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262A - 러버마운팅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러버마운팅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262A
KR19990021262A KR1019970044797A KR19970044797A KR19990021262A KR 19990021262 A KR19990021262 A KR 19990021262A KR 1019970044797 A KR1019970044797 A KR 1019970044797A KR 19970044797 A KR19970044797 A KR 19970044797A KR 19990021262 A KR19990021262 A KR 19990021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mount
height
tab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형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4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262A/ko
Publication of KR19990021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262A/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러버 마운팅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러버와 2중러버를 고정하여 주는 상부 마운트와 하부 마운트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어, 마운트 개발 시에 러버 특성 등은 동일하게 유지하고 마운트의 높이만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그 러버 마운팅 장치를 새로 개발해야 하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러버(200)와 2중러버(201)를 고정하여 주는 상부 마운트(202)의 하단 내측면에 탭(202a)을 형성하고 하부 마운트(205)의 상단 외측면에 탭(205a)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마운트(202)의 탭(202a)에 결합하고 상기 하부 마운트(205)의 탭(205a)부위에 조절부재(208)를 체결하여 상기 조절부재(208)의 상하 이동에 의한 상기 상부 마운트(202)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마운트의 높이 변경시에 하부 마운트(205)만을 제작하여 교체가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러버 마운팅 높이 조절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MOUNT)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개발 초기 단계에 엔진 마운트 튜닝(Tuning)을 위한 테스트 시에 엔진의 마운트 높이를 손쉽게 조절하여 최적의 튜닝 효과와 제작의 용이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러버 마운팅(RUBBER MOUNT)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러버(RUBBER)는, 생고무를 주원료로 하고 아연화, 탄산마그네슘, 카본블랙 등을 혼합하여 가류(加硫)시켜 만든 것으로서, 연질 고무와 경질 고무로 분류되나 연질 고무는 탄성이 우수하고 내수성, 전기 절연성이 크다.
이와 같은 러버를 이용한 엔진 마운팅은, 그 모양에 따라 엔진의 중량이 주로 고무의 압축력으로 가해지는 압축형과 전단력으로 가해지는 전단형 및 압축과 전단의 양쪽 모두의 힘이 가해지는 경사형 등으로 분류되며 특히 경사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엔진 마운팅 개발시 러버 특성 등은 동일하게 유지하고 마운트의 높이만 변경하고자 할 때에 새로 개발되어야 하는 관계로 개발기간이 상당히 소요된다.
도 1은 종래 러버 마운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이 얹혀져 조립되는 러버(100)와, 상기 러버(100)의 하단에 결합되는 2중러버(101)와, 상기 러버(100)와 2중러버(101) 사이에 개재되는 플레이트(107)와, 상기 플레이트(107) 사이에 형성되어 오일(103)의 흐름을 제어하는 오리피스(104)와, 상기 2중러버(101)의 하단에 결합되어 차체에 고정되는 하부 마운트(105)와, 상기 하부 마운트(105)와 러버(100) 및 2중러버(101)를 고정하여 주는 상부 마운트(102)로 구성된 것으로, 도면중 미 설명부호 106은 에어(AIR)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러버 마운팅 장치는 먼저, 언진이 얹혀져 고정되는 러버(100)의 하단부에 2중러버(101)를 상부 마운트(102)로 고정하고 그 러버(100)와 2중러버(101) 사이에는 오리피스(104)가 형성된 플레이트(107)가 설치되어 러버(100)와 2중러버(101) 사이에 있는 오일(103)의 흐름을 제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2중러버(101)의 하단부에는 차체와 고정되는 하부 마운트(105)를 상기 상부 마운트(102)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러버 마운팅 장치는 자동차의 주행중 러버(100)의 상단에 얹혀져 고정되는 엔진의 중량이 가해지더라도 러버(100)가 이를 흡수하여 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러버 마운팅 장치는 러버(100)와 2중러버(101)가 상부 마운트(102)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인하여 러버 마운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마운트 개발 시에 러버 특성 등은 동일하게 유지하고 마운트의 높이만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그 러버 마운팅 장치를 새로 개발해야 하고 또한 러버 마운팅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내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엔진 마운트 튜닝을 위한 테스트 시에 엔진의 마운트 높이를 손쉽게 조절하여 최적의 튜닝 효과와 제작의 용이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러버 마운팅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러버와 2중러버를 고정하여 주는 상부 마운트의 내측면과 하부 마운트의 외측면에 각각 탭을 형성하여 결합하고 러버 마운트의 높이 변경 시에는 상기 하부마운트 만을 손쉽게 제작하여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러버 마운팅 높이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러버와 2중러버를 고정하여 주는 상부마운트의 하단 내측면에 탭을 형성하고 하부마운트의 상단 외측면에 탭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마운트의 탭과 상하 이동가능케 결합하고 상기 하부마운트의 탭부위에 조절부재를 끼워 상기 조절부재의 상하 이동에 의한 마운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 개발 초기 단계에 엔진 마운트 튜닝을 위한 테스트 시에 마운트의 높이를 조절부재를 통해 조절하고 높이 변경시에 상부마운트 제작없이 하부마운트 만을 제작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러버 마운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러버 마운팅 높이 조절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러버 201 : 2중러버
