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551U -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 Google Patents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551U
KR19990015551U KR2019970028857U KR19970028857U KR19990015551U KR 19990015551 U KR19990015551 U KR 19990015551U KR 2019970028857 U KR2019970028857 U KR 2019970028857U KR 19970028857 U KR19970028857 U KR 19970028857U KR 19990015551 U KR19990015551 U KR 199900155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gear
clutch
synchroniz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0444Y1 (ko
Inventor
노희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8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444Y1/ko
Publication of KR199900155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5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4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16D2023/0625Details of members being coupled, e.g.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16D2023/0656Details of the tooth structure; Arrangements of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06Lubrication 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 F16D13/7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동 변속기에 구비되는 싱크로나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리이브의 콘형 클러치부가 스피드 기어의 클러치 홈에 삽입되면서 동기 치합되게 구성함으로써 싱크로나이저 링을 삭제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변속 조작감이 향상되도록 한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주축(51)에서 공회전되는 스피드 기어(80)와, 상기 스피드 기어(80)의 측면에 위치되어 주축(51)에 스플라인 결합된 허브 기어(60)와, 상기 허브 기어(60)의 원주 방향으로 결합되어 시프트 포크(53)에 의해 스피드 기어(80)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피드 기어(80)와 동기 치합되는 슬리이브(70)가 포함된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70)는 그 측면에서 콘형으로 돌출된 클러치부(72)가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축방향으로 다수개 디텐트 홈(74)이 형성되며; 상기 스피드 기어(80)는 상기 슬리이브(70)의 클러치부(72)가 접촉되는 클러치 홈(84)이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 홈(84)의 밑에는 상기 슬리이브(70)의 기어치와 결합되는 클러치 기어치(82)가 형성되며; 상기 허브 기어(60)는 상기 슬리이브(70)가 이동될 때 디텐트 홈(74)에 탄성력있게 형합되어 슬리이브(70)의 이동 위치를 잡아주는 디텐트 수단(6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본 고안은 수동 변속기에 구비되는 싱크로나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리이브의 콘형 클러치부가 스피드 기어의 클러치 홈에 삽입되면서 동기 치합되게 구성함으로써 싱크로나이저 링을 삭제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변속 조작감이 향상되도록 한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수동 변속기 중 싱크로 메시(Synchro-mesh)식 변속기는 구동측 기어와 피동측 기어의 맞물림시에 상기 두 기어의 회전 속도를 동기시킨 후 기어가 서로 치합되도록 함으로써 부드러운 기어 치합으로 변속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동기 작용을 하는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이 제공되는 주축(1)과, 상기 주축(1)상에 항상 공회전하고 있으며 각단의 변속단을 결정하는 스피드 기어(5') 및 동기 작용에 사용되는 클러치 기어(6)가 일체로 형성된 스피드 기어 어셈블리(5)와, 주축(1)에 스플라인으로 결합되어 있는 허브 기어(2)와, 상기 스피드 기어 어셈블리(5)와 허브 기어(2) 사이에 위치하며 원추 클러치로 상기 클러치 기어(6)와 만나는 싱크로나이저 링(7)과, 상기 허브 기어(2)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시프트 포크(3)의 작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클러치 기어(6)와 허브 기어(2)를 연결토록 하여 주축(1)의 동력을 스피드 기어(5')로 전달하는 슬리이브(4)와, 상기 스피드 기어 어셈블리(5)의 스피드 기어(5')와 치합된 상태로 있다가 스피드 기어(5')에 동력이 제공되면 그 동력을 출력축으로 연결하는 부축기어 및 부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싱크로나이저 링(7)의 원추 클러치 작동을 위해서 상기 허브 기어(2)와 슬리이브(4) 사이에 싱크로나이저 키(8) 및 싱크로나이저 스프링(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의 변속레버 조작력이 시프트 포크(3)를 통해 슬리이브(4)에 제공되면, 상기 슬리이브(4)는 허브 기어(2)의 바깥측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싱크로나이저 키(8)를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되는 싱크로나이저 키(8)는 싱크로나이저 링(7)에 압력을 제공하여 싱크로나이저 링(7)은 스피드 기어 어셈블리(5)의 클러치 기어(6)와 원추 클러치로 결합되면서 허브 기어(2)와 스피드 기어 어셈블리(5)의 회전 속도차를 상쇄시키며 동기한다.
