림 틀; s) 각 측면 상에 상기 위쪽 뒷니의 적어도 하나 아래에 기워맞춰지기에 적합하게된 한 쌍의 교합측 홈; 및 t) 평면 세그먼트의 전면에 부착되어 소정의 각도로 아래쪽 및 뒤쪽으로 연장되는 전면에 위치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부정교합 교정장치를 더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환자의 입에 자리잡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록 상기 앞니가 치아 맞물림 틀을 관통하여 맞물릴지라도, 상기 장치는 앞니 뿐만아니라 양측면 상에 뒷니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끼워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재는 (1) 교합측 홈의 윗면에 도포되어, (2) 교합측 홈 아래쪽에 위치된 뒷니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3) 그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경화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교합측 홈이 끼워맞춤될 치아 중 적어도 2개의 앞쪽 또는 뒤쪽의 환자 입에 끼워맞춤하도록된 하나 이상의 측면 외측 성형벽 또는 융기부가 각 교합측 홈에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교합측 홈은 상기 장치 및 상기 중합재 사이의 접합을 용이하도록 중합재를 맞물리기에 적당한 홀을 각각 적어도 하나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의 모든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의 구개 안정 세그먼트는 구개 계속가공의치에 의하여 연결된 두 구개측 연장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이 (1) 전면 및 후면을 가지는 전방 성형 융기부와 (2) 커넥터와 (3) 전면 및 후면을 가지는 후방 성형 융기부를 포함하는 위쪽 앞니를 맞물리기 위한 홈을 포함하며, i.) 상기 장치가 환자에게 끼워맞춤될 경우, 상기 전방 성형 융기부의 후면은 적어도 하나의 앞니 앞에 위치시키기에 적합하게 되고, ii.) 상기 장치가 환자에게 끼워맞춤될 경우, 상기 후방 성형 융기부의 전면은 적어도 하나의 앞니 뒤에 위치시키기에 적합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의 상기 전방 성형 융기부와 후방 성형 융기부와 커넥터는 상기 앞니의 앞에 위치된 치아 맞물림 틀에 적어도 하나의 홀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치아 맞물림 틀 또는 교합측 홈 중 어느 하나에는, 하나 이상의 홀이 상기 장치와 중합재 사이의 접합이 용이하도록 중합재를 맞물리기에 적단하게 경사진 가장자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은 성형된 상기 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 중합재부분을를 고려하여 상기 홀의 양측면이 기울어지거나 경사진 가장자리를 구비한다. 이러한 큰 직경부들은 미리 형성된 장치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중합재를 안정시키는 마개(plugs) 또는 언더컷(undercut)으로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가 치아 맞물림 틀의 전방 성형 융기부 또는 커넥터의 두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를 연결시키는 부분 상에 위치될 수 있는 상기 장치의 중심을 정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부정교합을 교정하기 위한 장치의 특별한 실시예에 대하여 명확하게 기재된 다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다른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상기 발명은, u) 환자 입의 양측면의 위쪽 뒷니 상에 자리잡기에 적당한 크기의 평평한 플랫폼; v) 수직 깊이를 측정하는 로드(rod); 및 w) 상기 로드를 상기 플랫폼과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맞물리게 하며, 환자 입의 중심선에 상기 로드가 정렬시키기에 적합하게된 수단을 포함하는 구개측 깊이 측정기를 제공한다.
어린이용 부정교합 교정에 이용되는 뼈 성장 매카니즘은 성인에게는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며, 성인에게는 상기 장치가 치과 교정용으로 제한된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밤에 비인강 공간을 열어두도록 아래턱을 편안하게 앞쪽으로 오게하기 위해 착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류를 증가시키므로써 사용자가 코를 골거나 그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1) 맞물림 치아가 끼워맞춰지는 구멍을 구비하며 위쪽 앞니에 맞물리는 치아 맞물림 틀; 2) 소정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아래쪽 측면의 앞니의 뒷면의 각과 일치되도록 상기 치아 맞물림 틀로부터 아래쪽 및 뒤쪽으로 연장시키며, 전면에 위치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장치를 잠자는 동안 착용하므로써 코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론, 상기 장치를 환자에게 끼워맞추도록 하는 상기 장치의 바람직한 특징은 코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입의 뒤쪽에 위치된 치아에 상기 장치를 끼워맞추는 교합측 홈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의
· 경사 첨가 세그먼트(incline addition segment)
경사 첨가 세그먼트란 경사각,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가 앞쪽으로 돌출된 크기 또는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에 접촉하는 아래쪽 앞니의 위치를 제한하도록 하는 돌기(ledge), 걸리개 또는 장벽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의 전면에 끼워맞춰지도록 디자인된 부분이다.
·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inclined remodeling segment)
본 발명의 장치는 전형적으로 두 개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를 가진다.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들은, 각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가 아래쪽 측면 앞니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환자의 아래쪽 앞니의 가장자리에 균일하게 접촉하도록 각각 디자인된다. 턱을 수평 앞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들이 앞쪽으로 위치된 크기와 턱의 위치를 수직으로 조정하게되는 상기 맞물린 치아가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의 경사면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크기는 턱의 근조직(musculature) 상의 긴장의 크기를 결정하며, 이것에 의하여 상기 뼈 성장 매카니즘에 대한 자극을 조정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 경사진 리모델링면(inclined remodeling surface)
상기 장치는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의 전면을 직접 통하거나 또는 부착된 경사 첨가 세그먼트를 통하여 아래쪽 전면 치아와 접촉하도록 디자인된다; 이 경우에, 아래쪽 전면 치아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면은 경사진 리모델링면이다.
· 성형벽 또는 융기부(modeling walls or elevations)
외부의 성형벽 또는 융기부는 임의의 환자 위쪽 뒷니 형상으로 성형될 중합재를 지지하도록 디자인된 홈의 일측면 상의 융기부이다. 상기 융기부는 중합재를 지지하여, 중합재를 치아 외측면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한다.
· 교합측 홈(occlusal trough)
본 발명의 장치를 상기 교합측 및 어금니의 측면에 용이하게 성형하도록 디자인된 부분이다.
· 구개측 연장부(palatal extending portions)
구개측 연장부분은 치아 맞물림 박스로부터 뒤쪽으로 그리고 약간 위쪽으로 연장된 두 개의 구개측 연장부들 중 하나이며, a)구개 접촉 패드용 지지물을 제공하고, b)상기 장치를 삼킬 수 없도록 그의 단면적을 충분히 확장시킨 부분이다.
· 중합재(polymerizable material)
중합재는 하나 이상의 치아 형상과 동일하게 성형될 수 있으며, 이어 성형된 형상안에 상기 치아를 끼워넣어 경화될 수 있는 물질이다.
· 뒷니(posterior teeth)
뒷니는 송곳니(canine teeth) 뒤쪽의 치아이며, 때때로 어금니 또는 버클 티스(buccal teeth)라고 불리워진다.
