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477U -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의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의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477U
KR19990021477U KR2019970034974U KR19970034974U KR19990021477U KR 19990021477 U KR19990021477 U KR 19990021477U KR 2019970034974 U KR2019970034974 U KR 2019970034974U KR 19970034974 U KR19970034974 U KR 19970034974U KR 19990021477 U KR19990021477 U KR 199900214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locking
seat belt
fixe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만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4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477U/ko
Publication of KR199900214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477U/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고, 본 고안은 차실내로 인출되는 시트벨트를 안내하며, 차체 트림 상측에 힌지 고정되는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에 있어서, 차체 트림 내측에 밀착 고정되며, 상하로 소정간격을 가지며 차실내로 관통된 복수개의 록킹홀을 형성하는 록킹 플레이트와; 일단이 시트벨트를 안내하는 디링에 힌지 고정되며, 선단이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록킹홀에 수평상태로 슬라이드 안내되는 한 쌍의 지지바와; 지지바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 회동시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록킹홀에 걸리도록 걸림턱을 구비되는 록킹바와; 일단이 디링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바의 몸체를 경사지게 통과하며 상기 록킹바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디링의 회동시 상기 록킹바를 회동시키도록 하는 신축로드;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시트벨트를 차실내로 인출시키는 디링이 차체 트림에 대해 고정 및 탈거되면서 간편하게 상하 조절되어, 탑승객은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디링의 높낮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그 구조가 분리형으로 간단하게 조립되어, 라인 작업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의 높이 조절장치
본 고안은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틀랙터에서 인출되는 시트벨트를 안내하도록 차체 트림에 고정된 시트벨트 앵커의 디링이 승객에 의해 간편하게 높낮이 조절되도록 하여 승객의 편의성 및 장착성이 향상되도록 한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의 높이 조절장치(Height-low control device of D-ring for seat-belt guid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벨트는, 차량 충돌에 따라 이동되는 탑승자를 본래 위치로 억제시켜 탑승자를 보호하는 것으로, 시트벨트를 스프링력으로 권취시켜 인출시 이를 복귀시키는 리트랙터와, 상기 리트랙터에서 인출되는 시트벨트를 차실내로 안내하는 디링(D-ring), 및 시트 측면에 고정되는 시트벨트 버클, 그리고 탑승자의 흉부 및 허리를 감싼 상태로 시트벨트를 인출시켜 상기 시트벨트 버클에 고정되는 시트벨트 텅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디링은 차체 트림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시트벨트착용자의 체형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시트벨트가 흉부를 감싸지 못하고 목부위를 감싸게 되어 차량 충돌시 오히려 시트벨트에 의해 더 큰 사고를 초래하게 되었고, 또한 체형이 큰 시트벨트 착용자의 경우에는 시트벨트가 흉부 아랫쪽을 감싸게 되어 심한 불쾌감을 호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시트벨트를 가이드 하는 디링이 차체 트림에 대해 상하 조절되도록 하고는 있지만, 이는 시트벨트의 안정된 고정력을 위해 체결구로서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상하 조절시에 별도의 도구를 이용해서 조절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트벨트를 차실내로 인출시키는 디링이 차체 트림에 대해 상하 조절되도록 하여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간편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디링 12: 차체 트림 13: 록킹 플레이트 14: 지지바 15: 록킹바 16: 신축로드 17: 체결보올트 18: 록킹홀 19: 시트벨트 안내부 20,21: 힌지 22: 걸림턱 23: 슬라이드 안내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실내의 차체 트림 상측에 힌지 고정되는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에 있어서, 상기 차체 트림 내측에 밀착 고정되며, 상하로 소정간격을 가지며 차실내로 관통된 복수개의 록킹홀을 형성하는 록킹 플레이트와; 일단이 시트벨트를 안내하는 디링에 힌지 고정되며 선단이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록킹홀에 슬라이드 안내되는 한 쌍의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선단에 일단이 링크 연결되고 타단에 걸림턱을 구비하는 록킹바와; 일단이 디링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바의 몸체를 통과하여 상기 록킹바의 몸체에 결합되는 신축로드;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른 본 고안은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을 상하 조절시에 상기 디링을 차체 트림에 대해 직교상태로 회동시키면, 신축로드가 당겨지게 되고, 당겨지는 신축로드는 록킹바를 회동시켜 록킹 플레이트의 록킹홀에 고정된 걸림턱이 해제되어 상하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디링이 차체 트림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 1 의 결합상태 측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3 은 디링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11)과, 차체 트림(12), 및 차체 트림(12) 내측에 밀착 체결되는 록킹 플레이트(13)와, 한 쌍의 지지바(14), 및 록킹바(15)와, 신축로드(16)로 이루어진다.