202 : 상부 마운트 203 : 오일
204 : 오리피스 205 : 하부 마운트
207 : 플레이트 208 : 조절부재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러버 마운팅 높이 조절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 단면도로서,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엔진이 얹혀져 조립되는 러버(200)와, 상기 러버(200)의 하단에 결합되는 2중러버(201)와, 상기 러버(200)와 2중러버(201) 사이에 개재되는 플레이트(207)와, 상기 플레이트(207) 사이에 형성되어 오일(203)의 흐름을 제어하는 오리피스(204)와, 상기 2중러버(201)의 하단에 결합되어 차체에 고정되는 하부마운트(205)와, 상기 하부마운트(205)와 러버(200) 및 2중러버(201)를 고정하여 주는 상부 마운트(202)로 구성되는 러버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마운트(202)의 단부 내측면에 탭(202a)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마운트(205)의 상단 외측면에 탭(205a)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마운트(202)의 탭(202a)에 결합하며, 상기 하부 마운트(205)의 탭(205a)에는 너트와 같은 조절부재(208)를 체결하여 상,하부 마운트(202),(205)를 고정한 것으로, 도면중 미 설명 부호 206은 에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러버 마운팅 높이 조절장치는, 언진이 얹혀져 고정되는 러버(200)의 하단부에 2중러버(201)를 상부마운트(202)로 고정하고 그 러버(200)와 2중러버(201) 사이에는 오리피스(204)가 형성된 플레이트(207)가 설치되어 러버(200)와 2중러버(201) 사이에 있는 오일(203)의 흐름을 제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2중러버(201)의 하단부에는 차체와 고정되는 하부마운트(105)가 상기 상부마운트(102)와 높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다시 말해서, 상기 상부 마운트(202)의 하단 내측면에 향성된 탭(202a)과 상기 하부 마운트(205a)의 상단 외측면에 형성된 탭(205a)을 상호 결합한 후에 상기 하부 마운트(205a)의 탭(205a) 부위에 나사와 같은 조절부재(208)를 체결하여 고정하여 준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엔진 마운트 튜닝을 위한 테스트 시에 상부 마운트(202)의 높이를 조절부재(208)를 통해 조절해 줄 수 있을 뿐아니라 마운트의 높이 변경시에는 상기 하부 마운트(205)만을 새로 제작하여 교체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개발 초기단계에 엔진 마운트 튜닝을 위한 테스트 시에 마운트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하여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튜닝 효과가 제공될 뿐 아니라 다양한 샘플 개발이 용이하고 또한 소정의 높이 조절시에는 조절부재를 통해 마운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높이 변경시에는 하부 마운트 만을 제작하여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엔진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러버(200)와 2중러버(201)를 고정하여 주는 상부 마운트(202)의 하단 내측면과 하부 마운트(205)의 상단 외측면에 각각 탭(202a),(205a)을 형성하여 결합하고 상기 하부 마운트(205)의 탭(205a) 부위에 조절부재(208)를 체결하여 상기 조절부재(208)의 상하 이동 조절에 의한 상기 상부 마운트(202)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러버 마운팅 높이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208)는 상기 하부 마운트(205)의 탭(205a)에 체결되는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 러버 마운팅 높이 조절 장치.
KR1019970044797A 1997-08-30 1997-08-30 러버마운팅 높이 조절장치 KR19990021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797A KR19990021262A (ko) 1997-08-30 1997-08-30 러버마운팅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797A KR19990021262A (ko) 1997-08-30 1997-08-30 러버마운팅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262A true KR19990021262A (ko) 1999-03-25

Family

ID=6603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797A KR19990021262A (ko) 1997-08-30 1997-08-30 러버마운팅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2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233A (ko) * 2017-03-06 2018-09-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마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233A (ko) * 2017-03-06 2018-09-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마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0777B2 (en) Engine mount
US7207553B2 (en) Engine mount
US7648129B2 (en) Fluid 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865637B2 (ja) 筒型防振装置
US20090140477A1 (en) Fluid filled type vibration damping device
US20090079116A1 (en) Vibration damp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90079115A1 (en) Vibration damping device
KR100530136B1 (ko) 액셀레이터 페달의 답력조절장치
US6988579B2 (en) Power unit mount structure for vehicles
KR19990021262A (ko) 러버마운팅 높이 조절장치
JPH07280035A (ja) エンジンマウント
JP3530492B2 (ja) 2室式マウント
AU2006100400B4 (en) A Component for an Engine Mount
JPH01153832A (ja) 弾性軸受
JPH0247615B2 (ko)
KR100363966B1 (ko) 기어변환제어레버의설치에응용할수있는장치
WO2010094088A1 (en) An engine mount
KR101834836B1 (ko) 자동차용 하이드로 엔진 마운팅 구조
KR100650652B1 (ko)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조립장치
KR100986343B1 (ko) 자동차용 롤 마운트
CN218198134U (zh) 一种舵机控制雷达装置
CN211648927U (zh) 一种可调式减震垫
CN219749691U (zh) 固定架组件及具有其的车辆
JPH1137217A (ja) 防振装置
KR102417526B1 (ko) 차량용 마운트의 인슐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