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146A - 개봉이 용이한 봉투 - Google Patents

개봉이 용이한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146A
KR19990022146A KR1019970708625A KR19970708625A KR19990022146A KR 19990022146 A KR19990022146 A KR 19990022146A KR 1019970708625 A KR1019970708625 A KR 1019970708625A KR 19970708625 A KR19970708625 A KR 19970708625A KR 19990022146 A KR19990022146 A KR 19990022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edge
tab
open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칼버트 타이트
카메론 미첼 켄트
Original Assignee
존 캘버트 테이트
랙샘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PN3207A external-priority patent/AUPN320795A0/en
Priority claimed from AUPN5162A external-priority patent/AUPN516295A0/en
Application filed by 존 캘버트 테이트, 랙샘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존 캘버트 테이트
Publication of KR19990022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14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7/00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27/32Opening devices incorporated during envelope manufacture
    • B65D27/38Tearing-strings 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7/00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27/04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apertures or windows for view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부, 배면부(4), 밀봉덮개부(6) 및 개봉스트립을 포함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면부는 배면부(4) 또는 밀봉덮개부(6)에 연결되는 부위에서 복수의 엣지를 가지며; 상기 개봉스트립은 상기 엣지들중에 제 1엣지(12)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 1엣지(12)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엣지(12)에 인접한 추가적인 엣지(20)에는 상기 추가적인 엣지(20)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지만 상기 엣지들의 나머지 엣지들중 어느 엣지까지는 연장되지 않은 취약선(26)이 마련되어 있으며, 취약선(26)은 사용자가 취약선과 제 1엣지사이에 있는 봉투(2)의 일부분을 먼저 잡고서, 제 1엣지(12)의 방향을 따라 잡아당겨 취약선(26)으로부터 제 1엣지까지 봉투가 찢겨나가면서 탭을 형성하여 봉투를 개봉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탭은 봉투의 나머지부분과 분리되어 있지만 상기 개봉스트립에는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어, 사용자가 탭(32)을 잡아당길 때 상기 개봉스트립이 찢겨지면서 봉투의 제 1엣지(12)를 개봉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개봉이 용이한 봉투
개봉이 용이한 봉투와 관련하여, 봉투의 접힘선을 따라 연장되고, 봉투에 부착된 접힘선을 따라 찢어지도록,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면재질로 제조된 개봉스트립을 제공한 봉투는 이미 알려져 있다. 또한, 봉투를 개봉할 경우 봉투의 코너부가 찢겨져나가도록, 봉투의 한 엣지로부터 인접한 엣지까지 봉투의 한 쪽 코너부를 가로지르는 관통부을 제공한 봉투에 관해서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봉투의 코너부에는 찢겨져나가도록 개봉스트립이 부착되어 있어, 일단 코너부가 찢겨져나가면, 코너부는, 사용자가 개봉스트립의 한 엣지를 잡고 잡아당겨 봉투를 개봉할 수 있도록 하는 탭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배열의 봉투는 여러 가지의 단점을 준다. 특히, 관통부에 의해서만 코너부탭이 봉투의 나머지부분에 부착된다는 사실은 봉투의 코너부가 취약하여 손상을 쉽게 일으킨다. 최악의 경우에는, 코너부가 봉투의 이송동안에 구부려지고 봉투가 도착지에 도착하기전에 봉투의 나머지부분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부분적으로 분리되어질 수 있다.
추가적인 단점은 봉투의 내용물이 봉투의 개봉시에 손상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봉투의 내용물의 일부분이 코너부탭을 한정시키는 봉투의 코너부 부분에 위치하면, 봉투의 코너부탭이 찢겨나가면서 봉투의 내용물도 불행하게도 같이 찢겨나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상기 몇가지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개봉이 용이한 봉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개봉이 용이한 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봉투의 개봉을 용이하게 하는 개봉스트립을 포함하는 형태의 봉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봉투의 제 1양태의 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봉투의 제 2양태를 보여주는 도 1과 유사한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봉투의 제 3양태를 보여주는 플라스틱 커리어팩의 배면도,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봉투의 추가적인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양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봉이 용이한 봉투(2)는 배면부(4), 밀봉덮개부(6)와 전면부(미도시됨)를 포함하고 있다. 배면부(4)는 봉투의 제 1측부(10)를 따라 연장된 접힘선(8)에 의하여 전면부와 결합된다. 배면부(4)는 이러한 배면부(14)상에 전면부의 일부를 덮기위하여 형성된 측부스트립(14)에 의하여 봉투의 제 2측부(12)에서 전면부와 연결된다. 측부스트립(14)은 배면부(4)에 접착되어 있다.
