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456B1 - 차량 서스펜션의 횡강성 향상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서스펜션의 횡강성 향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456B1
KR0177456B1 KR1019950063692A KR19950063692A KR0177456B1 KR 0177456 B1 KR0177456 B1 KR 0177456B1 KR 1019950063692 A KR1019950063692 A KR 1019950063692A KR 19950063692 A KR19950063692 A KR 19950063692A KR 0177456 B1 KR0177456 B1 KR 0177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rear axle
axle arm
vehicle
vehicle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3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4093A (ko
Inventor
최창언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3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456B1/ko
Publication of KR970034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4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4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00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 B60G9/02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the axle or housing being pivotally mounted on the vehicle, e.g. the pivotal axis be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60G9/022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the axle or housing being pivotally mounted on the vehicle, e.g. the pivotal axis be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the axle having an imaginary pivotal point
    • B60G9/025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the axle or housing being pivotally mounted on the vehicle, e.g. the pivotal axis be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the axle having an imaginary pivotal point using linkages for the suspension of the axle allowing its lateral swinging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60G2204/4104Bushings having modified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 B60G2204/41043Bushings having modified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formed by a U-shaped external brac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60G2204/4306Bracket or knuckle for rigid axles, e.g. f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2Shaping by st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의 리어액슬암 부시 조립체를 횡방향으로 하드한 특성 부시로 구성하여 리어액슬암이 코너링시의 작용되는 횡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켜 코너링시의 핸들링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리어액슬암에 형성된 아우뎌스틸튜브에 인서트수틸튜브와 러버부시로 형성된 댐핑부시가 내설되고, 상기의 댐핑부시가 내설된 리어액슬암이 보디에 형성된 롱기튜디날멤버에 고정된 멤버브래킷에 삽입되어 블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될 때, 상기 멤버브래킷에 양단 내측과 러버부시 양단의 외측사이에 다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 서스펜션의 횡강성 향상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종래 탄성지지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멤버브래킷 10a : 돌기부
11 : 아우터 스틸튜브 12 : 리버부시
13 : 인서트 스틸튜브 14 : 볼트
15 : 너트 100 : 리어액슬암
120 : 롱기튜디날멤버 200 : 쇽압소버
300 : 타이어
본 발명은 서스펜션 시스템의 리어액슬 부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의 리어액슬이 롱기튜디날멤버(longitudinal member) 브래킷에 부시를 사용하여 탄성지지될 때 횡방향의 강성을 크게 하며, 종방향의 탄성력을 유지시키는 차량 서스펜션의 횡강성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에 있어서, 콤파운드 링크방식은 제1도 및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액슬암(100)이 차량 바디에 구성된 롱기튜디날멤버(120)에 착설된 멤버브래킷(10)에 탄성 지지하기 위해서, 부시(11)(12)를 리어액슬암(100)에 압입하여, 상기의 압입되어진 부시(11)(12)(13)로 형성된 리어액슬암(100)을 멤버브래킷(10)에 볼트체결(14)(15)로 조립하여, 상기의 리어액슬암(100)이 멤버브래킷(10)에 의해 보디와 연결 지지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리어액슬암(100)의 종단부는 후면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바퀴고정부까지 연결되어져, 상기 종단부의 지지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보디프레임에 지지된다.
상기의 서스펜션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이 빠른 속도의 코너링 주행을 하게 되면 원심력에 의해 차체는 바깥쪽으로 쏠리는 차량의 무게중심 이동에 따른 횡하중이 발생되어 상기 서스펜션 시스템에 작용되게 된다. 상기의 리어액슬암에 삽입된 부시조립체가 횡하중이 작용할 때 고정점이 되어, 상기 고정점으로부터 작용점이 되는 바퀴지지부까지의 길이가 형성되며 회전 모우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상기 회전 모우멘트는 양쪽 리어액슬을 지지하며 횡방향 강성이 고려하여 제작되어진 리어액슬 서포트에 의해 상기 회전 모우멘트가 소멸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횡하중 전달과정에서 리어액슬암의 러버부시가 압축 변형되면서 상기의 서스펜션 시스템의 횡하중 전달 체계가 흐트러지게 되어 차량의 코너링시 핸들링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다.
