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977U -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977U
KR19990016977U KR2019970030419U KR19970030419U KR19990016977U KR 19990016977 U KR19990016977 U KR 19990016977U KR 2019970030419 U KR2019970030419 U KR 2019970030419U KR 19970030419 U KR19970030419 U KR 19970030419U KR 19990016977 U KR19990016977 U KR 199900169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raw water
water purifi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0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977U/ko
Publication of KR199900169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977U/ko

Links

Landscapes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를 교환하는 정확한 시기를 산출하여 소비자가 항상 신선한 식음을 할 수 있는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는 펌프(5)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침전, 여과, 살균의 과정을 기초로하여 정수시키며, 상기 원수를 여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필터와, 전체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주제어부(20)를 구비한 정수기(1)에 있어서, 상기 펌프(5)의 가동에 따른 원수 유입량을 검출하여 주제어부(20)의 입력단으로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는 유량계(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는 정확한 필터교환시기를 판단하므로 필터의 사용 효율성이 향상되고, 아울러 소비자에게 항상 깨끗한 정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
본 고안은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를 교환하는 정확한 시기를 산출하여 소비자가 항상 신선한 식음을 할 수 있는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달로 인한 환경오염으로 상수원이 오염됨에 따라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물을 정수시키는 정수기의 사용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약수와 같은 자연수(이하 원수라 지칭함)를 정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포함한 정수법을 기초로하여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된 음용수를 제공한다.
상기 정수기는 기능과 모델에 따라서 다양한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단순 정수기능에 의한 정수를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정수를 소정온도 이하로 냉각시켜 제공하는 냉각기능 또는 정수를 가열하여 제공하는 온수기능을 포함하는 것 들이 있다.
도 1은 종래 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정수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역삼투압 정수기(100)는, 수돗물이나 자연수와 같은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밸브(110)와, 상기 원수밸브(110)를 통과한 원수중의 비교적 큰 입자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고탁도필터(111)와, 상기 고탁도필터(111)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지 않는 비교적 작은 입자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침전필터(112)와, 공급되는 원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용펌프(113)와, 원수중의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전카본필터(114)와, 상기 전카본필터(114)를 통과한 원수중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맴브레인필터(115)와, 상기 맴브레인필터(115)를 통과하는 원수의 농축수(폐수) 대 생성수(식수)의 분리비율을 조정하며 폐수를 방류하는 폐수조절기(116)와, 상기 맴브레인필터(115)를 통과한 식수중에 포함된 염소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후카본필터(117)와, 상기 후카본필터(117)를 통과한 원수중의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살균필터(118)와,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수를 방출하는 밸브(120)가 연결된 정수탱크(11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정수기(1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정수행정이 시작되면 주제어부(미도시)에서는 원수밸브(110)를 개방하여 원수를 유입시키며 펌프(113)를 제어하여 강한 압력으로 원수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원수는 다수의 필터들을 통과하면서 이물질과 유해성분이 제거된 후에 정수탱크(119)에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정수기(100)에 사용되는 필터는 펌프(113) 가동시간을 기준으로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것으로 인해 정확한 필터교환시기를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필터교환시기 감지방법은 동일한 시간내에 정수기(100)를 작동시켜도 필터의 상태에 따라 정수되는 정수량이 다른데 반하여 단순히 펌프(113)의 가동시간을 기준으로 필터를 교체하는 것은 오판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정수기(100)의 필터를 교환시기보다 더 많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터의 여과능력 저하로 인해 폐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여과되지 않은 정수를 음용하게 되며, 교환시기보다 더 빨리 교환하는 경우에는 필터의 교체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펌프가동에 따른 정수량을 감지하여 필터를 교환하는 정확한 시기를 산출할 수 있는 필터교환시기 감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는 펌프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침전, 여과, 살균의 과정을 기초로하여 정수시키며, 상기 원수를 여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필터와, 전체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주제어부를 구비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가동에 따른 원수 유입량을 검출하여 주제어부의 입력단으로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는 유량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부분 블록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수기 2 : 원수밸브
3 : 고탁도필터 4 : 침전필터
5 : 펌프 6 : 유량계
7 : 전카본필터 8 : 맴브레인필터
9 : 폐수조절기 10 : 후카본필터
11 : 살균필터 12 : 정수탱크
13 : 밸브 20 : 주제어부
21 : 타이머 22 : 표시설정부
23 : 데이터저장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5) 가동시 유입되는 원수량을 검출하는 유량계(6)가 포함된 역삼투압 정수기(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원수밸브(2)에서 원수공급을 제어하며, 이 원수밸브(2)를 통과한 원수중에 포함된 찌꺼기를 여과하는 고탁도필터(3) 및 침전필터(4)와, 공급되는 원수를 소정압으로 가압시켜 이동시키는 펌프(5)와, 원수중에 포함된 염소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전카본필터(7) 및 후카본필터(10)와, 상기 전카본필터(7)와 후카본필터(10) 사이에 위치되어 원수중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는 맴브레인필터(8)와, 이 맴브레인필터(8)를 통과한 원수의 농축수(폐수) 대 생성수(식수)의 분리비율을 조정하는 폐수조절기(9)와, 상기 후카본필터(10)를 통과한 원수를 살균하는 살균필터(11)와, 살균필터(11)를 통과한 정수를 저장하며 취수를 위한 밸브(13)가 설치된 정수탱크(12)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펌프(5)의 일측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펌프(5) 가동시 유입되는 원수량을 검출하는 유량계(6)가 설치되며, 이 유량계(6)에서 검출된 신호는 주제어부(20)로 인가되어 필터의 교환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정수기(1)는 사용자에 의해 정수행정이 시작되면 주제어부(20)에서 원수밸브(2)를 개방하여 원수를 유입시키며 펌프(5)를 제어하여 강한 압력으로 원수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의 원수는 다수의 필터를 통과하면서 이물질과 유해성분이 제거된 후에 정수탱크(12)에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블록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행정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주제어부(20)와, 원수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밸브(2)와, 원수를 강한 압력으로 이동시키는 펌프(5)와, 맴브레인필터(8)의 폐수 및 생성수비율을 조정하고 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폐수조절기(9)와, 정수중에 포함된 세균을 박멸하기 위한 살균필터(11)와,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21)와, 온도 및 동작상황, 필터교환시기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설정부(22)와, 측정된 시간을 저장하고 각 필터에 대한 처리시간이 내장된 데이터저장부(23)와, 원수를 유입하는 펌프(5)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원수량을 검출하는 유량계(6)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의 정수기(1)는 수위가 로우(Low) 상태일 때 정수행정을 수행하며, 우선 정수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예비 단계로서 맴브레인필터(8)를 세척하는 세척행정을 수행한다.
이는 원수밸브(2)를 온시켜서 원수를 공급하고, 공급된 원수를 펌프(5)에서 강한 압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살균필터(11)를 작동시켜 정수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함과 동시에 폐수배출기를 오픈시켜 폐수를 방출한다.
그리고 세척행정이 종료되면 주제어부(20)에서는 정수행정을 시작하기 위하여 폐수배출기를 오프시켜 정수탱크(12)에 정수가 저장되도록 한다.
이러한 정수기(1)는 펌프(5) 일측에 설치된 유량계(6)에서 유입되는 원수량을 검출하며, 이 검출된 신호는 주제어부(20)의 입력단에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의 주제어부(20)는 유량계(6)에서 검출된 신호를 데이터저장부(23)에 저장하며, 필터의 여과능력에 따른 원수유입량과 비교하여 필터의 교환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주제어부(20)는 소비자가 필터의 교환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설정부(22)측에 소정 신호를 인가하여 필터교환 표시램프를 점등시키거나 또는 부저 등을 통해 알릴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펌프(5)의 가동에 따른 원수 유입량을 유량계(6)가 검출하여 주제어부(20)의 입력단으로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주제어부(20)는 설정된 원수유입량과 비교하여 필터의 교환여부를 판단하고, 교환시에는 필터교환 표시램프 또는 부저를 통해 소비자에게 교환시기를 알리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는 정확한 필터교환시기를 판단하므로 필터의 사용 효율성이 향상되고, 아울러 소비자에게 항상 깨끗한 정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펌프(5)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침전, 여과, 살균의 과정을 기초로하여 정수시키며, 상기 원수를 여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필터와, 전체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주제어부(20)를 구비한 정수기(1)에 있어서,
    상기 펌프(5)의 가동에 따른 원수 유입량을 검출하여 주제어부(20)의 입력단으로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는 유량계(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
KR2019970030419U 1997-10-31 1997-10-31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 KR199900169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419U KR19990016977U (ko) 1997-10-31 1997-10-31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419U KR19990016977U (ko) 1997-10-31 1997-10-31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977U true KR19990016977U (ko) 1999-05-25