배면부(4)는 봉투의 하엣지(16)에서 하부스트립(18)에 의하여 전면부에 접해있다. 측부스트립(14)와 같이, 하부스트립(18)도 또한 전면부의 포개진 부분으로부터 형성되어 배면부(14)에 접착되어 있다.
봉투의 상엣지(20)는 전면부와 밀봉덮개부(6)사이에 형성된 상부접힘선(22)으로부터 형성된다. 밀봉덮개부(6)의 하부측에는 접착제가 제공되어 제거가능스트립(24)에 의해 덮혀있다. 봉투를 밀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접착제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제거가능스트립(24)을 벗겨낸 후, 밀봉덮개부(6)를 배면부(4)에 대하여 압착하면 된다. 봉투에 높은 보안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밀봉덮개부(6)상에 있는 접착제는 배면부(4) 또는 밀봉덮개부(6)의 재질부분을 찢어내지 않고서는 밀봉덮개부(6)가 개봉될 수 없도록 충분하게 강하여야 한다. 봉투의 2개의 면과 밀봉덮개부(6)는 봉투를 밀봉한 후 밀봉덮개부(6)를 개봉하기 위한 시도가 있을 경우 찢어지도록 종이나 카드로 만들어 진다.
이후에는, 봉투를 개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라스틱스트립(미도시됨)은 봉투의 제 2측부(12)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플라스틱스트립은 전면부와 측부스트립(14)사이에 형성된 접힘선(13)을 따라 봉투의 내측에 접착되어 있다. 접힘선(13)의 최상부에 있는 작은 슬릿(26)은 상부접힘선(22)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슬릿(26)은 연속적인 갈라진 틈새로서, 전면부, 밀봉덮개부(6)와 측부스트립(14)의 재질부분을 관통하며 연장된다. 그러나, 슬릿(26)은 밀봉덮개부(6)의 경사엣지(28)까지는 연장되어 있지 않다.
슬릿(26)에 인접한 봉투의 코너부(30)는 슬릿(26)과 접힘선(13)사이에 제거가능한 탭부위(32)를 형성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탭부위(32)에 있는 소량의 접착제가 전면부와 배면부사이에 위치함으로써, 봉투가 개봉되었을 때, 탭부위(32)가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는 것을 보장하여 준다. 봉투를 개봉하기 위하여, 수신인이 탭부위(32)를 잡고서 제 2측부(12)의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봉투의 재질부분이 봉투의 접힘선(13)에 대하여 교차하는 슬릿(26)의 하엣지로부터 찢어지게 된다.
플라스틱개봉스트립은 접힘선(13)의 전길이를 따라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탭부위(32)가 봉투의 나머지부분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경우조차도 플라스틱개봉스트립이 탭부위(32)에 부착된 채로 남아있게 되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탭부위(32)는 수신인이 플라스틱개봉스트립의 엣지를 잡아당겨 플라스틱개봉스트립이 실질적으로 접힘선(13)의 전길이를 따라 찢어질 수 있도록 보장한다.
수신인에게 봉투를 이러한 방법으로 확실하게 개봉하도록 지시하기 위하여 작은 화살표(34)가 밀봉덮개부(6)상에 인쇄되어 있다. 화살표(34)는 찢고 잡아당겨라라는 단어를 포함한다.
