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867A -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867A
KR19990017867A KR1019970040949A KR19970040949A KR19990017867A KR 19990017867 A KR19990017867 A KR 19990017867A KR 1019970040949 A KR1019970040949 A KR 1019970040949A KR 19970040949 A KR19970040949 A KR 19970040949A KR 19990017867 A KR19990017867 A KR 19990017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line
production
plc
line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열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0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867A/ko
Publication of KR19990017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867A/ko

Links

Landscapes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당조립라인(102)과 후조립라인(101)에는 각각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 , 103)가 설치되고, 상기 PLC(103)는 중앙 통제용 지시컴퓨터(104)에 의해 생산 지시 데이터를 받아 각각의 라인(101,102)을 제어하여 각 조립라인(101,102)으로부터 이송되는 다종의 차량(105,106)과 녹다운부품(107)을 순서대로 처리하도록 된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구조에 있어서, 상기 PLC(103)가 자체적으로 녹다운부품(107)의 생산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조정기(10)를 구비하여, 후조립라인(101)이 정지되었을 때 해당조립라인(102)에서 녹다운부품(107)을 생산할 수 있는 구조로 되것을 특징으로 하여, 자동차의 자동화생산라인에서 후조립라인이 정지하더라도 해동조립라인을 별도의 조정기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조립라인을 통해 녹다운부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라인을 가동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조립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완성차 조립라인이 멈췄을 때 생산공정을 바꿔 녹다운(knock down) 부품만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공정을 거치는 조립 혹은 생산라인에서 어느 한 공정과 다른 공정을 이송되어 움직이는 물품에 대해 운송 자동화를 이룩할 때 에는 선공정과 후공정사이에 생산시스템을 구축하여 선공정에서 작업이 완료된 물품을 후공정에 자동적으로 이송하여 생산이 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조립산업의 총합체라 할 수 있는 자동차 생산 산업에서는 특히 수만개의 부품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부품 및 완성품이 생산되는 바, 무인자동화 기술이나 생산시스템이 많은 부분에서 도입되어 실시되고 있다.
여기서, 도 2에는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바, 해당조립라인(101)과 후조립라인(102)에 각각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 , 103)가 설치되어, 상기 PLC(103)는 중앙 통제용 지시컴퓨터(104)에 의해 생산 지시 데이터를 받아 각각의 라인(101,102)을 제어하고 작업지시를 하게 되어 있다.
즉, 각 조립라인(101,102)에는 여러 종류의 차량(105,106)과 녹다운부품(107)들이 혼재되어 이송되는 바, 상기 지시 컴퓨터(104)는 여러 종류의 차량(105,106)과 녹다운부품(107)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각 라인(101,102)에 생산지시하고, 이 생산지시를 받은 각 라인 제어용 PLC(103)는 작업자나 자동화장치에 상기 컴퓨터(104)로부터 받은 명령 순서대로 작업지시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생산구조는, 후 조립라인이 고장 또는 자재부족, 작업지연이나 밀림 등의 요인으로 정지하게 되었을 때 해당 조립라인도 후 조립라인 때문에 생산정지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와같은 현상은 각 조립라인의 생산통제가 전적으로 중앙의 지시 컴퓨터에 의해서만 이루어짐에 따른 것으로, 상기 지시 컴퓨터는 모든 라인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므로써, 각각의 라인에 대한 생산지시를 상기 컴퓨터로 통제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였었다.