발명의 목적은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의 리어액슬암 부시조립체를 횡방향으로 하드한 특성 부시로 구성하여 리어액슬암이 코너링시의 작용되는 횡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켜 코너링시의 핸들링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리어액슬암에 형성된 아우터 스틸튜브에 인서트 스틸튜브와 러버부시로 형성된 댐핑부시가 내설되고, 상기의 댐핑부시가 내설된 리어액슬암이 보디에 형성된 롱기튜디날멤버에 고정된 멤버브래킷에 삽입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될 때, 상기 멤버브래킷에 양단 내측과 러버부시 양단의 외측 사이에 다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서스펜션 시스템의 리어액슬암 부시가 차량 코너링시의 횡하중이 작용하여도, 멤버브래킷 양단 내측 돌기부가 러버부시를 변형되지 않게 지지하는 구성이어서 컴파운드 링크타입 서스펜션 시스템의 횡하중 전달 체계를 유지하여, 차량 핸들링이 나빠지는 것을 예방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 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며, 제4도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액슬암(100)에 형성된 아우터 스틸튜브(11)에 인서트 스틸튜브(13)와, 러버부시(12)로 형성된 댐핑부시(11)(12)(13)가 내설되고, 상기의 댐핑부시(11)(12)(2.3)가 내설된 리어액슬암(100)이 보디에 형성된 롱기튜디날멤버(120)에 고정된 멤버브래킷(10)에 삽입되어 볼트(14)와 너트(15)에 의해 체결될 때, 상기 멤버브래킷(10)에 양단 내측과 러버부시(12) 양단 외측 사이의 관통볼트(14)를 기준으로 그 상하에 상기 멤버브래킷(10)을 프레스 성형한 돌기부(10a)가 형성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이 코너링할 때 차량 서스펜션 시스템에 횡하중이 작동되어 핸들링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고, 멤버브래킷의 형성된 다수개 돌기부가 댐핑부시의 횡방향으로 지지력을 증대시켜 횡강성이 커지면서 하드부시 특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리어액슬암(100)에 아우터 스틸튜브(11)와 러버부시(12) 그리고 인서트 스빌튜브(13)로 형성된 부시가 내설되고, 상기의 부시조립체(11)(12)(134)가 내설된 리어액슬암(100)이 차량보디에 형성된 롱기튜디날멤버(120)에 고정된 멤버브래킷(10)에 삽입되어 볼트(14)와 너트(15)로 체결되어 구성하는 차량 컴파운드 링크서스펜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멤버브래킷(10)의 양쪽 내측부와 러버부시(12) 양단 외측 사이에 횡강성을 향상시키는. 지지수단으로 관통볼트(14)를 기준으로 그 상하에 각각 멤머브래킷(10)을 프레스하여 형성한 돌기부(103)를 구비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의 부시의 횡강성 향상 방법.
KR1019950063692A 1995-12-29 1995-12-29 차량 서스펜션의 횡강성 향상 방법 KR0177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3692A KR0177456B1 (ko) 1995-12-29 1995-12-29 차량 서스펜션의 횡강성 향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3692A KR0177456B1 (ko) 1995-12-29 1995-12-29 차량 서스펜션의 횡강성 향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093A KR970034093A (ko) 1997-07-22
KR0177456B1 true KR0177456B1 (ko) 1999-03-20

Family

ID=1944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3692A KR0177456B1 (ko) 1995-12-29 1995-12-29 차량 서스펜션의 횡강성 향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232A (ko) * 2015-06-12 2016-12-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232A (ko) * 2015-06-12 2016-12-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093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7456B1 (ko) 차량 서스펜션의 횡강성 향상 방법
JP3701958B2 (ja) サブフレームのマウントブッシュ
KR100199759B1 (ko) 크로스멤버 내장형 보조스프링겸용 스테빌라이저
KR100293679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아암 장착 부시 시스템
KR960003495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JPH0428805Y2 (ko)
KR100235185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볼 조인트
KR100281822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192407B1 (ko)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
KR200303517Y1 (ko) 서스펜션시스템의스트럿구조
KR920004847Y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부싱구조
KR100192331B1 (ko) 화물트럭용 2축식 현가장치
KR20050006804A (ko) 현가장치
KR100211575B1 (ko) 자동차 어퍼 암 축핀의 핀 볼트 고정구조
KR200317033Y1 (ko) 차량의수직강성제어가개선된스테빌라이저바
KR100201471B1 (ko)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
KR200174691Y1 (ko) 자동차의 아암부쉬
KR20040033803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어컨트롤암 부시
KR20070027086A (ko) 차량의 스트러트용 인슐레이터
KR19980054132A (ko)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KR19980046563A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용 부시
KR20010059110A (ko) 자동차의 세미 트레일링 아암 타입 현가장치
KR20050047947A (ko) 비독립 후륜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트레일링암 부시
KR19990059797A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9980038363U (ko)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