시트벨트가 가이드 되는 차체 트림(12)의 내측에는 상기 록킹 플레이트(13)의 상하 양단이 체결보올트(17)로서 밀착 결합되어 있고, 상기 록킹 플레이트(13)에는 상기 차체 트림(12)을 관통하며 차실내로 개방되는 록킹홀(18)이 상하로 등간격을 가지며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록킹 플레이트(13)의 록킹홀(18)에는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11)이 연결되는데, 상기 디링(11)은 일측에 시트벨트를 가이드 하는 시트벨트 안내부(19)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바(14)의 일단이 힌지(20)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바(14)의 타단은 상기 록킹 플레이트(13)의 록킹홀(18)에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슬라이드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14)의 타단에는 상기 록킹바(15)의 일단이 힌지(21) 연결되는데, 상기 록킹바(15)의 타단에는 회동시 상기 록킹 플레이트(13)의 록킹홀(18)에 걸림 고정되도록 걸림턱(22)이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14)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그 몸체에는 일측 상단에서 타측 하단으로 경사진 슬라이드 안내홀(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안내홀(23)에는 상기 신축로드(16)가 통과되는데, 상기 신축로드(16)는 일측단이 상기 디링(11)의 일측 힌지부 하단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단이 상기 록킹바(15)의 힌지부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디링(11)의 상향 회동시 당겨져 상기 록킹바(15)가 힌지(21)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일 실시예의 구조에 따른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차량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디링(11)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면,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링(11)을 상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회동되는 디링(11)은 상단이 록킹 프레이트(13)의 록킹홀(18)에 슬라이드 지지되는 지지바(14)의 힌지(20)를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되어지고, 동시에 회동되는 상기 디링(11)은 고정된 신축로드(16)의 일단을 회동거리만큼 당기게 된다. 이때 당겨지는 상기 신축로드(16)는 상기 지지바(14)의 몸체에 형성된 슬라이드 안내홀(23)을 안내받아 상기 지지바(14)와 수직상태로 연결된 록킹바(15)의 힌지(21) 부위를 당기게 된다. 연속해서 당겨지는 상기 록킹바(15)는 힌지(21)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록킹 프레이트(13)의 록킹홀(18)에 고정된 걸림턱(22)이 해제되어 상기 디링은 차체트림(12) 외부로 탈거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승객은 자신의 체형에 맞는 위치의 록킹홀(18)에 탈거시와 역순으로 록킹바(15)의 선단을 끼워넣고, 연속해서 상기 지지바(14)를 상기 록킹홀(18)에 슬라이드 지지시킨다음, 상기 디링(11)을 초기상태로 하향 회동시키면 상기 록킹바(15)가 신축로드(16)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되어져 또 다른 하측의 록킹홀(18)에 선단의 걸림턱(22)이 록킹되면서 위치 교정이 완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의 높이 조절장치는, 시트벨트를 차실내로 인출시키는 디링이 차체 트림에 대해 고정 및 탈거되면서 간편하게 상하 조절되므로써, 탑승객은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디링의 높낮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그 구조가 분리형으로 간단하게 조립되므로써, 라인 작업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실내로 인출되는 시트벨트를 안내하며, 차체 트림 상측에 힌지 고정되는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에 있어서,
    상기 차체 트림 내측에 밀착 고정되며, 상하로 소정간격을 가지며 차실내로 관통된 복수개의 록킹홀을 형성하는 록킹 플레이트와;
    일단이 시트벨트를 안내하는 디링에 힌지 고정되며, 선단이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록킹홀에 수평상태로 슬라이드 안내되는 한 쌍의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 회동시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록킹홀에 걸리도록 걸림턱을 구비되는 록킹바와;
    일단이 디링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바의 몸체를 경사지게 통과하며 상기 록킹바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디링의 회동시 상기 록킹바를 회동시키도록 하는 신축로드;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의 높이 조절장치.
KR2019970034974U 1997-11-29 1997-11-29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의 높이 조절장치 KR199900214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974U KR19990021477U (ko) 1997-11-29 1997-11-29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의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974U KR19990021477U (ko) 1997-11-29 1997-11-29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의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477U true KR19990021477U (ko) 1999-06-25

Family

ID=6967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974U KR19990021477U (ko) 1997-11-29 1997-11-29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의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47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499B1 (ko) * 2002-05-04 2004-09-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 텅 위치 조절장치
KR101315884B1 (ko) * 2007-11-07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벨트 디링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499B1 (ko) * 2002-05-04 2004-09-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 텅 위치 조절장치
KR101315884B1 (ko) * 2007-11-07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벨트 디링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4170A (en) Seat belt webbing guide
EP2045147B1 (en) Seat belt system for adults and children
US5015010A (en) Seat integrated seat belt system
US3471197A (en) Passenger restraining system
KR100204429B1 (ko) 차량의 어린이용 시트를 위한 시트 벨트 장치
US6089662A (en) Child restraint seat assembly
JPH0840199A (ja) 乗物の安全装置
CA2235661C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having an adjustable web tether
US4319769A (en) Tether belt for passive shoulder belt system
US5590907A (en)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and system
US3993328A (en) Vehicle door mounted continuous loop system
US4223914A (en) Seatbelt system
JPS594A (ja) シ−トベルトの調節可能な留め装置
KR19990021477U (ko) 시트벨트 가이드용 디링의 높이 조절장치
US4192530A (en) Passive seat belt system
US3371942A (en) Combination seat belt and upper torso restraint
KR101262684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웨빙 가이드 구조
JPH057091Y2 (ko)
KR0126172Y1 (ko) 자동차용 리어시이트 벨트 고정장치
KR200150558Y1 (ko) 시트벨트의 앵커 플레이트 유동장치
KR200151633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US4266810A (en) Passive seat belt system with guide clip
KR200213499Y1 (ko) 어린이용 안전밸트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JPH078324Y2 (ja) シートベルトのウェビング係留装置
JPH0710974Y2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ガ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