따라서 해당조립라인에서 완성품으로 취출되도록 되어 있는 각종 녹다운부품도 라인의 멈춤으로 인해 취출되지 못하게 되는 바, 비생산성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자동차 생산시스템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각 조립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PLC를 조작하여 해당조립라인으로 투입되는 여러 종류의 차량과 녹다운 부품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후조립라인이 정지되어도 해당조립라인을 가동하여 녹다운부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해당조립라인과 후조립라인에 각각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가 설치되고, 상기 PLC는 중앙 통제용 지시컴퓨터에 의해 생산 지시 데이터를 받아 각각의 라인을 제어하여 각 조립라인으로부터 이송되는 다종의 차량과 녹다운부품을 순서대로 처리하도록 된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구조에 있어서, 상기 PLC가 자체적으로 녹다운부품의 생산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조정기을 구비하여, 후조립라인이 정지되었을 때 해당조립라인에서 녹다운부품만을 생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정기는 전면 일측에 중앙 통제용 지시 컴퓨터모드와 라인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1스위치가 설치되고, 이 제1스위치의 설정을 완료한 후 해당 모드를 가동하기 위한 시동스위치가 설치되며, 완성차량과 녹다운부품의 생산비율을 조정하기 위한 수치다이얼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조정기의 데이터는 상기 PLC의 I/O 슬롯을 통해 PLC의 CPU로 보내져 해당 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조립라인이 정지하게 되면, 해당 조립라인의 관리자는 해당 조립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PLC의 조정기에서 제1스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해당 조립라인의 생산 통제를 지시 컴퓨터가 아닌 상기 PLC로 할 수 있도록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조정기의 수치다이얼을 돌려 녹다운부품의 생산비율을 조정하여 해당 조립라인에서 녹다운부품을 생산하도록 함으로써, 후조립라인이 정지되더라도 해당 조립라인은 가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 각 조립라인에 설치되는 생산 조정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정기 20 : 제1스위치
30 : 시동스위치 40 : 수치다이얼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 각 조립라인에 설치되는 생산 조정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자동차를 생산하기 위한 자동화 조립라인은 다수개의 조립라인(101,102)이 연결되어 있으며, 각 조립라인(101,102)에는 다종의 차량(105,106)과 녹다운부품(107) 등 여러 가지 부품이 혼재되어 이송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조립라인(102)과 후조립라인(101)에는 각각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 , 103)가 설치되고, 상기 PLC(103)는 중앙 통제용 지시컴퓨터(104)에 의해 생산 지시 데이터를 받아 각각의 라인(101,102)을 제어하여 각 조립라인(101,102)으로부터 이송되는 다종의 차량(105,106)과 녹다운부품(107)을 순서대로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한 조립라인에 있어서, 상기 PLC(103)만으로 각 라인(101,102) 생산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구조에 있어서, 상기 PLC(103)가 자체적으로 녹다운부품(107)의 생산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조정기(10)을 구비하여, 후조립라인(101)이 정지되었을 때 해당조립라인(102)에서 녹다운부품(107)만을 생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정기(10)는 전면 일측에 중앙 통제용 지시 컴퓨터모드(C)와 라인 모드(L)로 전환하기 위한 제1스위치(20)가 설치되고, 이 제1스위치(20)의 설정을 완료한 후 해당 모드(C,L)를 가동하기 위한 시동스위치(30)가 설치되며, 완성차량(105,106)과 녹다운부품(107)의 생산비율을 조정하기 위한 수치다이얼(40)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조정기(10)의 데이터는 상기 PLC(103)의 I/O 슬롯(103a)을 통해 PLC(103)의 CPU(103b)로 보내져 해당 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조립라인(101)이 정지하게 되면, 해당 조립라인(102)의 관리자는 해당 조립라인(102)에 설치되어 있는 PLC(103)의 조정기(10)에서 제1스위치(20)를 조정하여 상기 해당 조립라인(102)의 생산 통제를 지시 컴퓨터(104)가 아닌 상기 PLC(103)로 할 수 있도록 모드(C,L)를 전환하고, 상기 조정기(10)의 수치다이얼(40)을 돌려 녹다운부품(107)의 생산비율을 조정하여 해당 조립라인(102)에서 녹다운부품(107)을 생산하도록 함으로써, 후조립라인(101)이 정지되더라도 해당 조립라인(102)은 가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후조립라인(101)이 정지하게 되면 관리자는 해당조립라인(102)의 PLC(103)에 설치되어 있는 조정기(10)의 제1스위치(20)를 조작하여 라인모드(L)에 위치시킨다.
이와같이 상기 조정기(10)를 조작하여 주게 되면 해당조립라인(102)의 제어권은 상기 지시컴퓨터(104)에서 상기 PLC(103)로 넘어오게 된다.
이 상태에서 관리자는 상기 조정기(10)의 수치다이얼(40)을 조작하여 원하는 녹다운부품(107)만을 해당조립라인(102)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예컨데 상기 수치다이얼(40)은 완성차종(105,106)과 녹다운부품(107)으로 구분되어 상기 완성차종(105,106)의 비율은 '제로'로 설정하고 녹다운부품(107)의 수치는 '1'로 설정한다.
이와같이 설정완료된 후에는 상기 조정기(10)의 시동스위치(30)를 온시켜 해당 지시값을 상기 PLC(103)의 I/O슬롯(103a)을 통해 PLC(103)의 CPU(103b)로 보내게 되고, 이렇게 데이터를 받은 CPU(103b)는 상기 조정기(10)의 지시값을 중앙 통제용 지시 컴퓨터(104)로 보내게 된다.
