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819A - 히트싱크와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히트싱크와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819A
KR19990014819A KR1019970708163A KR19970708163A KR19990014819A KR 19990014819 A KR19990014819 A KR 19990014819A KR 1019970708163 A KR1019970708163 A KR 1019970708163A KR 19970708163 A KR19970708163 A KR 19970708163A KR 19990014819 A KR19990014819 A KR 19990014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
heat sink
base member
members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죤슨로빈더글라스
피셔프랜시스에드워드
조단윌리엄도슨
Original Assignee
레드포인트시어멀로이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드포인트시어멀로이리미티드 filed Critical 레드포인트시어멀로이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14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81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67Cooling facilitated by shape of device
    • H01L23/3672Foil-like cooling fins or heat si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67Cooling facilitated by shape of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히트싱크(1)는 블럭형의 압출되거나 기계가공된 베이스 부재(10)와 복수개의 평탄한 휜 부재(12)로 형성된다. 상기 휜 부재는 U 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휜 부재는 베이스 부재에 형성된 슬롯(14)에 고정되며 그 사이에 열 접촉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베이스 부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휜 부재는 조립된 히트싱크의 베이스 부재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휜 부분(12a)을 포함하도록 예비성형된다.

Description

히트싱크와 그 조립방법
이러한 형태의 히트싱크는 최적의 열 확산 성능을 갖기 위하여 대형으로 설계된다. 이것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핀 부재를 갖는 압출된 금속 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휜 부재는 기계가공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배열의 핀이 제공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핀의 배열은 예를 들어 압출 기법에 의해 자체 제한되는 핀 부재 간격과 같은 압출 부재의 칫수 특성에 의해 제한된다. 압출 부재의 비용은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히트싱크 전체 비용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히트싱크와 이를 형성하기 위한 조립체와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격비율이 높은 핀 부재 즉, 그 사이에 작은 간격을 갖는 높은 핀 부재를 구비한 히트싱트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의 제 1 실시예의 평면도.
도 2 는 도 1 의 선 A-A 을 따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6 은 도 5 의 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8 은 도 7 의 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11 은 도 10 의 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히트싱크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 확산 특성이 탁월한 히트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복수개의 휜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한 휜 부재와 블럭형 베이스 부재로 조립되는 히트싱크에 있어서, 상기 휜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휜 부분이 상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와 휜 부재는 전열성 재료로 제조되는 히트싱크가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와 휜 부재는 동일한 전열성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전열성 재료는 금속 재료이다.
상기 금속 재료는 알루미늄이다.
상기 히트싱크는 복수개의 이격된 휜 부재를 포함한다.
인접한 휜 부재의 쌍은 그 하부 엣지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베이스 부분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2개의 동일평면상에 위치되는 휜 부재를 포함하는 U 형 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휜 부재 또는 U 형 부재는 그 하부 엣지부분이나 베이스 부분을 베이스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각각의 슬롯에 결합하므로써 베이스 부재에 고정된다.
휜 부재의 높이와 그 사이의 간극에 대한 비율은 1 보다 크다.
각각의 부재의 휜 부분은 동일하게 이격된다.
상기 휜 부분은 휜 부재가 놓이는 평면에 대해 경사진 각각의 평면에 놓이도록 비틀린다.
휜 부분은 그 각각의 휜 부재의 단지 한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비틀린다.
휜 부분은 그 각각의 휜 부재의 높이의 대부분의 위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휜 부분은 그 각각의 휜 부재의 상부 엣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휜 부재는 휜 부재의 평면과 동일평면에 놓이는 휜 부재의 평면으로부터 변위된다.
히트싱크는 인접한 휜 부재의 휜 부분이 횡단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조립된다.
