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576B1 -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576B1
KR100198576B1 KR1019960060324A KR19960060324A KR100198576B1 KR 100198576 B1 KR100198576 B1 KR 100198576B1 KR 1019960060324 A KR1019960060324 A KR 1019960060324A KR 19960060324 A KR19960060324 A KR 19960060324A KR 100198576 B1 KR100198576 B1 KR 100198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heating
main body
heating unit
cas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1055A (ko
Inventor
강병식
김상두
이근형
이기태
최성영
김일신
김창범
최성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60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8576B1/ko
Publication of KR19980041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5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06Locking devices of the bayonet-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록킹되도록 하여 사용시 본체부에 충격이 가하여 지더라도 상기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사용상의 안전성이 확보되게 함과 함께 사용후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서 분리하기 위해 록킹을 해제시킬 때 접점에 접촉되어 있던 유도가열부 전원단자가 자체 중량 및 유도가열부 자석과 본체부 자석 간의 반발력에 의해 신속히 단락되도록 함에 따라 동작의 신뢰성도 확보되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유도가열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형성됨과 함께 본체부를 구성하는 본체부 케이스의 양측 하단에 형성되어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록킹 상태로 결합시켜 주는 록킹수단과,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압입된 접점과,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시킬 때 접점에 접촉되는 유도가열부 전원단자와,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에 고정되어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서로 다른 극을 갖는 유도가열부 자석과, 상기 본체부 케이스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결합될 때 접점에 접촉되는 본체부 전원단자와, 상기 본체부 케이스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결합될 때 대향면이 유도가열부 자석과 나란하면서 상기 대향면 극이 유도가열부 자석과는 서로 반대의 극을 갖는 본체부 자석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본 발명은 유도가열방식 조리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할 때 상기 유도가열부의 전원이 본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가열방식 조리기는 열원으로 유도가열기(IHC;Induction Heating Cooker)를 사용하는 조리기로서, 유도가열부(1)와 상기 유도가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시 유도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본체부(2)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유도가열부(1)는 외관을 이루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와,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자력선을 발생시키는 코일(12)과,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11)의 상부에 고정되어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판(1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2)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부 케이스(21)와, 상기 본체부 케이스 내에 지지된 조리용기(22)와, 상기 본체부 케이스(21)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부 케이스를 개폐시키는 뚜껑(23)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구조의 유도가열방식 조리기는 사용시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 결합시켜야 하고 상기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유도가열부의 전원이 본체부(2)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사용하기 위해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 위로 올려놓으면 상기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 결합됨과 함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에 의해 상기 유도가열부의 전원이 본체부(2)로 전달 가능한 상태가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2)를 구성하는 본체부 케이스(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뚜껑(23)를 열으면 상기 본체부 케이스(21) 내부에 지지되어 있는 조리용기(22)가 개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리용기(22)에 피조리물을 채워 넣은 다음 다시 뚜껑(23)를 닫고 가열모드를 선택하면 유도가열부(1)로 전원이 공급되므로 상기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 내의 코일(12)이 자력선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상기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력선은 곧바로 본체부 케이스(21)에 지지되어 있는 조리용기(22)로 전달되므로 상기 조리용기가 가열됨에 따라 조리용기(22)에 채워져 있는 피조리물이 가열 조리된다.
한편 상기 조리용기(22) 내로 식용유를 채워 넣었을 경우에는 상기 식용유가 끓게 되므로 튀김을 행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작용에 의해 조리용기(22)가 가열되어 피조리물이 조리될 때 상기 조리용기의 열은 유도가열부(1) 내로 전달될려고 하지만 상기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의 상부에 고정된 열차단판(13)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실제로 유도가열부(1) 내로는 열이 필요이상 전달되지 않는데, 만약 조리용기(22)의 열이 유도가열부(1) 내로 필요이상 전달되었다고 가정하면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11) 내의 각종 구성품이 열화되어 쉽게 고장이 나거나 사용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도 있다.
