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438U - 용광로용 래들의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용광로용 래들의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438U
KR19990019438U KR2019970032778U KR19970032778U KR19990019438U KR 19990019438 U KR19990019438 U KR 19990019438U KR 2019970032778 U KR2019970032778 U KR 2019970032778U KR 19970032778 U KR19970032778 U KR 19970032778U KR 19990019438 U KR19990019438 U KR 199900194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utting
plate
rotary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구연
김병길
오임철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70032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438U/ko
Publication of KR199900194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438U/ko

Links

Landscapes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광로 레들의 마모부나 용손부를 교체하기 위한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는 설치된 틸팅장치와, 이 틸팅장치의 상측에 설치된 회동장치, 이 회동장치의 중심축에 설치된 안내장치, 이 안내장치의 안내홈을 따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높이조절장치, 이 높이조절장치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좌우이동장치, 이 좌우이동장치의 단부에 연결된 회전장치, 이 회전장치에 설치된 토오치높이조절장치, 절단토오치를 작동시키는 절단장치, 이 절단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져, 절단면의 균일화로 인하여 작업자의 업무량이 경감되며, 절단작업 중에 발생되는 분진에 의한 직업병을 예방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용광로용 래들의 절단장치 (A device for cutting a ladle)
본 고안은 용광로 레들의 마모부나 용손부를 교체하기 위한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들의 마모나 용손부의 절단작업 과정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된 용광로용 래들의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래들(ladle)은 제강공정 중에 용광로에서 출선되는 용선이나 용강을 운반하기 위한 용기로서, 이러한 래들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본체나 마우스링(mouse ring) 또는 출강구 등이 마모되거나 용손된다.
따라서, 상기 래들의 마모부나 용손부를 교체해야 하는데, 이러한 교체작업은 교체지점을 미리 절단선으로 마킹한 상태에서 마킹지점을 따라 가스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시킨 후에, 신품으로 교체하여 용접하게 된다.
즉, 상기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종래의 용광로용 래들의 절단장치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절단기(100)에는 플랙시블호스(111,121)를 매개로하여 산소가스가 저장된 산소봄베(110)와 엘피지가스가 저장된 엘피지봄베(120)가 각각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산소봄베(110)와 엘피지봄베(120)의 출구측에는 가스유량기(112,122)가 각각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절단기(100)의 출구측에는 산소밸브(113)와 고압밸브(123)가 각각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엘피지봄베(120)의 출구측에는 가스역류방지기(124)가 설치되어 있으며, 가스절단기(100)의 몸체에는 엘피지제어밸브(122)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래들의 마모부나 용손부를 절단하기 위하여, 산소봄베(110)의 밸브를 개방하게 되면, 가스유량기(112)에서 제어된 산소가 플랙시블호스(111)를 통해 가스절단기(100)의 팁부분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가스절단기(100)에 공급되는 산소가스는 산소밸브(113)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는 엘피지제어밸브(122)를 개방하여 라이터나 성냥과 같은 점화장치를 이용하여 점화시킨 후 산소밸브(113)를 천천히 정회전시켜가면서 화염의 크기를 조절한다.