상기 PLC(103)의 데이터를 받은 지시 컴퓨터(104)는 그 데이터를 분석한 후 완료신호를 상기 PLC(103)로 내려주게 되고 이 지시를 받은 PLC(103)는 작업자용 생산지시 표시기(50)를 점등시켜 생산개시를 알리고 이 때부터 녹다운부품만(107)을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후조립라인(101)이 정상적으로 가동되게 되면 관리자는 상기 조정기(10)의 제1스위치(20)를 지시컴퓨터모드(C)에 위치시켜 작업지시를 지시컴퓨터(104)에 의해 정상적으로 받도록 함으로써, 정상적인 조립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후조립라인이 멈추더라도 해당조립라인에서는 녹다운부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장치에 의하면, 자동차의 자동화생산라인에서 후조립라인이 정지하더라도 해동조립라인을 별도의 조정기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조립라인을 통해 녹다운부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라인을 가동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해당조립라인(102)과 후조립라인(101)에는 각각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 , 103)가 설치되고, 상기 PLC(103)는 중앙 통제용 지시컴퓨터(104)에 의해 생산 지시 데이터를 받아 각각의 라인(101,102)을 제어하여 각 조립라인(101,102)으로부터 이송되는 다종의 차량(105,106)과 녹다운부품(107)을 순서대로 처리하도록 된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구조에 있어서,
    상기 PLC(103)가 자체적으로 녹다운부품(107)의 생산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조정기(10)를 구비하여, 후조립라인(101)이 정지되었을 때 해당조립라인(102)에서 녹다운부품(107)을 생산할 수 있는 구조로 되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10)는 전면 일측에 중앙 통제용 지시 컴퓨터모드(C)와 라인 모드(L)로 전환하기 위한 제1스위치(20)가 설치되고, 이 제1스위치(20)의 설정을 완료한 후 해당 모드(C,L)를 가동하기 위한 시동스위치(30)가 설치되며, 완성차량(105,106)과 녹다운부품(107)의 생산비율을 조정하기 위한 수치다이얼(40)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조정기(10)의 데이터는 상기 PLC(103)의 I/O 슬롯(103a)을 통해 PLC(103)의 CPU(103b)로 보내져 해당 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장치.
KR1019970040949A 1997-08-26 1997-08-26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장치 KR19990017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949A KR19990017867A (ko) 1997-08-26 1997-08-26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949A KR19990017867A (ko) 1997-08-26 1997-08-26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867A true KR19990017867A (ko) 1999-03-15

Family

ID=6604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949A KR19990017867A (ko) 1997-08-26 1997-08-26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8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736A (ko) * 2000-12-30 2002-07-12 이계안 차량 조립라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736A (ko) * 2000-12-30 2002-07-12 이계안 차량 조립라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38939A1 (en) Production control system
KR19990017867A (ko) 자동차 조립라인의 생산 조정장치
US5628112A (en) Circuit board assembly system and method
US4414887A (en) Press secondary machining line control device
JPH0635526A (ja) 加工システムの運転制御装置
NL8401763A (nl) Automatische besturing en het testen van diverse elektrische en mechanische stelsels van een automobiel.
WO1992000659A1 (en) Printed board for branching signal lines from numeric controller
EP0458982A1 (en) Machining display system
US7009357B2 (en) Servo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KR100270396B1 (ko) 통크레인의 슬라브 매수 자동조절장치
JP2574170B2 (ja) 生産管理システム
JPH04223846A (ja) 生産ラインの作業指示装置および搬送制御装置
Cheded et al. Control of a four-level elevator system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KR950011752B1 (ko) 팰릿 매거진 머신에서의 공작물 가공순위 갱신제어 방법
JP2666291B2 (ja) 無人搬送車を用いた生産設備
US4841210A (en) Industrial robot control device
JPH06329063A (ja) 生産指示システム
JPS62114862A (ja) 生産指示装置
JPH0448575B2 (ko)
KR19980073841A (ko) 모듈 컨베이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I72702C (fi) Signaleringsfoerfarande foer en hiss och en tryckknappsstation.
Peshek et al. Advanced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ire building
Napor et al. Systems Analysis of Automatic Machinery
KR19990050948A (ko) 다기종 액정 모듈의 생산 라인 제어 시스템
Veres Applying Programmable, Variable Speed, Digital Drives in Distributed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