봉투의 상부접힘선(22)으로부터 연장된 상대적으로 작은 슬릿(26)은 제조시에 특히 편리하고 간편하게 제공되며, 관통부이 상부접힘선(22)과 접힘선(13)사이까지 연장되는 봉투보다 더 큰 구조적 모습의 봉투를 야기시킨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2에 나타난 봉투는 탭부위(32)의 바로 하부측에 있는 측부스트립(14)내에 천공홀(40)이 제공되어 있는 것만 제외하고는 도 1와 동일하며, 도면부호도 동일하게 부여하여 사용하였다. 천공홀(40)은 스트립(14)내에만 형성되어 있고, 봉투의 전면부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봉투의 전면부의 내측에는 천공홀(40)과 동일한 크기이면서 천공홀(40)의 바로 하부에 위치한 원형의 적색반점(42)이 제공된다.
천공홀(40)과 적색반점(42)의 제공은 수신인이 탭부위(32)를 찢어내면서 봉투의 내용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확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만일, 수신인이 천공홀(40)을 통하여 쳐다볼 경우에, 적색반점(40)이 봉투의 내용물에 의하여 분명치 않은 것을 발견하면, 수신인은, 상술한 방법으로 봉투를 개봉하기전에, 내용물이 탭(32)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봉투를 단순히 가볍게 두드리면 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양태만을 보여주고 있지만, 다른 변형도 물론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천공홀(40)대신에, 봉투에 탭부위(32)에나 근처에 위치하는 투명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배면부(52), 전면부(미도시됨), 및 전면부로부터 연장되는 밀봉덮개부(54)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커리어팩(50)를 도시한 것이다. 배면부(52)는 봉투의 하부를 따라 연장된 접힘선(56)과, 봉투의 측부를 따라 연장된 2개의 시임용접부(58과 60)에 의해 전면부와 연결되어 있다. 접착제 스트립(62)은 봉투를 밀봉할 때 사용하기 위하여 밀봉덮개부(54)의 내부표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커리어팩은 상술한 봉투와 유사한 방식으로 개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플라스틱개봉스트립(미도시됨)이 봉투의 하부에 위치한 접힘선(56)를 따라 제공된다. 취약선(weakness line : 68)은 탭부위(70)를 형성하기 위하여 시임용접부(60)으로부터 내부방향으로 연장된다. 취약선(68)은 시임용접부(60)를 내부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한다. 취약선(68)은 연속적인 슬릿이거나 취약한 플라스틱 재질로 된 단순한 선일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힘선(56)을 따라 플라스틱개봉스트립을 찢어내기 위하여 팁부위(70)를 봉투의 나머지부분에서 찢어냄으로써 봉투가 개봉된다.
탭부위(70)을 찢어낼 경우에, 봉투의 내용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봉투의 배면부(52)에는 배면부(52)의 나머지부분과 일체로 형성된 투명부(72)가 제공되어 있다. 도 3에 내타낸 봉투의 경우에, 배면부(52)에만 투명부가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전면부와 배면부에 투명부를 제공한 또 다른 양태의 발명도 가능할 것이다.
도 3의 양태의 경우에, 수신인이 봉투의 내용물이 투명부(72)의 공간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봉투의 전면부의 내측에는 투명부(72)의 하부에 착색부(미도시됨)가 제공되어 있다. 착색부는 적색과 같이 밝고 뚜렷한 색상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만을 설명하였지만, 당해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변형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에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를 예시하는 도 4 내지 7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봉투(10)는 통상적인 형상이며, 봉투(10)의 백판넬(62)에 접착되어 봉투를 밀봉할 수 있도록 접힘선(64)를 따라 접혀질 수 있도록 채용된 밀봉덮개부(65)를 포함하고 있다. 밀봉덮개부(65)는 실질적으로 밀봉덮개부(65)의 전길이까지 연장되어 이의 하엣지와 인접하는 접착영역(61)을 포함하고 있다.
