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484U -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484U
KR19990029484U KR2019970042149U KR19970042149U KR19990029484U KR 19990029484 U KR19990029484 U KR 19990029484U KR 2019970042149 U KR2019970042149 U KR 2019970042149U KR 19970042149 U KR19970042149 U KR 19970042149U KR 19990029484 U KR19990029484 U KR 199900294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cabinet
indoor unit
air conditioner
cl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병량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70042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9484U/ko
Publication of KR199900294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484U/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키지 에어컨의 개선된 실내기를 개시한다.
종래에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증발기의 청소시 전면부를 분리시킨 후 증발기를 청소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증발기의 후면을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그 전면 상하부에 토출 및 흡입 그릴을 갖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 하측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순환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 상측에 위치되어 실내 공기를 상기 토출 그릴 측으로 불어 주는 송풍기와, 상기 증발기의 하단 부에 설치되어 그 응축수를 수집 배출하는 드레인 팬을 구비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하측에 증발기의 후면을 청소하기 위한 도어와;상기 드레인 팬은 캐비닛의 하면을 커버 할 수 있도록 그 넓이와 높이가 확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증발기의 청소가 편리하고, 증발기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 할 수 있어 증발기의 오염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본 고안은 패키지 에어컨(packaged air conditioner)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증발기(evaporator)를 내장하여 실내 공기를 냉각시키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indoor unit)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냉각 사이클(cooling cycle)을 이용한 패키지 에어컨은 실내의 바닥 면상에 거치 되어 비교적 넓은 공간의 냉방에 사용되는 중소형의 공기조절 장치로서, 압축기(compressor)에서 압축된 냉매 가스(冷媒gas)를 응축기(condenser)에서 외기와의 열 교환으로 액화시킨 뒤, 팽창 밸브(expansion valve)를 통해 증발기에서 내기와의 열 교환으로 기화시켜 흡수되는 냉매의 기화열(氣化熱)에 의해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패키지 에어컨은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내장하여 냉매를 압축 및 액화시키는 실외기(outdoor unit)와, 증발기 등을 내장하여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실내 공기를 냉각시키는 실내기(indoor unit)로 분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는 이러한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것은 캐비닛(1)의 내부 하측에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2)가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상측으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증발기(2) 측을 통과한 후 토출 그릴로 불어 줌으로써 순환시키는 송풍기(blower:3)가 설치된다.
그리고 캐비닛(1)의 전면 하부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그릴(inlet grill:6)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그릴(outlet grill:7)이 구비된다. 한편 증발기(2)의 표면에는 공기가 냉각되는 과정에서 그에 포함된 수분이 순간적인 온도차로 응축됨으로써 다량의 응축수(凝縮水)가 발생되는 바, 증발기(2)의 하단에는 그 응축수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드레인 팬(drain pan:8)이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실내기는, 캐비닛(1)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12)가 이 물질이나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에는 냉방 효율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므로, 정기적으로 증발기를 청소 하게 된다.
종래에는 실내기의 전면에 설치된 흡입 그릴(inlnet:6)을 분리시킨 후, 고압 공기를 사용하여 증발기에 부착된 먼지나 이 물질을 불어 내거나, 또는 물을 뿌려서 증발기에 있는 먼지나 이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증발기의 후면의 접근이 어려워 증발기 후면을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을 뿌려서 청소하는 경우에는 드레인 팬의 크기와 높이가 작아 바닥으로 물이 흘러 넘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증발기 후면의 청소가 용이하고, 물청소시 물이 바닥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그 전면 상하부에 토출 및 흡입 그릴을 갖는 캐비닛과, 이 캐비닛의 내부 하측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순환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 상측에 위치되어 실내 공기를 토출 그릴 측으로 불어 주는 송풍기와, 증발기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그 응축수를 수집 배출하는 드레인 팬을 구비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후면에 상기 증발기의 후면을 청소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 팬은 캐비닛의 하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그 넓이와 높이가 확장 형성된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증발기의 후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물청소시 물이 바닥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도 1는 종래의 실내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실내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의한 실내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대한 개폐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닛(cabinet) 12 : 증발기(evaporator)
13 : 송풍기(blower) 14 : (증발기)의 드레인 팬(drain fan)
20 : 도어(door) 23 : 탄성 고정편
24 : 힌지(hinge)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캐비닛(10)의 내부 하측에는 실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12)가 설치되고, 이 증발기(12)의 상측으로 캐비닛(11)의 후면 판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그릴(17) 측으로 불어 줌으로써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13)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캐비닛(11)의 전면판 하부에는 송풍기(13)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캐비닛(11)으로 흡입되는 흡입 그릴(16)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증발기(12)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 그릴(17)이 설치된다.
