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0429Y1 - 공기조화기의 효율증대 및 소음저감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효율증대 및 소음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0429Y1
KR0110429Y1 KR2019930016677U KR930016677U KR0110429Y1 KR 0110429 Y1 KR0110429 Y1 KR 0110429Y1 KR 2019930016677 U KR2019930016677 U KR 2019930016677U KR 930016677 U KR930016677 U KR 930016677U KR 0110429 Y1 KR0110429 Y1 KR 0110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enser
cooling
efficiency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897U (ko
Inventor
최홍섭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16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0429Y1/ko
Priority to US08/293,947 priority patent/US5542263A/en
Priority to JP6202495A priority patent/JP2524970B2/ja
Publication of KR9500068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8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0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04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응축기의 냉각장치를 개선하고 방음부재의 사용과 공기조화장치를 달리함에 따라 냉방효율의 증대와 더불어 저소음을 실현할 수 있게한 공기조화기의 효율증대 및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 대형의 프로펠러팬에 의존하여 응축기를 식혀줄 때 발생되는 전력낭비와 응축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고 압축기등의 구동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게 된 것인 바, 따라서, 응축기(30)를 냉각시켜 주는 송풍수단(80)을 블로워팬(81)과 복수의 프로펠러팬(82)을 가진 조합체로 형성하고 상기 송풍수단의 구동시 바람과 더불어 응축수를 비산되게 하며 공조기 본체의 내부 적당위치에 방음기능을 제공하는 방음부재(70)를 설치하였으며,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11)는 본체(10)전면의 일측 모서리 부위에 형성하고 토출구(12)는 흡입구와 격리되게 형성함으로써, 응축 및 냉방효율을 향상함과 아울러 저소음을 실현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효율증대 및 소음저감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동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보인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X-X'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Y-Y'선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Z-Z'선에 대한 동작상태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중 공기유로부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외관과 공기의 유통관계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11' : 흡입구
12,12' : 토출구 20 : 압축기
30 : 응축기 40 : 증발기
50,80 : 송풍수단 51 : 크로스팬
60 : 공기유로부재 70 : 방음부재
81 : 블로워팬 82 : 프로펠러팬
90 : 물받이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효율증대 및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장치와 응축수의 처리방법을 개선하고 방음부재의 사용 및 공기순환구조의 개선으로 냉방효율의 증대와 더불어 저소음을 실현할 수 있게한 공기조화기의 효율증대 및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기본구성은, 제1도에서와 같이 압축기(1), 응축기(2), 증발기(3)로 된 냉각싸이클 장치와, 공기의 순환 및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모터(5), 프로펠러팬(4), 블로워팬(6)등의 송풍장치로 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조작부의 동작신호에 의해 모터(5)와 압축기(1)가 구동되면, 블로워팬(6)회전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발생되고, 압축기에서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켜 냉각싸이클을 수행함에 따라, 증발기(3)의 증발작용으로 찬공기가 생성되고 응축기(2)에서는 더운 공기가 발생된다.
이에 의하여 송풍동작과 냉각싸이클 작용으로 실내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키고 찬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주는 공기조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냉매를 응축시켜 주는 작용을 대형의 프로펠러팬(4)에 의존하였으므로, 이 프로펠러팬을 구동시키는 과정에서 전력의 소모가 많게 됨과 아울러 소음이 심하게 나는 반면, 응축효율은 저조 하였으므로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은 물론 소음공해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시키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기체 전면의 상하부에 위치되므로써 토출되는 찬 바람의 일부가 흡입구를 통해 재흡입되어 냉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소비전력량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효율증대 및 소음저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송풍장치의 개선으로 응축효율을 높여주는 공기조화기의 효율증대 및 소음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응축기를 냉각시켜 주는 송풍수단을 복수의 프로펠러팬과 블로워팬으로 조합·형성하고 이 송풍수단의 구동시 바람과 더불어 응축수를 비산되게 하며, 실내측으로 위치하는 증발기와 실외측으로 위치하는 압축기 및 응축기를 격리되게 방음부재를 설치하였으며, 실내공기를 순환시켜 주는 송풍수단은 크로스팬(일명 : siroco fan)을 사용함에 따라, 응축효율의 상승과 저소음을 실현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도면 제2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제2도중 도면부호(10)은 공기조화기 본체이며, 이 본체(10)내에는 냉각싸이클을 수행하는 압축기(20), 응축기(30) 및 증발기(40)가 부설되어 있다.