잡을 수 있는 탭(67)은 밀봉덮개부(65)의 접힘선(64)을 따라 연장된 관통부(63)과 밀봉덮개부(65)의 엣지까지 연장된 관통수렴선(66)사이에 있는 밀봉덮개부(65)내에 한정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릿(69)은 접착선(61)을 통과하여 관통수렴선(66)까지 연장된다. 나사 또는 라인부재(70)는 덮개부(65)의 하측에 부착되고 접힘선(64)을 따라서 또는 인접하여 연장된다. 나사 또는 라인부재(70)는 접착제에 의해 선(64)을 따라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 또는 라인부재(70)의 한 엣지(71)는 접힘선(64)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어 지는 탭(67)에 겹쳐지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나사 또는 라인부재(70)는 접힘선(64)을 따라 충분히 연장되어 나사 또는 라인부재(70)에 의해 수반되는 아교에 의해 탭(67)까지 유지하게 된다. 나사 또는 라인부재(70)를 따라 수반되는 접착제 또는 아교는 부재(70)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칠해지거나 연속적으로 칠해진다. 이러한 배열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탭(67)에 밀어넣어, 관통부(63 및 66)을 따르거나, 관통부(63), 슬릿(69) 및 관통부(66)을 따라 덮개부(65)로부터 깨끗하게 찢어낼 수 있도록 보장한다. 탭(67)을 떼어낸 다음,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나사부재(70)는 접힘선(64)을 따라 덮개부(65)의 상엣지를 통하여 찢겨져 나가서 봉투가 개봉된다. 물론, 나사부재(70)는 봉투(10)의 측엣지를 따라 연장되어 이의 측부의 개봉시 효과를 줄 수도 있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봉투(20)의 추가적인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여기서, 봉투(20)는 점선으로 윤곽을 보여주는 접착선(23)을 따라 통상적인 접착제에 의해 봉투의 배면부(22)에 접착될 수 있는 밀봉덮개부(21)를 포함하고 있다.
찢겨나가는 탭(24)은 봉투의 상엣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슬릿(25)에 의해 봉투(20)내에 한정된다. 슬릿(25)은 봉투의 덮개부(21)와 전면부(26)에 형성된다. 라인부재(27)는 접착제에 의해 고착되도록 봉투(20)의 한 측방덮개부(28)의 하방으로 연장된다. 라인부재(27)는 또한 제거부위(24)에 고착되어 있다. 슬릿(25)은 밀봉덮개부(21)와 전면부(26)를 통하여 양쪽으로 연장된 관통부(29)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정렬된 관통부(30)은 측방덮개부(28)에 형성될 수 있고, 슬릿(25)은 또한 측방덮개부(28)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봉투를 개봉하기 위하여, 찢겨지는 부위(24)를 잡고서 도 5의 화살표방향으로 찢어낼 수 있다. 이것은 부위(24)가 슬릿(25)과 관통부(29)을 따라 봉투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써,봉투는 봉투개봉부의 엣지가 찢겨나가는 라인부재(27)에 의해 개봉된다. 몇 가지 경우에는, 부위(24)가 봉투개봉엣지로부터 단순히 찢겨나갈 수 있는 것처럼 관통부(29)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다른 배열로서, 슬릿(31)은 도 5의 우측부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부코너와 접하는 봉투의 개봉엣지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슬릿(31)은 찢겨나가는 부위(32)를 한정할 수 있고, 점선으로 윤곽을 보여주는 라인부재(33)는 이러한 부위(32)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26), 덮개부(23) 및 측부덮개부(28')을 관통하여 연장된 슬릿(31)은 봉투의 상엣지까지 연장된 관통부(34)과 교차될 수 있다.
봉투는 찢겨나가는 부위(32)를 잡고 이를 상부로 잡아당겨 봉투의 나머지부분으로부터 이를 찢어내면 개봉될 수 있고, 이로써 라인부재(33)에 의한 봉투의 개봉효과를 얻을 수 있다. 라인부재(33)는 면, 플라스틱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봉투의 상부이거나 측부에 접힘선의 길이를 따라 접착될 수 있다. 라인(33) 또는 (27)이 연장되어 지는 봉투의 부분은 관통부에 의해 개봉이 용이하도록 취약하게 만들어 질 수 있다.
