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938U - 스테빌라이저와 커넥팅 링크 연결부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스테빌라이저와 커넥팅 링크 연결부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938U
KR19990020938U KR2019970034426U KR19970034426U KR19990020938U KR 19990020938 U KR19990020938 U KR 19990020938U KR 2019970034426 U KR2019970034426 U KR 2019970034426U KR 19970034426 U KR19970034426 U KR 19970034426U KR 19990020938 U KR19990020938 U KR 199900209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connecting link
rubber
sp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4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938U/ko
Publication of KR199900209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938U/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4륜 구동차량의 프론트 현가장치에 있어 차체의 기울어짐을 줄이기 위해 장치되는 스테빌라이저와, 이 스테빌라이저의 양끝단을 로워컨트롤암에 고정하는 커넥팅 링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스테빌라이저와 상기 커넥팅 링크의 연결부를 탄성체에 의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테빌라이저가 작용될 때 발생되는 비틀림 모우먼트 및 주행중인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등 복합적인 외력이 전달될 때 이를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연결부에서 구성부품간의 마찰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한 세밀한 수단으로 스테빌라이저에 형성한 단홈에 밀착삽입되어 완충작용 하는 링형러버와, 상기 링형러버에 일측이 지지되어 완충작용 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측을 지지하면서 완충작용 하는 단형러버와, 상기 단형러버에 일측이 밀착되고 반대측은 커넥팅 링크에 밀착되어 상기 스프링 및 단형러버의 탄성력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플레이트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테빌라이저와 커넥팅 링크 연결부 완충장치
본 고안은 4륜 구동차량의 프론트 현가장치에 있어 차체의 기울어짐을 줄이기 위해 장치되는 스테빌라이저와, 이 스테빌라이저의 양끝단을 로워컨트롤암에 고정하는 커넥팅 링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스테빌라이저와 상기 커넥팅 링크의 연결부를 탄성체에 의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테빌라이저가 작용될 때 발생되는 비틀림 모우먼트 및 주행중인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등 복합적인 외력이 전달될 때 이를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연결부에서 구성부품간의 마찰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차량에 장치되는 스테빌라이저는 차체의 기울어짐을 줄이기 위하여 앞뒤 바퀴의 인접부 모두에 구성되어 사용되고 있는 일종의 "비틀림 봉 스프링"이다.
예를 들면, 코너링을 할 때 바깥쪽 바퀴가 타물체에 부딪치거나, 안쪽 바퀴가 튀어오르는 경우 이때 좌우 바퀴의 움직임을 같게 하는 작용을 하여 차체의 기울기를 줄여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테빌라이저(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빌라이저(1)를 국부에서 고정하는 부속적인 고정수단과 함께 스테빌라이저(1)의 양끝단을 로워컨트롤암(2)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커넥팅 링크(3)가 구성되고 있다.
이때, 스테빌라이저(1)의 양끝단을 로워컨트롤암(2)에 고정하는 커넥팅 링크(3)는 로워컨트롤암(2)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스테빌라이저(1)의 양단을 위치시켜 차량의 기울어짐을 줄이는 기능이 원할히 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때의 스테빌라이저(1)와 커넥팅 링크(3)의 연결구조는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너트(4)의 체결로 이루어지는 단순구조로 되어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커넥팅 링크(3)의 나사부(5)를 스테빌라이저(1)에 형성된 구멍(6)속으로 결합한 뒤 너트(4)를 커넥팅 링크(3)의 나사부(5)에 체결하여 연결하는 구조이다.
종래의 이러한 연결구조는 단순히 너트(4)의 체결력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스테빌라이저(1)가 차체의 기울어짐을 줄이는 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비틀림모먼트 및 차량 주행중에 발생되어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화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지 못한다.