한편 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에 의해 상기 유도가열부(1)의 전원이 본체부(2)로 전달 가능한 상태인데, 이는 본체부(2)의 각종 구성 부품중 램프(도시는 생략함)와 같은 부품 등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유도가열방식 튀김기에 있어서, 종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는 제2a도 및 제2b도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가열부(1)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에 접점(14)이 압입되어 있고,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11) 내부에는 전원이 인가되는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에는 유도가열부 자석(16)이 고정되어 있고, 본체부(2)를 구성하는 본체부 케이스(21)의 하부면에는 상기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 결합할 때 유도가열부 자석(16)과의 자력에 의해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에 회동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유도가열부 자석(16)과의 대향면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본체부 자석(24)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 케이스(21)의 하부면에는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 결합할 때 접점(14)에 접촉되도록 본체부 전원단자(25)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a도에서는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인데, 이때에는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가 자중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가 유도가열부 케이스(11)에 압입된 접점(14)과는 단락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 결합시키면 상기 본체부(2)를 구성하는 본체부 케이스(21)의 하부면에 설치된 본체부 전원단자(25)가 유도가열부 케이스(11)에 압입된 접점(14)에 접촉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부 케이스(21)에 고정된 본체부 자석(24)이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에 고정된 유도가열부 자석(16)과 수직 상태로 나란하게 되므로 상기 각 자석(16)(24)의 대향면 전부분이 서로 다른 극성을 띠고 있음에 따라 자력에 의해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제1b도와 같이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도 접점(14)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열모드를 선택하면 유도가열부가 동작함과 함께 상기 유도가열부의 전원이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접점(14)→본체부 전원단자(25)를 통해 본체부(2)로 전달되므로 상기 본체부의 각 구성부품중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 가능한 부품들의 동작이 행하여진다.
또한 조리완료 후 사용자가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서 분리하면 유도가열부 자석(16)과 본체부 자석(24)의 자력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접점(14)에 접촉되어 있던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는 자체 중량에 의해 다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버리므로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가 제2a도와 같이 접점(14)에 단락되는데, 이는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서 분리한 후에도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가 접점(14)에 접촉되어 있다면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를 통해 전원 공급이 접점(14)까지 이루어진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접점의 상부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대두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유도가열방식 튀김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는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할 때 상기 본체부가 록킹되지 않으므로 사용중 본체부가 외부 충격을 받아 유도가열부에서 분리되는 일이 종종 발생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뒷따랐던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사용후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서 분리할 때 접점에 접촉되어 있던 유도가열부 전원단자가 자체 중량에 의해서만 회동되어 상기 접점에서 단락되므로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의 단락 동작이 원활하지 못함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록킹되도록 하여 사용시 본체부에 충격이 가하여 지더라도 상기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사용상의 안전성이 확보되게 함과 함께 사용 후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서 분리하기 위해 록킹을 해제시킬 때 접점에 접촉되어 있던 유도가열부 전원단자가 자체 중량 및 유도가열부 자석과 본체부 자석의 반발력에 의해 신속히 단락되도록 함에 따라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되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의 양측에 형성됨과 함께 본체부를 구성하는 본체부 케이스의 양측에 형성되어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록킹 상태로 결합시켜 주는 록킹수단과,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압입된 접점과,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시킬 때 접점에 접촉되는 유도가열부 전원단자와,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에 고정되어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서로 다른 극을 갖는 유도가열부 자석과, 상기 본체부 케이스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결합될 때 접점에 접촉되는 본체부 전원단자와, 상기 본체부 케이스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결합될 때 대향면이 유도가열부 자석과 나란하면서 상기 대향면 극이 유도가열부 자석과는 서로 반대의 극을 갖는 본체부 자석으로 구성하여서 된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제1도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를 참고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제2a도는 종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를 갖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로서,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결합되기 전 상태도.
제2b도는 종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를 갖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로서,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결합된 상태도.