비록 지금까지 본 발명의 양태를 예시하였지만, 이를 근거로 당해분야의 숙련가 행할 수 있는 다양한 변경과 변형예도,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넓은 범위 및 영역에 포함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양태에 따르면, 전면부, 배면부, 밀봉덮개부 및 개봉스트립을 포함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배면부 또는 상기 밀봉덮개부에 연결되는 부위에서 복수의 엣지를 가지며;
상기 개봉스트립은 상기 엣지들중 제 1엣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 1엣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엣지에 인접한 제 2엣지에는 상기 제 2엣지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지만 상기 엣지들외 나머지 다른 엣지까지는 연장되지 않은 취약선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취약선은 사용자가 상기 취약선과 상기 제 1엣지사이에 있는 봉투의 일부분을 먼저 잡고서, 상기 제 1엣지의 방향을 따라 잡아당겨 상기 취약선으로부터 상기 제 1엣지까지 봉투가 찢겨나가면서 탭을 형성하여 봉투를 개봉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탭은 봉투의 나머지부분과 분리되어 있지만 상기 개봉스트립에는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어, 사용자가 상기 탭을 잡아당길 때 상기 개봉스트립이 찢겨지면서 봉투의 상기 제 1엣지를 개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취약선은 봉투의 한 엣지로부터만 내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봉투는 상술한 종래의 봉투와 비교하여 본질적으로 더 강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취약선은 상기 제 2엣지로부터 내향 연장된 연속적인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안으로서, 상기 취약선은 봉투의 재료내에 있는 관통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는, 상기 탭이 형성된 봉투의 영역에서 서로 점착되거나 접착되어 상기 탭이 봉투의 나머지부분으로부터 찢겨나갈 때 상기 탭이 더 큰 구조적 일체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종이 및 카드와 같은 종래의 재질로 만들어지는 봉투와 함께 플라스틱커리어팩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봉투 모두에 적용된다.
만일 봉투가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지면, 상기 봉투의 제 2엣지가 시임용접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취약선은 상기 시임용접부를 상기 제 2엣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시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취약선은, 상기 탭이 상기 봉투의 작은 부분이 상기 봉투의 코너부로부터 찢겨나가면서 형성되도록, 상기 제 1엣지와 바로 인접한 부위에 위치시키는 것이 편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상기 취약선은 실질적으로 직선이며, 상기 제 1엣지와 거의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개봉스트립은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편리하다.
상기 개봉스트립은, 상기 밀봉덮개부로부터 봉투의 하부까지 연장되도록 봉투의 측연부를 따라 위치되어, 봉투의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밀봉덮개부사이에 형성된 접힘선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취약선을 형성하는 것이 특히 편리하고, 또한, 상기 개봉스트립은 상기 밀봉덮개부에 대향한 봉투의 하부접힘선을 따라 위치되어 있는 것이 편리하다.
플라스틱 봉투의 경우에, 상기 개봉스트립은 봉투의 하부접힘선을 따라 밀봉덮개부와 대향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편리하다.
본 발명은 특히 높은 보안유지성과 외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봉투에 적합하다. 특히, 밀봉덮개부에는 밀봉덮개부가 봉투의 손상없이는 개봉될 수 없도록 보장하는 매우 강력한 접착제를 부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봉투의 수신인에게 봉투가 개봉되어졌다는 사실을 알리지 않고는 어떤 방법으로도 봉투를 개봉할 수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면부, 배면부, 봉투를 봉합하기 위한 밀봉덮개부, 봉투에 부착되어 봉투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절취선을 따라 찢어내어 봉투를 개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봉투밀봉용 개봉스트립을 포함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에 있어서,
상기 개봉스트립이 부착된 봉투의 탭부위가, 봉투의 개봉시에 개봉스트립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으면서, 사용자가 개봉스트립을 잡아당겨 봉투로부터 개봉스트립을 찢어내기 위하여 잡을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봉투가 상기 탭부위의 부근에 위치한 검시수단(viewing means)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검시수단은 봉투를 개봉하기 위해 사용자가 탭부위를 찢어낼 때에 사용자가 탭부위의 부근에서 봉투의 내부를 검시하여 봉투의 내용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확인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를 제공한다.
