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165A - 전자렌지의 도어개방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의 도어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165A
KR19990017165A KR1019970039965A KR19970039965A KR19990017165A KR 19990017165 A KR19990017165 A KR 19990017165A KR 1019970039965 A KR1019970039965 A KR 1019970039965A KR 19970039965 A KR19970039965 A KR 19970039965A KR 19990017165 A KR19990017165 A KR 19990017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ok
button
microwave oven
cook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화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9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165A/ko
Publication of KR19990017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165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렌지의 도어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리실(11)의 입구에 설치된 도어(21)를 폐쇄ㆍ고정하도록 갈고리(31)와 걸림턱(44)으로 이루어진 도어잠금장치가 사용자의 발로써 누를수 있는 스위치(81)의 작동에 따라 통전되면서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갈고리(31)를 걸림턱(44)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솔레노이드버튼(61)에 의해 잠금해제됨에 따라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기 불편한 상황에서 도어(21)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렌지의 도어개방장치
본 발명은 전자렌지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리실의 입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취부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설치된 전자렌지의 도어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조리물이 수용되어 조리되는 조리실과, 이 조리실의 입구를 개방ㆍ폐쇄시키는 도어 및,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조사되는 고주파가 제어되도록 설치된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조리실은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면서 그 전면이 개방된 캐비티로써 형성된다.
또,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티의 전면에 개방된 조리실의 입구를 덮어막도록 조리실의 전면 형상과 동일한 판형상을 이룸과 더불어, 그 일측단이 상기 캐비티의 일측에 힌지를 매개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실내로 고주파를 발진시키는 마그네트론과, 이 마그네트론에 전류를 통전시키는 트랜스 및, 상기 마그네트론이나 트랜스등의 부품을 제어하는 각종 제어기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도어는 조리실의 전면에 형성된 입구가 힌지를 축으로 회동되면서 개방 및 폐쇄됨은 물론, 폐쇄위치에서 잠겨 유동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바, 상기 도어의 잠금장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패널(22)에 설치된 갈고리(31)와, 이 갈고리(31)가 걸쳐서 고정되도록 하우징(43)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4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갈고리(31)는 도어패널(2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막대형상을 이루면서 돌출ㆍ형성되고, 그 끝단에 하방향으로 걸림돌기가 돌출되는 한편, 상하 방향으로 소정폭 이격되어 2개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 상기 갈고리(31)가 도어패널(22)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작동됨에 따라 이 갈고리(31)가 이동되도록 상기 갈고리(31)가 삽입ㆍ설치되는 도어패널(22)의 일정부위가 상하방향으로 갈고리(31)의 이동폭과 동일한 폭을 이루고 절단된 이동부(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갈고리(31)의 상단에는 갈고리(31)와 상기 이동부(23)의 상단에 걸쳐 스프링(32)이 취부되어 상기 갈고리(31)가 하방향으로 탄발ㆍ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44)은 상기 갈고리(31)가 접하는 제어부내에 체결된 하우징(43)에 형성되고, 상기 갈고리(31)의 걸림돌기가 걸쳐지도록 하우징(43)의 중앙부에 직각삼각형 단면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하우징(43)의 하부에는 상기 하측 걸림턱(44)의 끝단에 접하면서 하우징(43)의 하단으로 관통되도록 봉형상을 이룬 작용봉(51)이 취부되고, 이 작용봉(51)의 하부 및 하우징(43)의 외측에 상단이 힌지(53)고정되어 힌지(53)를 매개로 회동가능한 레버(52)가 취부되며, 이 레버(52)의 전면에 버튼(161)이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작용봉(51)은 상기 걸림턱(44)의 갈고리(31)가 걸쳐지는 부위에서 하방향으로 막대형상을 이루고 뻗어 상기 하우징(43)의 하단면을 통해 외측으로 일정폭 돌출된다.
또, 상기 레버(52)는 중앙부가 수직절곡된 판형상을 이루면서 이 수직절곡부의 외측이 하우징(43)의 하단 외부에 힌지(53)를 매개로 취부된다.