· 안정 세그먼트(stabilizing segment)
환자에게 끼워맞춤하는 동안 본 발명의 장치를 안정시키기 위해 구개에 접촉하는 넓은 부분, 바람직하게는 두 지점을 제공하도록 본 발명의 장치에 부착되는 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개와의 접촉점들은 충분히 넓고 부드러워서 환자에 대한 접촉자극이 최소화된다.
· 실질적 평행(substantially parallel)
구개측 연장부 또는 두 구개측 연장부를 연결하는 계속가공의치(bridge)는 바람직하기로는 실질적으로 구개에 평행한데, 이것은 그들의 위쪽 면이 구개로부터 약 1∼3㎜ 정도에 위치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 치아 맞물림 틀(teeth engaging box)
치아 맞물림 틀은 환자의 위쪽 앞니에 본 발명의 장치를 끼워맞춤하는데 이용되는 중합재를 성형하기 위한 뼈대를 제공하도록 디자인된 본 발명의 장치의 세그먼트이다.
도1, 도2, 도3, 및 도4에서 도면부호 10으로 표시된 본 발명의 장치는, 입의 넓은 영역을 끼워맞춤하기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중합체 또는 공인된 생체적합성 중합체(biocompatibility polymer)와 같은 다른 중합성(polymeric)의 물질로 성형된다. 장치(10)는 위쪽 앞니와 맞물리는 구멍(22)을 구비한 치아 맞물림 틀(20)을 포함한다.(도3참조) (상기 장치의 설명에서 모든 방향의 기준은, 예를 들면 위 또는 앞은 환자의 구강에 위치한 장치에 관계한다.) 도1, 도2, 도3 및 도4에 도시된 장치(1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치아 맞물림 틀(20)에는 커넥터(28)에 의해 결합된 전방 성형 융기부(24)와 후방 성형 융기부(26)가 형성된다. 장치(10)가 환자에게 끼워맞춤될 경우, 전방 성형 융기부(24)의 뒷면 및 후방 성형 융기부(26)의 앞면은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앞쪽 및 뒷쪽에 각각 자리잡게 하는 것이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성형 융기부는 약간 뒤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 융기부들은 위쪽 두 개의 앞니, 즉 중앙의 앞니에 근처에 자리잡기 적합하게 된다. 상기 중앙의 치아 중 하나가 없거나 하나가 나고 있는 환자인 경우, 하나 이상의 다른 앞니를 없는 치아 대신 쓸 수 있다. 전방 성형 융기부는 맞물린 앞니의 끝부분이 자리잡는 치아 맞물림 틀(20)의 평탄면 위로 약 4㎜ 내지 약 8㎜ 정도 전형적으로 연장된다. 후방 성형 융기부는 맞물린 앞니의 끝부분이 자리잡는 치아 맞물림 틀(20)의 평탄면 위로 약 2㎜ 내지 약 3㎜정도 전형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 성형 융기부(24) 및 후방 성형 융기부(26)는 앞니가 끼워맞춤되는 홈의 폭을 한정하며, 상기 홈의 폭은 약 5㎜ 내지 약 10㎜이다. 중합재가 환자 치아의 형상에 맞추어 상기 장치를 성형하기 위해 치아 맞물림 틀(20) 내로 삽입될 경우, 상기 측면의 성형 융기부들, 즉 전방 성형 융기부(24) 및 후방 성형 융기부(26)는 중합재를 담아 지지한다.
도2, 도3 및 도4에 도시된 장치(1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홀(30)이 치아 맞물림 틀(20)의 전방 성형 융기부(24), 후방 성형 융기부(26) 및 커넥터(28)에 형성된다. 상기 홀(30)은 위쪽 전면 중앙의 두 치아 및 앞니의 가장자리의 전면 또는 이들 두 치아의 가장 낮은 부분(여기서는 끝부분이라 칭함)에 위치된다. 상기 치아 맞물림 틀(20)은 하나의 홀(30)을 내포하기보다는 두 개 이상의 홀을 내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30)은 장치(10)를 끼워맞추기 위해 이용되며 홀(30)의 양측면 상에 성형되어진 홀(30)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중합재 부분(이하 더 상세히 기재됨)을 고려하여 각이지거나 경사진 가장자리를 구비한다. 이러한 큰 직경부들은 미리 형성된 장치(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경화된 중합재를 안정시키는 마개 또는 언더컷(undercut)으로 작용한다. 상기 장치와 경화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경화된 중합재 사이의 접합은 더 경화된 후의 접합보다 약하다는 일반적인 점에서, 상기 접합의 안정성은 중합재를 환자의 치아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성형하는 과정과 특히 관련이 깊다.
제1구개측부(32a) 및 제2구개측부(32b)로 명명되는 위쪽 및 뒤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구개측부(32)는 치아 맞물림 틀(20)에 부착되며, 상기 구개로부터 먼 쪽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구개측부(32)는 환자 혀의 움직임을 가장 적게 방해하도록 형상지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 및 도3에 도시된 장치(1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연장부(32a) 및 제2연장부(32b)는 그의 뒤쪽 단부에 제1구개 접촉 패드(34a) 및 제2구개 접촉 패드(34b)라 명명된 구개 접촉 패드(34)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1구개 접촉 패드(34a) 및 제2구개 접촉 패드(34b)는 끼워맞춤하는 동안 상기 장치(10)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개측 연장부(32a)와 제2구개측 연장부(32b) 및 제1구개 접촉 패드(34a)와 제2구개 접촉 패드(34b)는 안정 세그먼트이다. 상기 치아 맞물림 틀(20)과 상기 구개 접촉 패드(34)의 결합이 장치(10)의 교정 및 안정 위치를 고려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0)의 중심을 맞추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의 각도 조정을 용이하게 한다. 장치(1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연장부들(32)은 장치(10)를 우발적으로 삼키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구개측 연장부들(32)은 그 길이(주어진 연장부의 뒤쪽 부분으로부터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의 앞쪽의 가로지르는 평면까지의 중심축을 따라 측정된 길이)가 적어도 2.5㎝ 정도이며, 구개 접촉 패드(34)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약 1.5㎝ 떨어진 중심에 위치된다. 상기 구개측 연장부(32)는 그 길이가 일반적으로 약 2.5 내지 4.5㎝이고, 바람직하게는 그 길이가 약 3.0 내지 4.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개 접촉패드(34)보다 작은) 상기 구개측 연장부(32)는 약 2㎜정도 떨어진 상태로 구개에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구개측 연장부(32)는 구개측 계속가공의치(39)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위쪽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구개에 평행하다. 상기 계속가공의치(39)는 상기 장치(10)를 강화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개측 계속가공의치(39)는 구개측 연장부 길이의 적어도 60%정도 뒤쪽 위치와 같은 뒤쪽 위치에 위치된다. 제1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a)와 제2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b)라 명명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는 치아 맞물림 틀(2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의 교합측면에 대하여 아래쪽 및 뒤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각(θ)은 일반적으로 약 40∼45°일 것이다. 상기 각은 맞물린 아래쪽 앞니를 걸리개(40)에 대하여 경사진 리모델링면 위로 움직이는 것을 촉진시키는 것을 알게되었다. 어떤 환자에게는, 아래 턱의 혀 모양 전방 부위의 구조물이 상기 최종각을 나타낼 것이다. 예를 들면, 약 35∼45°의 각을 필요로한다. 경사진 리모델링면의 형상은 아랫니를 상기 걸리개(40)에 대하여 경사진 리모델링면 위로 움직이는 것을 촉진시키기에 적합하게 되었다. 