상기와 같이 동기되면 슬리이브(4)가 더욱 이동되면서 클러치 기어(6)에 완전히 치합되어 허브 기어(2)와 클러치 기어(6)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므로 동력이 전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종래 수동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는 슬리이브와 스피드 기어의 동기 치합을 위해 싱크로나이저 링, 싱크로나이저 키, 싱크로나이저 스프링 등의 부품이 사용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고 변속 조작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리이브의 측면에 콘형의 클러치부를 형성하고 스피드 기어에는 클러치 홈을 형성하여 동기 치합되게 함으로써 부품수가 감소되어 구조가 단순화됨은 물론 변속 조작감이 향상되도록 한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는, 주축에서 공회전되는 스피드 기어와, 상기 스피드 기어의 측면에 위치되어 주축에 스플라인 결합된 허브 기어와, 상기 허브 기어의 원주 방향으로 결합되어 시프트 포크에 의해 스피드 기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피드 기어와 동기 치합되는 슬리이브가 포함된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그 측면에서 콘형으로 돌출된 클러치부가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축방향으로 다수개 디텐트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피드 기어는 상기 슬리이브의 클러치부가 접촉되는 클러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 홈의 밑에는 상기 슬리이브의 기어치와 결합되는 클러치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허브 기어는 상기 슬리이브가 이동될 때 디텐트 홈에 탄성력있게 형합되어 슬리이브의 이동 위치를 잡아주는 디텐트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가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주축 53 : 시프트 포크
60 : 허브 기어 62 : 홈
65 : 디텐트 수단 66 : 디텐트 스프링
67 : 디텐트 볼 70 : 슬리이브
72 : 클러치부 72a : 마찰 페이퍼
80 : 스피드 기어 81 : 니들 베어링
84 : 클러치 홈 86 : 오일 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축(51)상에서 니들 베어링(81)이 설치되어 공회전되고 클러치 홈(84)이 형성된 스피드 기어(80)와, 상기 스피드 기어(80)의 측면에 위치되어 주축(51)에 스플라인 결합된 허브 기어(60)와, 상기 허브 기어(60)의 원주 방향으로 결합되고 콘형의 클러치부가 형성되어 시프트 포크(53)에 의해 스피드 기어(80)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피드 기어(80)와 동기 치합되는 슬리이브(7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리이브(70)는 그 측면에서 콘형으로 돌출된 클러치부(72)가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축방향으로 다수개 디텐트 홈(7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부(72)는 스피드 기어(80)의 클러치 홈(84)에 삽입될 때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마찰 페이퍼(72a)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텐트 홈(74)은 축방향으로 3개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한 스피드 기어(80)는 상기 슬리이브(70)의 클러치부(72)가 접촉되는 클러치 홈(84)이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 홈(84)의 밑에는 상기 슬리이브(70)의 내주 기어치와 결합되는 클러치 기어치(8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피드 기어(80)는 상기 클러치 홈(84)에 오일 공급이 원활토록 주축(51)에서 클러치 홈(84)으로 연결된 오일 홀(86)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한 허브 기어(60)는 상기 슬리이브(70)가 이동될 때 디텐트 홈(62)에 탄성력있게 삽입되어 슬리이브(70)의 이동 위치를 잡아주는 디텐트 수단(65)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디텐트 수단(65)은 상기 허브 기어(60)의 홈(62)에 삽입된 디텐트 스프링(66)과, 상기 디텐트 스프링(66)을 탄발력에 의해 상기 슬리이브(70)의 디텐트 홈(74)에 위치되는 디텐트 볼(6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속 레버의 조작으로 시프트 포크(53)가 슬리이브(70)를 스피드 기어(8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슬리이브(70)의 클러치부(72)가 스피드 기어(80)의 클러치 홈(84)에 삽입되면서 접촉되고, 이때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동기 작용이 일어나면서 슬리이브(70)의 내주치와 스피드 기어(80)의 클러치 기어치(82)가 치합되어 변속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리이브(70)가 스피드 기어(80) 방향으로 허브 기어 둘레에서 슬라이딩되면서 그 내주면이 디텐트 볼(67)을 누르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디텐트 볼(67)은 슬리이브(70)와 스피드 기어(80)의 동기 치합이 완료되는 위치에서 슬리이브(70)의 디텐트 홈(74)에 다시 형합되어 슬리이브(7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반대로, 시프트 포크(53)를 중립 위치로 이동시키면 슬리이브(70)의 클러치부(72)가 스피드 기어(80)의 클러치 홈(84)에서 이탈되고, 동시에 디텐트 볼(67)이 슬리이브(70)의 가운데 디텐트 홈(74)에 형합되어 슬리이브(70)의 중립 위치를 잡아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는 슬리이브(60)의 측면에 콘형의 클러치부(72)가 형성되고 스피드 기어(80)에는 클러치 홈(84)이 