증발기(40)는 실내측으로 위치하는 본체(10)의 전면과 측면이 만나는 어느 한측 모서리의 내측으로 설치되며, 이 모서리 부위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가 형성되고 이 흡입구와 증발기(40)사이에는 필터(41)가 계재되어 있으며, 증발기(40)의 내측으로는 실내기를 흡입·토출시켜 주는 송풍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송풍수단(50)은 크로스팬(cross fan)(51)으로 되고 본체(10)내에 수직방향으로 취부되어 있으며, 송풍수단(50)의 일측으로는 냉각된 공기를 본체 전면의 토출구(12)를 통해 토출시켜 주는 공기유로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내의 중앙부에는 방음부재(70)가 설치되며, 이 방음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본체(10)의 실외측에는 응축기(30)를 응축시켜 주는 송풍수단(8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송풍수단은(80)은 블로워팬(81)을 중앙으로 양측에 소형프로펠러팬(82)이 동일축상에 취부된 조합체로 되며, 이 송풍수단(80)의 저면에는 응축수가 모아지는 물받이(90)가 형성된다.
한편, 응축기(30)의 설치위치는 본체(10)내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흡입구(11')를 통하여 실외측 본체내로 들어온 공기는 응축기(30)를 통하여 이에 인접된 모서리 부위에 형성한 토출구(12')로 배출되게 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52)와 (83)은 모터이며, (13)은 조작부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조작부(13)의 동작신호에 의해 압축기(20)와 모터(52)(83)에 전원이 공급되면, 압축기(20)가 구동되어 증발기(40)에서는 냉매가스의 증발작용으로 찬 공기가 생성되고 응축기(30)는 실외온도보다 높은 응축열을 방출하는 냉각싸이클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냉각싸이클과 동시에 모터(52)(83)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수단(50)(80)은 공조기 본체(10)내에서 공기를 순환시켜 주게 되므로써, 실내측에서는 공기조화를 이루고 실외측에서는 응축으로 인해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냉각작용을 한다.
즉, 증발기(40)의 내측으로 설치된 송풍수단(50)의 구동으로 실내측의 더운 공기가 흡입구(11)를 통하여 본체(10)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필터(41)를 거쳐 여과된 상태로 증발기(40)를 통과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증발기의 냉각작용으로 열교환된 공기는 송풍수단(50)에 인접 설치된 공기유로부재(50)에 유도되면서 토출구(12)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됨에 따라 냉방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본체(10)내의 실외측에서는 송풍수단(80)이 구동되어 대기의 공기를 본체(10)내로 흡입하고 흡입된 외기는 응축기(30)를 거쳐 대기중으로 토출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이때 송풍수단의 구성요소중 양측으로 취부된 소형프로펠러팬(82)은 외부공기를 그 양측으로부터 흡입하는 작용을 중점적으로 하고 중앙의 블로워팬(81)은 흡입된 공기를 응축기(30)로 보내 냉각작용을 한다.