어떤 경우에는, 상기에서 언급된 각은 본래 부정교합에 대하여 시간에 따라, 개별적으로 조정되어야 하며, 부정교합이 변화되고 교정되기 시작함에 따라, 시간에 따라 개별적으로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초기에, 제1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a)와 제2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b)는 초기의 계획과 같이 경사각을 다변화하여, 아래 턱을 수평으로보다는 수직으로 재배치하거나 아래쪽 앞니의 뒤쪽 뿌리에 위치된 부드러운 조직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아래 턱의 위치를 정하는 것이 장치(10)의 계속된 사용으로 인한(아래 턱을 앞쪽 또는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인한) 근육 긴장의 결과에 의해 교정됨에 따라, 제1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a)와 제2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b)의 변형 또는 재배치가 요구될 수도 있다. 동일한 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의 경사면이 환자의 입 앞쪽으로 움직이거나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가 꼭대기 또는 바닥부로 더 길게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들은 아래쪽 측면 앞니(특히, 측면 앞니의 가장자리)를 맞물리기에 적합하게 된다. 비록 측면 앞니를 맞물리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지라도, 특별한 경우에는 상기 아래쪽 측면 앞니 보다는 다른 치아에 맞물리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맞물림은 턱 근육의 긴장을 증가시키며, 이것은 아래턱을 아래쪽 또는 앞쪽 재배치시킨다. 또한, 상기 맞물림은 맞물린 치아를 앞쪽으로 이동시켜 치조골에 아치형 공간을 더 만들며, 이것은 아래쪽 앞니의 정렬을 돕는다. 일반적으로,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들은 그들의 하단부에서 약 5㎜ 내지 약 8㎜ 정도 떨어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의 각은 아래쪽 측면 앞니들의 가장자리에 각각 부드럽게 접촉하도록 바람직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물론, 특별의 경우에는, 상기 환자 치아의 정렬이 상기 접근법에 따른 조정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아래쪽 측면 앞니가 다른 앞니의 뒤쪽에 잘 위치되어 있다면, 양쪽 앞니를 맞물리는 것이 실용적이 아닐 수 있다; 대신에 가장 뒤쪽에 위치된 앞니가 초기에 맞물릴 것이다. 어떤 환자의 경우에는, 하나의 앞니 가장자리가 너무 구부러지게 배향되어 초기에 부드럽게 맞물려 있는 앞니 가장자리의 넓은 부분 대신 치아의 한 쪽에만 맞물릴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두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들은 그들의 하단부로부터 그들의 상단부로 갈수록 더 벌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발산은 상기 아랫니가 상기 걸리개의 경사면을 미끄러져 올라간 후에 상기 어금니들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며, 부드러운 조직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제1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a) 및 제2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b)의 바닥부는 더 뒤쪽으로 그리고 더 안쪽으로 경사진다. 상기 경사는 도면에 그늘진 부분으로 도시된다. 경사는 혀 밑의 부드러운 조직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장치는 다음의 초기(post-initial) 끼워맞춤 조정을 첨가하기 위하여, 경사 첨가 세그먼트(38)(도4 참조)는 환자의 입에 장치(10)를 끼워맞춤하기 위해 사용된 중합재와 같은 중합재를 사용한 제1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a) 및 제2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b)의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첨가 세그먼트(38)는 경사진 리모델링면을 더 위쪽, 아래쪽 또는 앞쪽으로 경사지게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첨가 세그먼트(38)는 아래쪽 턱을 안내하여 아래턱의 근육부 상의 긴장을 조정할 것이다. 상기 첨가 세그먼트(38)는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의 각을 조정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제1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a) 및 제2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b) 상에 위치된 제1걸리개(40a)(도1참조) 및 제2걸리개(40b)는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에 의해 맞물린 아래쪽 앞니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를 따라 상기 아래턱의 위쪽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장벽 또는 돌기(ledge)를 각각 제공한다. 이러한 것들은 집합적으로 걸리개(40)라 한다(도시되지 않음). 걸리개(40)는 상기 장치(10) 상의 일반적으로 유용하다고 알려진 위치에 위치되거나 중합재로 성형하므로써 나중에 첨가될 수 있다. 특별한 치료에서 유용하지 않은 위치에 위치되거나 치료에 더 이상 유용하지 않은 경우, 미리 형성된 걸리개(40)는 용이하게 연마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 마다 적어도 하나의 미리 형성된 걸리개(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 첨가 세그먼트(38)는 미리 형성된 걸리개(43)를 구비한다. 상기 경사 첨가 세그먼트는 다른 위치에 미리 형성된 걸리개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리개(43)의 위치는 단지 상기 첨가 세그먼트(38)가 장치(10)에 결합된 위치를 조정하므로써 조정될 것이다. 상기 걸리개40 또는 걸리개43은, 교정된 부정교합의 형태에 따라, 제1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a), 제2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b) 또는 첨가 세그먼트(38) 상의 높은쪽 또는 낮은쪽에 위치될 것이다.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 상의 낮은쪽에 위치된 걸리개(40)는 주로 깊은 교합(bite)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 상의 중간 위치에 위치된 걸리개(40)는 깊은 교합과 보통의 상치돌출(overjet)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 상의 높은쪽에 위치된 걸리개(40)는 보다 심한 상치돌출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도1, 도2 및 도3에 도시된 장치(1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부분(48) 뿐만아니라 상기 전방 성형 융기부(24) 상에 위치되는 중앙에 위치된 중간 융선(ridge)(46)은 환자의 입에 장치(10)를 정렬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연결부분(48)은 제1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a) 및 제2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b)에 대칭적으로 부착된다. 노치(notchs), 마크(marks), 라인(lines), 크리시스(creases), 노브(knobs) 또는 (장치(10)의 중앙을 따라 위치된 채색된 라인을 포함하는) 칼라 라인(color line)과 같은 다른 수단들 역시 장치(10)를 정렬하도록 한다. 장치(10)를 정렬하기 위하여, 융선(ridge)(46) 또는 그와 유사한 코와 같이 환자 얼굴의 중심에 위치된 특징부, 또는 부정교합에 의하여 오프셋(offset)되지 않은 경우에 위쪽 두 앞니 사이의 중심과 시각적으로 정렬된다.
