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727U -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727U
KR19990020727U KR2019970034213U KR19970034213U KR19990020727U KR 19990020727 U KR19990020727 U KR 19990020727U KR 2019970034213 U KR2019970034213 U KR 2019970034213U KR 19970034213 U KR19970034213 U KR 19970034213U KR 19990020727 U KR19990020727 U KR 199900207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air
blower
indoor unit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곤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70034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727U/ko
Publication of KR199900207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727U/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키지 에어컨의 개선된 실내기를 개시한다.
종래에는 송풍기에 의한 기류가 증발기의 특정부위에 편중되어 증발기의 전체 열교환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그 전면 상하부에 토출 및 흡입그릴을 갖는 캐비닛과, 이 캐비닛의 내부 상측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순환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 하측에 위치되어 실내공기를 증발기 측으로 불어주는 송풍기와, 증발기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그 응축수를 수집 배출하는 드레인팬을 구비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스크롤 하우징의 공기토출구에, 송풍기의 팬에 의해 토출되는 기류가 상기 증발기의 전부위에 걸쳐 균일한 풍량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에어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증발기의 열교환효율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패키지 에어컨 실내기의 냉각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Description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본 고안은 패키지 에어컨(packaged air conditioner)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증발기(evaporator)를 내장하여 실내공기를 냉각시키는 실내기(indoor unit)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냉각사이클(cooling cycle)을 이용한 패키지 에어컨은 실내의 바닥면상에 거치되어 비교적 넓은 공간의 냉방에 사용되는 중소형의 공기조절장치로서, 압축기(compressor)에서 압축된 냉매가스(冷媒gas)를 응축기(condenser)에서 외기와의 열교환으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통해 증발기에서 내기와의 열교환으로 기화시켜 흡수되는 냉매의 기화열(氣化熱)에 의해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패키지 에어컨은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내장하여 냉매를 압축 및 액화시키는 실외기(outdoor unit)와, 증발기 등을 내장하여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실내공기를 냉각시키는 실내기로 분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는 이러한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것은 캐비닛(1)의 내부 상측에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2)가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하측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증발기(2) 측으로 불어줌으로써 순환시키는 원심식 송풍기(blower:3)가 설치된다. 그리고 캐비닛(1)의 전면 하부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inlet grill:6)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그릴(outlet grill:7)이 구비된다. 한편 증발기(2)의 표면에는 공기가 냉각되는 과정에서 그에 포함된 수분이 순간적인 온도차로 응축됨으로써 다량의 응축수(凝縮水)가 발생되는 바, 증발기(2)의 하단에는 그 응축수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드레인팬(drain pan:8)이 구비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실내기는 송풍기(3)의 스크롤 하우징(scroll housing:4) 공기토출구(4b)가 증발기(2)를 향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데, 송풍기(3) 자체는 캐비닛(1)의 배면판에 설치되어 후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되는 바, 그 팬(fan:5)에 의한 기류가 증발기(2)의 특정부위에 집중되어 송풍되게 된다. 이로 인해 증발기(2)의 단위면적당 풍량이 그 부위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게 되어 증발기(2) 표면에서의 열교환량이 특정부위에 편중됨으로써 충분한 풍량에도 불구하고 그 전체적인 냉각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송풍기에 의한 기류가 증발기의 전 부위로 균일하게 흐르도록 유도함으로써 증발기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그 전면 상하부에 토출 및 흡입그릴을 갖는 캐비닛과, 이 캐비닛의 내부 상측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순환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 하측에 위치되어 실내공기를 증발기 측으로 불어주는 송풍기와, 증발기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그 응축수를 수집 배출하는 드레인팬을 구비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스크롤 하우징의 공기토출구에, 송풍기의 팬에 의해 토출되는 기류가 상기 증발기의 전부위에 걸쳐 균일한 풍량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에어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사각틀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선단부가 상기 증발기를 향하도록 소정곡률의 호형으로 형성되어 기류를 증발기의 각부위로 유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각 블레이드의 곡률이 캐비닛의 전방쪽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송풍기에 의한 기류가 증발기의 전부위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증발기 전체에서 고른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패키지 에어컨의 냉방성능과 신뢰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는 종래의 실내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실내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 에어가이드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캐비닛(cabinet) 13 : 증발기(evaporator)
13 : 송풍기(blower)
14 : (송풍기의) 스크롤 하우징(scroll housing)
14b : (스크롤 하우징의) 공기토출구
15 : (송풍기의) 팬(fan) 19 : 에어가이드(air guide)
20 : (에어가이드의) 프레임(frame) 22 : (에어가이드의) 블레이드(blade)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본 고안에 의한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캐비닛(11)의 내부 상측으로 실외기(도시하지 않음)의 응축기 및 압축기와 연결되어 실내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12)가 설치되고, 이 증발기(12)의 하측으로 캐비닛(11)의 배면판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증발기(12) 측으로 불어줌으로써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원심식 송풍기(13)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를 위해 캐비닛(11)의 전면판 하부에는 송풍기(13)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캐비닛(11)으로 흡입되는 흡입그릴(16)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증발기(12)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그릴(17)이 설치된다. 또한 송풍기(13)는 팬(fan:15)를 수납하는 스크롤 하우징(14)의 공기흡입구(14a)가 캐비닛(11)의 흡입그릴(16)를 향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고, 그 공기토출구(14b)는 증발기(12)를 향하도록 수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증발기(12)의 표면에는 공기와의 열교환시 공기중의 수분이 상대적인 온도차에 의해 응축됨으로써 다량의 응축수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응축수는 실내를 오염시키게 되므로 적절히 배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에 따라 증발기(12)는 응축수의 배수를 위해 캐비닛(11)에 대하여 적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하단에는 응축수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드레인팬(18)이 구비된다.