그리고, 화염의 크기가 조절되면 가스절단기(100)의 화염을 래들에 마킹한 절단선에 대고 일단 어느정도 예열작업을 시행한 후 고압밸브(123)를 개방하여 가스의 분사량을 확대시킨 상태에서 절단작업을 시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가스절단기(100)를 이용한 래들의 절단작업은 수작업에 의한 작업이므로, 절단면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요철부위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절단부위에 신품을 조립하는 도중 접촉면과 일치하지 않게 되어 재절단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 작업자의 업무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절단작업 중 발생되는 드로스(dross)에 의해 작업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래들의 상측부에 형성된 마우스링 등을 절단하기 위한 작업은 고소에서 시행하게 되므로, 추락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또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래들의 교체부를 절단하는 작업과정을 원활하게 수행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절단작업 도중에 발생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시킬 수 있도록 된 용광로 래들의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면에는 상측방향으로 일정크기의 채널부를 형성하는 고정베이스가 구비되고, 이 고정베이스에는 채널부의 내측방향으로 피니언이 설치된 제1구동모우터가 고정되며, 이 고정베이스의 채널부에는 피니언과 치차결합되어 회전하도록 반원형의 기어열이 형성된 회동판이 축설치된 틸팅장치와; 회동판의 상면에는 베어링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원주방향을 따라 기어열이 형성된 회전기어판이 설치되며, 이 회전기어판의 기어열에는 제2구동모우터의 회전축에 축설치된 베벨기어가 치차결합된 회동장치; 회전기어판의 중심축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크기의 안내홈이 관통형성된 상하승강체이 설치되며, 이 상하승강체의 측면에는 연결브래킷을 통해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제3구동모우터가 설치된 안내장치; 안내홈에는 일측면을 따라 수직한 방향으로 플랜지부가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몸체에 일정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가 설치되고, 이 슬라이딩부재의 외주면에는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상부를 감쌀 수 있도록 된 리테이너가 설치되며, 이 리테이너에는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제3구동모우터에 축결합된 리드스크류가 나선결합되며, 이 리드스크류의 측부에는 상하부에 각각 제1,2피니언기어가 설치된 접철식축이 설치된 높이조절장치; 슬라이딩부재의 관통공에 중공부가 형성된 작동암이 설치되고, 이 작동암의 측면에는 제1피니언기어에 치차결합되는 랙기어가 부착되며, 선단부에는 맛물림클러치가 구비된 회전판이 설치된 좌우이동장치; 작동암의 중공부에는 상하로 나란하게 제1,2회전축이 설치됨 과 동시에 이 제1,2회전축의 외부면에는 이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판이 설치되고, 이 제1회전축의 선단부에는 맛물림클러치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클러치기어가 설치됨과 동시에 후단부에는 제1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제4구동모우터가 설치되며, 이 제2회전축의 선단부에는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회전판에 결합되는 제1연결기어가 설치됨과 동시에 후단부에는 연결판에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기어가 설치된 회전장치; 회전판의 전면에는 일측면을 따라 채널부를 형성하는 고정판이 설치되고, 이 고정판의 채널부에는 절단토오치의 고정구가 설치되는 위치조절부재가 구비되며, 이 위치조절부재에는 제2회전축의 제1연결기어에 치차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나선이동하는 상하이동스크류가 나선결합된 토오치높이조절장치; 절단토오치의 고정구에는 가스를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팁이 나선결합된 가스혼합실이 설치되고, 이 가스혼합실의 후면에는 저압산소니플과 고압산소니플 및 고압엘피지니플을 통해 가스분배기가 설치되며, 이 가스분배기의 출구측에는 가스흐름을 제어하는 제1,2,3솔레노이드밸브가 각각 설치되며, 이 가스혼합실의 상측에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압착되는 점화라이터가 설치된 절단장치 및; 제1,2,3,4구동모우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온오프스위치와 제1,2,3솔레노이드밸브를 개페시키기 위한 온오프스위치가 각각 구비된 제어장치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용광로용 래들의 절단작업을 자동화하게 되므로, 절단면의 균일화로 인한 작업자의 업무량이 경감되며, 절단작업 중에 발생되는 분진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광로용 래들의 절단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광로용 래들의 절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광로용 래들의 절단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광로용 래들 절단장치의 절단토오치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고정베이스 12 : 피니언
13 : 제1구동모우터 14 : 회동판