선택적으로, 인접한 휜 부재의 대응의 휜 부분은 엇갈린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복수개의 휜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한 휜 부재와 블럭형 베이스 부재로 조립되는 히트싱크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휜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휜 부분이 상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와 휜 부재는 전열성 재료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히트싱크를 조립하는 방법의 다른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히트싱크의 특징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르면, 복수개의 휜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한 휜 부재와 블럭형 베이스 부재로 조립되는 히트싱크를 형성하기 위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휜 부재는 전열성 재료로 제조되는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히트싱크 조립체의 다른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히트싱크의 종속적인 특징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상술의 특징과 기타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인식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1)의 제 1 실시예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전열성 재료로 제조된 복수개의 판형태의 휜 부재(12)가 고정되는 전열성 재료의 블럭형 베이스 부재(10)를 포함한다. 각각의 휜 부재(12)는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부재(10)의 슬롯(도 2 에 점선으로 도시)(14)에 위치되는 휜 부재(12)의 하부 엣지 부분(12b)과 일체인 복수개의 휜 부분(12a)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10)와 휜 부재(12)는 양호한 열 확산 특성을 제공하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히트싱크(1)를 상술한 휜 부재가 가압끼워맞춤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슬롯(14)을 갖도록 압출되거나 기계가공되는 알루미늄 블럭으로 신속하게 제조되게 한다. 상기 휜 부재(12)는 시트재료로 프레스절단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휜 부분(12a)의 형태와 크기는 휜 부재(12)를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형태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휜 부재(12)는, 인접한 휜 부재(12)의 휜 부분(12a)이 히트싱크(1)의 폭을 횡단하여 정렬되는 히트싱크(1)를 제공하기 위해 동일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인접한 휜 부재(12)가 히트싱크(1)의 폭을 횡단하여 서로에 대해 엇갈리도록 휜 부재(12)를 형성 및 배치하는 것은 간단한 작업이다. 휜 부분(12a)은 각각의 휜 부재(12)의 높이의 대부분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휜 부재(12)가 상기 베이스 부재(10)와 함께 조립될 때 블럭형 베이스 부재(10)의 표면에 인접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휜 부재(12)는 휜 부재 사이의 간극(gap)에 대한 휜 부분(12a)의 높이의 비율이 1 보다 큰 히트싱크(1)를 제공하기 위해 서로 밀접하게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휜 부재(12)를 블럭형 베이스 부재(10)에 고정하는 방법은 베이스 부재(10)와 휜 부재(12) 사이의 양호한 열 접촉을 보장하기 위하여 납땜이나 브레이싱(brasing)을 사용하지 않고 가압끼워맞춤되는 것이 양호하다. 그러나, 휜 부재(12)는 적절한 지지방법이나 지지수단에 의해 베이스 부재(10)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와 휜 부재(12)는 휜 부재와 베이스 부재가 다른 금속으로 제조될 때 두 금속의 굴곡(bending)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한 전열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양호하다. 동일한 전열성 재료로 제조된 휜 부재(12)와 베이스 부재(10)로 형성된 히트싱크(1)는 다른 금속을 사용하는 히트싱크(1)에 대해 보다 큰 내식저항을 갖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었다.
도 3 및 도 4 는 휜 부분(12a)이 휜 부재(12)의 관통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부분(12a)은 그 각각의 휜 부재(12)의 평면과 동일평면상에서 연장되지만 이로부터는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히트싱크의 휜 부재(12)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은 가압끼워맞춘 휜 부분(12a)에 의해 방해를 받지만, 그러나 열 확산을 위해 사용가능한 전체 표면적은 그 휜 부분(12a)이 제 1 실시예에서처럼 휜 부재(12)로부터 부분을 제거하므로써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최대가 된다.
상기 휜 부분(12a)은 다른 많은 방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 5 내지 도 8 에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 에 있어서, 휜 부분(12a)은 그 각각의 휜 부재(12)의 한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비틀린다. 도 7 및 도 8 에 있어서, 휜 부분(12a)은 그 각각의 휜 부재(12)의 양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비틀린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9 내지 도 11 에 도시되어 있다. 도 9 에 있어서, 인접한 휜 부재(12)는 U 형 부재(13)로 예비성형된다. 각각의 U 형 부재(13)는 동일 평면에 배치되고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베이스 부분(13a)에 의해 그 하부 엣지(12b)에 일체로 연결된 2개의 휜 부재(12)를 포함한다. 상기 U 형 부재(13)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베이스 부재(10)에 형성된 각각의 슬롯(14)에 가압끼워맞춤될 수 있다. 도 9 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U 형 부재(13)는 와이어형 쐐기(15)에 의해 그 각각의 슬롯(14)에 고정된다. 각각의 휜 부재(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개의 휜 부분(도시않음)을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1 은 U 형 부재(13)를 이용하는 도 9 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휜 부재(12)의 휜 부분(1a)은 도 7 및 도 8 의 실시예와 유사한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도 9 내지 도 11 의 실시예의 U 형 부재(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휜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된 휜 부재(12)가 아니라 U 형 부재(13)를 이용하는 장점중의 한가지는 U 형 부재(13)의 취급을 자동으로 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점이다. 또 다른 장점으로는 상기 부재들은 분리된 휜 부재의 등가의 갯수에 비해 대형의 접촉 면적을 갖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베이스 부재와 U 형 부재 사이의 열 접촉이 보다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는 다양한 형태의 휜 부분을 갖는 휜 부재의 조합이나 동일한 형태의 휜 부재로 형성된다. 이것은 히트싱크의 판을 횡단하는 휜 부분의 패턴을 변화함에 있어 넓은 설계자유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히트싱크는 주어진 용도를 위하여 히트싱크의 열 확산 특성을 최적화하는 휜 부분을 갖는 것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자유도는 공지의 히트싱크 설계에서 만나게 되는 상황과는 달리 매우 적은 여분의 비용만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출된 재료로 제조된 고가의 대형 히트싱크와 유사한 구조 및 성능을 갖지만 비용은 적게 드는 히트싱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복수개의 휜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한 휜 부재와 블럭형 베이스 부재로 조립되는 히트싱크에 있어서,
    상기 휜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휜 부분이 상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와 휜 부재는 전열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와 휜 부재는 동일한 전열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성 재료는 금속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재료는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5. 상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복수개의 이격된 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인접한 휜 부재의 쌍은 그 하부 엣지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베이스 부분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2개의 동일평면상에 위치되는 휜 부재를 포함하는 U 형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휜 부재 또는 U 형 부재는 그 하부 엣지부분이나 베이스 부분을 베이스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각각의 슬롯에 결합하므로써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8. 제 5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휜 부재의 높이와 그 사이의 간극에 대한 비율은 1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9. 제 5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부재의 휜 부분은 동일하게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휜 부분은 휜 부재가 놓이는 평면에 대해 경사진 각각의 평면에 놓이도록 비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11. 제 5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휜 부분은 그 각각의 휜 부재의 단지 한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비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12. 제 5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휜 부분은 그 각각의 휜 부재의 높이의 대부분의 위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13. 제 5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휜 부분은 그 각각의 휜 부재의 상부 엣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14. 제 5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휜 부재는 휜 부재의 평면과 동일평면에 놓이는 휜 부재의 평면으로부터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15. 제 5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트싱크는 인접한 휜 부재의 휜 부분이 횡단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16. 제 5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한 휜 부재의 대응의 휜 부분은 엇갈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17. 복수개의 휜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한 휜 부재와 블럭형 베이스 부재로 조립되는 히트싱크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휜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휜 부분이 상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와 휜 부재는 전열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크싱크 조립방법.