제3a도는 본 발명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를 갖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제3b도는 본 발명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를 갖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유도가열부에 올려놓은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제3c도는 본 발명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를 갖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제4a도는 본 발명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를 갖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제4b도는 본 발명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를 갖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유도가열부에 올려놓은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제4c도는 본 발명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를 갖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도가열부 2 : 본체부
11 : 유도가열부 케이스 21 : 본체부 케이스
111 : 수직홈 112 : 수평홈
113 : 접점 114 : 유도가열부 전원단자
115 : 유도가열부 자석 121 : 수직돌기
122 : 수평돌기 123 : 본체부 전원단자
124 : 본체부 자석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제3a도 및 제4c도를 참고로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제3a도 내지 제3c는 본 발명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를 갖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제4a도 내지 제4c도는 본 발명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를 갖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유도가열부(1)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의 양측면에 상부가 개방된 수직홈(111)과 상기 수직홈에 연속적으로 일체화된 수평홈(112)을 형성하고 본체부(2)를 구성하는 본체부 케이스(21)의 양측 하단에는 수직돌기(121)와 상기 수직돌기에 연속적으로 일체화된 수평돌기(122)를 형성하여 상기 수평돌기가 수직홈(111)을 통해 수평홈(112)으로 끼워져 걸림에 따라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 록킹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유도가열부(1)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에는 접점(113)을 고정하고,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11) 내부에는 전원이 인가되는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14)를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하며,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극을 갖는 유도가열부 자석(115)을 고정하고, 본체부(2)를 구성하는 본체부 케이스(21)의 하부면에는 상기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 록킹되어 결합 완료될 때 접점(113)에 접촉되게 본체부 전원단자(123)를 고정함과 함께 유도가열부 자석(115)과의 대향면 극성이 서로 반대의 극성을 갖는 본체부 자석(124)을 고정하여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 결합 완료된 상태에서는 각 자석(115)(124)간의 자력에 의해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14)가 접점(113)에 접촉되도록 함과 함께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14)의 자중 및 각 자석(115)(124)간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14)가 접점(113)에서 단락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제3a도 및 제4a도는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인데, 이때에는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14)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14)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에 압입된 접점(113)에서 단락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 위로 일차 올려놓으면 상기 본체부(2)를 구성하는 본체부 케이스(21)의 양측 하단에 형성된 수직돌기(121)와 수평돌기(122)가 유도가열부(1)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의 양측면에 형성된 수직홈(111) 내로 제3b도와 같이 일차 끼워지는데, 이때에는 제4b도와 같이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14)에 고정된 유도가열부 자석(115)과 본체부 케이스(21)의 하부면에 고정된 본체부 자석(124)의 대향면이 서로 나란한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유도가열부 자석(115)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있음은 물론 상기 본체부 자석(124)은 유도가열부 자석(115)과 서로 반대의 극성을 가지면서 대향면의 극이 서로 같은 극을 갖도록 엇갈린 상태임에 따라 상기 각 자석(115)(124)이 서로 반발력을 일으키고 있고 이에 따라 유도가열부 케이스(1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14)는 계속해서 접점(113)과 단락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부(2)를 구성하는 본체부 케이스(21)를 도면상 좌측으로 밀면 상기 본체부 케이스에 형성된 수직돌기(121)와 수평돌기(122)가 함께 좌측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수평돌기는 결국 유도가열부 케이스(11)에 형성된 수평홈(112)에 끼워져 걸리고 이에 따라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 록킹된 상태로 결합되는데, 이때에는 제4c도와 같이 본체부 케이스(21)의 하부면에 고정된 본체부 전원단자(123)가 유도가열부 케이스(11)의 상부면에 고정된 접점(113)에 접촉된다.
한편,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 결합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부 케이스(21)의 하부면에 고정된 본체부 자석(124)이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14)에 고정된 유도가열부 자석(115)과 나란하게 되므로 상기 각 자석(115)(124)의 대향면 극성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름을 감안할 때 상기 각 자석(115)(124)은 서로 끌어당기는 자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14)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므로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도 제4c도와 같이 접점(113)에 접촉되고, 이후 사용자가 가열모드를 선택하면 유도가열부(1)가 동작함과 함께 상기 유도가열부의 전원이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14)→접점(113)→본체부 전원단자(123)를 통해 본체부(2)로 전달되므로 상기 본체부의 각 구성부품중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 가능한 부품들의 동작이 행하여진다.