상기 검시수단은 봉투의 한 면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단순한 경우로서, 상기 검시수단은 상기 탭부위이거나 근처에 위치하면서 봉투의 적어도 한면상에 형성된, 원형홀과 같은 구멍을 포함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봉투의 적어도 한 면에는 검시수단으로서, 상기 탭부위이거나 근처에 위치하는 투명부가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검시수단은 봉투의 한 면상에만 형성되어 있고, 봉투의 다른 면은 검시수단에 상응하는 적어도 한 내부위치상에 착색되어 있어, 상기 착색부가 봉투의 내용물이 검시수단의 하부에 들어있지 않을 때에는 볼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색상부는 적색과 같이 뚜렷한 색상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백색을 제외하고는 어떤 색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특히 사용하기에 편리한 봉투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수신인이 봉투를 받았을 때, 수신인은 색상부가 보이는지 않보이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검시수단을 통하여 단순히 쳐다보기만 하면 될 것이다. 색상부가 보이지 않으면, 수신인은 봉투를 가볍게 두드린 다음 봉투의 내용물을 검시수단으로부터 이격시켜 탭부위를 찢어내어 봉투를 개봉하면 될 것이다.
상기 검시수단은 봉투의 매우 작은 부분만으로 덮혀 있도록 하여, 봉투의 내용물의 비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검시수단은 예컨대, 상기 탭부위와 바로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것을 포함하여, 위치변경이 가능한 상기 탭부위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는 상기 탭부위에서 서로 점착되거나 접착되어, 상기 탭이 봉투의 나머지로부터 찢겨져나갈 때 상기 탭이 더 큰 구조적 일체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양태와 제 2양태의 특징부는 하나의 봉투에 결합시킬 수 있다는 사실과 함께, 본 발명은 이러한 결합된 특징을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봉투의 내용물의 손상없이 봉투의 내용물에 신속히 접근할 수 있도록 절취스트립이거나 절취선이 형성된 절취에 의해 개봉되는 봉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어지면서 봉투를 밀봉시에는 인접한 면에 부착되어 질 수 있는 점착성 밀봉덮개부를 갖는 대략적인 봉투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봉투는 사용자가 잡고 당길 수 있도록 마련된 특정부위를 가지고 있고, 이러한 특정부위는 여기에 고착되어 연장되는 구부리기 쉬운 라인부재를 갖고 있으면서, 또한 이러한 특정부위는 상기 라인부재를 통하여 봉투가 개봉될 수 있도록 봉투로부터 탈착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라인부재는 봉투의 인접부위와 부재에 적용된 접착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필요시 구부리기 쉬운 라인부재를 접힘선에서 봉투에 부착시킬 수 있게 접착제로 도포되어 질 수 있다. 이러한 라인부재는 점착성 밀봉덮개부와 봉투의 나머지부분사이에 형성된 접힘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거나, 봉투내에 있는 측방접힘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슬릿은 절취부위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봉투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릿은 밀봉덮개부와 봉투의 반대면을 통하여 봉투의 상엣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이러한 슬릿은 봉투의 한 측엣지로부터 내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필요시에, 봉투의 특정부위가 절취부위를 한정시키기 위하여 관통부를 제공하는 것과 같이 취약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슬릿은 이러한 취약부이거나 취약부와 인접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슬릿은 봉투의 덮개부로부터 연장되어 덮개부내에 형성된 관통부과 교차하게 할 수 있다. 봉투에는 덮개부가 봉투의 나머지부분에 접착되어 질 수 있도록 접착영역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릿은 이러한 접착영역을 통하여 절취부위를 한정하는 관통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Claims (20)

  1. 전면부, 배면부, 밀봉덮개부 및 개봉스트립을 포함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배면부 또는 상기 밀봉덮개부에 연결되는 부위에서 복수의 엣지를 가지며;
    상기 개봉스트립은 상기 엣지들중 제 1엣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 1엣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엣지에 인접한 제 2엣지에는 상기 제 2엣지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지만 상기 엣지들외 나머지 다른 엣지까지는 연장되지 않은 취약선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취약선은 사용자가 상기 취약선과 상기 제 1엣지사이에 있는 봉투의 일부분을 먼저 잡고서, 상기 제 1엣지의 방향을 따라 잡아당겨 상기 취약선으로부터 상기 제 1엣지까지 봉투가 찢겨나가면서 탭을 형성하여 봉투를 개봉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탭은 봉투의 나머지부분과 분리되어 있지만 상기 개봉스트립에는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어, 사용자가 상기 탭을 잡아당길 때 상기 개봉스트립이 찢겨지면서 봉투의 