형성되어 상호 동기 치합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싱크로나이저의 부품수가 감소되어 구조가 단순화됨은 물론 변속 조작감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주축에서 공회전되는 스피드 기어와, 상기 스피드 기어의 측면에 위치되어 주축에 스플라인 결합된 허브 기어와, 상기 허브 기어의 원주 방향으로 결합되어 시프트 포크에 의해 스피드 기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피드 기어와 동기 치합되는 슬리이브가 포함된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그 측면에서 콘형으로 돌출된 클러치부가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축방향으로 다수개 디텐트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피드 기어는 상기 슬리이브의 클러치부가 접촉되는 클러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 홈의 밑에는 상기 슬리이브의 기어치와 결합되는 클러치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허브 기어는 상기 슬리이브가 이동될 때 디텐트 홈에 탄성력있게 형합되어 슬리이브의 이동 위치를 잡아주는 디텐트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의 클러치부는 스피드 기어의 클러치 홈에 삽입될 때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마찰 페이퍼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의 디텐트 홈은 축방향으로 3개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드 기어는 상기 클러치 홈에 오일 공급이 원활토록 주축에서 클러치 홈으로 연결된 오일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수단은 상기 허브 기어의 홈에 삽입된 디텐트 스프링과, 상기 디텐트 스프링을 탄발력에 의해 상기 슬리이브의 디텐트 홈에 위치되는 디텐트 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KR2019970028857U 1997-10-17 1997-10-17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KR200210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857U KR200210444Y1 (ko) 1997-10-17 1997-10-17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857U KR200210444Y1 (ko) 1997-10-17 1997-10-17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551U true KR19990015551U (ko) 1999-05-15
KR200210444Y1 KR200210444Y1 (ko) 2001-02-01

Family

ID=5389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857U KR200210444Y1 (ko) 1997-10-17 1997-10-17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4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8455A (zh) * 2018-05-28 2018-09-11 长安大学 一种实现柔性冲击的齿轮减速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310B1 (ko) * 2004-08-18 2006-07-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어에서 축으로 직접 동력 연결 장치
KR100756634B1 (ko) * 2005-12-19 200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동기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8455A (zh) * 2018-05-28 2018-09-11 长安大学 一种实现柔性冲击的齿轮减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444Y1 (ko) 200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48983A (en) Synchronizing mechanism in the transmission of constant-mesh type in an automotive vehicle
US20020020597A1 (en) Manual transmission synchronizer for automobiles
JP2017133617A (ja) 動力伝達装置
KR200210444Y1 (ko)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JPH08326913A (ja) リバースギヤ鳴き防止装置
KR100395056B1 (ko) 수동변속기용 동기장치
KR200191952Y1 (ko)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KR100280002B1 (ko) 수동 변속기용 싱크로나이저
JPH11101269A (ja) 手動変速機の同期装置
KR100520735B1 (ko) 수동 변속기의 동기 장치
KR100520311B1 (ko) 수동 변속기의 키리스 동기 장치
KR100402058B1 (ko) 수동 변속기의 더블 콘 싱크로나이저
KR200285110Y1 (ko)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KR200285107Y1 (ko)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KR100225960B1 (ko) 수동변속기의 레버식 싱크로메시 기구
KR200159145Y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 동기장치
KR200148197Y1 (ko) 클러치슬리브와변속포크의결합구조
KR19990032023A (ko) 키리스 싱크로나이저의 스토퍼 구조
JPH0540331Y2 (ko)
JPH0324899Y2 (ko)
JP2024066677A (ja) 手動変速機の同期装置
KR960015687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동기치합장치
KR19980029574A (ko) 자동차 수동변속기용 이너링의 구조
KR100280004B1 (ko) 싱크로나이저의 스토퍼 구조
KR19990030885U (ko) 수동 변속기의 요철 클러치식 동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