Family

ID=6967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419U KR19990016977U (ko) 1997-10-31 1997-10-31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97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276A (ko) * 2019-05-08 2020-11-18 최현성 카본 전극 필터를 포함하는 가정용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 방법
KR102297328B1 (ko) * 2020-07-10 2021-09-01 엄원택 과열방지 기능을 가진 수중 여과기
CN114949969A (zh) * 2021-12-01 2022-08-30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净水机的控制方法和净水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276A (ko) * 2019-05-08 2020-11-18 최현성 카본 전극 필터를 포함하는 가정용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 방법
KR102297328B1 (ko) * 2020-07-10 2021-09-01 엄원택 과열방지 기능을 가진 수중 여과기
CN114949969A (zh) * 2021-12-01 2022-08-30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净水机的控制方法和净水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7668B2 (en) Water purifier
CN101155624B (zh) 净水器中的薄膜过滤器的自动冲洗设备
JPH0671120A (ja) 濾過器の目詰まり検出方法
KR20030062838A (ko) 수질 및 유량측정이 가능한 역삼투압 정수기
KR100836720B1 (ko)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알림장치
KR20060104662A (ko) 수처리기용 수질검사기
KR19990016977U (ko)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
KR101866981B1 (ko) 정수기
KR200292228Y1 (ko) 폐수 정화용 밸브수단을 구비한 역삼투압방식의 냉온정수기
KR100666555B1 (ko)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순환작동방법
KR200277037Y1 (ko) 역삼투압 방식의 냉온정수기
KR0167321B1 (ko) 오염도에 따른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감지방법
KR100204291B1 (ko) 정수기의 정수동작 제어방법
JP2002011468A (ja) 浄水器
KR19990016973U (ko)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
KR19980077111A (ko) 정수기필터의 막힘감지방법
KR0167325B1 (ko) 정전발생시의 정수기 배수제어방법
KR100359052B1 (ko)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및 수질 표시장치
KR0137769Y1 (ko) 역삼투압 정수기의 원수밸브 불량감지장치
KR0161642B1 (ko) 냉온정수기의 온수역류감지방법
KR0173765B1 (ko) 정수기의 단수감지방법
KR100500965B1 (ko) 정수기의 필터 교환시기 측정장치
KR0167324B1 (ko) 정수기의 필터상태감지방법
KR0161641B1 (ko) 냉온정수기의 수위센서 불량감지방법
KR0172705B1 (ko) 원수공급용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