21 : 베어링하우징 22 : 회전기어판
22a : 중심축 23 : 제2구동모우터
24 : 베벨기어 31 : 상하승강체
31a : 안내홈 32 : 연결브래킷
33 : 제3구동모우터 41 : 슬라이딩부재
41a : 플랜지부 41b : 관통공
42 : 리테이너 43 : 리드스크류
44a,44b : 제1,2피니언기어 45a,45b : 접철식축
51 : 작동암 52 : 랙기어
53 : 맛물림클러치 54 : 회전판
61,62 : 제1,2회전축 63 : 연결관
64 : 클러치기어 65 : 제4구동모우터
66 : 제1연결기어 67 : 제2연결기어
68 : 레버 71 : 고정판
72 : 고정구 73 : 위치조절부재
74 : 상하이동스크류 81 : 분사팁
82 : 가스혼합실 83 : 저압산소니플
84 : 고압산소니플 85 : 고압엘피지니플
85a : 가스분배기 86,87,88 : 제1,2,3솔레노이드밸브
89 : 점화라이터 89a : 탄성스프링
90 : 제어장치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광로 래들의 절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광로 래들의 절단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광로 래들 절단장치의 절단토오치를 도시한 상세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크기의 채널부를 형성하는 고정베이스(11)가 설치되고, 이 고정베이스(11)의 측면에는 채널부의 내측방향으로 제1피니언기어(12)이 위치하는 제1구동모우터(13)가 설치되며, 이 고정베이스(11)의 채널부에는 제1피니언기어(12)와 치차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기어열이 형성된 회동판(14)이 축설치된 틸팅장치와; 회동판(14)의 상면에는 베어링하우징(21)을 사이에 두고 원주방향을 따라 기어열이 형성된 회전기어판(22)이 설치되며, 이 회전기어판(22)의 기어열에는 제2구동모우터(23)의 회전축에 축설치된 베벨기어(24)가 치차결합된 회동장치; 회전기어판의 중심축(22a)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크기의 안내홈(31a)이 관통형성된 상하승강체(31)이 설치되며, 이 상하승강체(31)의 측면에는 연결브래킷(32)을 통해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제3구동모우터(33)가 설치된 안내장치; 안내홈(31a)에는 일측면을 따라 수직한 방향으로 플랜지부(41a)가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몸체에 일정크기의 관통공(41b)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41)가 설치되고, 이 슬라이딩부재(41)의 외주면에는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감싸지는 리테이너(42)가 설치되며, 이 리테이너(42)에는 플랜지부(41a)를 관통하여 제3구동모우터(33)에 축결합된 리드스크류(43)가 나선결합되고, 이 리드스크류(43)의 몸체에는 이의 작동을 제한시키기 위한 정지레버(46)가 설치되며, 이 리드스크류(43)의 측부에는 상하부에 각각 제2,3피니언기어(44a,44b)가 설치된 접철식축(45a,45b)이 설치된 높이조절장치; 슬라이딩부재의 관통공(41b)에 중공부가 형성된 작동암(51)이 설치되고, 이 작동암(51)의 측면에는 제2피니언기어(44a)에 치차결합되는 랙기어(52)가 부착되며, 선단부에는 맛물림클러치(53)가 구비된 회전판(54)이 설치된 좌우이동장치; 작동암(51)의 중공부에 상하로 나란하게 제1,2회전축(61,62)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 제1,2회전축(61,62)의 외부면에는 이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판(63)이 설치되고, 이 제1회전축(61)의 선단부에는 맛물림클러치(53)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클러치기어(64)가 설치됨과 동시에 후단부에는 제1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제4구동모우터(65)가 설치되며, 이 제2회전축(62)의 선단부에는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회전판(54)에 결합되는 제1연결기어(66)가 설치됨과 동시에 후단부에는 연결판(63)에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기어(67)가 설치된 회전장치; 회전판(54)의 전면에는 일측면을 따라 채널부를 형성하는 고정판(71)이 설치되고, 이 고정판(71)의 채널부에는 절단토오치의 고정구(72)가 설치되는 위치조절부재(73)가 구비되며, 이 위치조절부재(73)에는 제2회전축의 제1연결기어(66)에 치차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나선이동하는 상하이동스크류(74)가 나선결합된 토오치높이조절장치; 절단토오치의 고정구(72)에는 가스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된 분사팁(81)이 나선결합된 가스혼합실(82)이 설치되고, 이 가스혼합실(82)의 후면에는 저압산소니플(83)과 고압산소니플(84) 및 고압엘피지니플(85)을 통해 가스분배기(85a)가 설치되며, 이 가스분배기(85)의 출구측에는 가스흐름을 제어하는 제1,2,3솔레노이드밸브(86,87,88)가 각각 설치되며, 이 가스혼합실(82)의 상측에는 탄성스프링(89a)에 의해 일방향으로 압축되는 점화라이터(89)가 설치된 절단장치 및; 제1,2,3,4구동모우터(13,23,33,65)를 구동시키기 위한 온오프스위치와 제1,2,3솔레노이드밸브(86,87,88)를 개폐시키기 위한 온오프스위치에 작동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도록 된 제어장치(90)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틸팅장치의 고정베이스(11)는 상측방향으로 개공부가 형성되어 일정크기의 요홈이 구비된 채널부(11a)가 형성되고, 이 고정베이스(11)의 측부에는 채널부(11a)의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1구동모우터(13)가 설치되며, 이 제1구동모우터(13)의 회전축상에는 다수개의 기어열이 형성된 제1피니언기어(12)가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베이스의 