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973U -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973U
KR19990016973U KR2019970030415U KR19970030415U KR19990016973U KR 19990016973 U KR19990016973 U KR 19990016973U KR 2019970030415 U KR2019970030415 U KR 2019970030415U KR 19970030415 U KR19970030415 U KR 19970030415U KR 19990016973 U KR19990016973 U KR 199900169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water purifier
flow rate
replaceme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0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973U/ko
Publication of KR199900169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973U/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전필터를 통과하는 유량을 기준으로 적절한 필터의 교환시기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는 침전, 여과, 살균의 과정을 기초로하여 원수를 여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필터와, 정수기(1)의 정수행정을 제어하는 주제어부(20)를 구비한 정수기(1)에 있어서, 상기 침전필터(5)의 원수를 유입 및 배출하는 유입구, 배수구의 유량을 각각 검출하여 필터교환을 위한 유량차가 설정된 주제어부(20)로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는 전,후유량감지기(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는 정확한 필터교환시기를 판단하므로 필터의 사용 효율성이 향상되고, 아울러 소비자에게 항상 깨끗한 정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
본 고안은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전필터를 통과하는 유량을 기준으로 적절한 필터의 교환시기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달로 인한 환경오염으로 상수원이 오염됨에 따라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물을 정수시키는 정수기의 사용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약수와 같은 자연수(이하 원수라 지칭함)를 정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포함한 정수법을 기초로하여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된 음용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정수기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가 그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역삼투압 정수기는 소위 역삼투압 필터(이하 맴브레인 필터라 함)를 사용하여 원수를 정화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맴브레인 필터는 직경이 매우작은 다수의 기공으로 형성되어서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역삼투압 정수기의 일구성예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상기 역삼투압 정수기(100)는 수돗물이나 자연수와 같은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밸브(110)와, 상기 원수밸브(110)를 통과한 원수중의 비교적 큰 입자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고탁도필터(111)와, 상기 고탁도필터(111)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지 않는 비교적 작은 입자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침전필터(112)와, 공급되는 원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용펌프(113)와, 원수중의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전카본필터(114)와, 상기 전카본필터(114)를 통과한 원수중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맴브레인필터(115)와, 상기 맴브레인필터(115)를 통과하는 원수의 농축수(폐수) 대 생성수(식수)의 분리비율을 조정하며 폐수를 방류하는 폐수조절기(116)와, 상기 맴브레인필터(115)를 통과한 식수중에 포함된 염소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후카본필터(117)와, 상기 후카본필터(117)를 통과한 원수중의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살균필터(118)와,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수를 방출하는 밸브(120)가 연결된 정수탱크(11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정수기(1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정수행정이 시작되면 주제어부(미도시)에서는 원수밸브(110)를 개방하여 원수를 유입시키며 펌프(113)를 제어하여 강한 압력으로 원수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원수는 다수의 필터들을 통과하면서 이물질과 유해성분이 제거된 후에 정수탱크(119)에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필터는 정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축적으로 여과능력이 저하되므로, 필터의 종류에 따라서 사용기간을 설정하여 교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필터를 종류마다 일정 사용기간을 설정하여 교환한다는 것은 각 지역마다 원수의 수질이 다르므로 필터의 사용수명도 달라져야 하는 것에 반하여 일괄적으로 교환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필터의 교환시기가 부정확한 문제점을 초래한다.