상기 제 1엣지를 개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선은 상기 제 2엣지로부터 내향 연장된 연속적인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선은 봉투의 재료내에 있는 관통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는, 상기 탭이 형성된 봉투의 영역에서 서로 점착되거나 접착되어 상기 탭이 봉투의 나머지부분으로부터 찢겨나갈 때 상기 탭이 더 큰 구조적 일체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는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봉투의 제 2엣지가 시임용접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취약선은 상기 시임용접부를 상기 제 2엣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선은, 상기 탭이 상기 봉투의 작은 부분이 상기 봉투의 코너부로부터 찢겨나가면서 형성되도록, 상기 제 1엣지와 바로 인접한 부위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선은 실질적으로 직선이며, 상기 제 1엣지와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8.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스트립은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9. 제 1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스트립은, 상기 밀봉덮개부로부터 봉투의 하부까지 연장되도록 봉투의 측연부를 따라 위치되어, 봉투의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밀봉덮개부사이에 형성된 접힘선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취약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10. 제 1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스트립은 상기 밀봉덮개부에 대향한 봉투의 하부접힘선을 따라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11. 전면부, 배면부, 봉투를 봉합하기 위한 밀봉덮개부, 봉투에 부착되어 봉투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절취선을 따라 찢어내어 봉투를 개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봉투밀봉용 개봉스트립을 포함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에 있어서,
    상기 개봉스트립이 부착된 봉투의 탭부위가, 봉투의 개봉시에 개봉스트립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으면서, 사용자가 개봉스트립을 잡아당겨 봉투로부터 개봉스트립을 찢어내기 위하여 잡을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봉투가 상기 탭부위의 부근에 위치한 검시수단(viewing means)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검시수단은 봉투를 개봉하기 위해 사용자가 탭부위를 찢어낼 때에 사용자가 탭부위의 부근에서 봉투의 내부를 검시하여 봉투의 내용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확인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시수단은 봉투의 한 면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시수단은 상기 탭부위이거나 근처에 위치하면서 봉투의 적어도 한면상에 형성된, 원형홀과 같은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14. 제 11항에 있어서,
    봉투의 적어도 한 면에는 검시수단으로서, 상기 탭부위이거나 근처에 위치하는 투명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15. 제 11항 내지 제 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시수단은 봉투의 한 면상에만 형성되어 있고, 봉투의 다른 면은 검시수단에 상응하는 적어도 한 내부위치상에 착색되어 있어, 상기 착색부가 봉투의 내용물이 검시수단의 하부에 들어있지 않을 때에는 볼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부는 적색과 같이 뚜렷한 색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17. 제 11항 내지 제1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시수단은 봉투의 매우 작은 부분만으로 덮혀 있어, 봉투의 내용물의 비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18. 제 11항 내지 제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시수단은 상기 탭부위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19. 제 11항 내지 제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시수단은 상기 탭부위와 바로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20. 제 11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는 상기 탭부위에서 서로 점착되거나 접착되어, 상기 탭이 봉투의 나머지로부터 찢겨져나갈 때 상기 탭이 더 큰 구조적 일체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KR1019970708625A 1995-05-29 1996-05-29 개봉이 용이한 봉투 KR199900221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N3207A AUPN320795A0 (en) 1995-05-29 1995-05-29 Improvements to envelopes
AUPN3207 1995-05-29
AUPN5162 1995-08-31