그리고 증발기(12)의 표면에는 공기와의 열 교환시 공기 중의 수분이 상대적인 온도차에 의해 응축됨으로써 다량의 응축 수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응축수는 실내를 오염시키게 되므로 적절히 배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에 따라 증발기(12)는 응축수의 배수를 위해 캐비닛(10)에 대하여 적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하단에는 응축수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드레인 팬(14)이 구비된다.
한편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캐비닛 후면(11) 하부에는 증발기(12)의 후면을 청소하기 위한 도어(20)가 설치되고, 드레인 팬은 증발기를 물청소할 때 물이 바닥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캐비닛(11)의 하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그 넓이와 높이를 확장시킨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어(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캐비닛(11)의 후면에 형성된 개구부(17)의 일축에 힌지(2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 되고, 도어(20)의 타측에는 도어(20)를 상기 캐비닛(11)의 타측에 위치 고정시킴과 동시에 도어(20)를 오픈시 손잡이의 기능을 하는 탄성 고정편(2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캐비닛(11)후면에 증발기(12)의 후면을 청소하기 위한 도어(2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증발기(12)의 후면을 도어(20)를 통해 용이하게 청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비하여 증발기를 청결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으므로 증발기의 오염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드레인 팬(14)이 캐비닛(11)의 하면 전체를 커버 할 수 있도록 그 넓이와 높이를 확장시킨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물청소시 물이 바닥으로 넘쳐흐르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의하면, 패키지 에어컨의 내부에 증발기의 후면을 용이하게 청소 할 수 있고, 또한 물 청소시 물이 바닥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의 청소가 편리하고, 증발기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 할 수 있어 증발기의 오염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그 전면 상하부에 토출 및 흡입 그릴을 갖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 하측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순환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 상측에 위치되어 실내 공기를 상기 토출 그릴 측으로 불어 주는 송풍기와, 상기 증발기의 하단 부에 설치되어 그 응축수를 수집 배출하는 드레인 팬을 구비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하측에 증발기의 후면을 청소하기 위한 도어(20)가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 팬(14)은 캐비닛의 하면을 커버 할 수 있도록 그 넓이와 높이가 확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2019970042149U 1997-12-29 1997-12-29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199900294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149U KR19990029484U (ko) 1997-12-29 1997-12-29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149U KR19990029484U (ko) 1997-12-29 1997-12-29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484U true KR19990029484U (ko) 1999-07-26

Family

ID=6969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149U KR19990029484U (ko) 1997-12-29 1997-12-29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948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929B1 (ko) * 2001-12-24 2004-08-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서비스구조
KR100923259B1 (ko) * 2007-09-04 2009-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929B1 (ko) * 2001-12-24 2004-08-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서비스구조
KR100923259B1 (ko) * 2007-09-04 2009-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4580B2 (ja) 冷却貯蔵庫
KR19990029484U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19990020727U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200167712Y1 (ko) 공기청정기를 갖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102538127B1 (ko) 제습장치
JPS592461Y2 (ja) シヨ−ケ−ス
KR100874230B1 (ko) 천장형 에어컨의 응축수 집수구조
KR102538124B1 (ko) 바람 손실을 줄여 향상된 제습량을 확보한 제습장치
KR19990039135U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200164944Y1 (ko) 패키지 에어컨의 증발기 조립구조
KR200146117Y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수 스플래쉬장치
JP3291367B2 (ja) 冷凍ユニット
KR19990006006U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100239464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KR20030045747A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JP3677430B2 (ja) 冷却貯蔵庫
KR0111195Y1 (ko)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
KR100243083B1 (ko) 일체형에어컨
KR200312488Y1 (ko) 일체형 에어컨
KR200465049Y1 (ko) 공기조화기
KR200146159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배수장치
KR200203085Y1 (ko) 제습기
KR200194574Y1 (ko) 창문형공기조화기
KR200163496Y1 (ko) 에어컨의 실외기
JPS587257Y2 (ja) 冷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