또한, 상기 버튼(161)은 제어부의 전면에 취부되는 제어부패널(42)내에 취부되는 바, 사용자의 가압이 용이하도록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룬 버튼(161)의 일면이 제어부패널(42)의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되고, 이 버튼(161)의 내면에서 수직을 이루고 내측으로 뻗어 가압봉(162)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봉(162)은 봉형상을 이루면서 내측 제어부패널(42)로 관통되어 상기 레버(52)의 전면에 그 끝단이 접촉되며, 상기 내측 제어부패널(42)과 버튼(161)의 내면에 걸쳐지는 스프링(163)이 가압봉(162)에 끼워진다.
따라서, 조리실에 대한 도어의 폐쇄시, 도어의 도어패널(22)에 취부된 갈고리(31)가 하우징(43)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이 갈고리(31)가 삽입되면서 이 갈고리(3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걸림턱(44)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갈고리(31)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면이 걸림턱(44)의 경사면과 맞접해 상호 가압되고, 이 상호 가압되는 배력에 따라 일정 이동범위, 즉 이동부(23)내에 취부된 갈고리(31)가 경사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또, 상기 갈고리(31)의 상방향 이동에 따라 갈고리(31)의 상부에 취부된 스프링(32)이 이동부(23)의 내면에 압박되면서 상기 갈고리(31)를 하방향으로 탄력ㆍ지지하게된다.
상기 걸림턱(44)의 경사면을 따라 상향 이동된 갈고리(31)가 걸림턱(44)의 경사면이 끝나는 지점에 이르러 상기 갈고리(31)의 경사면과 걸림턱(44)의 경사면이 상호 가압되는 배력이 폐지되면서 상기 갈고리(31)의 상단에 취부된 스프링(32)의 탄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걸림턱(44)의 후면에 걸쳐진다.
따라서, 갈고리(31)와 걸림턱(44)이 상호 횡방향으로 고정되고, 이 갈고리(31)가 취부된 도어패널(22)이 하우징(43)에 밀착되면서 이 하우징(43)에 연결된 프론트패널에 도어가 밀착되어 조리실에 대한 도어의 폐쇄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도어의 개방이 요구될 경우,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버튼(161)이 내측으로 삽입되고, 이 버튼(161)의 삽입에 따라 버튼(161)의 내면과 내측 제어부패널(42)에 걸쳐 지지된 스프링(163)이 압착되며, 상기 버튼(161)의 내면에 접합된 가압봉(162)이 버튼(161)의 가압방향을 따라 내측 제어부패널(42)로 관통되면서 내측으로 삽입된다.
또, 상기 제어부패널(42)의 내측으로 삽입된 가압봉(162) 선단이 레버(52)의 전면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레버(52)가 힌지(53)를 축으로 상방향 회동된다.
또한, 상기 레버(52)의 회동에 따라 레버(52)의 상단면에 접촉된 작용봉(51)이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작용봉(51)이 이동되면서 작용봉(51)이 상부선단에 접촉된 갈고리(31)의 끝단을 상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갈고리(31)가 작용봉(51)의 가압에 따라 갈고리(31)의 상단에 취부된 스프링(32)의 탄력을 억압하면서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걸림턱(44)의 후면에서 이탈되고, 이 걸림턱(44)에서 이탈된 갈고리(31)의 선단이 걸림턱(44)의 경사면과 맞접촉되면서 경사면의 형상에 따라 도어패널(22)방향으로 미끄러진다.
또, 이 갈고리(31)가 걸림턱(44)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 갈고리(31)가 취부된 도어패널(22)이 외측으로 회동되어 도어가 개방된다.