AUPN5162A AUPN516295A0 (en) 1995-08-31 1995-08-31 Easy-opening envelop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146A true KR19990022146A (ko) 1999-03-25

Family

ID=2564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625A KR19990022146A (ko) 1995-05-29 1996-05-29 개봉이 용이한 봉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H11505793A (ko)
KR (1) KR19990022146A (ko)
CA (1) CA2220173A1 (ko)
GB (1) GB2316670B (ko)
NZ (1) NZ308027A (ko)
WO (1) WO1996038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72211C (zh) * 2006-09-19 2009-12-23 陈毕峰 一种制造包装膜拉线的方法和设备
JP2010137884A (ja) * 2008-12-11 2010-06-24 Midori Insatsu:Kk 封筒
JP5257338B2 (ja) * 2009-11-30 2013-08-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セキュリティ用封筒、セキュリティ用封筒の使用方法
KR101282603B1 (ko) * 2011-06-29 2013-07-12 임태광 포장용 봉투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85572A (fr) * 1934-05-03 1935-08-13 Dispositif pour l'ouverture facile et nettement dirigée d'enveloppes de correspondance ou autres plis
FR1166863A (fr) * 1957-02-12 1958-11-17 Enveloppe à déchirage par fil
CH343219A (fr) * 1957-07-30 1959-12-15 Giardini Lino Enveloppe
US3370782A (en) * 1966-03-23 1968-02-27 John H. Hickman Envelope and opening means therefor
DE2004210A1 (de) * 1970-01-30 1971-08-05 Franz Hart Briefoeffner
GB2031846A (en) * 1978-10-05 1980-04-30 Int Envelope Drg Ltd Envelope
DE3110897A1 (de) * 1981-03-20 1982-12-02 Ilija 7140 Ludwigsburg Milovanovic Briefoeffner mit aufreissschnur
US4720011A (en) * 1986-09-30 1988-01-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ackage having tearstrip opener
WO1992016383A1 (fr) * 1991-03-23 1992-10-01 Mario Torres Coupez et lisez
GB2261865A (en) * 1991-11-21 1993-06-02 Michael John Keegan Envelope with open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20173A1 (en) 1996-12-05
NZ308027A (en) 1998-07-28
WO1996038344A1 (en) 1996-12-05
GB2316670B (en) 1999-06-02
GB2316670A (en) 1998-03-04
GB9725289D0 (en) 1998-01-28
JPH11505793A (ja)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5435A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flexible containers and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a device
KR101162779B1 (ko) 개봉 용이성 포장체
US5873483A (en) Resealable container
CA2512910C (en) Tamper-indicating resealable closure
CA2187906C (en) Opening device for flexible containers,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a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US5213258A (en) Resealable, returnable envelope
US6491213B2 (en) Easy open envelope
EP0157484B1 (en) Labels in the form of a envelope
JP2579029B2 (ja) パック
US4819807A (en) Tear-strip opening envelope apparatus
EP0209592A1 (en) Multi-layered label
US20160325905A1 (en) Paper bag
CA3099924A1 (en) Tamper evident tape and sealed bag assembly for handled bags and method
US9428305B2 (en) Envelope seal strip
EP0565591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nvelopes
JPH02296643A (ja) 折畳み箱
US6431433B2 (en) Cardboard pocket pack with a concealed tamperproof seal
CN1075996C (zh) 容器用的坯料以及具有开/关系统的容器
ES2267975T3 (es) Envase para pila cilindrica de galletas redondas.
KR19990022146A (ko) 개봉이 용이한 봉투
GB2150908A (en) Securing items for display
GB2156767A (en) Package for slab shaped food
WO2022081471A1 (en) Tamper evident sealable bag assembly with note tab and method
GB2105681A (en) Photographic laboratory work pouch
WO2016049150A1 (en) Packing list envelope with pull tab and method for forming the envel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