채널부(11a)에는 일정크기의 회전봉(14a)을 매개로하여 반원형의 기어열이 형성된 회동판(14)이 축설치되어 있으되, 이 회동판(14)은 제1피니언기어(12)에 치차결합되어 제1구동모우터(130)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판(14)의 중심축에는 베어링(21a)이 개재된 상태에서 가로방향을 따라 베어링하우징(21)이 장착되고, 이 베어링하우징(21)의 상면에는 원주방향의 외곽을 따라 연속적으로 다수개의 기어열이 형성된 회전기어판(22)이 설치되며, 이 회전기어판(22)의 기어열에는 제2구동모우터(23)의 회전축에 축설치된 베벨기어(24)가 치차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2구동모우터(23)가 작동하게 되는 경우 회전기어판(22)이 회전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기어판의 중심축(22a)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크기의 안내홈(31a)이 관통형성된 박스형상의 상하승강체(31)이 설치되며, 이 상하승강체(31)의 일측면에는 ㄷ자형상의 연결브래킷(32)을 통해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제3구동모우터(33)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하승강체(31)의 안내홈(31a)에는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슬라이딩부재(41)가 설치되어 있으되, 이 슬라이딩부재(41)의 상측에는 일측방향을 향하도록 수직으로 절곡된 플랜지부(41a)가 일체로 형성되며, 몸체의 중심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원형의 관통공(41b)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재(41)의 상부측에는 일측면을 따라 수직하는 방향
으로 절곡되어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자 형상의 리테이너(42)가 설치된 구조로 되
어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42)와 제3구동모우터(33)의 회전축의 사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나선이동할 수 있도록 된 리드스크류(43)가 장착되어 있으되, 이 리드스크류의 몸체에는 폭방향을 따라 일체로 다수개의 기어열이 형성된 정지기어(43a)가 장착되며, 이 정지기어(43a)의 측부에는 선택적으로 맛물릴 수 있도록 된 정지레버(46)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스크류(43)의 측부에는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상부부재가 하부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된 접철식축(45a,45b)이 장착되며, 이 접철식축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2,3피니언기어(44a,44b)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접철식축(45a,45b)은 양단부에 일체로 구비된 제2,3피니언기어를 매개로하여 리테이너(42)와 제3구동모우터(33)의 사이에 장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관통공(41b)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내주면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작동암(51)이 설치되며, 이 작동암(51)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제2피니언기어(44a)와 맛물릴 수 있도록 된 랙기어(52)가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랙기어(52)는 제2피니언기어(44a)에 의해 작동하게 되므로, 작동암(51)이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암(51)의 선단부에는 일정크기의 홀이 형성된 회전판(54)이 설치되며, 이 회전판(54)의 후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스프라인이 형성된 맛물림클러치(53)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암(51)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부로 나란하게 제1,2회전축(61,62)이 설치되며, 이 제1,2회전축(61,62)의 외주면에는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이들을 상호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판(63)이 감싸져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1,2회전축(61,62)은 하측방향에 구비된 레버(68)에 의해 고정됨은 물론 이동이 제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축(61)의 선단부에는 맛물림클러치(53)와 치합되어 회전판(5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클러치기어(64)가 설치되며, 후단부에는 연결기어를 통해 제4구동모우터(65)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62)의 선단부에는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회전판(54)에 결합되는 제1연결기어(66)가 설치되며, 후단부에는 연결판(63)에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기어(67)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판(54)의 전면에는 용접 등의 부착수단을 통해 일측면을 따라 채널부를 형성하는 고정판(71)이 설치되며, 이 고정판(71)의 채널부에는 상하이동스크류(74)의 