  18. 복수개의 휜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한 휜 부재와 블럭형 베이스 부재로 조립되는 히트싱크를 형성하기 위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휜 부재는 전열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형성용 조립체.
KR1019970708163A 1995-05-16 1996-05-15 히트싱크와 그 조립방법 KR199900148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509866.1A GB9509866D0 (en) 1995-05-16 1995-05-16 A heatsink and a method and an assembly for forming the same
GB9509866.1 1995-05-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819A true KR19990014819A (ko) 1999-02-25

Family

ID=1077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163A KR19990014819A (ko) 1995-05-16 1996-05-15 히트싱크와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26240A1 (ko)
JP (1) JPH11505373A (ko)
KR (1) KR19990014819A (ko)
AU (1) AU5699496A (ko)
GB (2) GB9509866D0 (ko)
WO (1) WO19960369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0432A1 (de) * 1997-01-10 1998-07-16 Swg Metallverarbeitung Und Mon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Kühlkörpern sowie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 Kühlkörper
GB2347206A (en) * 1998-12-18 2000-08-30 Alstom Uk Ltd Heatsink assembly
EP1328019A1 (en) * 2002-01-10 2003-07-16 Wen-Chen Wei Leaf piece structure for heat dissipater
DE102005007041A1 (de) * 2005-02-15 2006-08-17 Alcan Technology & Management Ag Kühlkörper für Halbleiterbauelemente oder dgl. Einrichtungen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02472C2 (de) * 1975-01-22 1982-09-0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Kühlkörper für Thyristoren
US4009752A (en) * 1975-02-24 1977-03-01 Honeywell Information Systems Inc. Warp-resistant heat sink
GB8700842D0 (en) * 1987-01-15 1987-02-18 Marston Palmer Ltd Heat sink
DE3703873A1 (de) * 1987-02-07 1988-08-18 Sueddeutsche Kuehler Behr Kuehlkoerper, insbesondere zum kuehlen elektronischer bauelemente
JP3122173B2 (ja) * 1990-11-09 2001-01-09 株式会社東芝 放熱器、放熱装置および放熱器の製造方法
US5311928A (en) * 1993-06-28 1994-05-17 Marton Louis L Heat dissip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505373A (ja) 1999-05-18
GB2300975A (en) 1996-11-20
AU5699496A (en) 1996-11-29
WO1996036995A1 (en) 1996-11-21
GB9610170D0 (en) 1996-07-24
EP0826240A1 (en) 1998-03-04
GB9509866D0 (en) 1995-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873B1 (ko) 엘에스아이패케이지냉각용파형히트싱크휜어셈블리
US4498530A (en) Flexible thermal conduction element for cooling semiconductor devices
US5072787A (en) Finned heat sink
EP2333476A1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5794684A (en) Stacked fin heat sink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7161883A (ja) ヒートシンク
EP0233916A1 (en) HEAT DISSIPATOR IN THE FORM OF STACKED FINS.
US4897712A (en) Heat sink, particulary for the cooling of electronic elements
US6749009B2 (en) Folded fin on edge heat sink
CN101897011A (zh) 冷却鳍片和冷却鳍片的制造方法
JPH066060A (ja) ピン形フィンを備えた放熱器の製造法
US5095973A (en) Heat exchangers
US6000132A (en) Method of forming heat dissipating fins
US20030202327A1 (en) Heat dissipation module
US6199627B1 (en) Heat sink
US5854739A (en) Long fin omni-directional heat sink
JP4157768B2 (ja) 蒸発器
KR19990014819A (ko) 히트싱크와 그 조립방법
CN101212881B (zh) 散热装置
CN217585468U (zh) 一种翅片组件及其蒸发器
KR19990014818A (ko) 히트싱크와 그 조립방법
DE20020318U1 (de) Kühlkörper
JP3786868B2 (ja) ヒートシンクおよびヒートシンクの製造方法
JPS6123349A (ja) 放熱器
US6840312B1 (en) Cooling element for a heater exch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