또한 조리 완료 후 사용자가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2)를 도면상 우측으로 일단 잡아당겨 록킹을 해제한 다음 위로 들어 올리면 되는데, 상기 본체부(2)를 일단 우측으로 잡아 당겼을 경우에는 유도가열부 자석(115)과 본체부 자석(124)의 대향면 전부분이 제4b도와 같이 서로 나란하지 않고 엇갈리고 이 상태에서는 각 자석(115)(124)의 서로 동일 극성을 갖는 대향면 일부만이 나란하게 되므로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14)는 자체 중량과 상기 각 자석(115)(124)의 반발력을 동시에 받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접점(113)에서 단락됨에 따라 전원공급이 더 이상 행하여지지는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록킹되므로 음식물 조리되는 과정에서 본체부에 충격이 가하여 지더라도 상기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서 분리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사용후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서 분리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록킹을 해제할 경우에는 접점에 접촉되어 있던 유도가열부 전원단자가 자체 중량 및 유도가열부 자석과 본체부 자석 간의 반발력에 의해서 신속히 단락되므로 동작의 신뢰성도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의 양측에 형성됨과 함께 본체부를 구성하는 본체부 케이스의 양측에 형성되어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록킹 상태로 결합시켜 주는 록킹수단과,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압입된 접점과,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결합될 때 접점에 접촉되는 유도가열부 전원단자와,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에 고정되어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서로 다른 극을 갖는 유도가열부 자석과, 상기 본체부 케이스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결합될 때 접점에 접촉되는 본체부 전원단자와, 상기 본체부 케이스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결합될 때 대향면이 유도가열부 자석과 나란하면서 상기 대향면 극이 유도가열부 자석과는 서로 반대의 극을 갖는 본체부 자석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록킹수단은 본체부 케이스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수직홈 및 상기 수직홈과 연속적으로 일체화된 수평홈과, 본체부 케이스의 양측 하단에 형성된 수직돌기 및 상기 수직돌기와 연속적으로 일체화된 수평돌기로 구성하여 상기 수평돌기가 수직홈으로 끼워진 다음 수평홈에 끼워져 걸림에 따라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록킹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KR1019960060324A 1996-11-30 1996-11-30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KR100198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324A KR100198576B1 (ko) 1996-11-30 1996-11-30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324A KR100198576B1 (ko) 1996-11-30 1996-11-30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055A KR19980041055A (ko) 1998-08-17
KR100198576B1 true KR100198576B1 (ko) 1999-06-15

Family

ID=1948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324A KR100198576B1 (ko) 1996-11-30 1996-11-30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85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00980A1 (en) * 2008-07-02 2010-01-07 Bogdan Popescu Induction Heating System with Versatile Inductive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055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9724B2 (ja) 電子レンジ
US6409517B2 (en) Device for electrically powering present on a part of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which is moveable relative to the main structure of this latter
RU2650067C2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с запира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0198576B1 (ko)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MXPA01013191A (es) Dispositivo de conmutacion electrica con interbloqueo mecanica con fusibles.
EP0705554B1 (en) Deep fryers
CN208822310U (zh) 烹饪器具
KR100198560B1 (ko)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KR100198577B1 (ko)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CN212037137U (zh) 烹饪器具
US2980010A (en) Electric cooking device
KR20170027156A (ko) 다기능 콘센트
US2152560A (en) Cooking apparatus
US20190387927A1 (en) Induction fryer
KR19990017165A (ko) 전자렌지의 도어개방장치
KR19990030842A (ko) 전자 렌지용 안전 장치
CN215914231U (zh) 一种具有安全锁的空气炸锅
CN217885809U (zh) 一种智能磁控开关控制的食品装置及其整机电路
JPH02274211A (ja) 複合調理器
KR20230088288A (ko) 조리기기
JPH10201609A (ja) 複合加熱炊飯器
JP2742161B2 (ja) 蓋付加熱容器
JPS6217537A (ja) 高周波加熱装置
SU1629029A1 (ru) Чайник
KR20230047046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