일예로 상기 정수기(100)의 필터는 유입되는 원수의 수질이 나쁠 경우에는 종래의 필터교환시기보다 짧은 주기로 교체해주어야 하는데 사용자가 이 사실을 인식할 수 없으므로 제대로 여과되지 않은 정수를 음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침전필터의 정확한 교환시기를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인식시키므로서, 항상 깨끗한 정수를 식음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는 침전, 여과, 살균의 과정을 기초로하여 원수를 여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필터와 , 정수기의 정수행정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구비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침전필터의 원수를 유입 및 배출하는 유입구, 배수구의 유량을 각각 검출하여 필터교환을 위한 유량차가 설정된 주제어부로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는 전,후유량감지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정수기를 나타낸 부분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정수기의 부분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이 수행되는 부분 블록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수기 2 : 원수밸브
3 : 고탁도필터 4 : 전유량감지기
5 : 침전필터 6 : 후유량감지기
7 : 펌프 8 : 전카본필터
9 : 맴브레인필터 10 : 폐수조절기
11 : 후카본필터 12 : 살균필터
13 : 정수탱크 14 : 밸브
20 : 주제어부 30 : 표시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정수기의 부분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1)의 정수행정시 침전필터(5)를 통과하는 유량을 감지하는 전,후 유량감지기를 포함한 역삼투압 정수기(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원수밸브(2)에서 원수공급을 제어하며, 이 원수밸브(2)를 통과한 원수중에 포함된 찌꺼기를 여과하는 고탁도필터(3) 및 침전필터(5)와, 공급되는 원수를 소정압으로 가압시켜 이동시키는 펌프(7)와, 원수중에 포함된 염소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전카본필터(8) 및 후카본필터(11)와, 상기 전카본필터(8)와 후카본필터(11) 사이에 위치되어 원수중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는 맴브레인필터(9)와, 이 맴브레인필터(9)를 통과한 원수의 농축수(폐수) 대 생성수(식수)의 분리비율을 조정하는 폐수조절기(10)와, 상기 후카본필터(11)를 통과한 원수를 살균하는 살균필터(12)와, 살균필터(12)를 통과한 정수를 저장하며 취수를 위한 밸브(14)가 설치된 정수탱크(13)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정수기(1)는 침전필터(5)의 원수유입구 및 원수배출구에는 각각 전,후유량감지기(4),(6)가 설치되며, 이 유량감지기는 유입되는 원수와 여과된 정수의 유량 차이를 검출하여 주제어부(20)의 입력단으로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특히, 상기의 전,후유량감지기(4),(6)는 유량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유량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1)는 사용자에 의해 정수행정이 시작되면 주제어부(20)에서 원수밸브(2)를 개방하여 원수를 유입시키고, 아울러 펌프(7)를 제어하여 강한 압력으로 원수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원수는 다수의 필터를 통과하면서 이물질과 유해성분이 제거된 후에 정수탱크(13)에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인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가 수행되는 부분 블록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1)의 전체행정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주제어부(20)와, 원수의 이동을 제어하는 원수밸브(2)와, 침전필터(5)의 유입구 및 배수구에 각각 설치되어 유량을 감지하는 전,후유량감지기(4),(6)와, 정수의 온도 및 정수기(1)의 동작상황, 필터교환시기 등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표시부(30)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1)는 침전필터(5)의 교환을 주제어부(20)에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부(30)를 통해 알리게 된다.
즉, 상기 침전필터(5)의 유입구 및 배수구에 각각 설치된 전,후유량감지기(4),(6)는 침전필터(5)를 통해 유입 및 배수되는 원수의 유량 차이를 검출하여 주제어부(20)의 입력단으로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면, 주제어부(20)에서는 필터교환여부를 판단하여 표시부(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식시킨다.
여기서 상기 주제어부(20)는 침전필터(5)의 유입 및 배출되는 원수의 유량차를 기준으로 필터교환을 판단하게 되며, 유량차가 심할수록 침전필터(5)의 여과능력이 저하됨을 뜻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정수행정이 시작되면 침전필터(5)의 유입구를 통해 일정량의 원수가 유입되며, 이 원수는 침전필터(5)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여과과정을 거치게 되고, 배수구를 통해 배수된다.