상기 장치(10)는 환자의 앞니 또는 경화재(여기서는 중합재로서 어급된다)를 이용하여 환자의 윗니 및 입의 본을 떠서 만든 모형에 끼워맞춤된다. 여기서, 비록 열경화, 화학 경화 및 가압경화와 같은 다른 경화 수단들이 사용될지라도 상기 경화재는, 광경화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질은 적어도 소정시간동안 가공된 형태를 유지하여, 경화하기 전에, 손으로 조작될 수 있도록 가공할 수 있는 접착성을 가져야한다. 바람직한 중합재는 펜실베니아 요크의 덴스플라이(Densply)로부터 나온 (로프 형태의) TRIAD VLC 프로비져널(Provisional) 물질과 같은 우레탄디메타크릴레이트(urethanemethacrylate) 물질이다. 상기 중합재는 치아 맞물림 틀(20)의 구멍(22)에 도포된다. TRIAD 로프가 이용될 경우, TRIAD 로프 물질을 도포하기 전에, 상기 장치는 TRIAD VLC(덴스플라이)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젤(gel) 형태의 우레탄디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델라웨어 밀포드 덴스플라이의 L.D. Cork division에 의해 치과교정용 수지로 판매되는 액제, 덴스플라이로부터 나온 TRIAD VLC 본딩 에이전트(Bonding Agent) 또는 뉴욕 파밍데일 파크엘로부터 나온 SNAP 액상의 단량체)와 같은 단량체 용제로 적셔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RIAD VLC 본딩 에이전트(Bonding Agent)로 적셔진 경우에는, 제조자에 의해 추천된 과정 대로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추천된 과정은, (a) 본딩 에이젼트를 도포하고, (b) 도포된 본딩 에이젼트가 일분동안 위치되도록 하며, (c) 상기 도포된 본딩 에이젼트를 2분동안 적당한 광원에 노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추천된 과정은 현재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양을 최소화하리라고 믿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10)에 대한 중합재의 부착은 홀(30) 내를 충전하므로써 더 단단히 고정될 것이다. 상기 환자 입의 중심선에 장치(10)의 중심을 정렬하고, 또한 상기 구개 또는 그의 모형 양측에 제1구개 접촉 패드(34a) 및 제2구개 접촉 패드(34b)를 접촉시키므로써 환자의 입에 장치(10)의 위치를 안정시키는 동안, 상기 장치(10)는 위쪽 앞니 또는 상기 모형에 중심을 두고 끼워맞춤된다. 상기 위쪽 중앙의 앞니 가장자리가 치아 맞물림 틀의 평탄한 면에 접촉함으로 인하여, 상기 중합재는 위쪽 중앙의 앞니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합재가 끼워맞춰진 치아의 형상과 완전히 일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지압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10)가 홀(30)을 구비한 경우, 성형하는 과정동안, 지압은 중합재를 유지하기 위한 홀(30)을 통하여 중합재를 분출시키도록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중합재가 상기 홀(30)을 통하여 더 분출되는 대신 환자 치아의 주위 표면에 흐르도록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때, 상기 중합재가 맞물린채 부분적으로 경화된다. 상기 물질이 광경화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경화는 상기 물질을 적당한 세기의 광원에 노출시키므로써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치(10)는 치아로부터 제거되어 완전히 경화된다. 경화시킨 후에, 상기 중합재의 여분은 연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개 접촉 패드(34)는 연마되어, 장치(10)가 환자의 입에 자리잡게될 경우 연장부(32)가 구개의 부드러운 조직에 더 이상 기대어 놓이지 않게 될 것이다. 상기 연마에 의하여 장치를 환자의 입에 더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성형과정은 환자의 입에 상기 장치를 견고하지만 제거될 수 있도록 끼워맞춤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물질이 광경화되는 경우, 광경화는 상기 장치가 치아에 맞물려 있는 위치의 상태에서 상기 물질을 일반적으로 1분 내지 2분동안 적당한 에너지의 광원에 노출시키므로써, 완료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장치는 제거되어 더 경화된다.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경화는 약 4분 내지 6분 동안 진행된다. 경화시킨 후에, 상기 중합재의 여분은 연마된다.
경화 및 연마 후에, 때때로, 치과 세공인은 환자 치아의 유용한 끼워맞춤면의 일부분과 동일하게 형성한 물질이 제거되었음을 알 것이다. 상기 끼워맞춤은 치아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영역에 풀과 같은 농도로 중합체를 만들어, 상기 치아또는 상기 중합체 풀이 유용한 끼워맞춤 면 위로 흘러 나오도록 한 상기 치아 모형을 삽입시키므로써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풀은 화학적으로 자기 경화되거나(self-curing)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하여 경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합체 풀은 TRIAD VCL 젤일 수 있으며, 또한 먼저 치과교정용 수지(L.D Cork)를 도포하고 풀과 같은 농도를 만드는 SNAP 자기 경화 수지(뉴욕 파밍데일 파크엘 바이오머티어리얼 디비젼으로부터 나온 속성경화 아크릴)를 첨가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충분한 중합체 풀을 만들기 위해 상기 두 성분을 반복하여 도포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치아 모형에 상기 중합체 풀을 끼워맞춤하는 경우, 상기 모형에 중합체 풀이 접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솔린(vasoline)과 같은 유리(release)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용이하게 이용하기 위하여, 장치(10)는 환자의 입에 끼워맞춤 하기 위한 모든 필수 요소들을 포함한 치과용 키트의 일부분으로 이용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필수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첨가 세그먼트(38)와 환자의 입에 장치(10)를 끼워맞춤하고 제1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26a) 및 제2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b)중 어느 하나에 첨가 세그먼트(38)를 부착하기에 충분한 중합재이다. 상기 중합재가 광경화하는 경우, 상기 치과용 키트는 불투명 용기 또는 상기 중합재를 광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32) 및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36)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매사추세츠 피츠필드 제너럴 일렉트릭으로부터 나온 렉산(Lexan))과 같은 또는 중합체 또는 그들에 필적하는 강도, 생체적합성, 성형성 또는 적합성의 다른 물질로 제조된다. 대체 합성수지(plastics)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 또는 폴리아로마틱 카보네이트(polyaromatic carbonate)를 포함하는 아크릴(acrylic)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리모델링 세그먼트는 그 폭이 약 4㎜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며, 폭이 약 4㎜ 내지 6㎜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장치는 사출 성형에 의해 바람직하게 제조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정장치(60)에서, 측정로드(51)는 플랫폼(52)에 대하여 직각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능한 맞물림을 위한 하나의 수단은 상기 로드(51)가 미끄러지도록 맞물리는 플랫폼에 형성된 홀(53)이다. 다른 수단은 기계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면, 로드(51)는 상기 플랫폼(52)에 부착되어 손잡이나사 장치를 맞물리는 나사홈을 포함하거나, 상기 로드(51)가 플랫폼(52)에 간단히 마찰 끼워맞춰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단들을 통하여, 상기 로드(51)는 손잡이나사를 회전시키므로써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천천히 이동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홀(53)은 로드(51)의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 홈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로드(51)의 일단부는 치과 세공인이 손수 맞물리기에 적합하게된 손잡이부(5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치과 기술자가 손잡이부를 움직일 경우, 상기 스크류 맞물림 또는 마찰 끼워맞춤 등이 (구개의 깊이를 측정하기 위하여)상기 로드(51)를 구개쪽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재사용을 위해 장치(60)를 준비시키기 위하여)반대방향쪽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로드(51)는 구개의 깊이를 측량하기 위한 표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랫폼(52)은 중앙의 플랫폼(55) 및 양단부를 맞물리는 양쪽 치아에서 미끄러지도록 맞물린 폭을 측정하는 세그먼트(5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세그먼트(56)는 환자 구개의 폭에 일치시키기 위해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상기 플랫폼(52)에 미끄러지도록 맞물린다. 