그러나 상기 일반적인 전자렌지의 도어는 사용자의 버튼(161)에 대한 가압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사용자가 조리물을 양손에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버튼(161)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함은 물론, 조리물이 수용된 용기의 파지와 버튼(161)에 대한 조작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져 사용자의 이중집중이 요구됨에 따라 도어의 개방이 난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전자렌지의 도어가 전자렌지의 외부에 설치된 스위치에 대한 조작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사용자의 손은 물론 신체의 일부분으로 스위치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도어가 용이하게 개방되는 전자렌지의 도어개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실의 입구에 취부된 도어를 폐쇄ㆍ고정하도록 도어잠금장치가 구비된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잠금장치에 압력을 가해 잠금해제시키도록 됨과 더불어 사용자의 발로써 조작되도록 설치된 가압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 A-A선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 부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 B-B선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 부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 C-C선의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조리실, 21 : 도어, 22 : 도어패널, 23 : 이동부, 31 : 갈고리, 32 : 스프링, 41 : 제어부, 42 : 제어부패널, 43 : 하우징, 44 : 걸림턱, 51 : 작용봉, 52 : 레버, 53 : 힌지, 61 : 솔레노이드버튼, 62 : 가압봉, 71 : 트랜스, 81 : 스위치, 161 : 버튼, 162 : 가압봉, 163 : 스프링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솔레노이드버튼이 설치된 전자렌지의 도어개방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방장치에 의해 도어가 개방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된 일반적인 전자렌지의 도어버튼 및 도어버튼에 의해 개방된 도어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도어개방장치에 설치된 버튼과 솔레노이드버튼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리물이 수용되어 조리되는 조리실(11)과, 이 조리실(11)의 내부로 고주파를 발진시키도록 조리실(11)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41)로 이루어진 전자렌지의 상기 조리실(11)의 전면 입구에 도어(21)가 부착되고, 이 도어(21)의 폐쇄고정 및 개방을 위해 도어잠금장치와 도어개방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조리실(11)은 조리물이 수용되도록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면서 그 전면이 개방되어 입구가 형성된 캐비티로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조리실(11)의 내부로 고주파를 발진시키는 마그네트론과, 이 마그네트론의 고주파발진을 제어하는 각종 제어기 및, 상기 마그네트론으로 일정 전력이 제공되는 트랜스(71)가 내설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도어(21)는 상기 조리실(11)의 전면 입구가 개방 및 폐쇄되도록 입구의 형상과 동일한 판형상을 이루면서 조리실(11)을 이루는 캐비티의 일측(본 발명에서는 제어부(41)의 반대편 일측)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조리실(11)의 전면 입구에 밀착된 도어(21)가 고정되도록 도어(21) 및 캐비티의 일측에 취부된 하우징(43)에 도어잠금장치가 설치되는 바, 이 도어잠금장치는 도 2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1)를 이루는 도어패널(22)에 설치되는 갈고리(31)와, 이 갈고리(31)가 걸쳐 고정되도록 하우징(43)에 형성된 걸림턱(4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갈고리(31)는 도어패널(22)의 내측에서 조리실(11) 방향으로 수직을 이루고 뻗어 형성되고, 그 끝단에 하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며, 종방향으로 일정폭을 이루고 이격되어 2개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 2개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갈고리(31)가 도어패널(22)의 내측에서 종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도어패널(22)의 내측면 2지점에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절개된 이동부(23)가 형성되고, 이 각 이동부(23)내에 상기 각각의 갈고리(31)가 삽입되며, 이 갈고리(31)의 상단과 이동부(23)의 내측상단에 걸쳐 스프링(32)이 취부되어 상기 갈고리(31)는 이동부(23)내에서 스프링(32)의 탄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가압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44)은 상기 도어패널(22)에서 돌출된 갈고리(31)에 대응되는 위치의 캐비티 일측에 형성된 하우징(43)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갈고리(31)의 끝단이 걸쳐지도록 직각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개방장치는 상기 걸림턱(44)에 걸쳐진 갈고리(31)의 하단에 밀착되면서 종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작용봉(51)과, 이 작용봉(51)의 하부끝단에 밀착되면서 외부가압에 따라 회동되도록 힌지(53)를 매개로 설치된 레버(52), 이 레버(52)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제어부패널(42)에 설치된 제1가압수단 및, 제2가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작용봉(51)은 봉형상을 이루면서 그 상단이 상기 걸림턱(44)의 후면에 밀착되어 걸림턱(44)에 걸쳐진 갈고리(31)의 끝단에 접촉되고, 그 하단이 상기 하우징(43)의 하단면으로 관통되어 하방향으로 일정폭 돌출되도록 하우징(43)에 종방향으로 설치된다.
또, 상기 레버(52)는 상기 하우징(43)의 하단 외측으로 돌출된 작용봉(51)의 하단에 접하는 상판과, 이 상판의 전방 끝단에서 수직을 이루고 하방향으로 판 형상을 이루고 뻗어 형성된 하판 및, 상기 상판과 하판이 접합되는 절곡지점의 외측에 횡방향으로 취부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43)의 하단에 취부되는 힌지(5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가압수단은 도 4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패널(42)의 전면 외측으로 표출된 버튼(161)과, 이 버튼(161)의 내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봉형상을 이루고 형성된 가압봉(162) 및, 이 가압봉(162)의 외주에 끼워지는 스프링(16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버튼(161)은 사용자의 가압이 용이하도록 직사각형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제어부패널(42)내에 구속됨과 더불어 제어부패널(42)의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된다.