이 때 상기의 침전필터(5)를 통과하는 원수는 유입되는 유량과 여과과정을 거친 원수의 유량차이가 발생하며, 이 유량차는 침전필터(5)의 성능에 따라 커지거나 또는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유량차는 침전필터(5)의 유입구 및 배수구에 각각 설치된 전유량감지기(4) 및 후유량감지기(6)에서 검출하며, 이 때 검출된 신호는 주제어부(20)의 입력단으로 인가된다.
이어서 상기 주제어부(20)는 전,후유량감지기(4),(6)로부터 입력되는 유량차를 설정된 유량차에 비교하여 침전필터(5)의 교체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교체시에는 표시부(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0)는 침전필터(5)의 교환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별도의 침전필터램프를 구성하여 점멸시키거나 또는 부저 등을 통해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1)의 침전필터(5) 교환시기 감지장치는 정수기(1)의 각 필터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는 정확한 필터교환시기를 판단하므로 필터의 사용 효율성이 향상되고, 아울러 소비자에게 항상 깨끗한 정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침전, 여과, 살균의 과정을 기초로하여 원수를 여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필터와, 정수기(1)의 정수행정을 제어하는 주제어부(20)를 구비한 정수기(1)에 있어서,
    상기 침전필터(5)의 원수를 유입 및 배출하는 유입구, 배수구의 유량을 각각 검출하여 필터교환을 위한 유량차가 설정된 주제어부(20)로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는 전,후유량감지기(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20)는 침전필터(5)의 교환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침전필터램프 또는 음을 발생하는 부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침전필터(5)를 통과하는 유량차를 감지하여 주제어부(20)로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는 전,후유량감지기(4),(6)는 정수기(1)의 각 필터에 적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
KR2019970030415U 1997-10-31 1997-10-31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 KR199900169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415U KR19990016973U (ko) 1997-10-31 1997-10-31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415U KR19990016973U (ko) 1997-10-31 1997-10-31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973U true KR19990016973U (ko) 1999-05-25

Family

ID=6969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415U KR19990016973U (ko) 1997-10-31 1997-10-31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97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347B1 (ko) * 2022-12-09 2023-10-23 장현실 친환경 초미립 산소워터 분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347B1 (ko) * 2022-12-09 2023-10-23 장현실 친환경 초미립 산소워터 분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5624B (zh) 净水器中的薄膜过滤器的自动冲洗设备
US6607668B2 (en) Water purifier
CN113015690B (zh) 净水器及其控制方法
KR100235682B1 (ko) 역삼투압 순환여과방식 정수시스템
KR100278516B1 (ko) 정수장치
KR100191863B1 (ko) 역삼투압 정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16973U (ko) 정수기의 침전필터 교환시기 감지장치
KR19990016977U (ko)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
KR200292228Y1 (ko) 폐수 정화용 밸브수단을 구비한 역삼투압방식의 냉온정수기
KR200277037Y1 (ko) 역삼투압 방식의 냉온정수기
KR200143602Y1 (ko) 정수기의 폐수 재활용 시스템
KR0135464Y1 (ko) 정수기의 살균통 정수순환장치
KR0137769Y1 (ko) 역삼투압 정수기의 원수밸브 불량감지장치
KR0167321B1 (ko) 오염도에 따른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감지방법
KR100204291B1 (ko) 정수기의 정수동작 제어방법
KR950005419B1 (ko) 음용수 정수장치 및 그 제어회로
KR0167325B1 (ko) 정전발생시의 정수기 배수제어방법
KR0172705B1 (ko) 원수공급용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배수장치
KR0168318B1 (ko) 정수기의 폐수처리시 소음감소장치
KR0175897B1 (ko) 정수기의 농축수조절장치
KR0150574B1 (ko) 정수기의 정수배출장치 및 방법
KR19990006727U (ko) 역삼투압 정수기의 폐수 재활용장치
KR0175898B1 (ko) 정수기의 정수차단장치
KR0170609B1 (ko) 정수기의 맴브레인필터 보존액 배출방법
KR19980062052U (ko) 정수기용 폐수 재활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