회전작용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조절부재(73)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상하이동스크류(74)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제1,2베벨기어(74a,74b)가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재(73)의 상면에는 클램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고정구((72)가 설치되며, 이 고정구(72)의 내주면에 절단장치의 가스혼합실(82)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절단토오치의 고정구(72)에는 가스를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팁(81)이 나선결합된 산소가스와 엘피지가스가 혼합되는 가스혼합실(82)이 설치되며, 이 가스혼합실(82)의 후면에는 저압으로 산소가 공급되는 저압산소니플(83)과 고압으로 산소가 공급되는 고압산소니플(84) 및 고압으로 엘피지가스가 공급되는 고압엘피지니플(85)을 통해 가스분배기(85a)가 각각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분배기(85a)의 출구측에는 산소와 엘피지가스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제1,2,3솔레노이드밸브(86,87,88)가 각각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가스혼합실(82)의 상측에는 탄성스프링(89a)에 의해 압착되는 점화라이터(89)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2,3,4구동모우터(13,23,33,65)에는 이들을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온오프스위치가 연결되고, 상기 제1,2,3솔레노이드밸브(86,87,88)에는 이들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또다른 온오프스위치로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1,2,3,4구동모우터와 제1,2,3,솔레노이드밸브의 온오프스위치는 제어장치(90)를 통해 조작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종래기술에 따른 플래시블호스(111,121)를 매개로하여 산소가스가 저장된 산소봄베(110)와 엘피지가스가 저장된 엘피지봄베(120)가 각각 연결된 구조는 일단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산소봄배(110)와 엘피지봄배(120)의 밸브(112,122)를 개방하게 되면, 이러한 밸브를 통해 배출되던 가스는 가스유량기(112,122)에 의해 유량이 조절된 상태에서 플랙시블호스(111,121)를 통해 공급되다가 제1,2,3솔레노이드밸브(86,87,88)에 의해 일단 차단 즉, 제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단작업 과정의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90)의 온스위치를 작동하여 제3구동모우터(33)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 제3구동모우터(33)의 회전축상에 축설치된 이동기어(43a)를 매개로하여 스플라인결합된 리드스크류(43)가 축회전되므로, 이 리드스크류(43)는 슬라이딩부재(41)의 몸체를 상향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부재(41)의 몸체에 장착된 작동암(51)이 상향되면서 래들에 마킹된 절단선에 근접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리드스크류(43)의 측부에 구비된 정지레버(46)를 가볍게 당기게 되면, 이 리드스크류(43)의 하부에 스플라인결합된 이동기어(43a)가 분리되면서, 이 이동기어가 하부접철식축(45b)의 제3피니언기어(44b)에 치합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리드스크류(43)와 이동기어(43a)의 스플라인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슬라이딩부재(41)의 이동이 정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접철실축(45b)에 스플라인결합된 상부접철식축(45a)이 제3구동모우터(33)에 의하여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외주면에 구비된 제2피니언기어(44a)가 회전하게 되면서 작동암(51)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된 랙기어(52)를 일측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이 랙기어(52)에 의해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작동암(51)이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암(51)이 전진하면서 선단부에 구비된 절단장치가 래들에 마킹된 절단선에 근접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제3구동모우터(33)의 스위치를 오프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작하여 절단장치가 래들의 마우스링에 마킹된 절단선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제1,3솔레노이드밸브(86,88)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장치(90)의 작동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이 제1,3솔레노이드밸브(86,88)가 개방되게 되면서 가스혼합실(82)로 동시에 산소가스와 엘피지가스를 공급하게 되며, 이 혼합가스가 분사팁(81)을 통해 분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분사팁(81)의 분사공을 통해 혼합기가 분사되는 경우에, 점화라이터(89)를 분사팁(81)쪽으로 근접시켜 푸시버튼을 누르게 되면 혼합기가 점화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혼합기의 점화가 완료되는 경우 점화라이터(89)의 푸시버튼을 놓게 되면, 탄성스프링(89a)에 의해 점화라이터가 원상복귀되므로, 절단선의 예열작업을 시작한다.