또, 상기 가압봉(162)은 버튼(161)의 내면에서 수직을 이루고 돌출되어 상기내측 제어부패널(42)로 관통되면서 상기 레버(52)의 전면 하판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163)은 상기 가압봉(162)의 외주에 끼워됨과 더불어 일측이 버튼(161)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타측이 내측 제어부패널(42)에 지지되어 상기버튼(161)이 제어부패널(42)의 외측으로 탄발·지지된다.
한편, 상기 제2가압수단은 도 2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버튼(61)과, 이 솔레노이드버튼(61)에 전류를 통전시키는 트랜스(71) 및, 상기 솔레노이드버튼(61)에 통전되는 전류를 단속시키는 스위치(8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버튼(61)은 전류의 인가에 따라 내부의 전자석에 자장이 형성되어 이 자장에 의해 내설된 가압봉(62)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버튼(161)의 일측부 제어부패널(42)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 상기 가압봉(62)은 상기 내측 제어부패널(42)로 관통되어 상기 레버(52)의 전면 하판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81)는 솔레노이드버튼(61)과 트랜스(71)에서 연결된 각각의 전선이 한쌍의 단자판에 연결되고, 이 각 단자판이 일측에서 힌지를 매개로 취부되어 외부 가압에 따라 상호 단속된다.
또, 상기 스위치는(81)는 솔레노이드버튼(61)과 트랜스(71)에서 연결된 각각의 전선이 한쌍의 단자판에 연결되고, 이 각 단자판이 일측에서 힌지를 매개로 취부되어 외부 가압에 따라 상호 단속된다.
또,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의 발로써 눌려져 통전되도록 최초 두 접점이 상하 방향으로 벌려져 형성되고, 사용자의 가압폐지에 따라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등 탄성체의 탄력에 의해 상기 접점이 단락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81)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자렌지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부엌의 바닦이나 일측 벽면에 설치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전자렌지의 도어(21) 폐쇄시, 도어(21)가 일측의 힌지를 축으로 조리실(11)의 전면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 도어(21)의 회동에 따라 도어패널(22)의 내측에 취부된 갈고리(31)가 조리실(11)을 이루는 캐비티의 일측에 취부된 하우징(43)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 하우징(43)의 내부로 삽입된 갈고리(31)가 걸림턱(44)의 경사면에 접해 경사면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갈고리(31)의 끝단이 걸림턱(44)의 경사면 끝단에서 갈고리(31)의 상단에 취부된 스프링(32)의 탄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가압되면서 걸쳐져 상기도어(21)의 조리실(11)전면에 대한 폐쇄 및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 상기 도어(21)의 개방이 요구될 경우, 사용자의 제1가압수단에 대한 가압에 따라 버튼(161)이 제어부패널(42)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이 버튼(161)의 삽입에 따라 버튼(161)의 내측에 형성된 가압봉(162)이 스프링(163)의 탄력을 억압하면서 내측으로 삽입되며, 이 내측으로 삽입된 가압봉(162)의 선단이 레버(52)의 전면을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52)의 전면이 가압되어 힌지(53)를 축으로 회동되면서 레버(52)의 상판이 작용봉(51)의 하단을 가압하게 되고, 이 작용봉(51)의 하단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작용봉(51)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며, 이 작용봉(51)의 이동에 따라 작용봉(51)의 상부 끝단에 접하는 갈고리(31)의 끝단이 상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상기 갈고리(31)가 상방향으로 가압되면서 걸림턱(44)의 선단에서 이탈되어 갈고리(31)가 하우징(43)의 외측방향으로 이탈되고, 이 이탈되는 갈고리(31)의 끝단에 걸림턱(44)의 경사면에 접하면서 갈고리(31)의 상단에 취부된 스프링(32)의 탄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외측으로 가압된다.
또, 상기 갈고리(31)가 외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갈고리(31)가 취부된 도어패널(22)이 외측으로 가압되면서 조리실(11)의 전면에서 도어(21)가 개방된다.