상기 폭 측정 세그먼트(56)는 거리 표지와 환자 치아의 외측 연장부(56)를 정렬하기 위한 수단(57)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폭 측정 세그먼트(56)는 치아의 외측면에 맞물리기 위하여 단부 주름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폭 측정 세그먼트(56)가 맞물린 경우, (입의 양측면을 향한) 상기 정렬 수단(57)으로부터 중앙의 플랫폼(55)까지의 거리가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거리와 중앙 플랫폼 폭의 합은 입의 폭 측량값과 동일하다. 상기 폭과 구개의 깊이는 본 발명의 치과교정용 장치를 이용하는 환자에 따라 변할 것이다. 상기 측정장치(60)는 살균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 특히 깨끗한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장치의 선택적인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장치(110)는 상기 치아 맞물림 틀(120)(도시되지 않았으나, 요소 124, 126 및 128로 형성됨)로부터 상기 윗턱의 편평한 면에 대하여 예정된 각도로 아래쪽 및 뒤쪽으로 연장되고, 제1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136a) 및 제2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136b)로 명명되고,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136)를 구비한다. 상기 치아 맞물림 틀(120)은 전방 성형 융기부(124), 후방 성형 융기부(126) 및 상기 전방 성형 융기부(124)와 후방 성형 융기부(126)에 함께 결합한 커넥터(128)로 형성된다. 전방 성형 융기부(124)는 홀(130)을 가지고 있다. 손잡이(170)이 장치(110)의 전방으로부터 연장된다. 교합측 홈(180)(도시되지 않음)은 외측 성형 융기부(181)(특히, 제1외측 성형 융기부(181a) 및 제2외측 성형 융기부(181b)), 플랫폼(182)(제1플랫폼(182a) 및 제2플랫폼(182b)) 및 내측 성형 융기부(183)(제1내측 성형 융기부(183a) 및 제2내측 성형 융기부(183b))로 형성된다. 상기 교합측 홈(180)은 상기 위쪽 뒷니의 각 측면 상의 교합측 면 아래에 끼워맞춤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제1교합측 플랫폼 홀(184a) 및 제2교합측 면 홀(184b)는 경화된 중합재를 상기 장치(110)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외측 성형 융기부(181)는 뒷니의 위치에 대하여 교합측 홈(180)의 평탄한 면 위로 약 4㎜ 내지 8㎜ 정도 전형적으로 연장된다. 내측 성형 융기부(183)는 뒷니의 위치에 대하여 교합측 홈(180)의 평탄한 면 위로 약 2㎜ 내지 3㎜ 정도 전형적으로 연장된다. 입에 대하여 장치 또는 기구를 끼워맞춤하기 위한 상기 수단의 바람직한 변형물은 혀 내밈 교정장치(Tongue Thrust Corrective Device)라는 명칭으로 1995년 6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프로비져널 어플리케이션(Provisional Application) 제60/000,093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출원 전체는 여기서 참고로 포함되었다.
제1외측 성형 융기부(181a) 및 제2외측 성형 융기부(181b)는 입의 각 측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치아 외측면(즉, 볼쪽)에 바람직하게 끼워맞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외측 성형 융기부(181a) 및 제2외측 성형 융기부(181b)는 각각 두 뒤쪽 치아의 외측면에 끼워맞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1외측 성형 융기부(181a) 및 제2외측 성형 융기부(181b)는 제1영구치(즉, 6세구치)가 측면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지 못한다. 상기 6세 구치의 용도는 밴드(band), 아치형을 유지하는 철망 또는 상치돌출을 교정하기 위한 헤드기어 장치와 같은 다른 치과교정용 장치, 예를 들면 6세 구치에 부착된 버클(buccal)의 구치 튜브를 이용한 장치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장치(110)는 제1실시예의 장치의 양호한 유지를 저해하는 부정교합을 가진 어린이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환자의 치아 및 턱이 교합측 홈에 의해 제공된 여분의 성형 면 없이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충분히 교정된 경우, 상기 제2실시예의 교합측 홈은 연마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발명의 상기 장치는 제2실시예의 장치와 일치하지만, 교합측 홈이 연마될 경우, 구개측 계속가공의치를 포함할 수 있는 구개 안정 세그먼트가 남아있도록 위치된 물질도 구비한다.
코골이 치료에서는, 상기 제2실시예의 교합측 홈이 위쪽 뒷니의 연마면이 상기 장치의 이용에 따라 제거될 경우 연장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코골이 치료에서, 걸리개(40)의 위치는 상기 걸리개(40)에 의하여 한정된 위치를 차지하는 턱이 개방하는 비인강 공간의 크기와 환자가 편안하게 조절하도록 재배치된 턱의 크기 사이의 중간 지점을 기초로하여 선택된다.
어린이용 치과교정 장치의 경우, 본 발명의 미리 제조된 장치는 약 5세 내지 15세의 어린이에게 끼워맞춤하는 크기로 공급될 수 있다. 성인용 장치에서, 본 발명의 조립식 장치는 거의 모든 성인에게 끼워맞춤하는 크기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장치(10)는 낮에는(학교를 마친 후에 또는 저녁 식사 후에) 약 2∼3시간 정도 끼워맞춤하고 밤새도록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중점을 두고 기재되었으나, 상기 바람직한 장치 및 방법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용될 수 있는 것과 본 발명이 기재된 것과는 다르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분야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 내에 속하는 모든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26)

  1. a) 맞물린 치아가 끼워맞춰지는 구멍을 구비하며 위쪽 앞니에 맞물리는 치아 맞물림 틀;
    b) 상기 치아 맞물림 틀에 부착되어,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이 상기 위쪽 치아를 맞물릴 경우 구개 양측에 접촉하기에 적합하게된 구개 안정 세그먼트; 및
    c) 소정의 각도로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의 전방으로부터 아래쪽 및 뒤쪽으로 연장되며, 전면에 위치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
    를 포함하는 부정교합 교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개 안정 세그먼트가 구개에 접촉하기에 적합하게된 구개 접촉 패드를 후단부에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구개측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 구개 접촉 패드와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의 결합이 상기 장치를 안정하게 위치시키게 되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구개의 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기에 적합하게된 부정교합 교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구개측 연장부를 연결하는 구개측 계속가공의치를 더 포함하는 부정교합 교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이 앞니의 전방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는 부정교합 교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홀이 중합재가 중합될 때 상기 장치와 중합재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중합재를 붙이기에 적절하게 경사진 가장자리를 구비한 부정교합 교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중심을 정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부정교합 교정장치.