상기한 절단선이 어느정도 예열이 완료되는 경우에, 제2솔레노이드밸브(87)를 개방시키기 위한 작동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분사팁(81)을 통해 고압의 산소가 공급되므로 본격적으로 절단작업이 시작되는 것이다.
상기한 절단작업이 시작되어, 제2구동모우터(23)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90)의 작동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이 제2구동모우터(23)의 축에 치차결합된 회전기어판(2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회전기어판(22)은 중심축(22a)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이 중심축(22a)에 의해 작동암(51)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작동암(51)이 회전하게 되면, 이 작동암(51)의 선단부에 연결된 절단장치가 회전하게 되므로, 이 절단장치가 마우스링의 절단선을 따라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절단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절단작업이 완료되면, 제2솔레노이드밸브(87)를 잠그고 제2구동모우터(23)를 오프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마우스링의 절단작업이 완료되면, 또다른 절단지점 예컨대, 래들의 본체를 또다시 절단하는 경우, 제2구동모우터(23)를 구동하는 작동스위치를 온시켜 제2솔레노이드밸브(87)를 개방하게 되면 절단작업이 시작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구동모우터(23)의 작동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이 제2구동모우터가 회전하면서 회전기어판(2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일정구간의 절단이 진행되면 제2구동모우터(23)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제3구동모우터(33)를 구동시키는 제어장치의 작동스위치를 온시킨다.
이때, 상기한 제3구동모우터(33)는 리드스크류(43)를 회전시키고, 이 리드스크류는 슬라이딩부재(41)를 강하시키면서 작동암(51)과 절단장치를 동시에 강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절단장치가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로 강하되는 경우, 제3구동모우터(33)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제2구동모우터(23)를 온시키게 되면, 회전기어판(22)이 회전하면서 작동암(51)을 전진시키게 되므로, 연속적으로 자동절단하면서 래들의 본체를 일정형상으로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래들본체의 절단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제2솔레노이드밸브(87)를 제어하는 작동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제3구동모우터(33)를 오프시킨다.
한편, 상기한 래들 본체의 절단이 완료되는 경우에, 상기 제1구동모우터(13)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90)의 작동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이 제1구동모우터(33)가 회전하면서 제1피니언기어(12)가 회전하게 되고, 이 제1피니언기어(12)에 치차결합된 반원형의 기어열이 형성된 회동판(14)이 회전되므로, 회전기어판(22)과 상하승강체(31)이 틸팅되는 것이다.
만일, 상기 회전기어판(22)과 상하승강체(31)이 90도로 틸팅되면, 제1구동모우터(13)를 오프시키고 제4구동모우터(65)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장치(90)의 작동스위치를 온시킨다.
또한, 상기 제4구동모우터(65)는 제2회전축(62)을 회전시키고, 이 제2회전축(62)의 클러치기어(64)를 고정시키는 레버(68)를 당기게 되면, 이 클러치기어(64)가 상하이동스크류(74)의 상부에 구비된 기어에 치합되면서 제2회전축(61)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회전축(61)은 제1연결기어(66)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 제1연결기어(66)는 제1베벨기어(74a)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제1베벨기어(74a)는 상하이동스크류(74)를 축회전시키게 되므로, 상기 절단장치의 위치를적절하게 조정하면 되는 것이다.
만일, 상기 절단장치의 위치가 래들의 출강구 반지름과 동일지점에 오게 되는 경우, 클러치기어(64)를 잡고 있던 레버(68)를 밀게 되면, 상하이동스크류(74)는 멈추게 되면서 절단장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단장치의 작업위치가 고정되면, 제4구동모우터(65)를 일시로 오프시켜 출강구의 절단선을 일시 예열하고, 이 예열이 완료되면 제2솔레노이드밸브(87)를 작동시켜 절단작업을 시작하게 됨과 동시에 제4구동모우터(65)를 온시킨다.