한편 송풍기(13)에 의한 기류는 실내기의 구조적 특징상 증발기(12)의 상단부측으로만 편중되어 송풍됨으로써 그 열교환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바, 송풍기(13) 스크롤 하우징(14)의 공기토출구(14b)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팬(15)에 의한 기류가 증발기(12)의 전부위에 걸쳐 균일한 풍량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에어가이드(19)가 설치된다.
이러한 에어가이드(19)는 기류를 증발기(12)의 전부위로 균일하게 유도할 수만 있으면 어떠한 형태라도 좋은 바, 예를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하우징(14)의 공기토출구(14b)에 고정되는 사각틀형상의 프레임(20)과, 이 프레임(20)의 내부에 캐비닛(11)의 전후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기류의 흐름경로를 증발기(12) 측으로 유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22)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19)의 프레임(20)은 다수의 체결구멍(21a)을 갖는 외향 플랜지(21)를 구비하여, 스크롤 하우징(14)의 플랜지(14c)에 형성된 체결구멍(14d)과 볼트(bolt:23)로 체결됨으로써 스크롤 하우징(14)의 공기토출구(14b) 가장자리에 고정된다.
각 블레이드(22)는 기류가 경사지게 배치된 증발기(12)의 전부위로 고르게 유도될 수 있도록 그 선단이 증발기(12)를 향하는 소정곡률의 호(弧)형으로 구성되는데, 송풍기(13)는 캐비닛(11)의 후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되므로 바람직하기로는 캐비닛(11)의 전방측으로 갈수록 각 블레이드(22)의 곡률이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한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송풍기(13)로부터 토출된 기류가 에어가이드(19)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증발기(12)의 전부위에 걸쳐 거의 균일한 풍량으로 분포되어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증발기(12)와 기류간의 열교환이 종래와 같이 증발기(12)의 특정부위에만 편중되지 않고 그 전부위에서 고르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동일한 풍량으로도 증발기(12) 전체의 열교환효율이 크게 증대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송풍기에 의한 기류를 증발기의 전부위에 거의 균일한 양으로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증발기의 열교환효율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패키지 에어컨의 냉각성능과 신뢰성 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그 전면 상하부에 토출 및 흡입그릴을 갖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 상측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순환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 하측에 위치되어 실내공기를 상기 증발기 측으로 불어주는 송풍기와,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그 응축수를 수집 배출하는 드레인팬을 구비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3)의 스크롤 하우징(14)의 공기토출구(14b)에, 송풍기(13)의 팬(15)에 의해 토출되는 기류가 상기 증발기(12)의 전부위에 걸쳐 균일한 풍량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에어가이드(1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19)는, 상기 하우징(14)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사각틀형상의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선단부가 상기 증발기(12)를 향하도록 소정곡률의 호형으로 형성되어 기류를 증발기(12)의 각부위로 유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블레이드(22)의 곡률이 캐비닛(11)의 전방쪽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2019970034213U 1997-11-28 1997-11-28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199900207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213U KR19990020727U (ko) 1997-11-28 1997-11-28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213U KR19990020727U (ko) 1997-11-28 1997-11-28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727U true KR19990020727U (ko) 1999-06-25

Family

ID=6969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213U KR19990020727U (ko) 1997-11-28 1997-11-28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727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579A (ko) * 1999-04-07 2000-11-15 전주범 패키지형 에어컨디셔너의, 가이드 베인을 갖는 스크롤
KR100738716B1 (ko) * 2000-08-28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에어컨의 송풍팬 어셈블리
KR101125880B1 (ko) * 2009-03-25 201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순환식 히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KR101417050B1 (ko) * 2008-01-15 2014-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0057071A (zh) * 2019-05-21 2019-07-26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导风结构及空调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579A (ko) * 1999-04-07 2000-11-15 전주범 패키지형 에어컨디셔너의, 가이드 베인을 갖는 스크롤
KR100738716B1 (ko) * 2000-08-28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에어컨의 송풍팬 어셈블리
KR101417050B1 (ko) * 2008-01-15 2014-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25880B1 (ko) * 2009-03-25 201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순환식 히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CN110057071A (zh) * 2019-05-21 2019-07-26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导风结构及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9800B2 (en) Dehumidification drainage system with mist eliminator
KR19990020727U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200163495Y1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US6349555B1 (en) Turbulence inducer for condensate sub-cooling coil
KR200164944Y1 (ko) 패키지 에어컨의 증발기 조립구조
KR100789817B1 (ko) 공기조화기용 원심팬
KR100392403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39812B1 (ko)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비산 장치
KR200175390Y1 (ko) 패키지 에어컨 실내기용 송풍기
KR0139260Y1 (ko) 창문형 에어컨디셔너
KR200164942Y1 (ko) 에어컨의 실외기
KR100874230B1 (ko) 천장형 에어컨의 응축수 집수구조
KR200163496Y1 (ko) 에어컨의 실외기
KR100296243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KR0115203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0110429Y1 (ko) 공기조화기의 효율증대 및 소음저감장치
KR19990029484U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100352433B1 (ko)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KR0176924B1 (ko) 분리형 에어콘의 실외기
KR0125629Y1 (ko) 공기조화기
KR0140250B1 (ko) 창문형 에어콘의 풍향분산구조
KR200161858Y1 (ko) 패키지 에어컨의 증발기 조립구조
KR100381158B1 (ko) 제습기
KR100229646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146117Y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수 스플래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