  7. 제 1 항에 따른 장치와,
    환자의 입에 상기 장치를 끼워맞추기에 충분한 중합재
    를 포함하는 치과용 키트.
  8. 제 1 항에 따른 장치를 환자에게 끼워맞추는 방법에 있어서,
    1) 치아 맞물림 틀의 구멍 내로 중합재를 끼워맞추는 단계;
    2) 환자의 치아 또는 입의 중심선과 상기 장치의 중심을 정렬시키고 입에 안정 세그먼트를 접촉시키므로써 상기 환자의 입에 상기 장치의 위치를 안정시키면서 상기 중합재를 상기 환자의 위쪽 앞니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3) 상기 성형된 치아로부터 상기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 및
    4) 그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중합재를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제거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중합재를 부분적으로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시키는 단계 후에, 상기 장치가 환자의 입에 자리잡을 때, 상기 구개에 기대지 않도록 상기 안정 세그먼트를 연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d) 맞물린 치아가 끼워맞춤되는 구멍을 구비하며 위쪽 앞니에 맞물리는 치아 맞물림 틀; 상기 치아 맞물림 틀에 부착된 구개측 안정 세그먼트; 및 소정의 각도로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의 전방으로부터 아래쪽 및 뒤쪽으로 연장되며, 전면에 위치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치과교정 장치;
    e)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에 결합되어 변경된 각도를 가지는 새로운 경사진 리모델링면을 만들거나,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를 상기 치아 맞물림 틀에 대하여 더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나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에 결합되기에 적합하도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 세그먼트; 및
    f) 상기 첨가 세그먼트를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에 결합하기에 충분한 중합재
    를 포함하는 치과용 키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 세그먼트가 상기 리모델링면에 대하여 환자 치아의 위치를 설정시키기 위한 걸리개를 포함하며, 상기 걸리개의 위치가 상기 첨가 세그먼트가 상기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에 결합된 위치를 조정하므로써 조정될 수 있는 치과용 키트.
  13. g) 맞물린 치아가 끼워맞춰지는 구멍을 구비하며, 위쪽 앞니에 맞물리고, (1) 전방 성형 융기부와 (2) 커넥터와 (3) 후방 성형 융기부를 포함하는 위쪽 앞니를 맞물기 위한 홈을 포함하며, 전방 성형 융기부와 상기 후방 성형 융기부와 커넥터가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하는 치아 맞물림 틀;
    h) 상기 치아 맞물림 틀에 부착된 구개측 연장 세그먼트; 및
    i)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의 전방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아래쪽 및 뒤쪽으로 연장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
    를 포함하는 부정교합 교정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홀이 중합재가 중합될 때 상기 장치와 중합재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중합재를 붙이기에 적절하게 경사진 가장자리를 구비한 부정교합 교정장치.
  15. 제 13 항에 따른 장치를 환자에게 끼워맞추는 방법에 있어서,
    1) 치아 맞물림 틀의 구멍 내로 중합재를 끼워맞추는 단계;
    2) 환자의 치아 또는 입의 중심선과 상기 장치의 중심을 정렬시키고 입에 안정세그먼트를 접촉시키므로써 상기 환자의 입에 상기 장치의 위치를 안정시키면서 상기 중합재를 상기 환자의 위쪽 앞니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3) 상기 성형된 치아로부터 상기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 및
    4) 그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중합재를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법.
  16. j) 맞물린 치아가 끼워맞춰지는 구멍을 구비하며 위쪽 앞니를 맞물리는 치아 맞물림 틀;
    k) 상기 치아 맞물림 틀에 부착되는 구개측 연장 세그먼트;
    l) 소정의 각도로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의 전방으로부터 아래쪽 및 뒤쪽으로 연장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 및
    m) 상기 장치의 중심을 정렬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부정교합 교정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이 전방 성형 융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의 중심을 정렬시키는 수단이 상기 전방 성형 융기부 상에 위치된 부정교합 교정장치.
  18. 제 16 항에 따른 장치를 환자에게 끼워맞추는 방법에 있어서,
    1) 치아 맞물림 틀의 구멍 내로 중합재를 끼워 맞추는 단계;
    2) 환자의 치아 또는 입의 중심선과 상기 장치의 중심을 정렬시키고 입에 안정세그먼트를 접촉시키므로써 상기 환자의 입에 상기 장치의 위치를 안정시키면서 상기 중합재를 상기 환자의 위쪽 앞니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3) 상기 성형된 치아로부터 상기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 및
    4) 그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중합재를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법.
  19. n) 맞물린 치아가 끼워맞춰지는 구멍을 구비하며 위쪽 앞니에 맞물리는 치아 맞물림 틀;
    o) 구개의 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기에 적합하게된 한 쌍의 구개측 연장부;
    p) 상기 두 구개측 연장부를 결합하며, 상기 구개측 면을 평행하게 하기에 적합하게된 구개측 계속가공의치; 및
    q) 소정의 각도로 상기 치아 맞물림 틀의 전방으로부터 아래쪽 및 뒤쪽으로 연장시키며, 전면에 위치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
    를 포함하는 부정교합 교정장치.
  20. 제 19 항에 따른 장치를 환자에게 끼워맞추는 방법에 있어서,
    1) 치아 맞물림 틀의 구멍 내로 중합재를 끼워맞추는 단계;
    2) 환자의 치아 또는 입의 중심선과 상기 장치의 중심을 정렬시키고 입에 안정 세그먼트를 접촉시키므로써 상기 환자의 입에 상기 장치의 위치를 안정시키면서 상기 중합재를 상기 환자의 위쪽 앞니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3) 상기 성형된 치아로부터 상기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 및
    4) 그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중합재를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법.
  21. r) 맞물림 치아가 끼워맞춰지는 구멍을 구비하며 위쪽 앞니에 맞물리는 치아 맞물림 틀;
    s) 각 측면 상에 상기 위쪽 뒷니의 적어도 하나 아래에 끼워맞춰지기에 적합하게된 한 쌍의 교합측 홈; 및
    t) 평면 세그먼트의 전면에 부착되어 소정의 각도로 아래쪽 및 뒤쪽으로 연장되는 전면에 위치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
    를 포함하는 부정교합 교정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측 홈이 각각 하나 이상의 홀을 구비하는 부정교합 교정장치.
  23. 제 21 항에 따른 장치를 착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골이 감소방법.
  24. 제 21 항에 따른 장치를 환자에게 끼워맞추는 방법에 있어서,
    1) 치아 맞물림 틀의 구멍 내로 중합재를 끼워맞추는 단계;
    2) 환자의 치아 또는 입의 중심선과 상기 장치의 중심을 정렬시키고 입에 안정세그먼트를 접촉시키므로써 상기 환자의 입에 상기 장치의 위치를 안정시키면서 상기 중합재를 상기 환자의 위쪽 앞니 및 위쪽 뒷니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3) 상기 성형된 치아로부터 상기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 및
    4) 그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중합재를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법.