또한, 제5도 및 6도에서와 같이 블로워팬(81)의 직경이 프로펠러팬(82)보다 크고 이송풍수단(80)의 하부에는 응축수가 집류되는 물받이(9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응축작용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가 물받이(90)에 적정수위에 차오르게 되면 블로워팬(81)의 회전으로 공기와 더불어 응축수를 응축기(30)에 뿌려주게 되므로써 응축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실내측에서 공기조화를 하게 되는 송풍수단(50)이 저소음으로도 강한 송풍기능을 제공하는 크로스팬(51)으로 되어 있으므로, 냉방효율의 증대와 더불어 설치에 따른 점유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으며, 실내의 더운 공기가 들어오는 흡입구(11)가 본체(10)의 어느한 모서리에 형성된 반면 차가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2)는 상기 흡입구로부터 떨어진 부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토출되는 찬 공기의 일부가 더운 실내공기와 함께 재흡입될 때 발생되는 열손실 및 효율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10)내의 중앙부에는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분하여 주는 방음부재(70)를 설치하므로써, 압축기(20)의 구동소음 및 응축기(30)의 냉각에 따른 구동소음등의 실외측에서 발생된 소음이 실내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저소음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실시예는, 응축효율을 향상시켜 전력의 소모를 감소하게 됨은 물론 냉방효율을 증대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기기의 구동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공기의 순환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게 되어 제품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3)

  1. 본체(10)내의 실내측에 설치되고 흡입구(11)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를 증발기(40)를 거쳐 토출시켜 주는 송풍수단(50)과, 이 송풍수단에 인접 설치되어 토출구(12)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게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유로 부재(70)와, 응축기(30)가 설치된 실외측에 부설되어 공기를 포함한 응축수로 응축기를 냉각하여 주는 송풍수단(80)과, 이 송풍수단의 하부 적정위치에 응축수를 집수되게 설치한 물받이(90)와, 본체(10)를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분되게 설치되고 방음기능을 제공하는 방음부재(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효율증대 및 소음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응축기(30)를 식혀주는 송풍수단(80)이 블로워팬(81)과 프로펠러팬(82)을 가진 조합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효율증대 및 소음저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실내공기가 들어오는 흡입구(11)를 본체(1) 전면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효율증대 및 소음저감장치.
KR2019930016677U 1993-08-26 1993-08-26 공기조화기의 효율증대 및 소음저감장치 KR0110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677U KR0110429Y1 (ko) 1993-08-26 1993-08-26 공기조화기의 효율증대 및 소음저감장치
US08/293,947 US5542263A (en) 1993-08-26 1994-08-24 Window mounted air conditioner
JP6202495A JP2524970B2 (ja) 1993-08-26 1994-08-26 窓型空気調和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677U KR0110429Y1 (ko) 1993-08-26 1993-08-26 공기조화기의 효율증대 및 소음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897U KR950006897U (ko) 1995-03-21
KR0110429Y1 true KR0110429Y1 (ko) 1998-04-06

Family

ID=1936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677U KR0110429Y1 (ko) 1993-08-26 1993-08-26 공기조화기의 효율증대 및 소음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042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9102A (zh) * 2019-05-08 2019-07-02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低噪降温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897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31426C (en) Air intake arrangement for air conditioner with dual cross flow blowers
US11371724B2 (en) Dehumidification drainage system with mist eliminator
KR100953198B1 (ko) 공기조화기
KR19980021184U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0110429Y1 (ko) 공기조화기의 효율증대 및 소음저감장치
KR100262631B1 (ko) 상치형 에어컨디셔너의 흡입력 발생장치
KR200156399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00541025C (zh) 窗式空调器
KR19990020727U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100815420B1 (ko) 공기 조화기
CN219693352U (zh) 一种空调式吸油烟机
CN1707175B (zh) 窗式空调器的空气导流装置
KR200228645Y1 (ko) 공조기기
KR20000055582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안내장치
US7363771B2 (en) Air conditioner
KR100498366B1 (ko) 일체형 에어컨
KR0139374Y1 (ko) 창문형 에어컨용 자외선살균장치의 설치구조
KR100370062B1 (ko) 냉장고기계실의 방열구조
KR0135808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흡입장치
CN100485275C (zh) 具有冷凝水飞散装置的窗式空调器
KR19980026933U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00011370U (ko) 에어컨디셔너 실내기의 공기 흡입/송풍 장치
KR0111175Y1 (ko) 정음화 룸에어콘
KR200212819Y1 (ko) 응축기 냉각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
KR20000001854U (ko) 창문형 에어컨의 시로코팬 정압 손실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