더욱이 장기적으로 반복적인 스테발라이저(1)의 작용과 주행과정에서 발생된 진동등의 복합적인 외력 작용에 의해 나사부(5)에 체결된 너트(4)가 풀려 구성부품을 파손시킬 수 있고, 스테빌라이저(1)와 커넥팅 링크(3) 결합부에서 부품간의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어 차량의 정숙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스테빌라이저와 커넥팅 링크의 연결부에 복합적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완화시키고, 구성부품간의 마찰을 저감 내지 방지할 수 있도록 벨로우즈막이 씌워진 스프링과 고형의 탄성소재인 러버로 구성되는 완충수단을 스테빌라이저와 커넥팅 링크의 사이에 구성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스테빌라이저와 커넥팅 링크가 구성된 리어현가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도 1 "가"부를 발췌한 스테빌리이저와 커넥팅 링크의 연결부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으로 스테빌리이저와 커넥팅 링크의 연결부를 발췌한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스테빌라이저 102 : 커넥팅 링크
103 : 단홈 104 : 링형러버
105 : 스프링 106 : 단형러버
107 : 플레이트 108 : 벨로우즈막
109 : 나사부 110 : 너트
본 고안인 "스테빌라이저와 커넥팅 링크 연결부 완충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실시하고 있는 프론트 현가장치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스테빌라이저와 컨넥팅 링크의 연결부를 부분발췌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같이 차체의 기울어짐을 줄이기 위하여 앞뒤 바퀴 인접부에 구성되는 스테빌라이저(101)와 상기 스테빌라이저(101)의 양끝단을 로워컨트롤암에 고정하는 커넥팅 링크(102)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101)와 상기 커넥팅 링크(102) 사이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시키도록 스테빌라이저(101)에 형성한 단홈(103)에 밀착삽입되어 완충작용 하는 링형러버(104)와, 상기 링형러버(104)에 일측이 지지되어 완충작용 하는 스프링(105)과, 상기 스프링(105)의 타측을 지지하면서 완충작용 하는 단형러버(106)와, 상기 단형러버(106)에 일측이 밀착되고 반대측은 커넥팅 링크(102)에 밀착되어 상기 스프링(105) 및 상기 단형러버(106)의 탄성력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판형의 플레이트(107)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05)의 외주면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연속되게 주름진 형상을 한 벨로우즈막(108)을 씌운다.
미설명 부호 109는 커넥팅 링크(102)의 나사부(110)에 체결되는 너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스테빌라이저(101)와 커넥팅 링크(102)의 사이에서 링형러버(104)와 단형러버(106)에 각각의 일측이 지지된 상태로 구성한 스프링(105)에 의해 스테빌라이저(101)가 차체기울임을 줄이는 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비틀림모먼트와 차량 주행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복합적인 외력을 주도적으로 완화하고, 일부는 링형러버(104)와 단형러버(106)로 분산되어 완화되기 때문에 스테빌리이어(101)와 커넥팅 링크(102)의 연결부의 완충효과를 높이게 된다.
그리고, 커넥팅 링크(102)의 나사부(109)에 체결된 너트(110)는 체결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스프링(105)을 가압하기 때문에 가압된 스프링(105)의 지속적인 발력으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풀림이 방지된다.
즉, 본 고안에서 실시하고 있는 구성의 특성과 동작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것은 차체의 기울어짐을 줄이기 위하여 차량 앞뒤 바퀴의 인접부 모두에 구성되는 스테빌라이저(101)와 이 스테빌라이저(101)의 양끝단을 로워컨트롤암에 고정하는 고정부품인 커넥팅 링크(102)의 연결부를 충분한 진동완화 기능을 갖도록 하면서 구성부품간의 마찰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확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05)을 스테빌라이저(101)와 커넥팅 링크(102)의 사이에 구성하여 전반적인 완충기능을 담당하도록 하였고, 스프링(105)의 양측에는 고형의 탄성재질로 제작한 링형러버(104) 및 단형러버(106)를 첨가적으로 구성하여 스프링(105)에 이어 완충기능을 분산 담당하도록 하였다.
우선, 링형러버(104)는 스테빌라이저(101)에 단홈(103)을 형성하고, 이 단홈(103) 벽면에 밀착시켜 구성하였다.
이때, 단홈(103)은 링형러버(104)가 안착되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 뿐만 아니라 스프링(105)이 유동되면서 위치가 바뀌는 것을 억제시켜 안정적인 위치를 확보해 주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스테비라이저(101)의 단홈(103) 벽면에 밀착된 링형러버(104)의 이면에는 전달되는 진동을 주도적으로 완충하는 스프링(105)이 지지된다.
스프링(105)은 일반적인 형태의 코일 스프링으로 반대측은 단형러버(106)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수축작용하며 완화시키고, 이 스프링(105)의 외주에는 스프링(105)이 지지되는 상태와 마찬가지로 링형러버(104)와 단형러버(106)에 각각 일측이 지지되는 벨로우즈막(108)이 감싸고 있다.
이때의 벨로우즈막(108)은 반복적으로 주름지게 형성한 원형의 막으로 기계장치의 동작부 혹은 관절운동이 발생되는 부분에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는 구성부품이다.
본 고안에서 벨로우즈막(108)을 사용한 목적도 스프링(105) 사이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원할한 쿠션작용을 방해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해한 것이다
한편, 커넥팅 링크(102)에 밀착된 단형러버(106)는 판형의 플레이트(107)에 일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반대측면에서 스프링(105)과 벨로우즈막(108)을 지지하며 링형러버(104)와 함께 스프링(105)에 이어 진동을 완화시키는데 단형러버(106)를 플레이트(107)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전달되는 진동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완충되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은 특성으로 구성한 본 고안의 동작은 스테빌라이저(101)가 차체의 기울어짐을 줄이기 위해 작용될 때 발생되는 비틀림모먼트 및 진동등 차량 주행과정에서 발생된 복합적인 외력이 스테빌라이저(101)와 커넥팅 링크(102)가 연결된 연결부에 전달되면 스프링(105)이 수축작용 하면서 전달되는 외력을 주도적으로 완충시키고, 이어 스프링(105)의 양측면에 구성한 링형러버(104)와 단형러버(106)에서 완충작용을 보조하게 된다.