  25. u) 환자 입의 양측면의 위쪽 뒷니 상에 자리잡기에 적당한 크기의 평평한 플랫홈;
    v) 수직 깊이 측정 로드; 및
    w) 상기 로드를 상기 플랫폼과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맞물리게 하며, 환자 입의 중심선에 상기 로드를 정렬시키기에 적합하게된 수단
    을 포함하는 구개측 깊이 측정장치.
  26. 1) 맞물린 치아가 끼워맞춰지는 구멍을 구비하며 위쪽 앞니에 맞물리는 치아 맞물림 틀; 및
    2) 소정의 각도로 상기 치아 맞물림 틀로부터 아래쪽 및 뒤쪽으로 연장시키며, 전면에 위치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경사진 리모델링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치아 맞물림 틀에 끼워맞춰져서 위쪽 앞니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중합재에 의해 환자의 위쪽 앞니에 끼워맞춰지는 장치를 착용하므로써 코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
KR1019970709198A 1995-06-09 1996-06-07 기형교정용 경사장치 및 방법 KR199900227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895P 1995-06-09 1995-06-09
US60/000098 1995-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756A true KR19990022756A (ko) 1999-03-25

Family

ID=2168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198A KR19990022756A (ko) 1995-06-09 1996-06-07 기형교정용 경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85073A (ko)
EP (1) EP0837657A4 (ko)
JP (1) JPH11507852A (ko)
KR (1) KR19990022756A (ko)
CN (1) CN1192666A (ko)
AU (1) AU713826B2 (ko)
BR (1) BR9609185A (ko)
CA (1) CA2223992A1 (ko)
WO (1) WO19960415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9557B1 (en) * 1998-04-23 2004-04-13 Michael O. Williams Orthodontic appliance contraction connector
US6634353B1 (en) * 1999-03-18 2003-10-21 Stanley Knebelman Methods of treating respiratory disorders
US6231337B1 (en) * 2000-01-24 2001-05-15 James P. Boyd Dental mouthpie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364659B1 (en) 2000-02-23 2002-04-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thodontic bite opener
US6368106B1 (en) * 2000-03-22 2002-04-09 William J. Clark Mandibular advancer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US20030116164A1 (en) 2001-12-14 2003-06-26 Boyd James P. Intraoral discluder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migraine, tension headache,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US7959437B2 (en) * 2002-10-29 2011-06-14 Rmo, Inc. Orthodontic appliance with encoded information formed in the base
US7695277B1 (en) 2004-10-28 2010-04-13 Rmo, Inc. Orthodontic bracket with frangible cover mechanism
US7159591B2 (en) * 2003-05-06 2007-01-09 Leon Kussick Kussick mandibular advancement appliance
US20050244779A1 (en) * 2004-04-30 2005-11-03 Norbert Abels Method of correcting a deep bite condition using adjustable bite ramps
US7293987B2 (en) * 2004-04-30 2007-11-13 Norbert Abels Adjustable bite ramps for deep bite correction and kits incorporating bite ramps
US20050244781A1 (en) * 2004-04-29 2005-11-03 Norbert Abels Orthodontic treatment method for concurrent correction of multiple conditions
US7226287B2 (en) * 2004-04-30 2007-06-05 Ultradent Products, Inc. Kits comprising a plurality of bite ramps having different angles for orthodontic treatment
KR20090010218A (ko) * 2006-04-26 2009-01-29 알엠오인코포레이티드 제거 가능한 슬롯 덮개를 갖는 교정용 브라켓
US20080021437A1 (en) * 2006-04-27 2008-01-24 Boyd James P Enhancement of the efficacy of a clenching reduction device by augmenting with botulinum toxin type A
US9554875B2 (en) 2006-09-07 2017-01-31 Rmo, Inc. Method for producing a customized orthodontic appliance
WO2008031060A2 (en) * 2006-09-07 2008-03-13 Rmo, Inc. Reduced-friction buccal tube and method of use
US8979528B2 (en) 2006-09-07 2015-03-17 Rmo, Inc. Customized orthodontic appliance method and system
US20080102414A1 (en) * 2006-10-27 2008-05-01 Norbert Abels Posterior bite ramps, kits, and methods of use to correct class ii and/or class iii malocclusions
WO2008095087A2 (en) * 2007-01-31 2008-08-07 Michael Gelb Oral appliance for improving airway function during sleep or physical activity
MY160697A (en) * 2007-11-27 2017-03-15 Clearsmile Holdings Pty Ltd A dental appliance
US20090142734A1 (en) * 2007-11-30 2009-06-04 Albert Nancy M Cosmetic accessory device for teeth
US11219507B2 (en) 2009-03-16 2022-01-11 Orthoamerica Holdings, Llc Customized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WO2010107567A1 (en) 2009-03-16 2010-09-23 Rmo, Inc. Orthodontic bracket having an archwire channel and archwire retaining mechanism
US20100300457A1 (en) * 2009-06-02 2010-12-02 Airway Metric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leep apnea
WO2011100355A1 (en) * 2010-02-09 2011-08-18 Boyd James P Multipurpose therapeutic mouthpiece assembly
US20110201970A1 (en) * 2010-02-18 2011-08-18 Boyd Sr James P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temporomandibular disorders
CN102362818A (zh) * 2010-06-17 2012-02-29 永井光希子 牙科用机能矫治套
EP2706949B1 (en) 2011-05-12 2019-11-13 Rmo, Inc. Orthodontic appliance with encoded information formed in the base
USD660436S1 (en) 2011-05-13 2012-05-22 Rmo, Inc. Orthodontic bracket
USD660435S1 (en) 2011-05-13 2012-05-22 Rmo, Inc. Orthodontic bracket
USD660968S1 (en) 2011-05-13 2012-05-29 Rmo, Inc. Orthodontic bracket
USD847349S1 (en) 2011-09-22 2019-04-30 Rmo, Inc. Orthodontic lock with flange
FR2981843B1 (fr) 2011-10-28 2017-03-10 Orthodontie Alliance Laboratoire Dispositif d'activation de croissance mandibulaire, de croissance maxillaire et de propulsion mandibulaire
USD726318S1 (en) 2013-01-17 2015-04-07 Rmo, Inc. Dental instrument for a self-ligating orthodontic clip
USD721811S1 (en) 2013-10-29 2015-01-27 Rmo, Inc. Orthodontic bracket
USD739029S1 (en) * 2013-11-05 2015-09-15 Ortho-Tain, Inc. Dental appliance
US10299894B2 (en) 2014-02-21 2019-05-28 Align Technology, Inc. Treatment plan specific bite adjustment structures
JP6373983B2 (ja) * 2014-05-29 2018-08-15 株式会社ジーシー 咬合採得用具
CN113303942B (zh) * 2021-04-30 2022-01-28 四川大学 一种引导实验用大鼠下颌功能性前伸的标准化上颌矫治器
WO2023127071A1 (ja) 2021-12-28 2023-07-06 広巳 椎野 口腔内装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67810A (en) * 1948-09-13 1951-09-11 Robert N Harper Dental prosthesis and device
US3016052A (en) * 1959-12-09 1962-01-09 Louis L Zubren Mouth protector
US3207153A (en) * 1962-12-03 1965-09-21 Harry J Bosworth Company Mouth protector device