이때, 상기 제4구동모우터(64)는 제2회전축(62)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 제1회전축(62)에 연결된 클러치기어(64)와 맛물림클러치(53)가 치합되면서 회전판(54)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판(54)은 원형을 그리면서 회전하여 출강구를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출강구의 절단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제어장치(90)에 구비된 제4구동모우터(65)의 작동스위치와 제1,2,3솔레노이드밸브(86,87,88)의 작동스위치를 각각 오프시킨 상태에서 산소봄배(110)와 엘피지봄배(120)의 밸브(112,122)를 잠그면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광로 래들의 절단장치에 의하면, 래들을 수리하기 위한 절단작업이 자동화되므로, 절단면의 균일화로 인하여 업무량이 경감되며, 절단작업 중에 발생되는 분진에 의한 직업병을 예방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바닥면에는 상측방향으로 일정크기의 채널부를 형성하는 고정베이스(11)가 설치되고, 이 고정베이스(11)의 측면에는 채널부의 내측방향으로 제1피니언기어(12)가 위치하는 제1구동모우터(13)가 설치되며, 이 고정베이스(11)의 채널부에는 제1피니언기어(12)와 치차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반원으로 기어열이 형성된 회동판(14)이 축설치된 틸팅장치와;
    회동판(14)의 상면에는 베어링하우징(21)을 사이에 두고 원주방향을 따라 기어열이 형성된 회전기어판(22)이 설치되며, 이 회전기어판(22)의 기어열에는 제2구동모우터(23)의 회전축에 축설치된 베벨기어(24)가 치차결합된 회동장치;
    회전기어판(22)의 중심축(22a)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크기의 안내홈(31a)이 관통형성된 상하승강체(31)가 설치되며, 이 상하승강체(31)의 측면에는 연결브래킷(32)을 통해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제3구동모우터(33)가 설치된 안내장치;
    안내홈(31a)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플랜지부(41a)가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몸체를 관통하여 일정크기의 관통공(41b)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41)가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슬라이딩부재(41)의 외측면에는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감싸지는 리테이너(42)가 설치되며, 이 리테이너(42)와 상하승강체(31)의 사이에는 슬라이딩부재(41)를 상하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3구동모우터(33)에 축설치된 이동기어(43a)를 통해 리드스크류(43)가 나선결합되고, 이 리드스크류(43)의 측부에는 이동기어(43a)와의 스플라인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정지레버(46)가 설치되며, 이 리드스크류(43)의 측부에는 이동기어(43a)에 선택적으로 치차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피니언기어(44a)와 제3피니언기어(44b)가 각각 구비된 상하접철식축(45a,45b)이 설치된 높이조절장치;
    슬라이딩부재(41)의 관통공(41b)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작동암(51)이 설치되고, 이 작동암(51)의 측면에는 작동하는 방향을 따라 제3피니언기어(44b)에 치차결합되는 랙기어(52)가 설치되며, 선단부에는 맛물림클러치(53)가 구비된 회전판(54)이 설치된 좌우이동장치;
    작동암(51)의 중공부에 상하로 나란하게 제1,2회전축(61,62)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 제1,2회전축(61,62)의 외부면에는 이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판(63)이 설치되고, 이 제1회전축(61)의 선단부에는 맛물림클러치(53)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클러치기어(64)가 설치됨과 동시에 후단부에는 제1회전축(6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제4구동모우터(65)가 설치되며, 이 제2회전축(62)의 선단부에는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회전판(54)에 결합되는 제1연결기어(66)가 설치됨과 동시에 후단부에는 연결판(63)에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기어(67)가 설치된 회전장치;
    회전판(54)의 전면에는 일측면을 따라 채널부를 형성하는 고정판(71)이 설치되고, 이 고정판(71)의 채널부에는 절단토오치의 고정구(72)가 설치되는 위치조절부재(73)가 구비되며, 이 위치조절부재(73)에는 제2회전축의 제1연결기어(66)에 치차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나선이동하는 상하이동스크류(74)가 나선결합된 토오치높이조절장치;
    절단토오치의 고정구(72)에는 가스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된 분사팁(81)이 구비된 가스혼합실(82)이 설치되고, 이 가스혼합실(82)의 후면에는 저압산소니플(83)과 고압산소니플(84) 및 고압엘피지니플(85)을 매개로하여 가스분배기(85a)가 설치되며, 이 가스분배기(85)의 출구측에는 가스흐름을 제어시킬 수 있도록 된 제1,2,3솔레노이드밸브(86,87,88)가 각각 설치되며, 이 가스혼합실(82)의 상측에는 탄성스프링(89a)에 의해 일방향으로 압축되는 점화라이터(89)가 설치된 절단장치 및;
    제1,2,3,4구동모우터(13,23,33,65)를 구동시키기 위한 온오프스위치에 작동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제1,2,3솔레노이드밸브(86,87,88)를 개폐시키기 위한 온오프스위치에 작동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도록 된 제어장치(9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용 래들의 절단장치.