한편, 사용자의 버튼(161)에 대한 가압조작이 불가능 할 경우, 사용자는 신체의 일부분(사용자의 발)을 이용하여 전자렌지의 외부에 구비된 스위치(81)를 가압조작하게 되고, 이 스위치(81)에 대한 가압조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81)에 구비된 한쌍의 단자판이 상호 접속되면서 트랜스(71)의 전원이 솔레노이드버튼(61)으로 통전되며, 이 통전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버튼(61)의 내부에 자장이 형성되어 이 자장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솔레노이드버튼(61)내의 가압봉(62)이 외부로 돌출된다.
또, 상기 가압봉(62)의 돌출에 따라 가압봉(62)의 선단에 접촉된 레버(52)가 내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한 레버(52)와 작용봉(51)의 연동작용에 의해 도어(21)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양손이 부자유스러운 경우, 사용자는 발을 이용하여 전자렌지의 외부로 연결된 스위치(81)를 눌러줌으로써, 전자렌지의 도어(21)가 개방되고, 이 개방된 전자렌지의 조리실(11)내로 조리물을 삽입시킨 후, 전자렌지의 가동에 의해 조리물에 대한 조리를 이루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렌지의 도어가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개방됨은 물론, 전자렌지의 외부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이 접촉되면서 작동되도록 형성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버튼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한 경우에조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져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조리실의 입구에 취부된 도어를 폐쇄·고정하도록 도어잠금장치가 구비된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잠금장치에 압력을 가해 잠금해제시키도록 됨과 더불어 사용자의 발로써 조작되도록 설치된 가압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전자렌지의 도어개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전류의 통전에 따라 가압봉이 돌출 및 인입되면서 상기 도어잠금장치에 압력을 가하는 솔레노이드버튼과, 이 솔레노이드버튼으로 전류를 통전시키는 트랜스와, 이 트랜스와 상기 솔레노이드버튼에 연결되어 전류의 통전을 제어함과 더불어 전자렌지의 외부에 설치된 스위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전자렌지의 도어개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의 발로써 눌려져 통전되도록 최초 상하방향으로 벌려진 두 접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전자렌지의 도어개방장치.
KR1019970039965A 1997-08-21 1997-08-21 전자렌지의 도어개방장치 KR19990017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965A KR19990017165A (ko) 1997-08-21 1997-08-21 전자렌지의 도어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965A KR19990017165A (ko) 1997-08-21 1997-08-21 전자렌지의 도어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165A true KR19990017165A (ko) 1999-03-15

Family

ID=6604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965A KR19990017165A (ko) 1997-08-21 1997-08-21 전자렌지의 도어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1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3502A (zh) * 2020-07-27 2022-01-2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开门组件和烹饪电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3502A (zh) * 2020-07-27 2022-01-2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开门组件和烹饪电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711B1 (ko) 조리기의 훅의 걸어맞춤 해제장치
US20070175891A1 (en) Cooking apparatus
JPH0345820A (ja) 調理器の扉開閉装置
US4875721A (en) Latch assembly for door or window of microwave range
JPS59198620A (ja) 調理器のスイツチ機構
KR19990017165A (ko) 전자렌지의 도어개방장치
KR20150109817A (ko) 의류처리장치
KR200412307Y1 (ko)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
KR100516660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도어 인터락 시스템
KR100198576B1 (ko)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KR100582060B1 (ko) 전자레인지
KR19990030842A (ko) 전자 렌지용 안전 장치
CN217001319U (zh) 锁结构和烹饪器具
JP2002267177A (ja) 高周波加熱装置
KR100567036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인터록장치
KR200207702Y1 (ko) 조립위치 설정용 멈춤돌기를 갖는 전자렌지
KR900004757Y1 (ko) 전자레인지의 스타트 스위치 장치
KR0140618Y1 (ko) 전자렌지의 전후 착탈식 트레이 바닥판
KR890005509Y1 (ko) 릴레이가 부설된 푸쉬 스위치
JP3643679B2 (ja) 高周波加熱装置
KR100582081B1 (ko) 전자레인지
JP2001229772A (ja) スイッチ装置
KR860003347Y1 (ko) 마이크로 웨이브 오븐의 인터록장치
JPH06241469A (ja) 加熱調理器
JP3253582B2 (ja) ドア開閉検知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