US3219033A (en) * 1963-06-06 1965-11-23 Wallshein Melvin Thumb-sucking and tongue-thrusting deterring device
US3312216A (en) * 1963-07-22 1967-04-04 Wallshein Melvin Tongue-thrusting inhibiting devices
US3334417A (en) * 1965-03-08 1967-08-08 Walter G Spengema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3286576A (en) * 1965-05-17 1966-11-22 West Alvy Device for exercising and coordinating facial and related musculature and structure
US3277892A (en) * 1966-01-06 1966-10-11 Tepper Harry William Apparatus for correcting tongue thrust problems
US3898736A (en) * 1967-02-08 1975-08-12 Bergersen Earl Olaf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3478742A (en) * 1967-10-23 1969-11-18 Edward H Bohlmann Orthodontic multipurpose repositioner and oral habit conditioner
US3522805A (en) * 1968-03-04 1970-08-04 Melvin Wallshein Dental appliances for inhibiting tonguethrusting and thumb-sucking
US3510946A (en) * 1969-02-28 1970-05-12 Peter C Kesling Orthodontic appliance
US3871370A (en) * 1973-07-05 1975-03-18 Lee E Mcdonald Tongue-thrust correction appliance
US3884226A (en) * 1973-09-13 1975-05-20 Harry W Tepper Apparatus for correcting tongue thrust
US3939598A (en) * 1975-01-23 1976-02-24 Bergersen Earl Olaf Orthodontic positioner with overbite or open bite correcting or relapse inhibiting capability
JPS5358191A (en) * 1976-11-05 1978-05-25 Osamu Yoshii Method of producing dental correction treating instrument using silicon resin material
US4185817A (en) * 1977-04-01 1980-01-29 Peterson Eugenia N Teeth exerciser
US4169473A (en) * 1978-03-03 1979-10-02 Samelson Charles F Anti-snoring and anti-bruxism device
US4304227A (en) * 1978-03-03 1981-12-08 Samelson Charles F Device for treatment of snoring, bruxism or for avoidance of sleep apnea
US4337036A (en) * 1979-08-31 1982-06-29 Hoffman Carl S Orthopedic pressure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elopment of the maxillary bone
DE3238816A1 (de) * 1982-10-20 1984-04-26 geb. Schlüter Frauke Freifrau von Nostitz 8000 München Hofacker Dentalfunktionsabdruckloeffel, verfahren und verwendung desselben zur herstellung eines funktionsmodells vom ober- bzw. unterkiefer sowie einer bissschablone
US4571180A (en) * 1984-03-08 1986-02-18 Kulick Walter K Dental instrument
US4553549A (en) * 1984-10-09 1985-11-19 Pope Bryan M Oral orthopedic/orthodontic appliance for treating neuromuscular imbalance
SE447786B (sv) * 1985-05-03 1986-12-15 Siw Lundberg Anordning for att forhindra eller mildra snarkning
US4608974A (en) * 1985-10-22 1986-09-02 Sicurelli Jr Robert J Tongue therapy device
US4671766A (en) * 1985-11-18 1987-06-09 Norton John J Meniscus reduction retentive orthotic
US4718662A (en) * 1985-12-26 1988-01-12 North Richard B Tongue positioning and exercising device
NZ225194A (en) * 1987-07-08 1990-07-26 David William Robert Wright Snore inhibiting device
US4784605A (en) * 1987-10-13 1988-11-15 Bergersen Earl Olaf Orthodontic appliance to correct open-bite tendencies in children and adults and tongue-thrust in young children
US5092346A (en) * 1987-10-13 1992-03-03 Hays & Meade, Inc. Dental orthosis for alleviation of snoring
US4773853A (en) * 1987-11-09 1988-09-27 Leon Kussick Oral orthopedic appliance
US5406963A (en) * 1989-03-27 1995-04-18 Adell; Loren S. Mouthguard
US4986283A (en) * 1989-05-08 1991-01-22 Tepper Harry W Oral appliance for tongue thrust correction
US5052409A (en) * 1989-05-08 1991-10-01 Tepper Harry W Oral appliance for tongue thrust correction
US5018533A (en) * 1989-05-25 1991-05-28 Hawkins Richard H Apparatus for the reduction of apnaa in the edentulous
US4986751A (en) * 1989-05-30 1991-01-22 Bergersen Earl Olaf Infant guidance pacifier appliance
US5003994A (en) * 1989-10-10 1991-04-02 Cook George W Oral appliance for improving breathing and methods of using and making same
AU646892B2 (en) * 1990-10-03 1994-03-10 Ernest Truffer Snoring prevention device
US5133740A (en) * 1990-12-24 1992-07-28 Leon Kussick Orthopedic pacifier
US5277202A (en) * 1992-08-26 1994-01-11 Mb Hays, Inc. Easy fit anti-sno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2666A (zh) 1998-09-09
AU6168196A (en) 1997-01-09
US5885073A (en) 1999-03-23
JPH11507852A (ja) 1999-07-13
EP0837657A1 (en) 1998-04-29
CA2223992A1 (en) 1996-12-27
AU713826B2 (en) 1999-12-09
MX9709965A (es) 1998-06-28
EP0837657A4 (en) 1999-12-01
WO1996041584A1 (en) 1996-12-27
BR9609185A (pt) 1999-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2756A (ko) 기형교정용 경사장치 및 방법
US5779470A (en) Tongue thrust oral habit retrainer
AU2018267129B2 (en) Reference denture alignment jig, kit for preparing dentures, and method for preparing dentures using same
US7726970B2 (en) Composite temporary and long-term provisional crowns and bridges
US201603460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implants
KR102104786B1 (ko) 치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
US6257892B1 (en) Shells for temporary and provisional crowns with an hourglass shaped occlusal profile
US4272240A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applying a power force to a tooth
Parel et al. The use and fabrication of a self-retaining surgical guide for controlled implant placement: a technical note.
KR20100126421A (ko) 치과용 스플린트 및 그 이용 방법
ES2957613T3 (es) Kit para medir el tamaño de un espacio gingival y seleccionar una matriz dental con la forma adecuada
US5304062A (en) Prosthetic denture precursor and method
AU708753B2 (en) Tongue thrust oral habit retrainer
Aalam et al. Surgical template stabilization with transitional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the edentulous mandible: a technical note.
MXPA97009965A (en) Orthopedic inclination apparatus and met
JPH05192353A (ja) 補綴義歯前駆体及び補綴義歯作成方法
JPS61288854A (ja) 牽引器具付のシリコ−ン樹脂材の歯列矯正治療器具及びその製作法
MXPA97009966A (en) Prayer of oral habit of push of the len
KraljeviÊ et al. Complete Denture Remounting
Netti et al. Composite resin buttons used to direct forces applied to teeth by removable orthodontic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