KR2019970032778U 1997-11-19 1997-11-19 용광로용 래들의 절단장치 KR199900194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778U KR19990019438U (ko) 1997-11-19 1997-11-19 용광로용 래들의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778U KR19990019438U (ko) 1997-11-19 1997-11-19 용광로용 래들의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438U true KR19990019438U (ko) 1999-06-15

Family

ID=6967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778U KR19990019438U (ko) 1997-11-19 1997-11-19 용광로용 래들의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43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615B1 (ko) * 2003-07-31 2011-01-24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정련 노체의 절단장치
KR101041468B1 (ko) * 2008-12-30 2011-06-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자력 증기발생기의 노즐 곡면부 클래딩용 다축 용접장치
CN114473198A (zh) * 2022-02-22 2022-05-13 牛勇超 一种锅炉压力容器端面板环向焊接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615B1 (ko) * 2003-07-31 2011-01-24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정련 노체의 절단장치
KR101041468B1 (ko) * 2008-12-30 2011-06-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자력 증기발생기의 노즐 곡면부 클래딩용 다축 용접장치
CN114473198A (zh) * 2022-02-22 2022-05-13 牛勇超 一种锅炉压力容器端面板环向焊接装置
CN114473198B (zh) * 2022-02-22 2024-03-22 牛勇超 一种锅炉压力容器端面板环向焊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208B1 (ko) 절단장치
KR910002721B1 (ko) 가스절단 토오치
KR100384639B1 (ko) 가스절단장치
KR19990019438U (ko) 용광로용 래들의 절단장치
KR100730040B1 (ko) 토치
NO842660L (no) Manuell skjaerebrenner
JP2001232463A (ja) 単一のバルブ制御装置を備えた酸素を燃料にした形式のトーチ
CN110253106B (zh) 一种锅炉零部件之间的焊接设备
KR100320025B1 (ko) 가스 용접 시스템의 가스 절감 장치
CA2212159C (en) Combined preheat and cutting oxygen valve for cutting torches
DE681309C (de) Vorrichtung zur UEberwachung und Regelung von Arbeitsbedingungen beim Schweissen, Schneiden, Erhitzen und Abschmelzen von Metallen mittels strahlungsempfindlicher Zelle
US4767102A (en) Thermal cutting torch
KR100762459B1 (ko) 곡선부 개선각 절단장치
JP5229994B2 (ja) トーチ
KR100423421B1 (ko) 원통형 용기의 다기능 가스절단장치
KR20010093413A (ko) 래들 산소세척장치
CN220698497U (zh) 一种焊枪
KR890008354Y1 (ko) 가스 절약형 수동가스 절단기
KR20010036861A (ko) 출선구 면 이물 자동제거장치
KR200248917Y1 (ko) 산소 용접기
DE19512762A1 (de) Verfahren zum Zünden eines Brenners, insbesondere Maschinenstarkschneidbrenners, für die Materialbearbeitung
KR200174926Y1 (ko) 만능직선자동기계
KR200218317Y1 (ko) 상부 가열식 가열로용 밸브 개폐장치
CN112984509A (zh) 一种自动点火旋转式加热炬
KR20220132244A (ko) 연속 소둔 통합형 가스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