따라서, 스테빌라이저(101)가 작용될 때 발생되는 비틀림 모우먼트 및 주행중인 차량에 발생되는 진동이 스테빌라어저(101)와 커넥팅 링크(102)의 연결부에서 완화되고, 이로인해 연결부에서 구성부품간의 마찰이 완만해져 마찰로 인한 소음이 저감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4륜 구동차량의 프론트 현가장치에 있어 차체의 기울어짐을 줄이기 위해 장치되는 스테빌라이저와, 이 스테빌라이저의 양끝단을 로워커트롤암에 고정하는 커넥팅 링크의 연결부에 스프링과 링형러버 및 단형러버의 탄성체에 의해 진동을 완화시키는 완충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스테빌라이저가 작용될 때 발생되는 비틀림 모우먼트 및 주행중인 차량에 발생되는 진동등 복합적인 외력을 완화하고, 연결부에서 구성부품간의 마찰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저감 내지 억제시키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차체의 기울어짐을 줄이기 위하여 앞뒤 바퀴 인접부에 구성되는 스테빌라이저(101)와 상기 스테빌라이저(101)의 양끝단을 로워컨트롤암에 고정하는 커넥팅 링크(102)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101)와 상기 커넥팅 링크(102)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시키도록 스테빌라이저(101)에 형성한 단홈(103)에 밀착삽입되어 완충작용 하는 링형러버(104)와,
    상기 링형러버(104)에 일측이 지지되어 완충작용 하는 스프링(105)과,
    상기 스프링(105)의 타측을 지지하면서 완충작용 하는 단형러버(106)와,
    상기 단형러버(106)에 일측이 밀착되고 반대측은 커넥팅 링크(102)에 밀착되어 상기 스프링(105) 및 상기 단형러버(106)의 탄성력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판형의 플레이트(107)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와 커넥팅 링크 연결부 완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05)의 외주면에 연속되게 주름진 형상을 한 벨로우즈막(108)을 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와 커넥팅 링크 연결부 완충장치.
KR2019970034426U 1997-11-28 1997-11-28 스테빌라이저와 커넥팅 링크 연결부 완충장치 KR199900209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426U KR19990020938U (ko) 1997-11-28 1997-11-28 스테빌라이저와 커넥팅 링크 연결부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426U KR19990020938U (ko) 1997-11-28 1997-11-28 스테빌라이저와 커넥팅 링크 연결부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938U true KR19990020938U (ko) 1999-06-25

Family

ID=69692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426U KR19990020938U (ko) 1997-11-28 1997-11-28 스테빌라이저와 커넥팅 링크 연결부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93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2272A (zh) * 2021-01-24 2021-05-11 北京埃彼咨能源科技有限公司 罐底漏磁成像检测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2272A (zh) * 2021-01-24 2021-05-11 北京埃彼咨能源科技有限公司 罐底漏磁成像检测仪
CN112782272B (zh) * 2021-01-24 2024-03-22 北京埃彼咨能源科技有限公司 罐底漏磁成像检测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0938U (ko) 스테빌라이저와 커넥팅 링크 연결부 완충장치
KR100313801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JP4644103B2 (ja) 防振装置
JP2004306952A (ja) サブフレームのマウントブッシュ
KR100471830B1 (ko) 차량의 현가장치
KR200227333Y1 (ko) 더블댐핑부시
KR19990035384A (ko) 커텍팅 링크의 완충보강장치
KR0137690Y1 (ko)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
KR19980055003U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코일 스프링
KR100456885B1 (ko) 후륜 현가 장치의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
KR19980040174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암 부시
KR200146414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0177456B1 (ko) 차량 서스펜션의 횡강성 향상 방법
KR100192283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
JPH03227709A (ja) 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0224491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100199945B1 (ko) 이중 스트럿 마운트를 구비한 프론트 현가장치
KR19980029768A (ko)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 스트럿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 취부구조
KR0162794B1 (ko) 자동차 서스펜션용 부쉬
KR100356190B1 (ko) 쇽업소버의 로워시트 가변장치
KR19990033837A (ko) 하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00191611B1 (ko)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19990020006A (ko) 볼조인트 리테이너
KR19980054178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스테빌라이저
JP2002213526A (ja) 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